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957A -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957A
KR20090109957A KR1020080035473A KR20080035473A KR20090109957A KR 20090109957 A KR20090109957 A KR 20090109957A KR 1020080035473 A KR1020080035473 A KR 1020080035473A KR 20080035473 A KR20080035473 A KR 20080035473A KR 20090109957 A KR20090109957 A KR 20090109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ludge
membrane separation
nitrogen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억재
나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건설
Priority to KR1020080035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9957A/ko
Publication of KR2009010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하수 고도처리는 막분리 호기조의 슬러지에 과도하게 공급된 공기를 무산소조로 내부반송시 초음파를 통해 탈기하는 방법으로 탈기과정에서 산소와 질소가스 및 암모니아 가스의 저감을 통해 무산소에서의 질소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반응조의 추가설치에 따른 건설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한 것이다.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 탈기장치, 초음파, 막분리 호기조, 슬러지

Description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 장치 및 방법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ubmerged type membrane adapted ultrasonic deaerator}
본 발명은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막분리 호기조에서 과도하게 공급된 공기를 초음파 탈기공정을 통해 저감하여 무산소조로 반송되는 슬러지의 용존산소와 질소가스 농도를 줄이고, 이를 통해 질소 제거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류수수질 강화 및 처리수 재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종래의 활성 슬러지법의 2차 처리시설에 의한 BOD 등의 유기물 제거 외에 하수 처리과정에서 질소 및 인 등 영양염류의 제거 뿐 아니라 대장균 등의 병원성 미생물의 제거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 많은 하수 처리장들이 고도처리로 전환을 진행중이거나 계획중에 있으나 이때 추가 공정을 위한 하수 처리장내 여유부지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침전조를 대신하여 멤브레인을 활성 슬러지 포기 조내에 침지시키고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공정을 추가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공정(MBR)이 제안되었다.
이는 생물학적 하수 고도처리공법의 호기조에 침지형 분리막을 도입하여 침전조를 대신하여 처리수를 생산하는 것으로 침전지가 없어 침전조 부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침전조의 슬러지 부상에 따른 처리수질 악화문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공정(MBR)은 기존의 하수 고도처리공정보다 슬러지 농도를 높게 유지하고 막을 통과하여 처리수를 생산하기 때문에 처리수 수질이 좋고 안정적인 처리수 수질이 확보된다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의 하수 고도처리공정은 생물학적 하수 고도처리공법으로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유량조정조(1), 유기물 및 인처리를 위한 혐기조(2), 탈질을 위한 무산소조(3), 유기물 제거와 질산화, 고액분리를 위한 막분리 호기조(4)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 1의 막분리 호기조(4)에서는 흡입식 침지형막을 통한 고액분리시 막표면에 오염이 형성되므로 막오염 방지를 위하여 막하단에 블러워(B)에 의해 공기주입을 과도하게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막분리 호기조(4)의 용존산소 농도가 생물학적 반응에 필요한 농도보다 높게 유지되고 높은 용존산소 농도의 슬러지가 반송라인(L1)을 통해 반송되어 무산소조(3)로 유입되면, 상기 무산소조(3)의 탈질과정이 저해되는 단점이 있다.
