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585A -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585A
KR20090110585A KR1020080036164A KR20080036164A KR20090110585A KR 20090110585 A KR20090110585 A KR 20090110585A KR 1020080036164 A KR1020080036164 A KR 1020080036164A KR 20080036164 A KR20080036164 A KR 20080036164A KR 20090110585 A KR20090110585 A KR 20090110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passage
gate
theft
to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745B1 (ko
Inventor
티엔 유안 치엔
헝이 창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8003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74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2Coin hold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6Coin 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인 수납기에 관한 것으로서, 코인 통로의 바닥면에 위치한 슬라이딩 통로와, 슬라이딩 통로의 전방면으로부터 연장된 코인 반환 통로와, 게이트와, 게이트가 슬라이딩 통로로부터 연장되어 삽입된 코인/토큰이 게이트상의 슬롯을 통해서 통과하는 제1위치와 게이트가 슬라이딩 통로 내로 수용되어 삽입된 코인/토큰이 코인 반환 통로를 통과하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게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제어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며, 게이트는 슬라이딩 통로로부터 이동될 때 스프링 스트립이나 도구를 가지고 코인/토큰을 훔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인 반환 통로를 막기 위하여 후방으로부터 상방 연장된 도난 방지 플랜지를 가진다.
코인,수납기,도난,자동판매기

Description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ANTI-THEFT STRUCTURE OF A COIN ACCEPTOR}
본 발명은 코인 수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재사용을 위하여 삽입된 코인/토큰을 훔치는 것을 방지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인 수납기는 판매기, 게임기 및 오락기에서 사용된다. 이 코인 수납기는 코인/토큰의 진정성 및 값을 판단하기 위한 코인 식별기를 가진다. 코인 수납기의 식별 정확성은 공급자의 사업과 소비자의 권리 뿐만 아니라 사회 재정 질서에 큰 관심을 가진다. 종래의 코인 식별기는 삽입된 코인/토큰의 단위 및 타입을 식별하도록 유도 코일 장치를 통상 사용한다. 이러한 목적의 유도 코일 장치는 자기장을 전송하는 제1코일 및 자기장을 받는 제2코일로 구성된다. 코일 사이로 코인이 통과함에 따라, 코인을 자기장을 변화시키고, 그 변화량이 측정된다. 사이즈, 형상 또는 금속 내용의 차이는 단위와 타입을 결정하는 여러가지 표시를 생성한다. 종래의 유도 코일 장치의 유도 에러는 약 5~10% 이다. 더욱이, 종래의 유도 코일 장치는 온도에 의해 깨지거나 영향을 받아 오류를 일으킨다.
더욱이, 나쁜 사람은 자동 판매기나 게임기의 코인 수납기를 속이는 낚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코인/토큰 상의 구멍에 낚시줄 또는 코드를 체결하고, 코인/토큰을 코인 수납기에 삽입하고, 코인 수납기의 식별에 의해 코인/토큰의 검사 후에 코인/토큰을 다시 당겨냄으로써, 기계를 반복적으로 속이도록 코인/토큰을 이용한다. 나쁜 사람은 재사용을 위하여 코인 수납기로부터 삽입되고 인정받은 코인/토큰을 훔치도록 코인 수납기의 코인 반송 통로내로 스프링 스트립이나 도구를 삽입할 수 있다.
자동판매기, 게임기 또는 오락기의 설치는 많은 비용이 든다. 만약 자동판매기, 게임기 또는 오락기 공급자가 도난을 방지하지 못한다면, 사업 수지는 감소될 것이고, 공급자는 사업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인 수납기에서 코인/토큰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의 일예로서, 바디와 솔레노이드 모듈을 포함한다.
바디는 코인 통로와, 코인 통로의 바닥면에 위치한 슬라이딩 통로와, 슬라이딩 통로의 전방면으로부터 연장된 코인 반환 통로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일측에서 상기 코인 통로에 장착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코인/토큰의 진정성을 판단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서 제어되는 유도 코일 모듈로 구성된다. 유도 코일 모듈은 코인/토큰의 진정성 판단을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서 제어된다.
