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212A -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212A
KR20090111212A KR1020080036855A KR20080036855A KR20090111212A KR 20090111212 A KR20090111212 A KR 20090111212A KR 1020080036855 A KR1020080036855 A KR 1020080036855A KR 20080036855 A KR20080036855 A KR 20080036855A KR 20090111212 A KR20090111212 A KR 20090111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oor
bent
locking
guide rail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6678B1 (ko
Inventor
최경돈
Original Assignee
최경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돈 filed Critical 최경돈
Priority to KR102008003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67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방지장치를 스크린 도어의 외연 측면에 설치하도록 하여 스크린 도어의 외연 측면 부위에 외부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스크린 도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은 두 개의 스크린 도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가 폐쇄될 때, 상기 출입구 중앙에서 마주쳐 접촉되는 스크린 도어의 면을 내연 측면으로, 상기 내연 측면과 반대되는 쪽 면을 외연 측면으로 정의할 때, 상기 외연 측면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인 승강로 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탈방지, 가이드 레일, 잠금장치, 스크린 도어

Description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protecting apparatus for deviation of screen door system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이탈방지장치의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장치와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가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가 가이드 레일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가 가이드 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가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밀리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장치와, 이탈방지장치와 결합하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잠금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엘리베이터의 스크린 도어가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의 중앙부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스크린 도어에는 잠금장치와 결합되는 이탈방지장치를 설치하였다.
두개의 스크린 도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출입구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때 가이드 레일의 중앙에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 이탈방지장치는 폐쇄시에 잠금장치와 결합되기 위하여 중앙 쪽 측면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탈방지장치가 중앙 쪽 측면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경우에 스크린 도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중앙 쪽으로부터 먼 거리에 작용하게 되면 스크린 도어에 회전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스크린 도어는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인 승강로 쪽으로 이탈하게 되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탈방지장치를 스크린 도어의 외연 측면에 설치하도록 하여 스크린 도어의 외연 측면 부위에 외부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스크린 도어가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두 개의 스크린 도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가 폐쇄될 때, 상기 출입구 중앙에서 마주쳐 접촉되는 스크린 도어의 면을 내연 측면으로, 상기 내연 측면과 반대되는 쪽 면을 외연 측면 으로 정의할 때, 상기 외연 측면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인 승강로 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는 " ㄷ"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크린 도어 쪽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제2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린 도어의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구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면 단부에는 하향 걸림부가 돌출되고, 상기 하향 걸림부와 상기 상면 저부와 상기 요홈의 측벽이 형성하는 공간에 제2 절곡부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린 도어의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구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면 단부에는 하향 걸림부가 돌출되고, 하면 단부에는 상향 걸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요홈을 형성하는 측벽과 상기 하향 걸림부와 상기 상향 걸림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연설되어 상기 상향 걸림부와 상기 하향 걸림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에 하부가 개구된 삽입 요홈이 형성된 잠금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장치의 상기 삽입 요홈에 상기 제2절곡부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이탈방지장치의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장치와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두 개의 스크린 도어(10)에 의하여 승강장의 출입구가 폐쇄될 때, 출입구 중앙에서 마주쳐 접촉되는 면을 내연 측면으로, 내연 측면과 반대되는 쪽 면을 외연 측면(11)으로 이라 정의하고, 스크린 도어(10)의 출입구 측의 면을 전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이동하는 승강로 측의 면을 후면으로 정의한다.
이탈방지장치(20)는 외연 측면(11)에 설치되는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결합부는 외연 측면(11)에 접하는 중앙면(21)과, 중앙면(21)으로부터 스크린 도어의 후면과 접촉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면(23)과, 중앙면(21)으로부터 스크린 도어의 전면과 접촉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면(22)으로 이루어져 " ㄷ " 형상을 이룬다. 결합부에는 지지부가 연설된다. 지지부는 절곡면(23)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24)과 연장면(24)의 하부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로 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절곡부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지지면(25)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부는 스크린 도어(10)의 외연 측면(11), 전면, 후면에 나사 또는 용접에 결합된다.
지지면(25)은 가이드 레일의 승강로 측의 면에 인접되게 평행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스크린 도어(10)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지지면(23)이 가이드 레일(100)의 승강로 측의 면에 접촉되게 되어 스크린 도어(10)가 회전되 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장치(20)는 내연측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외연 측면(11)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연 측면(11)에 인접된 부위에 수직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스크린 도어(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가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30)는 재1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20)의 지지면(25)의 하단에 레일 걸림턱(29)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20)와 동일하다. 레일 걸림턱(29)은 지지면(25)의 하단으로부터 스크린 도어(10)의 전면 쪽으로 절곡되는 제 1 절곡부(26)와, 제 1 절곡부(26)의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제 2 절곡부(27)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이드 레일(100)의 승강로 쪽에는 상면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하향 걸림부(105)가 가이드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크린 도어(10)가 폐쇄된 경우에 제 2 절곡부(27)는 걸림부(101)와 가이드 레일(100)의 요홈(101)의 측벽(103)과 상면(107)의 저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게 되고, 스크린 도어(10)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제 2 절곡부(27)는 걸림부(101) 내측, 요홈(101)의 측벽(103),상면(107)의 저부에 접촉되어 지지되어 스크린 도어(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가 가이드 레일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40)는 지지면(41)이 길게 형성되고, 지지면(41)의 하단부로부터 스크린 도어(10)의 전면 쪽으로 제2절곡부 없이 단지 제1절곡부(42) 만이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제2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30)와 동일한다.
지지면(41)은 가이드 레일(100)의 하면(108)까지 연장되고, 제1절곡부(42)는 지지면(41)의 하단부로부터 하면(108)을 향하여 절곡된다. 따라서 스크린 도어(10)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제1절곡부(42)는 하면(108)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스크린 도어(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가 가이드 레일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50)는 연장면(24)과 지지면(25) 사이의 절곡부위가 큰 점을 제외하고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가이드 레일(100)은 상면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하향 걸림부(105)가 형성되고, 하면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상향 걸림부(110)가 가이드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00)에는 잠금장치(60)가 설치된다. 잠금장치(60)는 요홈(101)의 측벽(102)과 상면(107) 하부와 하면(108) 상부와 하향 걸림부(105)와 상향 걸림부(110)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61)와, 삽입부(61)로부터 하향 걸림부(105)와 상향 걸림부(11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돌출되는 돌출부(62)가 형성되고, 돌출부(62)의 승강로쪽의 단부에는 하향되는 개구부를 갖는 삽입 요홈(63)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100)의 상면(107)과 삽입부(61)은 나사(64)에 의하여 결합된다.
스크린 도어(10)가 폐쇄될 때, 이탈방지장치(50)의 제2절곡부(27)은 잠금장치(60)의 삽입 요홈(63)에 삽입되고, 스크린 도어(10)에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삽입 요홈(63)을 형성하는 벽면에 제2절곡부(27)가 지지되게 되므로 스크린 도어(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잠금장치(60)의 돌출부(62)에는 하향 걸림부(105)에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 잠금장치(60)의 지지력을 높여준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 도어(10)가 폐쇄될 때 중심과 먼 거리에 있는 외연 측면이 이탈방지장치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도어(10)가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큰 힘을 받을 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Claims (6)

