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615A - 렌즈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615A
KR20090111615A KR1020080037314A KR20080037314A KR20090111615A KR 20090111615 A KR20090111615 A KR 20090111615A KR 1020080037314 A KR1020080037314 A KR 1020080037314A KR 20080037314 A KR20080037314 A KR 20080037314A KR 20090111615 A KR20090111615 A KR 20090111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ns
optical axis
lens unit
piezo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456B1 (ko
Inventor
김대경
정태훈
이인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456B1/ko
Priority to US12/381,198 priority patent/US8134634B2/en
Publication of KR2009011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1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piezoelectric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자동 초점 조절 또는 줌 조절 기능을 가진 이미지 촬영 모듈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지지하며,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렌즈 유닛, (ⅱ)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구동 축이 결합되며, 상기 광축 상에서 상기 렌즈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모듈 지지 유닛, (ⅲ) 상기 렌즈 유닛에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광축에 평행한 단면상에서의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광축 방향 길이 범위내에 실질적으로 포함되도록 상기 광축 상에서 상기 렌즈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셔터 유닛, 및 (ⅳ) 상기 광축에 수직한 단면에서의 상기 셔터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의 둘레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광축에 평행한 단면에서의 상기 렌즈 유닛의 둘레 내에서 상기 렌즈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축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을 개시한다.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 구동, 두께, 부피, 소형화

Description

렌즈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Lens Driving Unit and Image Photographing Mod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 배럴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얇고 적은 부피를 가지고 줌 또는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piezoelectric motor)를 이용한 렌즈 배럴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채용되는 카메라 모듈 중 자동 초점 조절(Auto Focusing : AF) 또는 줌 조절 기능을 가진 카메라 모듈이 점차 늘고 있다. 휴대폰 등에 채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그 부피가 매우 작아야 하며, 두께도 얇아야 한다. 왜냐하면 카메라 모듈이 두께워지면 그에 따라 휴대폰도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줌 또는 자동 초점 조절을 위해서는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배럴을 가이드부에 따라 이동시켜야 한다. 이러한 구동장치로서 스테핑 모터나 압전 모터 등이 이용된다. 스테핑 모터는 입력 펄스를 스텝 파형으로 고쳐서 스텝 파형으로 구동되 며, 스텝상으로 움직이는 모터로서 직류전원에 의해 전자회로로 제어 및 운전되며, 짧은 거리의 위치제어에서 빠른 응답성을 보이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감속기어, 연결 부위 및 모터 자체의 크기로 적용 부품수가 늘어나 작동 모듈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과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가격의 상승이라는 단점이 있어서 제품의 경량화 소형화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소형 디지털 카메라 또는 휴대폰에 채용되는 카메라 모듈에는 압전 모터(piezoelectric motor)와 같은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렌즈 구동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초음파 모터는 저속 운전 시 높은 토크를 얻을 수 있고, 종래의 모터 구조와는 다른 구조의 제작이 가능하고 크기의 제한을 탈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점차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관성형 압전 모터를 이용한 종래의 렌즈 배럴 구동장치의 경우, 압전 모터 구동부를 렌즈 모듈 또는 셔터 모듈의 측면에 배치하여야 하였다. 그러므로 카메라 모듈의 측면 부피(폭)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를 이용한 종래의 렌즈 배럴 구동장치의 경우, 렌즈 모듈에 배치되는 압전 모터 구동부의 부피로 인하여 셔터와 조리개가 장착된 셔터 모듈을 렌즈 모듈과 광축 방향으로 거의 중첩되는 높이로 설치하지 못하고 광축 방향에서 렌즈 모듈의 상부에 설치하여야 하였다. 