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782Y1 - 건물 외벽 작업승강 로우프 고정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 작업승강 로우프 고정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782Y1
KR200453782Y1 KR2020090000929U KR20090000929U KR200453782Y1 KR 200453782 Y1 KR200453782 Y1 KR 200453782Y1 KR 2020090000929 U KR2020090000929 U KR 2020090000929U KR 20090000929 U KR20090000929 U KR 20090000929U KR 200453782 Y1 KR200453782 Y1 KR 200453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main body
building
shaf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605U (ko
Inventor
류정달
Original Assignee
류정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달 filed Critical 류정달
Priority to KR2020090000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78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6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7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외벽로우프 작업시 로우프 를 고정해주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를 이원화 하여 넓이 조절이 용이하고 상하 빗각으로 움직이는 로울러를 두어 작업자의 무게로 건물과 완전한 고정을 이루게 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시간상의 절감을 가져올수 있는 휴대용 승강용 로우프 고정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외벽 작업승강 로우프 고정용 거치대{omitted}
본 고안은 건물 외벽 작업또는 인명구조시 하강용 로우프를 고정해주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안전과 신속한 업무처리를 위해 고안 된 탈부착이 가능하고 넓이 조절이 용이한 승강로우프 고정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건물 외벽 청소 또는 코킹,페인트 작업시에 로우프를 타고 작업을 하게 된다
로우프를 타기 위해서는 옥상 어딘가에 로우프를 고정 하여야 하는데 대부분의 건물은 고정 하는 설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로우프를 고정하기가 어렵고 때로는 고정해야 하는 자리와 너무 멀거나 각도가 맞지않아서 로우프가 늘어나서 작업자가 쉽게 달비계에 앉지 못하거나 작업자의 의사에 상관 없이 로우프의 위치가 이동 되거나 흔들리는 경우도 많다
그러한 경우 로우프가 건물에 쓸려서 자칫 사람의 무게때문에 로우프가 끊어질 경우도 있게 된다.
때로는 로우프를 고정할 자리가 없어서 각목이나 시멘트등에 묶고 사람이 올라서서 로프 작업 하는 사람의 몸무게를 지탱해주는 위험 천만한 작업도 하게 된다
특히 특수한 경찰이나 특수한 군에서 건물 내부 침투또는 소방관들의 건물내 의 인명구조시에 옥상에서 로우프로 활강 하여 정밀하게 건물 내부로 진입 하여야 한다. 이때에도 옥상에서 앵커 고정을 하거나 기존 시설에 로우프를 묶어야 하는데 앵커는 건물에 상처를 주는것은 물론 생각보다 튼튼하지 못하고 기존 시설을 이용하는경우에도 활강하고자 하는 자리에 있지 않아서 귀중한 시간을 소비하게 됨은 물론 본인의 안전도 위협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고안 된것으로서 어떠한 건물에서도 건물 파라펫 두께에 따라서 조절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무게에 의해 완전한 고정구조를 가짐으로서 작업자의 안전과 시간 절약을 갖고자 하였다.
이 과제를 해결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건물의 파라펫 두께(통상150mm∼400mm)에 따라서 두께 조절이 용이 하게 고안 되었으며 빗각으로 상하 유동하는 로울러를 두어 작업자의 무게에 의해 완전 고정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고안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체 A와 본체B의 결합은 나비형 볼트(201)을 두어 건물 파라펫(300)두께에 따라 넓이 조절이 용이한 관계로 설치 해체가 쉽다.
둘째,상하 빗각으로 유동 하는 로울러를 두어 작업자의 무게에 의해 완전 고정되어 파라펫(300)에서 이탈 하거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한 작업을 수행 할수 있다
셋째, 완전한 고정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비교적 소형으로 제작 할수 있어 휴대이동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넷째,로우프를 고정하는 자리가 너무 멀어서 오는 로우프의 늘어짐 또는 쓸림 으로 인한 위험성이 전혀 없어지게 되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 하게 된다.
본 고안은 건물 두께에 따라서 조절되는 장치로서 외벽측에본체(A)와 내벽측에 본체 (B)를 두고 (A)와(B)를 고정해 주는나비형 볼트(201)를 양측에 두어 건물 두께에 대항하여 넓이를 조정 할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체 (B)에는 상하를 빗각으로 유동하는 로울러(200)를 두어 상부로 올라갈수록 건물파라펫(300) 과 완전히 밀착 되도록 하였으며, 작업자가 로우프에 올라가기전 로울러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톱니 형의 그립(205)를 설치하여 만약의 위험에 대비하고자 하였다.
로우프를 고정하는 판(206)은최대한의 무게를 견딜수 있게 3개의 다리를 가진 판으로 구성 되었으며 축(208)과 분리 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축의 휨이나 마모시 축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되어있으며 로우프를 고정하는 구멍(207)은 로우프를 고정할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구성 되었으며 필요시에는 비너를 설치 할수 있도록 판(206)과 본체(B)의 상부 저면과의 거리(가)를 확보하는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체 (B)의 상부는 로울러(200)과 고정하는 판(206)의 힘이 수직으로 작용 할수 있도록 외부측으로 함몰시켜 작업자의 무게가 로울러에 수직으로 작용되 도록 하여 로울러(200)가 건물 벽과 완전히 밀착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외벽측본체 (A) 에는 건물과 맞닿는 가장 힘을 많이 받는 부분에 탄력성 있는 생고무(101)를 설치 하여 어떠한 건물에서 상처를 주지 않게 고안 되었으며 본체(A)의 상부에 홈(101)을 두어 로우프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로울러(200)와 축(208)과 고정하는 판(206)은 분리할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거치대 내부 본체(B)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거치대 외부 본체(A)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거치대 내부 본체(B)에 로우프를 고정 한는 판과 로울러를 장착한 도면이다.
도 4는 거치대 (A)와(B)및 로울러(200)를 장착한 상부 평면도 이며,
도 5는 거치대 내부본체(B)가 완성된 배면도,
도 6은 거치대의 측면 상세도
도 7은 설치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A: 외벽 본체 207:로우프 또는 비너 설치 구멍
B: 내벽본체 208:축
101:탄성 고무막대 209:스프링
110:로우프 이동 방지 홈 210:축 이동 공간
200: 유동형 로울러 300:옥상 파라펫
201:나비형 볼트 넛트 301:옥상 바닥
203: 보강철판 310:로우프
204:축 이탈 방지 넛트 가:비너설치또는 로우프 묶음 공간
205:임시고정 그립
206:축과 로우프를 연결하는 판