솔레노이드 모듈은 상기 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통로로부터 그리고 내로 이동가능한 게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통로로부터 그리고 내로 상기 게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서 제어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는 상기 슬라이딩 통로로부터 이동될 때 진정한 코인/토큰의 통과를 위한 슬롯과, 상기 게이트가 상기 슬라이딩 통로로부터 이동될 때 코인 반환 통로를 막기 위하여 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도난 방지 플랜지를 가진다. 게이트가 슬라이딩 통로로부터 이동될 때 삽입된 코인/토큰은 게이트이 슬롯으로 낙하되고 동시에 도난 방지 플랜지는 코인 반환 통로를 막아 스프링 스트립이나 도구로 삽입된 코인/토큰을 훔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의 다른 일예로서,
바디는 솔레노이드 모듈의 게이트를 제위치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통로와 코인 반환 통로 사이에 위치한 계단 정지부로 구성되며, 게이트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향하는 하나의 측면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게이트가 상기 슬라이딩 통로내로 이동할 때 코인 통로로부터 상기 코인 반환 통로로 코인/토큰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 배플을 포함하며, 게이트는 하나의 측면 측벽에 위치한 결합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슬라이딩 통로를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게이트의 결합 구멍에 연결된 밸브 스템을 포함하며, 게이트는 상기 슬롯의 2개의 대향 측에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베벨형 상부 가이드 에지와 상기 코인 통로로부터 상기 게이트의 슬롯 내로 코인/토큰을 안내하기 위한 도난 방지 플랜지의 상부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코인/토큰의 역방향 운동을 금지하도록 코인 통로의 상부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도난 방지 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게이트를 통해서 코인 통로로부터 코인/토큰의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모듈을 가지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오실레이터, 파워 모듈 및 지시광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바디는 전방면에 고정 체결된 페이스 패널을 가지며, 상기 페이스 패널은 코인 통로와 연통된 코인 슬롯, 코인 반환 통 로와 연통된 코인 반환 슬롯, 및 코인 반환 제어를 위한 코인 반환 버튼으로 구성되며, 코인 통로는 상기 바디의 전방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경사지게 후방으로 연장되고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며, 게이트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향하는 하나의 측면 측벽으로 돌출되며 게이트가 슬라이딩 통로 내로 이동할 때 코인 통로로부터 코인 반환 통로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 배플과, 도난 방지 플랜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경사 배플 쪽으로 게이트의 슬롯으로부터 연장되며 도난 방지 플랜지에 인접하게 위치한 당김 방지 안전 그루브를 포함하며, 당김 방지 안전 그루브는 도난 방지 플랜지로부터 먼 일측에 위치하며 게이트의 슬롯에 연결된 베벨형 가이드 에지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는 솔레노이드 모듈(2)의 게이트(22) 및 솔레노이드 밸브(21)와 코인 반환 통로(112)와 연통하여 바디(1)의 코인 통로(11)의 바닥면에 정렬된 슬라이딩 통로(111)가 양대향측에 세팅되어, 코인/토큰(4)이 진정한 것으로 판단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1)는 게이트(22)를 이동하기 시작하고, 진정한 코인/토큰(4)이 게이트(22)의 슬롯(223)을 통하여 통과하게 하고, 이때 게이트(22)의 도난 방지 플랜지(225)는 코인 반환 통로(112)로부터 슬롯(223)을 분리하여, 나쁜 사람이 삽입된 코인/토큰(4)을 훔치기 위해서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인 수납기는 바디(1), 솔레노이드 모듈(2) 및 페이스 패널(3)로 구성된다.