그러므로 카메라 모듈의 두께 또는 높이(광축 방향 길이)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자동 초점 조절 또는 줌 조절 기능을 가진 이미지 촬영 모듈의 부피를 줄이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지지하며,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렌즈 유닛, (ⅱ)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구동 축이 결합되며, 상기 광축 상에서 상기 렌즈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모듈 지지 유닛, (ⅲ) 상기 렌즈 유닛에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광축에 평행한 단면상에서의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광축 방향 길이 범위내에 실질적으로 포함되도록 상기 광축 상에서 상기 렌즈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셔터 유닛, 및 (ⅳ) 상기 광축에 수직한 단면에서의 상기 셔터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의 둘레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광축에 평행한 단면에서의 상기 렌즈 유닛의 둘레 내에서 상기 렌즈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축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광축에 수직한 단면상에서의 상기 렌즈 유닛 및 셔터 유닛의 둘레는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축에 수직한 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렌즈 구동 유닛이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인 렌즈 유닛의 둘레를 벗어나지 않도록 배 치되기 때문에 전체 이미지 촬영 모듈의 폭 및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셔터 유닛은 빛이 입사되는 개구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이동 가능한 셔터 막 및 상기 셔터 막을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를 구비하는 셔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유닛은 상기 빛이 입사되는 개구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조리개 막 및 상기 조리개 막을 구동하는 조리개 구동부를 구비하는 조리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축에 평행한 단면상에서,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광축 방향 길이 범위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조리개 구동부도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광축 방향 길이 범위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이와 같이, 광축에 평행한 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셔터 유닛의 대부분이 렌즈 유닛과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전체 이미지 촬영 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축을 향하여 상기 압전 모터를 가압하는 제1 가압 수단 및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모듈 지지 유닛을 향하여 상기 압전 모터를 가압하는 제2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은 상기 압전 모터의 일 측부와 상기 렌즈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압전 모터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압 수단은 판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방향의 후방으로 압전 모터를 가압하는 제2 가압 수단을 제1 가압 수단과 분리하여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함으로써, 렌즈 구동 유닛의 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축과 상기 가이드 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축과 상기 가이드 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축과 수직에 수직한 단면상에서, 상기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은 상기 구동 축 및 상기 가이드 홀과 중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볼 가이드의 형상이 단순하고, 그로 인하여 조립이 쉬운 장점이 있다.
상기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는 상기 구동 축에 인접한 일 단부의 팁이 인가 신호에 따라 타원 궤적 운동을 하면서 상기 구동 축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광축 방향을 제1 방향,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할 때, (ⅰ) 렌즈 유닛에 형성된 가이드 홀 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렌즈 유닛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축, (ⅱ)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동 축에 인접한 일 단부의 팁이 인가 신호에 따라 타원 궤적 운동을 하면서 상기 구동 축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 (ⅲ) 상기 구동 축을 향하여 상기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를 가압하는 제1 가압 수단, 및 (ⅳ) 상기 렌즈 유닛의 제2 방향 부분을 향하여 상기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를 가압하는 제2 가압 수단을 포함하며, 제1 가압 수단과 제2 가압 수단은 분리된 부재인 렌즈 구동 유닛을 개시한다.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은, 상기 가이드 홀과 상기 구동 축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축과 수직에 수직한 단면상에서, 상기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은 상기 구동 축 및 상기 가이드 홀과 중첩되지 않는다.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은, 상기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가압 수단과 반대되는 측에 배치되며 상기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와 상기 렌즈 유닛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 감소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압 수단은 각각 판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에 의하면, 광축 방향인 제1 방향의 후방으로 압전 모터를 가압하는 제2 가압 수단을 제1 가압 수단과 분리하여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함으로써, 렌즈 구동 유닛의 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고 공간 설계의 제약이 줄어든다.
그러므로 제1 방향으로의 단면 및 제2 방향으로의 단면 상에서 셔터 유닛의 대부분이 렌즈 유닛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결과적으로 이미지 촬영 모듈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듈 지지 유닛 및 렌즈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모듈은 모듈 지지 유닛(10), 렌즈 유닛(20), 셔터 유닛(30), 및 렌즈 구동 유닛(40)을 구비한다.