Claims (3)

  1. 로우프 하강 작업에 있어서 로우프를 고정 해주는 로우프 고정 거치대로서 분리되는 외벽본체(A)와 내벽 본체(B)로 구성 되고 본체(A)의 두 다리가 본체(B)의 두 구멍 (220)에 삽입 되는 형태로 넓이 조절과 분리가 가능하며,
    본체(A)에는 건물 외벽에 상처를 주지 않는 고무(101)를 부착, 로우프를 묶을수 있는 판(206)은 판을 지탱 해주는 축(208)을 포함 하며 상기 축이 상하로 오르내릴수 있는 빗각(대각)의 축이동 공간(210)을 본체(B)의 양쪽에 설치하고,
    상기 축에 연결된 로울러(200)가 축이동 공간(210)의 상부측으로 이동할때 본체(A)와의 상호 작용으로 건물 파라펫(300)에 완전한 고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용 로우프 고정 거치대.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하로 유동하는 로울러의 축(208)을 지지해주는 판(206)은 최대한의 무게를 견딜수 있게 3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판(206)은 로우프를 묶거나 비너를 설치할수 있는 구멍(207)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용 로우프 고정 거치대.
KR2020090000929U 2009-01-23 2009-01-23 건물 외벽 작업승강 로우프 고정용 거치대 KR200453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29U KR200453782Y1 (ko) 2009-01-23 2009-01-23 건물 외벽 작업승강 로우프 고정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29U KR200453782Y1 (ko) 2009-01-23 2009-01-23 건물 외벽 작업승강 로우프 고정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05U KR20090001605U (ko) 2009-02-18
KR200453782Y1 true KR200453782Y1 (ko) 2011-05-26

Family

ID=4129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929U KR200453782Y1 (ko) 2009-01-23 2009-01-23 건물 외벽 작업승강 로우프 고정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7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05U (ko) * 2018-05-16 2019-11-26 범지은 건물 난간용 로프 설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189B1 (ko) * 2012-09-06 2013-06-18 강민구 달비계용 로프 고정 장치
CN104098051A (zh) * 2013-04-03 2014-10-15 何少敦 一种建筑物墙台悬吊支架
CN107100374A (zh) * 2016-02-19 2017-08-29 何少敦 一种墙台悬吊支架档体及其制成的悬吊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3493U (ko) * 1989-12-13 1991-08-26
JP2687050B2 (ja) * 1991-03-14 1997-12-08 泰郎 石井 作業足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3493U (ko) * 1989-12-13 1991-08-26
JP2687050B2 (ja) * 1991-03-14 1997-12-08 泰郎 石井 作業足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05U (ko) * 2018-05-16 2019-11-26 범지은 건물 난간용 로프 설치 장치
KR200491862Y1 (ko) * 2018-05-16 2020-06-22 범지은 건물 난간용 로프 설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05U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39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US20190194957A1 (en) Telescoping Break-Away Canopy Assembly
US6227553B1 (en) Attachment assembly for use on flat roofs
US20090020363A1 (en) Scaffolding fall protection system
CA2624748A1 (en) Safety saffolding
KR200453782Y1 (ko) 건물 외벽 작업승강 로우프 고정용 거치대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US20110168486A1 (en) Fall-arresting system
KR20140000271U (ko) 이동식 사다리
US20070267249A1 (en) Roof safety system
EP3245376B1 (en) Fencing bracket
KR20120001132A (ko) 가설 안전 난간대
CN212154222U (zh) 一种钢结构施工用安全带固定装置
JP5935165B2 (ja) マンホール用梯子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CN211201094U (zh) 一种工业厂房室内装修用登高装置
KR200426297Y1 (ko)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US60824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worker's scaffolds over the sides of buildings
KR100929311B1 (ko) 대빗 장치
EP2636430A1 (en) Safety system for blind installers
GB2496579A (en) A device for holding and laying out sheeting for covering scaffolding
US11826589B2 (en) Balance mobile anchor cart
KR20190019358A (ko) 진동방지용 이동식 난간 지지체 및 그 설치 방법
EP3425157B1 (en) Demountable assembly for lifting windows
CA2630462C (en) Roof hatch grab b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