즉, 침지형막을 통한 처리수 생산과정에서 막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를 불어 넣기 때문에 미생물에 필요한 공기량보다 많은 공기량을 요구하고 이로 인해 호기조(4)내 용존산소 농도가 높게 유지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막분리 호기조(4)의 용존산소 농도가 높은 슬러지가 무산소조(3)로 그대로 반송라인(L1)을 통해 반송되면, 상기 무산소조(3)내 산소농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질산성 질소의 탈질이 일어나지 않아 질소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도 1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막분리 호기조(4)의 슬러지를 무산소조(3)로 반송시키기 전에, 첨부된 도 2, 도 3에서와 같이 용존산소를 저감시키는 탈기조(6) 또는 안정화조(7)를 설치하거나, 분리막조(8)와 호기조(4A)를 따로 운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침전조를 대신하여 침지형막으로 고액 분리를 실시하는 장점이 상쇄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첨부된 도 2, 도 3은 별도로 탈기조(6) 또는 안정화조(7)를 설치하고 분리막조(8)와 호기조(4A)를 따로 분리함에 따라, 건설 및 유지 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침지형 막분리 호기조에서의 과도한 슬러지내 용존산소 농도를 탈기장치를 통해 감소시켜 무산소조에 유입시키는 방법으로 무산소조에서의 탈질과정을 통한 질소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기과정에서 질소가스와 암모니아 가스의 저감을 통해 질소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반응조의 추가설치에 따른 건설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 장치는 원수를 공급하는 유량조정조; 상기 유량조정조에서 공급하는 원수를 이용하여 유기물 및 인처리를 위한 혐기조; 탈질을 위한 무산소조; 유기물 제거와 질산화, 고액분리를 위한 막분리 호기조; 를 포함하고, 상기 막분리 호기조와 무산소조는 내부 슬러지 반송을 위한 제 1 반송라인을 구성하고, 상기 무산소조와 혐기조는 내부 슬러지 반송을 위한 제 2 반송라인을 구성하되, 상기 제 1 반송라인에는 산소, 질소 및 암모니아 가스를 탈기할 수 있는 초음파 탈기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은 유량조정조를 통해 원수 공급시 혐기조에서 하수에 포함되는 유기물 및 인을 처리한 후 이를 무산소조에 투입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산소조에서 유기물 및 질소가 처리되는 하수의 탈질을 진행시킨 후 막분리 호기조에 투입하는 제 2 단계; 상기 막분리 호기조에서 블로워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유기물 제거와 질산화, 막을 통한 고액분리를 진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막분리 호기조에서 블로워에 의한 공기 주입량으로부터 용존산소 농도가 증가된 상태의 슬러지를 제 1 반송라인을 통해 분리조로 반송시키는 제 4 단계; 및, 상기 분리조내에 초음파장치로 슬러지를 진동시켜, 용존산소 농도가 증가된 슬러지가 체류하는 동안 질소 및 인 제거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슬러지층의 용존산소와 질소가스 및 암모니아가스의 탈기를 촉진시킨 후 무산소조로 슬러지를 반송시켜 질산성 질소의 탈질을 촉진하여 질소 제거 효율을 높이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침지형 막분리 호기조에서의 과도한 슬러지내 용존산소 농도를 초음파 탈기장치를 통해 감소시켜 무산소조에 유입시키는 방법으로 무산소조에서의 탈질과정을 통한 질소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탈기과정에서 질소가스와 암모니아 가스의 저감을 통해 질소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고, 반응조의 추가설치에 따른 건설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장치의 개략적 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장치는 유량조정조(11), 혐기조(12), 무산소조(13), 막분리 호기조(14), 그리고 탈기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유량조정조(11)는 하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원수를 제 1 펌프(11a)의 펌핑동작으로 공급라인(L13)을 통해 상기 혐기조(1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혐기조(12)는 상기 유량조정조(11)에서 공급하는 원수를 이용하여 하수에 포함되는 유기물 및 인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복수의 교반기(12a)가 구성된다.
상기 무산소조(13)는 상기 혐기조(12)로부터 유기물 및 인 처리가 이루어진 상태의 하수에서 탈질을 진행하여 질소제거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으로, 그 내부에도 복수의 교반기(13a)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산소조(13)와 혐기조(12)는 제 2 펌프(16)가 설치되는 제 2 반송라인(L12)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펌프(16)의 펌핑동작으로부터 상기 무산소조(13)에서의 슬러지가 상기 혐기조(12)로 반송된다.
상기 막분리 호기조(14)는 유기물 제거와 질산화, 그리고 고액분리를 진행하는 것으로, 블러워(32)로부터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하여 분리막에 의한 고액 분리시 막 표면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막분리 호기조(14)에서 막 투과수는 제 3 펌프(42)가 설치된 유출라인(L14)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탈기장치(20)는 상기 막분리 호기조(14)에 막분리를 위한 일정량의 공기 주입시 용존산소 농도가 증가하면서 초래되는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증가된 용존산소 농도를 포함하는 슬러지가 제 4 펌프(17)가 설치된 제 1 반송라인(L11)을 통해 무산소조(13)로 바로 반송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무산소조(13)의 탈질과정을 안정화시키는 것이며, 초음파장치(51)와 에어밴트(23)을 포함하는 분리조(22)를 구비한다.