모듈 지지 유닛(10)은 CCD 센서나 CMOS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11)를 구비할 수 있다. 모듈 지지 유닛(10)은 렌즈 유닛(20), 셔터 유닛(30) 및 렌즈 구동 유닛(40)을 지지한다. 모듈 지지 유닛(10)의 제1 모퉁이에는 구동 축(46)이 장착되며, 제1 모퉁이의 반대쪽 제2 모퉁이에는 보조 축(12)이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모퉁이는 제1 모퉁이에 반드시 대각 방향으로 반대되게 배치될 필요는 없다. 광축에 수직한 단면상에서의 모듈 지지 유닛은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이다.
렌즈 유닛(2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지지하며,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이미지 센서에 맺히게 한다. 렌즈 유닛(20)의 제1 모퉁이에는 가이드 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모퉁이에는 보조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축(46)은 가이드 홀(21) 내로 삽입되고, 보조 축(12)은 보조 홀 내로 삽입된다. 구동 축(46)은 렌즈 유닛(20)과 셔터 유닛(3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여 이미지 센서(11)가 항상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보조 축(12)은 모듈 지지 유닛(10)에 대한 렌즈 유닛(20)과 셔터 유닛(30)의 회전을 방지한다. 렌즈 유닛(20)은 구동 축(46)을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렌즈 유닛(20)은 구동 축(46)을 따라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동 초점 조절을 수행하며, 마찬가지로 줌 조절도 수행할 수 있다. 광축에 수직한 단면상에서의 렌즈 유닛은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이다.
셔터 유닛(30)은 광축 상에서 렌즈 유닛(20)의 전방에 배치되는데, 여기서 전방이란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들어오는 쪽을 의미한다. 셔터 유닛(30)은 셔터부(31, 3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셔터부(31, 33)는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영상 촬영 장치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허용한다. 또한 셔터 유닛(30)은 조리개부(32, 3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조리개부(32, 34)는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입사량을 조절한다. 셔터부는 셔터 막(33)과 셔터 구동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 막(33)은 빛이 입사되는 개구를 막거나 열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셔터 막(33)은 개구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셔터 구동부(31)는 셔터 막(33)이 개구를 막거나 열도록 셔터 막(33)을 구동한다. 광축에 수직한 단면상에서의 셔터 유닛은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이다. 도 1에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영역은 셔터 유닛이 배치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후에 자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제1 축에 평행한 단면 상에서, 셔터 유닛의 대부분이 렌즈 유닛의 제1 축 방향 길이 범위 내에 포함된다. 즉, 셔터 유닛의 대부분이 렌즈 유닛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미지 촬영 모듈의 두께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렌즈 구동 유닛(40)은 렌즈 유닛(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렌즈 구동 유닛(40)은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 제1 가압 수단(42), 제2 가압 수단(43)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는 구동 축(46)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일 단부의 팁(41a)이 구동 축(46)의 측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는 팁(41a)이 시계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타원 궤적을 그리며 운동함으로써 구동 축(46)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렌즈 유닛(20)을 구동 축(46)을 따라 이동시킨다.
