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554A - 갱폼추락방지구 - Google Patents

갱폼추락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554A
KR20090111554A KR1020080037226A KR20080037226A KR20090111554A KR 20090111554 A KR20090111554 A KR 20090111554A KR 1020080037226 A KR1020080037226 A KR 1020080037226A KR 20080037226 A KR20080037226 A KR 20080037226A KR 20090111554 A KR20090111554 A KR 20090111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horizontal frame
support pie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192B1 (ko
Inventor
전봉석
안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신진
전봉석
안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진, 전봉석, 안민수 filed Critical (주)신진
Priority to KR102008003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19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의 추락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프레임(100);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고, 갱폼에 부착고정하기 위한 결합공(11)이 다수 개 구비된 사각기둥 형상의 수직프레임(200);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타측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암나사부(300);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암나사부(300)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지지기둥(400); 및, 상기 지지기둥(4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지지편(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갱폼추락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암나사부, 지지기둥, 지지편, 수평부착바, 고무패드, 지지편지지봉, 충격흡수스프링, 제1수평프레임, 제2수평프레임, 결합공, 길이조절공

Description

갱폼추락방지구{GANG FORM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갱폼의 추락을 방지하는 갱폼추락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추락방지구와는 달리 슬라브가 타설되는 상부면에 위치하는 지지기둥(40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슬라브 타설 전후에 따라 지지기둥(400)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유사시 충격하중을 최소화하는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고층건물을 시공하는 건축현장에서는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대형 철재로 이루어진 거푸집, 즉 갱폼을 사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갱폼의 경우 외측에 설치되는 스틸폼(steel form), 작업발판 및 핸드레일 등이 설치된 작업대 케이지, 외벽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 스틸폼을 고정하는 고정용볼트 등 다수 부품으로 이루어져 외벽을 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는 통상적으로 다수 개의 갱폼이 사용되며, 그 각각의 갱폼은 약 3 내지 4톤의 무게를 가지며 9m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대 형 구조물이다.
이러한 갱폼은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위로 끌어올리게 되는데, 타워크레인의 후크로 갱폼의 인양고리에 결합을 한 후 거푸집 하부의 고정용볼트를 해체하고 이를 끌어올려 외벽에 스틸폼의 하방을 고정용볼트로 고정시켜 다시 외벽을 시공하는 작업이 반복된다.
하지만, 갱폼을 위로 끌어올리는 경우, 타워크레인의 후크를 갱폼의 인양고리에 결합하기 전에 작업의 진행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스틸폼 하방의 고정용볼트의 일부를 작업자가 임의로 해체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하여 갱폼의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워크레인의 후크를 갱폼의 인양고리에 결합하여 갱폼의 인양작업을 하는 경우, 인접해 있는 다른 갱폼에 일시적인 충격을 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충격을 받은 갱폼의 하부 고정용볼트가 파손되어 갱폼이 추락하는 사고도 발생하고 있으며, 콘크리트에서 갱폼의 교체시 고정용볼트의 해체와 동시에 낙하하중이 타워크레인에 순간적으로 전가되어 타워크레인의 과하중으로 인한 과도한 처짐 및 타워 크레인 붕괴사고도 발생하고 있으며, 인양고리에 충격이 가해져 인양고리가 파손되어 갱폼의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갱폼추락방지구가 개발되어 있으나(등록특허 10-0660426),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 상부에 위치하는 안착부(300)의 높이조절이 자유롭지 못하고 일정 간격으로만 가능하여 갱폼추락방지구를 갱폼에 설치할 때 안착부(300)를 슬라브의 표면에 밀착시킬 수 없고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사시 갱폼이 추락하는 경우 고무패드(350) 이외에는 별도의 충격흡수장치가 없어 충격이 그대로 안착부(300)를 통하여 갱폼추락방지구 전체로 전달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보다 안전한 작업이 가능한 갱폼추락방지구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 업계의 현실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이조절이 자유로운 지지기둥(400)을 구비한 갱폼추락방지구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유사시 발생될 수 있는 추락으로 인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갱폼추락방지구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슬라브 표면의 형태(기울기)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편(500)을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의 갱폼추락방지구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갱폼추락방지구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스틸폼과 스틸폼에 결합고정되는 다수 개의 수평바대, 수평바대에 결합고정되는 다수 개의 수직바대, 수직바대에 결합고정되는 다수 개의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에 결합고정되는 다수 개의 수직지지대, 및 수평지지대에 결합고정되는 작업대로 구성되는 갱폼의 추락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6에는 갱폼과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100);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고, 갱폼에 부착고정하기 위한 결합공(11)이 다수 개 구비된 사각기둥 형상의 수직프레임(200);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타측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암나사부(300);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암나사부(300)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지지기둥(400); 및, 상기 지지기둥(4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지지편(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이조절이 자유로운 지지기둥(400)을 구비한 갱폼추락방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기둥(400)의 상단부에 구비된 회전손잡이(410)를 돌려서 지지기둥(40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지지편(500)이 슬라브 표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게 할 수 있는데, 지지편(500)의 하부면에 부착된 고무패드(510), 지지편지지봉(520), 및 충격흡수스프링(530)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지지기둥(4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절한 힘으로 슬라브 표면을 눌러주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편(500)을 슬라브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즉, 층고 변동이 다양한 아파트는 물론 일반 아파트 현장의 경우에도 최상층과 기준층의 층고 변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층고 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추락방지구의 경우 슬라브 타설 전후의 높이차이를 고려하여 지지편(500)이 슬라브에서 100 내지 150 밀리미터 정도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이격설치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사고 발생시 엄청난 충격하중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상단 