KR20090111724A - 광망장치의 맥, 광모듈의 고장을 실시간 감시하는 기능과 고장 시 자가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광모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망장치의 맥, 광모듈의 고장을 실시간 감시하는 기능과 고장 시 자가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광모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724A
KR20090111724A KR1020080037459A KR20080037459A KR20090111724A KR 20090111724 A KR20090111724 A KR 20090111724A KR 1020080037459 A KR1020080037459 A KR 1020080037459A KR 20080037459 A KR20080037459 A KR 20080037459A KR 20090111724 A KR20090111724 A KR 20090111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module
mac
signal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충환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네옵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네옵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네옵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1724A/ko
Publication of KR20090111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5Performance monitori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10/07955Monitoring or measuring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8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분할 수동광가입자망(TDM-PON : Time Division Multiplexing-Passive Optical Network),예를 들면 B-PON(Broadband-Passive Optical Network), E-PON(Ethernet-Passive Optical Network), G-PON(Gigabit-Passive Optical Network)등의 광전송망에서 하나의 OLT(광선로종단장치 ; Optical Line Termination , 이하 광선로종단장치라 함)와 다수의 ONU(광망장치 ; Optical Network Unit , 이하 광망장치라 함)로 구성된 수동 광전송시스템의 상향전송 시 동일파장 TDMA 방식이므로 어떠한 광망장치가 자신의 할당된 시간, 즉 자신의 타임슬롯 외에, 다시 말하면 가드타임에 레이져가 발광을 하면 충돌로 인해 망 전체가 통신불능 사태를 초래한다.
이러한 사고는 광망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 이하 맥이라 함) 또는 광모듈의 고장이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광망장치의 맥과 광모듈의 고장을 실시간 감시하고 사고 발생 시 즉시 광모듈의 전원을 차단하여 레이져의 발광을 차단하는 광모듈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28816423-PAT00001
광망장치, 맥, 광모듈, 타임슬롯, 가드타임, TDM-PON, B-PON, E-PON, G-PON, ONU,

Description

광망장치의 맥, 광모듈의 고장을 실시간 감시하는 기능과 고장 시 자가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광모듈 장치 및 방법 {Real time monitoring mal-function on the MAC and optical module of ONU, optical module equipment and method for self power off function when out of order.}
본 발명은 B-PON, E-PON, G-PON등의 수동광통신망의 광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망장치 안의 맥과 광모듈의 동작을 실시간 감시하고, 고장 발생 시 고장 광망장치의 광모듈의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광통신망의 구성이다. 다수의 광망장치들은 1xN 수동광분배기를 통해 피더광섬유를 공유하여 하나의 광선로종단장치에 연결하여 상·하향 전송하는 구조이다.
하향전송의 경우 광선로종단장치는 시분할 다중화(TDM)된 신호를 다수의 광망장치에 브로드케스팅하면 각각의 광망장치는 자신의 주소에 맞는 데이타만을 수신한다. 하지만 상향전송의 경우 각각의 광망장치들은 피더파이버를 공유하기위해 시분할 다중접속(TDMA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e) 기술을 사용하여 각각의 할당된 타임슬롯에 데이타를 실어 광선로종단장치에 송신한다.
이러한 수동광통신망에서 어떤 광망장치가 고장이 발생하여 레이저가 항상 발광을 하고 있다면 각자의 타임슬롯을 가진 다른 광망장치의 데이타와 충돌로 인해 망 전체가 통신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광망장치가 고장이 될 수 있는 부분은 핵심부품인 맥과 광모듈이다.
광망장치의 광모듈이 고장난 경우는 광전송종단장치의 맥에서 정해준 타임슬롯 동안, 즉 광망장치의 광모듈 파워 제어신호(B_EN) 동안만 광모듈이 발광을 해야 하는데 항상 발광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고장 광망장치를 해결할 동안 통신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다.
광망장치의 맥이 고장난 경우는 광전송종단장치의 맥에서 정해준 타임슬롯 동안만 광모듈 파워 제어신호(B_EN : Burst Enable)를 발생해야 하는데 항상 발생시키는 경우이다. 이 경우도 고장 광망장치를 해결할 동안 통신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모듈 고장감시를 위한 제어부 1과 맥 고장감시를 위한 제어부 2, 그리고 고장발생 시 전원차단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광모듈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망장치의 광모듈에 광모듈 고장을 감시하는 제어부1, 맥 고장을 감시하는 제어부2, 광모듈 또는 맥 고장 시 광모듈 전원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OR 게이트로 구성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분할 수동광통신망에 있어서 광망장치의 광모듈이 맥의 고장과 광모듈의 고장을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고장을 감지 시 광모듈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망 전체의 통신이 불통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수동광통신망의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1 대 다수의 시분할 다중접속 기술이 사용된 통신망에서 어떠한 시스템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망장치에 장착되는 광모듈(210)의 구성 블록도이다.