제1 가압 수단(42)은,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를 구동 축(46) 쪽으로 가압하도록,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의 제2 축 방향 일 측에 배치된다. 제1 가압 수단(42)은 구동 축(46)과 압전 모터 팁(41a)의 마찰로 압전 모터(41) 정지시 렌즈 유닛(20)을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제1 가압 수단(42)은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가압 수단(42)의 일 단은 렌즈 유닛(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 단은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에 접촉한다. 또한, 제1 가압 수단(42)으로서 판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가압 수단(43)은,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를 제1 축의 후방 쪽으로 가압하도록,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의 제1 축 방향 일 측에 배치된다. 제2 가압 수단(43)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가압 수단(42)은 압전 모터(41)의 굴곡 구동시 균일한 펄스 당 균일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압전 모터(41)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압 수단(42)과 제2 가압 수단(43)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셔터 유닛(30)과 간섭되지 않도록 제2 가압 수단(43)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가압 수단들(42, 43)이 차지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유닛(40)은 압전 모터 홀더(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전 모터 홀더(44)는 렌즈 유닛(20) 쪽으로 안착되는 압전 모터(41)의 측부와 렌즈 유닛(20) 사이에 배치된다. 압전 모터 홀더(44)는 압전 모터(41)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압전 모터(41)가 구동될 때 압전 모터(41)의 측면과 렌즈 유닛(20)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임으로써 구동력 손실을 줄인다. 압전 모터 홀더(44)를 압전 모터(41)의 렌즈 유닛(20) 방향의 일 측면에만 설치함으로써 렌즈 구동 유닛(4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렌즈 구동 유닛(40)은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45)은, 압전 모터(41)가 구동 축(46)을 구동할 때 발생하 는 구동 축(46)과 가이드 홀(21)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도록, 구동 축(46)과 가이드 홀(21)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45)은 다양할 수 있다.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45)의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볼(45b)과 만곡형 플레이트(45a)를 구비하는 볼 가이드일 수 있다. 볼 가이드(45)는 구동 축(46)과 가이드 홀(21) 사이의 면 접촉을 볼(45b)의 점 접촉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축 방향으로의 만곡형 플레이트(45a)의 양 단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제1 축과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45)은 구동 축(46) 및 가이드 홀(21)과 중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볼 가이드(45)의 형상이 단순하고, 그로 인하여 조립이 쉬운 장점이 있다.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의 제1 축의 전방측 면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연성 인쇄회로기판(47)을 통하여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를 구동하는 전기 신호가 공급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의 본체는 압전 세라믹, 제1 전극 쌍(41b, 41c) 및 제2 전극 쌍(41d, 41e)을 구비한다.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전극(41b와 41c 또는 41d와 41e)은 압전 세라믹에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의 제2 축 방향 일 측 단부에는 팁(41a)이 구비되며, 이 팁(41a)은 구동 축(46)과 매우 인접하거나 구동 축(46)에 닿도록 위치된다.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의 제2 축 방향 타 측 단부에는 제1 가압 수단(42)이 배치된다.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의 제1 축 방향 일 측 단부에는 제2 가압 수단(43)이 배치된다.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의 제1 축 방향 타 측 단부와 렌즈 유닛(20)면 사이에는 모터 마찰 감소 수단(45)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터 마찰 감소 수단(45)은 압전 모터 홀더(44)이다.
제1 전극 쌍(41b, 41c) 또는 제2 전극 쌍(41d, 41e)에는 사인파와 같은 교류 전압이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예를 들어, 첫 1/2주기 동안 제1 전극 쌍(41b, 41c)에 사인파 전압(예를 들어, 양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쌍(41b, 41c)에 대응되는 압전 세라믹 부분만 수축(또는 팽창)한다. 그러므로 전체 압전 세라믹은 물결처럼 변형된다. 반대로, 다음 1/2주기 동안 제1 전극 쌍에 사인파 전압(예를 들어, 음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1 전극 쌍(41b, 41c)에 대응되는 압전 세라믹 부분은 팽창(또는 수축)한다. 그러므로 압전 세라믹은 반대의 위상을 가진 물결처럼 변형된다. 그럼으로써 교류 전압이 계속 인가됨에 따라 압전 세라믹은 굴곡 진동을 하고, 압전 세라믹의 팁(41a)은 일 방향, 예를 들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타원 궤적을 그리며 운동한다. 그러면 압전 세라믹의 팁(41a)은 구동 축(46)을 아래로 밀어 내리기 때문에, 반작용에 의하여 압전 모터(41) 및 압전 모터(41)가 장착된 렌즈 유닛(20)이 제1 축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셔터 유닛(30)도 렌즈 유닛(20)과 함께 이동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전극 쌍(41d, 41e)에 사인파 전압이 인가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반대 되게, 압전 세라믹은 굴곡 진동을 한다. 그럼으로써, 압전 세라믹의 팁(41a)은 다른 방향,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타원 궤적을 그리며 운동한다. 그러면 압전 세라믹의 팁(41a)은 구동 축(46)을 위로 밀어 올리기 때문에, 반작용에 의하여 압전 모터(41) 및 압전 모터(41)가 장착된 렌즈 유닛(20)이 제1 축의 후방으로 이동된다.