슬라브의 바닥선까지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슬라브 타설 전후의 높이 차이에 따라 적절히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편(500)을 안정적으로 슬라브 표면에 밀착되도록 고정하여 사고 발생시 발생되는 충격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유사시 발생될 수 있는 추락으로 인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편(500)과 슬라브 사이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에서 갱폼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지지편(500)의 하부면에 구비된 고무패드(510)를 통하여 일부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흡수스프링(530)이 압축되면서 대부분의 충격을 흡수하여 갱폼이나 갱폼추락방지구 자체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갱폼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셋째, 슬라브 표면의 형태(기울기)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편(500)을 밀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편(500)과 지지편지지봉(520)이 볼마운트 형식으로 결합되어 지지편(500)이 슬라브 표면의 기울기에 따라 적절하게 회동하여 안정적인 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넷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사시 효과적인 충격흡수가 가능하고, 평상시 안정적인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도3, 및 도4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갱폼추락방지구의 구체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부착되는 갱폼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수직프레임(200)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직프레임(200)은 사각기둥 형상의 수평프레임(100)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도2 및 도3의 경우에는 사각기둥 형상의 수직프레임(200)의 측면에 결합공(11)이 다수 개 배열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4의 경우에는 수직프레임(200)의 상단부에 수평부착바(210)가 부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4의 경우에는 갱폼과 갱폼추락방지구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결합공(11)이 수평부착바(210)에 구비되는데, 수평부착바(210)는 수직프레임(200)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고, 수평프레임(100)과는 직각을 이루고 있다.
다시 말하면 수직프레임(200)의 경우 갱폼추락방지구를 갱폼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인 바, 부착고정하는 갱폼의 형태 및 부위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것이며 어느 특정한 형태만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수평프레임(100)의 타측에는 암나사부(300)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즉, 수평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수직프레임(200)이 용접 등의 방법으 로 일체로 고정되고, 수평프레임(100)의 타측에는 암나사부(300)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가 된다.
도2 내지 도4에는 2개의 수평프레임(100)이 나란하게 설치되고 암나사부(300)가 U자 형태로 밴딩된 암나사고정편(33) 내부에 수용되는 상태로 용접되어 수평프레임(100)의 타측 단부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반드시 2개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수평프레임(100)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수평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200)의 용접 결합시에는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보강판(22)을 함께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기둥(400)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으며, 암나사부(300)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지지기둥(400)의 하단부에는 지지편(500)이 구비된다.
지지기둥(400)의 상단부에는 회전손잡이(410)가 더 구비되어 지지기둥(400)의 높이조절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고, 지지편(500)의 하부면에는 고무패드(510)가 부착되어 지지편(500)이 슬라브 표면에 안착될 때 충격을 흡수하고 안착된 상태에서 갱폼의 편심 하중으로 인하여 갱폼추락방지구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5는 지지편지지봉(520) 및 충격흡수스프링(530)이 더 구비되고, 지지편(500)은 볼마운트 형식으로 지지편지지봉(520)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편지지봉(520)은 지지편(5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데, 지지편지지봉(52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둥(400)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기둥(400)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 또한 충격흡수스프링(530)이 지지편지지봉(520)과 지지기둥(40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편지지봉(520)을 탄성지지하게 되는데 지지편지지봉(520)에 수직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충격흡수스프링(530)이 압축되면서 그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 경우 지지편(500)의 하부면에 부착된 고무패드(510)도 어느 정도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스프링(530)과 지지편지지봉(520)이 구비됨에 따라 유사시 갱폼의 낙하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지지기둥(4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편(500)을 슬라브 표면에 밀착시키는 경우에도 고무패드(510)와 함께 적절한 힘으로 슬라브 표면을 압착 지지하게 되어 갱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편(500)은 단순하게 지지편지지봉(5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기도 하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지지봉(520)이 지지편(500)의 상부면에 볼마운트 형식으로 결합되면 지지편(500)이 지지편지지봉(5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여러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여 안착되는 슬라브 표면이 경사면인 경우에도 그 표면을 따라 안착이 가능하여 갱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7의 경우에는 수평프레임(1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수평프레임(100)이 수직프레임(200)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1수평프레임(110)과 암나사부(300)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수평프레임(120)으로 구성되고, 제1수평프레임(110)이 제2수평프레임(1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고, 결합된 제1수평프레임(110)과 제2수평프레임(120)을 동시에 관통하는 다수 개의 길이조절공()이 제1수평프레임() 및 제2수평프레임(120)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수평프레임(100)을 적절한 길이로 조절한 후 길이조절공()에 볼트 및 너트, 또는 핀 등을 체결하여 제1수평프레임()과 제2수평프레임()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수평프레임()의 전체 길이를 가변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종래의 갱폼추락방지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추락방지구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추락방지구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추락방지구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5는 지지편지지봉(520) 및 충격흡수스프링(530)이 더 구비되고, 지지편(500)은 볼마운트 형식으로 지지편지지봉(520)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6은 갱폼에 부착된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7은 수평프레임(1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수평프레임
200:수직프레임
210:수평부착바
300:암나사부
400:지지기둥
410:회전손잡이
500:지지편
510:고무패드
520:지지편지지봉
530:충격흡수스프링
11:결합공
22:보강판
33:암나사고정편
44:길이조절공