광모듈(210)은 송수신부(230)와 제어부(220)로 구분된다. 송수신부(230)는 LD(레이져 다이오드)(231), mPD(모니터 포토 다이오드)(232), LD 구동회로(233), WDM 커플러(234), PD(포토 다이오드)(235), 전치증폭기(236), 후치증폭기(237)로 구성되며, 제어부(220)는 제어부1(221), 제어부2(222), OR 게이트(223)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221)은 광모듈(210) 고장감시를, 제어부2(222)은 맥 고장감시를 OR 게이트(223)는 두개의 제어부 중 하나라도 고장신호를 입력받으면 LD 구동회로로 전원차단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장감시와 전원차단에 관계되는 제어부(220)만을 구체적으로 도시화하였다. 전광변환, 광전변환을 수행하는 송수신부(230)는 구체적으로 도시화하지 않았다. 송수신부(230)는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하였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망장치의 광모듈(210) 고장감시 및 전원차단을 수행하는 제어부1(221)의 상세 블록도이다.
제어부1(221)은 비교기(311), 기준전압(312), 시간 지연회로(313), 인버터(314) 플립플롭(315)으로 구성된다. 기준전압은 가드타임(타임슬롯 이외의 시간)동안 LD(231) 광파워의 유무를 비교기(311)가 판단하기 위한 기준전압이다. 이 제어부1(221)은 맥으로부터의 B_EN(L241)와 LD(231)의 광파워를 모니터링하는 mPD(L242)을 입력으로 받고, OR 게이트(223)의 1번 입력단자(L243)로 출력한다.
먼저, 수동광통신망의 광망장치가 정상동작을 시작하면 도 3의 제어부1(221)은 LD(231)의 광파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값을 mPD(L242)를 통해 비교기(311)로 입력되고, 기준전압(312)과 비교하여 LD(231)의 광파워 유무, 즉 mPD(L242) > 기준전압이면 LD(231) 광출력 유, 다시 말해 비교기(311) 출력 high, mPD(L242) < 기준전압이면 LD(231) 광출력 무, 다시 말해 비교기 출력 Low를 플립플롭(315) 입력단에 출력한다. 또한 맥으로부터 B_EN(L241)의 신호를 받아 딜레이를 주기위한 시간 지연회로(313)을 거쳐 인버터(314)로 신호를 반전하여 플립플롭(315) 클럭입력단에 출력한다. 플립플롭(315)은 광모듈 고장의 유무를 OR 게이트(223)의 1번 입력단(L243)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망장치의 광모듈(210) 고장감시 및 전원차단을 수행하는 제어부1(221)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수동광통신망의 광망장치가 정상동작을 시작하면 mPD(L242)의 신호를 받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LD(231)의 광출력의 유무를 플립플롭 입력단에 전달한다(411,412,416). 또한 맥으로부터의 B_EN(L241) 신호를 감시하기 시작한다. 평상시는 정상동작 상태이고(415), B_EN(L241) 신호가 하강(413)하는 시점에 시간지연/반전(414)을 거쳐 플립플롭(315)의 입력값을 래치한다. 래치한 값이 Low면 정 상동작(415)으로 계속 감시모드로 동작을 하게되고, 래치한 값이 High면 송신단 전원을 차단(417)하고 종료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망장치의 광모듈 고장감시 및 전원차단을 수행하는 제어부1(221)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맥으로부터 B_EN(L241)의 신호(S511)에 따라 LD(231)의 광출력(S512)을 보인다. 여기서 정상동작의 경우는 B_EN(L241)의 신호(S511)가 High인 경우에만 LD(231)의 광출력(S512)이 발생한 실선부분이고, 고장발생의 경우는 B_EN(L241)의 신호(S511)가 Low인 경우에도 LD(231)의 광출력(S512)이 발생한 점선부분이다. 플립플롭 클럭입력(S513)은 B_EN(L241)을 시간지연 시킨 후 반전시킨 신호이다. 비교기 입력(S514)는 mPD(232) 출력신호이고, 플립플롭 입력(S515)는 비교기(311)을 통과한 신호이다. 이 신호는 LD(231)의 광출력을 모니터링한 신호이므로 LD(231) 광출력(S512)에서처럼 고장신호 발생 시 플립플롭 입력(S515)에도 점선처럼 고장신호가 발생된다. 플립플롭 클럭입력(S513) 신호가 상승되는 시점의 플립플롭 입력(S515)값을 래치한다. 이 래치한 값(S515)이 Low이면 정상동작 상태로 계속 감시를 실행하게 되고, High이면 고장발생으로 광모듈(21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망장치의 맥 고장감시 및 전원차단을 수행하는 제어부2(222)의 상세 블록도이다.