상기 분리조(22)는 상기 제 1 반송라인(L11)에 설치되어 용존산소 농도가 증가된 상태의 슬러지가 체류할 때 질소 및 인 제거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슬러지층의 용존산소 및 질소가스, 암모니아가스의 탈기를 촉진시켜, 상기 무산소조(13)의 탈질과정을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초음파장치(51)에 의해 슬러지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5분 이내의 체류시간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유량조정조(11)에서 제 1 펌프(11a)의 펌핑동작으로 원수를 혐기조(12)로 공급하면, 상기 혐기조(12)에서는 그 내부의 교반기(12a)를 이용하여 교반동작을 수행하면서 하수에 포함되는 인을 처리한 후 이를 무산소조(13)로 유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무산소조(13)는 그 내부의 교반기(13a)를 교반시켜 탈질과정을 진행시키면서 질소를 제거한 후 이를 분리막(14a)을 포함하는 막분리 호기조(14)로 보낸다.
이때, 상기 막분리 호기조(14)에는 블러워(32)를 통해 일정량의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막분리 호기조(14)에서는 하수에서 유기물 제거와 질산화, 그리고 고액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막분리 호기조(14)의 슬러지는 제 1 반송라인(L11)을 통해, 상기 제 1 반송라인(L11)에 설치된 초음파장치가 포함되는 탈기장치(20)로 반송되는 바, 상기 분리조(22)에서는 반송된 슬러지가 탈기되고, 탈기된 슬러지를 무산소조(13)로 유입시키게 된다.
즉, 상기 분리조(22)는 초음파장치(51)로 슬러지를 진동시키므로, 상기 분리조(22)에 용존산소 농도가 증가된 슬러지가 유입될 때, 상기 슬러지층의 용존산소 농도는 상기 분리조(22)내에서 감소됨은 물론, 상기 슬러지내의 질소 및 암모니아가스 탈기의 촉진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용존산소 및 질소가스 등 탈기된 슬러지가 무산소조(13)로 유입되면, 상기 무산소조(13)에서는 탈질과정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무산소조(13)에서의 질소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입원수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유기물, 질소 및 인이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막분리 호기조(14)에서 정화된 하수는 제 3 펌프(42)의 펌핑동작으로부터 막 투과수가 생산되어 유출라인(L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안정화조를 적용하고 호기조와 막분리조를 분리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탈기조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유량조정조 11a; 제 1 펌프
12; 혐기조 12a; 교반기
13; 무산소조 13a; 교반기
14; 막분리 호기조 16; 제 2 펌프
17; 제 4 펌프 20; 탈기장치
22; 분리조 23; 에어벤트
32; 블로워 41; 체크밸브
42; 제 3 펌프 51; 초음파장치

Claims (5)

  1. 원수를 공급하는 유량조정조; 상기 유량조정조에서 공급하는 원수를 이용하여 유기물 및 인처리를 위한 혐기조; 탈질을 위한 무산소조; 유기물 제거와 질산화, 고액분리를 위한 막분리 호기조; 를 포함하고,
    상기 막분리 호기조와 무산소조는 내부 슬러지 반송을 위한 제 1 반송라인을 구성하고, 상기 무산소조와 혐기조는 내부 슬러지 반송을 위한 제 2 반송라인을 구성하되, 상기 제 1 반송라인에는 상기 무산소조의 탈질과정을 안정화시키도록 초음파 장치를 포함한 탈기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장치는 초음파장치 및 슬러지가 5분이내 머무를 수 있는 분리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내는 슬러지가 체류하는 동안 질소 및 인 제거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슬러지층의 용존산소, 질소가스 및 암모니아가스의 탈기를 촉진시키도록 초음파로 슬러지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장치.