바디(1)는 전방으로부터 경사지게 하방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코인 통로(11)와, 코인 통로(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통로(111)와, 슬라이딩 통로(111)의 전방면으로부터 바디(1)의 전방면으로 경사 하방으로 연장된 코인 반환 통로(112)와, 슬라이딩 통로(111)와 코인 반환 통로(112) 사이에 연결된 계단 정지부(113)와, 슬라이딩 통로(111)에 대향하는 일측에서 코인 통로(11)의 바닥면과 연통되어 위치한 수용 챔버(114), 및 코인 통로(11)이 상부면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도난 방지 후크(115)로 구성된다. 바디(1)는 회로 조립체가 더 설치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로 조립체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 제1유도 코일(131) 및 제2 유도 코일(132)로 구성된 유도 코일 모듈(13), 피싱 방지 센서(141), 코인 출력 센서(142) 및 코인 반환 센서(143)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14), 오실레이터(15), 파워 모듈(16) 및 지시광 장치(17)로 구성된다.
유도 코일 모둘(13)은 코인 통로(11)에 장착된다.
피싱 방지 센서(141)는 코인 통로(11)에서 제2 유도 코일(132) 아래에 제공된다. 코인 출력 센서(142)와 코인 반환 센서(143)는 코인 반환 통로(112)의 내측과 코인 통로(11)의 바닥면에 각각 장착된다.
솔레노이드 모듈(2)은 바디(1) 내측 회로 조립체의 마이크로프로세서(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솔레노이드 밸브(21)와 게이트(22)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밸브(21)는 솔레노이드 아마츄어(도시 않음)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밸브 스템(211)을 가진다. 게이트(22)는 베이스(221)를 포함한다. 베이스(221)는 일측면 측벽상에 위치하고 솔레노이드 밸브(21)의 밸브 스템(211)에 연결된 연결 구멍(222)과, 코인/토큰(4)의 통과를 위하여 상부 및 바닥면을 통하여 수직으로 절단된 슬롯(223)과, 다른 측면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코인 반환 통로(112)에 연결된 경사 배플(224)과,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코인 반환 통로(112)의 일측에 대해서 맞닿는 도난 방지 플랜지(225), 및 당김 방지 안전 그루브(226)를 가진다. 슬롯(223)은 코인/토큰(4)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부면에 양측으로 위치하는 두개의 베벨형 상부 가이드 에지(2231)를 가진다. 도난 방지 플랜지(225)는 베벨형 상부 가이드 에지(2251)를 가진다. 당김 방지 안전 그루브(226)는 도난 방지 플랜지(225)로부터 먼 일측에 위치하고 슬롯(223)에 연결된 베벨형 가이드 에지(2261)를 가진다.
페이스 패널(3)은 바디(1)의 전방면에 부착되며, 코인/토큰(4)의 삽입을 위하여 바디(1)의 코인 통로(11)에 연결된 코인 슬롯(31), 코인 슬롯(31) 아래에 이격되며 코인 반환 통로(112)에 연결된 코인 반환 슬롯(32), 및 코인 슬롯(31)과 코 인 반환 슬롯(32) 사이에 위치한 코인 반환 버튼(33)을 가진다.
코인 수납기의 조립 동안, 솔레노이드 모듈(2)의 솔레노이드 밸브(21) 및 게이트(22)는 슬라이딩 통로(111)의 양대향 측면에 세팅되고, 솔레노이드 밸브(21)의 밸브 스템(211)은 슬라이딩 통로(111)를 통하여 삽입되고 게이트(22)의 연결 구멍(222)에 연결되어, 게이트(22)의 도난 방지 플랜지(225)와 슬롯(223)이 슬라이딩 통로(111)에 있게 하고, 게이트(22)의 경사 배플(224)이 코인 통로(11)에 있게 한다. 그런 다음, 페이스 패널(3)은 바디(1)의 전방면에 부착되고, 코인 슬롯(31)과 코인 반환 슬롯(32)이 각각 코인 통로(11)와 코인 반환 통로(112)에 연결되게 한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2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코인/토큰(4)이 코인 슬롯(31)내로 삽입될 때, 코인 통로(11)를 따라 롤링하거나 슬라이딩 되어 도난 방지 후크(115)를 하방으로 편향시키고, 전방으로 계속 롤링하거나 슬라이딩한다. 코인/토큰(4)이 도난 방지 후크(115)를 통과할 때, 도난 방지 후크(115)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온다. 코인/토큰(4)이 유도 코일 모듈(13)을 통해서 코인 통로(11)를 따라 이동할 때, 유도 코일 모듈(13)은 코인/토큰(4)의 진정성 및 값을 판단한다. 만약 코인/토큰(4)이 위조라고 판단되면, 위조 코인/토큰(4)은 경사 배플(224) 및 코인 반환 통로(112)를 따라 페이스 패널(3)의 코인 반환 슬롯(32)으로 안내된다. 만약 코인/토큰(4)이 진정한 것으로 판단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1)는 게이트(22)를 움직이도록 하고, 슬롯(223)을 코인 통로(11)의 내부로 전환하여 코인/토큰(4)이 슬롯(223)을 통하여 떨어지게 한다.