제어부2(222)는 타이머(611), 시간 지연회로(612), 인버터(613), 플립플롭(614)으 로 구성된다. 이 제어부2(222)는 맥으로부터의 B_EN(L241)를 입력받고, OR 게이트(223)의 2번 입력단(L243)으로 출력한다.
먼저, 수동광통신망의 광망장치가 정상동작을 시작하면 도 6의 제어부2(222)는 맥으로부터 B_EN(L241)의 신호를 받아 딜레이를 주기위한 시간 지연회로(612)를 거쳐 인버터(314)로 신호를 반전하여 플립플롭(614)의 입력단과 타이머(611)의 입력단에 출력한다. 이 때, 타이머(611)는 광망장치가 가질 수 있는 최대의 타임슬롯 시간 이상(△T)으로 동작한다. 플립플롭(614)은 이 신호들로 맥의 고장유무를 판단하여 OR 게이트(223)의 2번 입력단(L244)으로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망장치의 맥 고장감시 및 전원차단을 수행하는 제어부2(222)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수동광통신망의 광망장치가 정상동작을 시작하면 맥으로부터의 B_EN(L241) 신호를 감시하기 시작한다. 평상시는 정상동작 상태이고(715), B_EN(L241) 신호가 상승(711)을 하게되면 시간지연/반전(712)을 거쳐 타이머 입력단과 플립플롭 입력단에 전달한다(713,714). 이 때, 타이머(611)는 입력을 받은 후 △T후 펄스를 발생시킨다. 이 펄스신호가 상승을 하게되면 플립플롭(614)의 입력값을 래치한다. 래치한 값이 Low면 정상동작(715)으로 계속 감시모드로 동작을 하게 되고, 래치한 값이 High면 송신단 전원을 차단(716)하고 종료를 하게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망장치의 맥 고장감시 및 전원차단을 수행 하는 제어부2(222)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맥으로부터 B_EN(L241)의 신호(S811)에 따라 LD(231)의 광출력(S812)을 보인다. 여기서 맥은 타임슬롯동안만 B_EN(L241)의 신호(S811)를 High, 다시 말하면 가드타임동안은 B_EN(L241)의 신호(S811)을 Low로 해야한다. 정상일 경우 실선부분이고, 고장발생의 경우는 점선부분이 된다. 이 신호가 고장일 경우 실제 가드타임에도 LD(231)의 광출력(S812)이 발광을 하게 된다. 플립플롭 입력(S813)은 B_EN(L241)을 시간지연 시킨 후 반전시킨 신호이다. 또한 이 신호는 타이머 입력(S813)이기도 하다. 타이머(611)는 입력이 하강하는 시점에 △T후 타이머 출력(S814)를 발생한다. 이 타이머 출력(S814)은 플립플롭(614) 클럭입력이 되고, 상승하는 시점에 플립플롭 입력(S813)을 래치(S815)한다. 이 래치한 값(S815)이 Low면 정상동작 상태로 계속 감시를 실행하게 되고, High면 고장발생으로 광모듈(21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광통신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광모듈의 구성도,
도 3은 광모듈 고장감시를 위한 제어부 1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광모듈 고장감시를 위한 제어부 1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광모듈 고장감시를 위한 제어부 1의 타이밍도,
도 6은 맥 고장감시를 위한 제어부 2의 상세 구성도,
도 7은 맥 고장감시를 위한 제어부 2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맥 고장감시를 위한 제어부 2의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광망장치 광모듈
220 : 광망장치 광모듈 제어부
221 : 제어부1_광모듈 고장감시
222 : 제어부2_맥 고장감시
231 : 레이져 다이오드
232 : 모니터 포토 다이오드
235 : 포토 다이오드

Claims (6)

  1. 광선로종단장치와 1xN 수동광분배기, 다수의 광망장치로 구성된 수동광가입자망 광전송시스템에서 상기 광망장치의 광모듈이 맥과 광모듈의 고장을 실시간 감시하고, 고장 시 광모듈의 전원 차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광선로종단장치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 광망장치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송신부, 광모듈 고장을 감시하는 제어부1, 맥 고장을 감시하는 제어부2, 광모듈 또는 맥 고장 시 광모듈 전원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OR 게이트로 구성된 광모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1은 비교기, 시간 지연회로, 인버터,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광모듈 고장감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2는 타이머, 시간 지연회로, 인버터,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맥 고장감시 장 치.