도 4 및 5는 도 1에 도시된 셔터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셔터 유닛(30)이 셔터부(31, 33)와 조리개부(32, 34)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 셔터부의 셔터 막(33)과 조리개부의 조리개 막(34)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소정의 얇은 간격을 두고 서로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셔터 구동부(31)와 조리개 구동부(32)는, 구동 축(46)과 간섭하지 않도록, 서로 대각방향으로 반대되는 곳에 배치된다. 또한, 셔터 구동부(31)와 조리개 구동부(32)는 제2 가압 수단(43)과도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축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보았을 때, 압전 모터(41)를 포함한 렌즈 구동 유닛(40)은 렌즈 유닛(20)의 둘레 내에 오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미지 촬영 모듈의 측면 부피가 증가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제2 축에 수직한 단면상에서의 이미지 촬영 모듈의 전체적인 둘레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으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모듈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이점 쇄선 부분은 셔터 유닛(30)이 배치되고 장착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제1 축에 평행하고 제2 축에 수직한 단면상에서 셔터 유닛(30)은 렌즈 유닛(20)의 제1 축 방향 길이 범위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배치된다는 것 의 의미는 셔터 유닛(30)의 대부분이 렌즈 유닛(20)의 제1 축 방향 길이 범위내에 실질적으로 포함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이며,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셔터 유닛(30) 중 셔터 구동부(31) 및 조리개 구동부(32)는 렌즈 유닛(20)의 제1 축 길이 방향 범위 내에 들어오고, 나머지 부분인 셔터 막(33) 및 조리개 막(34) 부분은 렌즈 유닛(20)의 제1 축 길이 방향 범위 밖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셔터 구동부(31) 및 조리개 구동부(32)의 두께(t2)는 2.5mm 정도인 반면, 셔터 막(33) 및 조리개 막(34)의 두께(t1)는 0.4mm 정도이다. 따라서 셔터 유닛(30) 전체 두께의 약 85% 정도를 차지하는 셔터 및 조리개 구동부(31, 32) 부분이 렌즈 유닛(20)의 제1 축 방향 길이 범위 내에 배치되게 되고, 종래에 비하여 t2 두께(도 4 참고)만큼의 두께 및 그에 따른 부피를 줄일 수가 있다. 도 7은 다른 측면에서의 측면도로서, 도 7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 유닛(30)의 대부분이 렌즈 유닛(20)의 둘레 내에 배치된다.(도 7의 47번 부재(FPCB)의 위치가 올바른지 확인하여 주십시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를 가압시키는 수단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배치 및 형상을 최적화하였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41)를 제2 축 방향에서 구동 축(46) 및 제1 축 방향에서 렌즈 유닛(20)을 향하여 각각 가압시키도록 제1 및 제2 가압 수단(42, 43)만 사용하였다. 특히, 제1 방향의 후방으로 압전 모터(41)를 가압하는 제2 가압 수단(43)을 제1 가압 수단(42)과 분리하여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함으로써, 렌즈 구동 유닛(40)의 두께(제1 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압 수단(43)이 셔터 유닛, 특히 셔터 구동부(31)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유닛(30)의 대부분이 렌즈 유닛(20)의 둘레 내에 오도록 배치됨으로써 전체 이미지 촬영 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이미지 촬영 모듈을 만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영상 촬영 장치를 제조하고 이용하는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듈 지지 유닛 및 렌즈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의 작동 원리 및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셔터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셔터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미지 촬영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 모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모듈 지지 유닛 11: 이미지 센서
20: 렌즈 유닛 30: 셔터 유닛
31: 셔터 구동부 32: 조리개 구동부
33: 셔터 막 34: 조리개 막
40: 렌즈 구동 유닛 41: 압전 모터
41b, 41c: 제1 전극쌍 41d, 41e: 제2 전극쌍
42: 제1 가압 수단 43: 제2 가압 수단
44: 압전 모터 홀더 45: 볼 가이드
46: 구동 축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지지하며,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렌즈 유닛;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구동 축이 결합되며, 상기 광축 상에서 상기 렌즈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모듈 지지 유닛;
    상기 렌즈 유닛에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광축에 평행한 단면상에서의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광축 방향 길이 범위내에 실질적으로 포함되도록 상기 광축 상에서 상기 렌즈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셔터 유닛; 및