코인/토큰(4)이 바디(1)의 코인 통로(11)로 들어갈 때, 유도 코일 모듈(13)은 코인/토큰(4)의 진정성 및 값을 판단한다. 이 때, 제1 유도 코일(131) 및 제2유도 코일(132)은 코인/토큰(4)의 무게, 두께 및 직경을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참고값과 데이터를 비교하여, 코인/토큰(4)이 진정성 및 값을 판단하게 된다. 만약 코인/토큰(4)이 진정한 것으로 판단되면, 코인/토큰(4)은 슬롯(223)을 통하여 낙하되고, 동시에 센서 모듈(14)의 코인 출력 센서(142)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에 코인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유도된다. 만약 코인/토큰(4)이 위조라고 판단되면, 위조 코인/토큰(4)은 경사 배플(224)에 의해서 정지되고 경사 배플(224)에 의해서 코인 반환 통로(112)를 통해서 페이스 패널(3)의 코인 반환 슬롯(32)으로 안내된다. 위조 코인/토큰(4)이 코인 반환 통로(112)를 통해서 페이스 패널(3)의 코인 반환 슬롯(32)으로 이동할 때, 코인 반환 센서(143)는 코인 반환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12)로 출력하도록 유도된다. 코인 출력 신호 또는 코인 반환 신호에 의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코인/토큰(4)이 올바르게 이동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고, 대응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슬롯(223)은 상부면에 양측으로 위치한 2개의 베벨형 상부 가이드 에지(2231)를 가지고, 도난 방지 플랜지(225)는 베벨형 상부 가이드 에지(2251)를 가진다. 코인/토큰(4)이 진정한 것으로 결정되고 코인 통로(11)를 따라서 하방으로 갈 때, 베벨형 상부 가이드 에지(2231, 2251)는 게이트(22)의 슬롯(223) 내로 코인/토큰(4)을 부드럽게 안내하여, 코인/토큰(4)을 코인 반환 통로(112)로 낙하하는 것 또는 코인/토큰(4)의 게이트(22)로의 막힘을 방지한다.
더욱이, 나쁜 사람이 코인/토큰(4)상의 구멍에 낚시줄 또는 코드 부재를 체결하여 코인/토큰(4)을 코인 수납기에 삽입하여, 코인/토큰(4)이 유도 코일 모듈(13)을 통하여 통과한 후에 코인/토큰(4)을 다시 당길 때, 센서 모듈(14)의 코인 출력 센서(142)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에 어떠한 신호를 주지 않게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가 유도 코일 모듈(13)에 의해서 코인/토큰(4)의 진정성 판단 후 일정 시간 내에 센서 모듈(14)의 코인 출력 센서(142)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받지 못한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피싱 방지 센서(141)를 구동한다. 이때, 피싱 방지 센서(141)는 코드 부재를 가진 코인/토큰(4)을 표시하는 신호를 검출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2)로 그 신호를 보내게 되어 속임수를 방지하게 된다.