  4. 제 1항, 2항, 3항에 있어서,
    광모듈, 맥 하나라도 고장 발생 시 전원차단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OR 게이트를 적용한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제어부1은 비교기의 기준전압을 조절할 수 있어 가드타임 동안에 광출력 세기의 판별값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제어부2는 타이머를 사용함으로서 맥 고장판단의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
KR1020080037459A 2008-04-22 2008-04-22 광망장치의 맥, 광모듈의 고장을 실시간 감시하는 기능과 고장 시 자가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광모듈 장치 및 방법 KR20090111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459A KR20090111724A (ko) 2008-04-22 2008-04-22 광망장치의 맥, 광모듈의 고장을 실시간 감시하는 기능과 고장 시 자가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광모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459A KR20090111724A (ko) 2008-04-22 2008-04-22 광망장치의 맥, 광모듈의 고장을 실시간 감시하는 기능과 고장 시 자가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광모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724A true KR20090111724A (ko) 2009-10-27

Family

ID=4153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459A KR20090111724A (ko) 2008-04-22 2008-04-22 광망장치의 맥, 광모듈의 고장을 실시간 감시하는 기능과 고장 시 자가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광모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17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149B1 (ko) * 2013-01-31 2014-01-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리셋 신호 경로상의 버퍼를 이용한 광학 오류 주입 탐지 회로
CN116094590A (zh) * 2023-02-02 2023-05-09 武汉莱创德技术有限公司 一种光模块Tx_Fault快速检测、上报及清除的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149B1 (ko) * 2013-01-31 2014-01-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리셋 신호 경로상의 버퍼를 이용한 광학 오류 주입 탐지 회로
WO2014119834A1 (ko) * 2013-01-31 2014-08-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리셋 신호 경로상의 버퍼를 이용한 광학 오류 주입 탐지 회로
CN116094590A (zh) * 2023-02-02 2023-05-09 武汉莱创德技术有限公司 一种光模块Tx_Fault快速检测、上报及清除的方法
CN116094590B (zh) * 2023-02-02 2024-01-26 武汉莱创德技术有限公司 一种光模块Tx_Fault快速检测、上报及清除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0406B2 (en) Communication metho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station-side optical-line terminal apparatus, and user-side optical-line terminal apparatus
KR101825688B1 (ko) 로그 onu를 검출하는 방법, olt 및 pon 시스템
KR100663462B1 (ko) 수동형 광 가입자 망
JP5490517B2 (ja) 光通信システム、光通信方法およびolt
KR20140011544A (ko) 이상 ont 검출 및 배제 방법
JP4111163B2 (ja) 異常光検出遮断装置
JP2007318524A (ja) 光加入者線終端装置
JP2009100426A (ja) 信号監視装置、通信システム、信号監視方法、および信号監視装置のプログラム
KR101088630B1 (ko) 광 망 종단장치 및 광 망 종단장치가 광 송신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
KR20090111724A (ko) 광망장치의 맥, 광모듈의 고장을 실시간 감시하는 기능과 고장 시 자가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광모듈 장치 및 방법
JP2008199233A (ja) 光受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局側光終端装置
JP2016143950A (ja) Ponシステム
KR100952875B1 (ko) 광망 종단장치와 그 장치에서의 광 송신단 제어방법
JP2006197447A (ja) 光送信器における常時発光防止回路
KR100925678B1 (ko) 광 회선 단말 장치 및 광망 종단 장치
JP5100724B2 (ja) 通信装置、光通信システム、異常発光停止方法、及び異常発光検出方法
KR100915317B1 (ko) 광망 종단장치 및 이의 광송수신부 전원제어방법
JP2011035738A (ja) 障害onu特定方法及び装置
JP2010171641A (ja) 光加入者線終端装置および光加入者システム
KR20090058388A (ko) Tdm 수동 광 네트워크에서 오작동 감지 기능이 있는광망 종단 장치 및 오작동 감지 방법
JP2013172404A (ja) 光通信システム
JP6098089B2 (ja) 逆多重伝送装置および伝送方法
JP2007235504A (ja) 冗長化端局装置
JP6181509B2 (ja) 終端装置、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100655563B1 (ko) Pon 시스템에서 ont 전원 상태 감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