    상기 광축에 수직한 단면에서의 상기 셔터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의 둘레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광축에 평행한 단면에서의 상기 렌즈 유닛의 둘레 내에서 상기 렌즈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축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에 수직한 단면상에서의 상기 렌즈 유닛, 모듈 지지 유닛 및 셔터 유닛의 둘레는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인 이미지 촬영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유닛은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차단을 개폐하는 셔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는 상기 빛이 입사되는 개구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이동 가능한 셔터 막 및 상기 셔터 막을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축에 평행한 단면상에서,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광축 방향 길이 범위내에 실질적으로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촬영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유닛은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입사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개부는 상기 빛이 입사되는 개구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조리개 막 및 상기 조리개 막을 구동하는 조리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축에 평행한 단면상에서, 상기 조리개 구동부는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광축 방향 길이 범위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는 이미지 촬영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축을 향하여 상기 압전 모터를 가압하는 제1 가압 수단 및
    상기 렌즈 유닛과 상기 모듈 지지 유닛을 향하여 상기 압전 모터를 가압하는 제2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은,
    상기 압전 모터의 일 측부와 상기 렌즈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압전 모터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압 수단은 상기 압전 모터 홀더를 향하여 상기 압전 모터를 가압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수단은 판 스프링인 이미지 촬영 모듈.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인 이미지 촬영 모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축과 상기 가이드 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축과 상기 가이드 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과 수직에 수직한 단면상에서, 상기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은 상기 구동 축 및 상기 가이드 홀과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촬영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는 상기 구동 축에 인접한 일 단부의 팁이 인가 신호에 따라 타원 궤적 운동을 하면서 상기 구동 축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미지 촬영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지지 유닛은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키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13.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광축 방향을 제1 방향,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할 때,
    렌즈 유닛에 형성된 가이드 홀 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렌즈 유닛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축;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동 축에 인접한 일 단부의 팁이 인가 신호에 따라 타원 궤적 운동을 하면서 상기 구동 축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
    상기 구동 축을 향하여 상기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를 가압하는 제1 가압 수단; 및
    상기 렌즈 유닛의 제2 방향 부분을 향하여 상기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를 가압하는 제2 가압 수단;을 포함하며,
    제1 가압 수단과 제2 가압 수단은 분리된 부재인 렌즈 구동 유닛.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과 상기 구동 축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을 더 포함하는 렌즈 구동 유닛.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과 수직에 수직한 단면상에서, 상기 구동 축 마찰 감소 수단은 상기 구동 축 및 상기 가이드 홀과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렌즈 구동 유닛.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가압 수단과 반대되는 측에 배치되며 상기 굴곡 진동형 압전 모터와 상기 렌즈 유닛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 감소 수단을 더 포함하는 렌즈 구동 유닛.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수단은 판 스프링인 렌즈 구동 유닛.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인 렌즈 구동 유닛.