코인/토큰(4)이 게이트(22)의 슬롯(223)을 통과한 후에, 게이트(22)는 슬롯(223)이 슬라이딩 통로(111) 내에 위치한 위치로 전환된다. 그러나, 게이트(22)가 스프링 부재(도시 않음)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슬라이딩 통로(111)로부터 쉽게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코인/토큰(4)을 회수하기 위하여 코드 부재를 당기는 것은 게이트(22)가 슬라이딩 통로(111)로부터 수평으로 이동하게 하여 코인/토큰(4)가 후방으로 당기게 된다. 당김 방지 안전 그루브(226)의 설계는 이 문제를 방지한다. 만약 나쁜 사람이 코인/토큰(4)이 게이트(22)의 슬롯(223)을 통하여 통과한 후에 코인/토큰(4)을 회수하기 위하여 코드 부재를 다시 당기면, 코인/토큰(4)에 체결된 코드 부재는 베벨형 가이드 에지(2261)에 의해서 당김 방지 안전 그루브(226) 내로 안내될 것이고, 나쁜 사람의 당김력은 수직방향으로 경사 배플(224)에 적용될 것이고, 즉 게이트(22)는 슬라이딩 통로(111)로부터 수평으로 이동되지 않아 코인/토큰(4)은 다시 당겨지지 않게 된다.
더욱이, 나쁜 사람이 스프링 스트립을 바디(1)의 코인 반환 통로(112) 내 코인 반환 슬롯(32)을 통해서 센서 모듈(14)의 코인 출력 센서(142)의 상부면 공간으로 삽입할 때, 코인/토큰(4)이 코인 출력 센서(142)를 유도한 후에 재사용을 위하여 코인 반환 슬롯(32) 쪽으로 코인/토큰(4)을 당기려고 노력하게 된다. 게이트(22)의 도난 방지 프랜지(225)의 설계는 이 문제를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게이트(22)의 도난 방지 플랜지(225)는 코인 반환 통로(112)의 일측에 대해서 맞닿아 있다. 코인/토큰(4)이 진정한 것으로 판단된 후에, 솔레노이드 밸브(21)는 게이트(22)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이때, 도난 방지 플랜지(225)는 코인 반환 통로(112)로부터 슬롯(223)을 격리시키고, 나쁜 사람은 게이트(22)의 슬롯(223)의 상부면 내로 코인 반환 통로(112)를 통해서 스프링 스트립을 삽입할 수 없게 되며, 즉 본 발명은 나쁜 사람이 재사용을 위하여 코인 수납기로부터 삽입된 코인/토큰(4)을 훔치도록 스프링 스트립이나 다른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코인/토큰(4)이 위조라고 판단되면, 경사 배플(224)은 코인 반환 통로(112)와 연통되어, 위조 코인/토큰(4)은 코인 반환 통로(112)를 통해서 페이스 패널(3)의 코인 반환 슬롯(32)으로 안내된다. 코인/토큰(4)이 코인 수납기에 삽입되지 않을 때, 솔레노이드 모듈(2)의 게이트(22)는 슬라이딩 통로(111)에 수용되고, 경사 배플(224)은 코인 반환 통로(11)와 연통된 바디(1)의 코인 통로(11)에 유지된다. 코인 수납기가 전원 차단 또는 다른 어떤 이유로 정지되고 사용자가 코인/토큰(4)을 코인 수납기로 삽입할 때, 코인/토큰(4)은 코인 반환 통로(112)를 통해서 페이 스 패널(3)의 코인 반환 슬롯(32)으로 안내될 것이고, 에러에 의해서 코인/토큰(4)의 수집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권리를 보호하게 된다.