  1. 두 개의 스크린 도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가 폐쇄될 때, 상기 출입구 중앙에서 마주쳐 접촉되는 스크린 도어의 면을 내연 측면으로, 상기 내연 측면과 반대되는 쪽 면을 외연 측면으로 정의할 때, 상기 외연 측면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인 승강로 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결합부는 "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지지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크린 도어 쪽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제1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제2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스크린 도어의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구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면 단부에는 하향 걸림부가 돌출되고, 상기 하향 걸림부와 상기 상면 저부와 상기 요홈의 측벽이 형성하는 공간에 제2 절곡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6. 청구항 4에서, 상기 스크린 도어의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구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면 단부에는 하향 걸림부가 돌출되고, 하면 단부에는 상향 걸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요홈을 형성하는 측벽과 상기 하향 걸림부와 상기 상향 걸림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연설되어 상기 상향 걸림부와 상기 하향 걸림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에 하부가 개구된 삽입 요홈이 형성된 잠금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장치의 상기 삽입 요홈에 상기 제2절곡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20080036855A 2008-04-21 2008-04-21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94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855A KR100946678B1 (ko) 2008-04-21 2008-04-21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855A KR100946678B1 (ko) 2008-04-21 2008-04-21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212A true KR20090111212A (ko) 2009-10-26
KR100946678B1 KR100946678B1 (ko) 2010-03-10

Family

ID=4153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855A KR100946678B1 (ko) 2008-04-21 2008-04-21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295B1 (ko) * 2015-11-26 2016-11-15 시티산전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의 하부가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995Y1 (ko) * 2018-03-12 2021-07-14 이진권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685U (ko) * 1989-03-30 1990-10-22
KR100813911B1 (ko) 2007-01-23 2008-03-18 구관우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KR100742315B1 (ko) 2007-01-25 2007-07-24 (주)두성엔티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295B1 (ko) * 2015-11-26 2016-11-15 시티산전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의 하부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678B1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391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KR20130003972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94667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032869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6203119B2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
JP5572500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移動規制具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0926956B1 (ko)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 이탈방지구조
CN111065597B (zh) 电梯的门装置
KR10099501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10182357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80082879A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가이드장치
JP4862329B2 (ja) エレベータの敷居閉塞体装置
KR20090110445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20100006592U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02196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2600233B1 (ko) 도어 이탈 방지를 위한 엘리베이터 하부 시스템
KR100954122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102390651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CN113966309B (zh) 电梯门
KR20100084243A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장치
KR20240065861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10005391A (ko) 이탈방지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0868213B1 (ko) 자동차의 연료 캡 분실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