KR1020080037314A 2008-04-22 2008-04-22 렌즈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KR101257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314A KR101257456B1 (ko) 2008-04-22 2008-04-22 렌즈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US12/381,198 US8134634B2 (en) 2008-04-22 2009-03-09 Lens driving unit and image photographing modul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314A KR101257456B1 (ko) 2008-04-22 2008-04-22 렌즈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615A true KR20090111615A (ko) 2009-10-27
KR101257456B1 KR101257456B1 (ko) 2013-04-23

Family

ID=4120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314A KR101257456B1 (ko) 2008-04-22 2008-04-22 렌즈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34634B2 (ko)
KR (1) KR1012574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74B1 (ko) * 2009-11-13 2011-07-21 주식회사 하이소닉 압전소자를 이용한 소형카메라 구동장치
WO2012067355A2 (ko) * 2010-11-19 2012-05-24 (주)하이소닉 압전소자를 이용한 소형카메라 구동체 및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5650B2 (ja) * 2015-03-19 2020-04-22 セイコ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6833439B2 (ja) * 2016-10-05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型駆動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JP6819846B1 (ja) * 2019-11-22 2021-01-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装置、および振動装置を備える撮像ユニット
WO2021100227A1 (ja) * 2019-11-22 2021-05-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装置、および振動装置を備える撮像ユニット
JP6819845B1 (ja) * 2019-11-22 2021-01-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装置、および振動装置を備える撮像ユニット
CN112887555B (zh) * 2021-01-22 2023-04-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压电马达、摄像模组和电子设备
US20230375900A1 (en) * 2021-04-14 2023-11-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amera actuator
USD1011208S1 (en) * 2021-10-08 2024-01-16 Nkia Co., Ltd. Movable wire rope safety diagnostic device
USD1018328S1 (en) * 2022-04-11 2024-03-19 Hach Company Sensor cleaning and calibration system housing
CN116979828A (zh) * 2022-04-18 2023-10-31 华为技术有限公司 压电马达、摄像模组和电子设备
WO2024037631A1 (zh) * 2022-08-19 2024-02-22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压电马达及其摄像模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1325B1 (en) * 2004-10-20 2011-10-12 Kyocera Corporatio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terminal with the same
KR20060054857A (ko) * 2004-11-16 2006-05-23 정명진 압전 단결정을 이용한 경통 구동장치
JP4332130B2 (ja) * 2005-04-26 2009-09-16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3796264B2 (ja) * 2006-01-10 2006-07-12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用いた携帯端末
KR100835097B1 (ko) * 2006-06-07 2008-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이송장치
TW200912427A (en) * 2007-09-05 2009-03-16 Mustek Systems Inc Diaphragm-shutter mechanism,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camera by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74B1 (ko) * 2009-11-13 2011-07-21 주식회사 하이소닉 압전소자를 이용한 소형카메라 구동장치
WO2012067355A2 (ko) * 2010-11-19 2012-05-24 (주)하이소닉 압전소자를 이용한 소형카메라 구동체 및 구동장치
WO2012067355A3 (ko) * 2010-11-19 2012-09-20 (주)하이소닉 압전소자를 이용한 소형카메라 구동체 및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62232A1 (en) 2009-10-22
KR101257456B1 (ko) 2013-04-23
US8134634B2 (en)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456B1 (ko) 렌즈 구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영 모듈
KR101341636B1 (ko) 이미지 촬영 모듈
US7777969B2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CN1862358B (zh) 一种自动调焦装置
US7826734B2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040623B2 (en) Compact auto focus lens module with piezoelectric actuator
CN210246879U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JP4317508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KR100526250B1 (ko) 압전 굴곡변위형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렌즈 이송장치 및 렌즈 모듈
CN101512408A (zh) 透镜驱动装置和照相机以及带照相机的移动电话
CN113873130B (zh) 摄像模组和电子设备
JP200609859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8186000A (ja) 焦点調整アクチュエータ、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機器
JP200610161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駆動用ピエゾ素子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609859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4623714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用いた携帯端末
KR20090086728A (ko) 압전 소자가 구비된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100839996B1 (ko) 표면 탄성파 회전 모터 및 이를 이용한 렌즈모듈 구동 장치
KR20050089393A (ko) 초소형 렌즈모듈
JP2006301203A (ja) 光学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3775747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用いた携帯端末
JP200609859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CN117396806A (zh) 相机致动器及包括该致动器的光学折射型相机模块
KR101107892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및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JP200609859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レンズ保持枠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