도 2,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2)는 유도 코일 모듈(13), 센서 모듈(14), 솔레노이드 밸브(21), 오실레이터(15), 파워 모듈(16) 및 지시광 장치(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오실레이터(15)는 오실레이팅 유도를 코인/토큰(4)의 인덕턴스 값으로 만들도록 채택되며, 진정성 정확도를 높인다. 파워 모듈(16)은 바디(1)에 필요한 작업 전력을 공급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가 유도 코일 모듈(13), 센서 모듈(14) 또는 오실레이터(15), 또는 시스템의 시작 또는 작동 중에 발생한 에러로부터 신호를 받을 때, 지시광 장치(17)는 관련 시각 표시를 하게 된다.
코인/토큰(4)이 코인 통로(11)에서 잼되었을 때 또는 사용자가 삽입된 코인/토큰(4)을 반환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코인 반환 버튼(33)을 눌러 게이트(22)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21)를 구동하여, 코인/토큰(4)이 경사 배플(224)에 의해서 코인 반환 통로(112)를 통해서 페이스 패널(3)의 코인 반환 슬롯(32)으로 안내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모듈(2)의 게이트(22) 및 솔레노이드 밸브(21)와 코인 반환 통로(112)와 연통하여 바디(1)의 코인 통로(11)의 바닥면에 정렬된 슬라이딩 통로(111)가 양대향측에 세팅된다. 코인/토큰(4)이 진정한 것으로 판단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1)는 게이트(22)를 이동하기 시작하고, 진정한 코인/토큰(4)이 게이트(22)의 슬롯(223)을 통하여 통과하게 하고, 이때 게이트(22)의 도 난 방지 플랜지(225)는 코인 반환 통로(112)로부터 슬롯(223)을 분리하여, 나쁜 사람이 삽입된 코인/토큰(4)을 훔치기 위해서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인 수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코인 수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바디의 슬라이딩 통로와 솔레노이드 모듈 사이 관계 및 솔레노이드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게이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
도 6은 코인 슬롯 내로 코인/토큰의 삽입 전의 개요도
도 7은 게이트의 슬롯으로 삽입되어 이동된 코인/토큰을 도시한 도 6의 대응도
도 8은 코인 리턴 작동을 도시한 본 발명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 2 : 솔레노이드 모듈
3 : 페이스 패널 4 : 코인/토큰
11 : 코인 통로 12 : 마이크로프로세서
13 : 유도 코일 모듈 14 : 센서 모듈
15 : 오실레이터 16 : 파워 모듈
17 : 지시광 장치 21 : 솔레노이드 밸브
22 : 게이트 31 : 코인 슬롯
32 : 코인 반환 슬롯 33 : 코인 반환 버튼
111 : 슬라이딩 통로 112 : 코인 반환 통로
113 : 계단 정지부 114 : 수용 챔버
115 : 도난 방지 후크 131 : 제1유도 코일
132 : 제2 유도 코일 141 : 피싱 방지 센서
142 : 코인 출력 센서 143 : 코인 반환 센서
211 : 밸브 스템 221 : 베이스
222 : 연결 구멍 223 : 슬롯
224 : 경사 배플 225 : 도난 방지 플랜지
226 : 당김 방지 안전 그루브 2231 : 베벨형 상부 가이드 에지
2251 : 베벨형 상부 가이드 에지2261 : 베벨형 가이드 에지

Claims (12)

  1. 코인 통로와, 코인 통로의 바닥면에 위치한 슬라이딩 통로와, 슬라이딩 통로의 전방면으로부터 연장된 코인 반환 통로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일측에서 상기 코인 통로에 장착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코인/토큰의 진정성을 판단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서 제어되는 유도 코일 모듈로 구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통로로부터 그리고 내로 이동가능한 게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통로로부터 그리고 내로 상기 게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서 제어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는 상기 슬라이딩 통로로부터 이동될 때 진정한 코인/토큰의 통과를 위한 슬롯과, 상기 게이트가 상기 슬라이딩 통로로부터 이동될 때 코인 반환 통로를 막기 위하여 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도난 방지 플랜지를 가지는 솔레노이드 모듈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솔레노이드 모듈의 게이트를 제위치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통로와 코인 반환 통로 사이에 위치한 계단 정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향하는 하나의 측면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게이트가 상기 슬라이딩 통로내로 이동할 때 코인 통로로부터 상기 코인 반환 통로로 코인/토큰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 배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하나의 측면 측벽에 위치한 결합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슬라이딩 통로를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게이트의 결합 구멍에 연결된 밸브 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슬롯의 2개의 대향 측에 각각 위치한 복수개의 베벨형 상부 가이드 에지와 상기 코인 통로로부터 상기 게이트의 슬롯 내로 코인/토큰을 안내하기 위한 도난 방지 플랜지의 상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수 