Claims (6)

  1. 스틸폼과 스틸폼에 결합고정되는 다수 개의 수평바대, 수평바대에 결합고정되는 다수 개의 수직바대, 수직바대에 결합고정되는 다수 개의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에 결합고정되는 다수 개의 수직지지대, 및 수평지지대에 결합고정되는 작업대로 구성되는 갱폼의 추락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프레임(100);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고, 갱폼에 부착고정하기 위한 결합공(11)이 다수 개 구비된 사각기둥 형상의 수직프레임(200);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타측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암나사부(300);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암나사부(300)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지지기둥(400); 및,
    상기 지지기둥(4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지지편(5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갱폼추락방지구.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기둥(400)의 상단부에는 회전손잡이(410);
    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50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고무패드(51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갱폼추락방지구.
  3. 제2항에서,
    상기 지지편(50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기둥(400)의 하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편지지봉(520); 및,
    상기 지지편지지봉(520)과 상기 지지기둥(4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편지지봉(520)을 탄성지지하고, 지지편지지봉(520)에 수직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압축되는 충격흡수스프링(5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갱폼추락방지구.
  4. 제3항에서,
    상기 지지편지지봉(520)은 상기 지지편(500)의 상부면에 볼마운트 형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편(500)이 상기 지지편지지봉(520)에 결합된 상태로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갱폼추락방지구.
  5. 제1항 내지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수평프레임(100)은,
    상기 수직프레임(200)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1수평프레임(110); 및,
    상기 암나사부(300)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수평프레임(120);
    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제2수평프레임(120) 가운데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제2수평프레임(120)을 동시에 관통하는 다수 개의 길이조절공(44);이 상기 제1수평프레임(110) 및 상기 제2수평프레임(12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갱폼추락방지구.
  6. 제5항에서,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수평프레임(100)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부착바(210);
    를 포함하고, 갱폼에 부착고정하기 위한 상기 결합공(11)이 상기 수평부착바(21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갱폼추락방지구.
KR1020080037226A 2008-04-22 2008-04-22 갱폼추락방지구 KR10097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26A KR100974192B1 (ko) 2008-04-22 2008-04-22 갱폼추락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26A KR100974192B1 (ko) 2008-04-22 2008-04-22 갱폼추락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54A true KR20090111554A (ko) 2009-10-27
KR100974192B1 KR100974192B1 (ko) 2010-08-05