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코인/토큰의 역방향 운동을 금지하도록 코인 통로의 상부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도난 방지 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게이트를 통해서 코인 통로로부터 코인/토큰의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모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오실레이터, 파워 모듈 및 지시광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전방면에 고정 체결된 페이스 패널을 가지며, 상기 페이스 패널은 코인 통로와 연통된 코인 슬롯, 코인 반환 통로와 연통된 코인 반환 슬롯, 및 코인 반환 제어를 위한 코인 반환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통로는 상기 바디의 전방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경사지게 후방으로 연장되고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향하는 하나의 측면 측벽으로 돌출되며 게이트가 슬라이딩 통로 내로 이동할 때 코인 통로로부터 코인 반환 통로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 배플과, 도난 방지 플랜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경사 배플 쪽으로 게이트의 슬롯으로부터 연장되며 도난 방지 플랜지에 인접하게 위치한 당김 방지 안전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방지 안전 그루브는 도난 방지 플랜지로부터 먼 일측에 위치하며 게이트의 슬롯에 연결된 베벨형 가이드 에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KR1020080036164A 2008-04-18 2008-04-18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KR10095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164A KR100955745B1 (ko) 2008-04-18 2008-04-18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164A KR100955745B1 (ko) 2008-04-18 2008-04-18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585A true KR20090110585A (ko) 2009-10-22
KR100955745B1 KR100955745B1 (ko) 2010-04-30

Family

ID=4153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164A KR100955745B1 (ko) 2008-04-18 2008-04-18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7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5851B2 (ja) 1997-02-14 2007-01-10 レシップ株式会社 両替機の不正防止装置
GB9723223D0 (en) * 1997-11-03 1998-01-07 Coin Controls Coin validator
AU744618B2 (en) * 1997-11-03 2002-02-28 Coin Controls Limited Coin acceptor
JP2004227133A (ja) * 2003-01-21 2004-08-12 Internatl Currency Technologies Corp 硬貨受け取り器の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745B1 (ko)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089B2 (en) Manipulation detection system for removable money cassettes for use in automated teller machines
RU25510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движного ящи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закций с носителями
JP5025908B2 (ja) 棒金収納庫と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5066654B2 (ja) 遊技機
US8704633B2 (en) Fraud prevention
US6834809B2 (en) Card processor
JP2000070500A (ja) 遊技機
KR100955745B1 (ko)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KR101010088B1 (ko) 코인 수납기
JP4017651B2 (ja) 紙幣収納装置
US5511645A (en) Anti-stringing device for a coin acceptor
CN101482991B (zh) 硬币接收机防盗装置
EP1557799B1 (en) Spacer for coin storage device, coin storage device, and coin processing device.
JP4823720B2 (ja) 遊技媒体貸出機
KR20060112827A (ko)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JP5315508B2 (ja) 遊技機
JP5632528B2 (ja) 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棒金収納庫、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および棒金収納庫のための制御方法
JP5315510B2 (ja) 遊技機
JP4688178B2 (ja) 硬貨処理装置の盗難防止装置
GB2459448A (en) Anti-theft structure of a coin acceptor
JP5005824B2 (ja)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および棒金収納庫
JP2009082208A (ja) コイン状部材送出装置
JP5125232B2 (ja) カード抜き出し防止機構、カード読取装置及び遊技媒体貸出装置
JP2011216133A (ja) 棒金収納庫
JP2013240631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