Family

ID=4153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226A KR100974192B1 (ko) 2008-04-22 2008-04-22 갱폼추락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1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97Y1 (ko) * 2010-05-07 2012-03-23 권성미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CN104801006A (zh) * 2015-05-22 2015-07-29 陈烁 齿条式可调单杠
KR101854159B1 (ko) * 2017-12-11 2018-05-03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외부 비계 결합구조
KR102168154B1 (ko) * 2020-08-06 2020-10-20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립식 방호선반
CN114592677A (zh) * 2022-04-01 2022-06-07 吉林省光源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工具式脚手架防坠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7719U (ko) 1978-06-06 1979-12-15
KR100396857B1 (ko) * 2000-11-29 2003-09-02 신준식 신규 2-0-(9제트,12제트-옥타데카디엔오일)-3-0-[알파-디-갈락토피라노실-(1``-6`)-0-베타-디-갈락토피라노실]글리세롤 및 이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200241837Y1 (ko) * 2001-05-14 2001-10-15 주식회사 영성기공 승하강이 용이한 외부 작업대
KR20040013527A (ko) * 2002-08-07 2004-02-14 고부래 기능간소화형 휴대폰
KR100466869B1 (ko) 2002-09-10 2005-01-24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바닥슬라브 거푸집 지지서포트용 신축부재
KR200413527Y1 (ko) * 2006-01-13 2006-04-07 박춘오 갱폼 추락방지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97Y1 (ko) * 2010-05-07 2012-03-23 권성미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CN104801006A (zh) * 2015-05-22 2015-07-29 陈烁 齿条式可调单杠
KR101854159B1 (ko) * 2017-12-11 2018-05-03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외부 비계 결합구조
KR102168154B1 (ko) * 2020-08-06 2020-10-20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립식 방호선반
CN114592677A (zh) * 2022-04-01 2022-06-07 吉林省光源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工具式脚手架防坠系统
CN114592677B (zh) * 2022-04-01 2024-04-02 安徽道元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工具式脚手架防坠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192B1 (ko)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14B1 (ko)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KR100974192B1 (ko) 갱폼추락방지구
AU2019100993A4 (en) Height-Adjustable Jack and Vertical Modular Component Support using the same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JP2016089445A (ja) 安全ネットおよび足場の支持装置
KR20140000271U (ko) 이동식 사다리
JP6882034B2 (ja) 免震構造物用の外部足場
KR20140040580A (ko) 건설용 안전벨트 걸이구
KR100660426B1 (ko) 갱폼 추락방지구
US3703269A (en) Adjustable support beam
JP4704851B2 (ja) クレーンの基礎免震受け梁構造
KR101072752B1 (ko) 건물 외측 설치가 용이한 가설 작업대 및 가설 작업대 설치 구조
KR200453782Y1 (ko) 건물 외벽 작업승강 로우프 고정용 거치대
JP2018087450A (ja) 支柱装置
KR100835613B1 (ko) 매립형 갱폼 추락 방지 장치
JP4675094B2 (ja) エレベータレールの底部受装置
KR20090113042A (ko) 갱폼 어셈블리
KR101559917B1 (ko) 낙하방지장치
KR20090051796A (ko) 거리조절 낙하물 방지망 시스템
RU185304U1 (ru) Мобильное анк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падения с высоты
KR200426297Y1 (ko)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WO2004029379A1 (en) A device for mounting objects to a wall
KR101883355B1 (ko) 조립식 발판 난간대
KR200497116Y1 (ko) 무해체 거푸집용 철근 안전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