  4. 유량조정조를 통해 원수 공급시 혐기조에서 하수에 포함되는 유기물 및 인과 질소를 처리한 후 이를 무산소조에 투입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산소조에서 유기물 및 인과 질소가 처리되는 하수의 탈질을 진행시킨 후 막분리 호기조에 투입하는 제 2 단계;
    상기 막분리 호기조에서 블로워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유기물 제거와 질산화, 고액분리를 진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막분리 호기조에서 블로워에 의한 공기 주입량으로부터 용존산소 농도가 증가된 상태의 슬러지를 제 1 반송라인을 통해 분리조로 반송시키는 제 4 단계; 및,
    상기 분리조내에 초음파장치로 슬러지를 진동시켜, 용존산소 농도가 증가된 슬러지가 체류하는 동안 질소 및 인 제거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슬러지층의 용존산소 농도와 질소가스 및 암모니아가스의 탈기를 촉진시킨 후 무산소조로 슬러지를 반송시켜 질산성 질소의 탈질을 촉진하여 질소 제거 효율을 높이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초음파장치는 무산소조내의 용존산소 농도의 모니터링을 통해 용존산소 농도에 따라 초음파장치의 작동여부 및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처리방법.
KR1020080035473A 2008-04-17 2008-04-17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90109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473A KR20090109957A (ko) 2008-04-17 2008-04-17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473A KR20090109957A (ko) 2008-04-17 2008-04-17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957A true KR20090109957A (ko) 2009-10-21

Family

ID=4153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473A KR20090109957A (ko) 2008-04-17 2008-04-17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995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95B1 (ko) * 2010-03-20 2010-07-27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파워텍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KR101341163B1 (ko) * 2012-04-20 2013-12-13 가람환경건설 주식회사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CN107399886A (zh) * 2017-09-26 2017-11-28 朱正直 一种污水处理装置
CN107935179A (zh) * 2017-12-05 2018-04-20 上海碧禹水务工程有限公司 一种采用mbr工艺的一体化生活污水处理设备
CN110698005A (zh) * 2019-11-26 2020-01-17 南京大学 一种降低碳源消耗的反硝化滤池及其运行方法
CN115677045A (zh) * 2022-10-26 2023-02-03 河南新浩润环保有限公司 一种新能源一体化污水处理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95B1 (ko) * 2010-03-20 2010-07-27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파워텍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KR101341163B1 (ko) * 2012-04-20 2013-12-13 가람환경건설 주식회사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CN107399886A (zh) * 2017-09-26 2017-11-28 朱正直 一种污水处理装置
CN107935179A (zh) * 2017-12-05 2018-04-20 上海碧禹水务工程有限公司 一种采用mbr工艺的一体化生活污水处理设备
CN110698005A (zh) * 2019-11-26 2020-01-17 南京大学 一种降低碳源消耗的反硝化滤池及其运行方法
CN115677045A (zh) * 2022-10-26 2023-02-03 河南新浩润环保有限公司 一种新能源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115677045B (zh) * 2022-10-26 2023-07-14 河南新浩润环保有限公司 一种新能源一体化污水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0967A (ko)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및 장치
KR20090109957A (ko)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85044B1 (ko) 기존의 하수처리시설을 고도처리시설로 리모델링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고도처리시설의 운전 방법
KR20090109956A (ko)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 장치 및방법
KR101721251B1 (ko) 막 결합형 sbr 공법
KR100917839B1 (ko) 양성반응조 및 분리막조를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공법
KR20090098544A (ko) 오폐수 처리 공법 및 그 장치
KR101326402B1 (ko) 연속 회분식 반응조를 포함하는 막 생물 반응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KR100940123B1 (ko) 부유접촉형 하수처리시설 장치
JP2009061349A (ja) 膜分離活性汚泥法による汚水処理方法
KR20200042273A (ko) 삼분할포기 및 흐름변경방법을 적용한 침지식 멤브레인 결합형 하폐수 고도처리방법
KR19980083279A (ko) 침지형 정밀여과막-활성슬러지 공정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 및 영양물질 처리방법
WO2018123647A1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原水供給装置及び原水供給方法
KR101367229B1 (ko) 침수식 막 고도처리공정의 운전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침수식 막 고도처리장치
KR102021951B1 (ko) 여과막의 왕복운동과 간헐 공기세정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044826B1 (ko) 막 여과 생물반응조의 고도처리 효율을 높이는 운전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고도처리장치
KR100839035B1 (ko) 산기관을 이용한 슬러지 고액분리 부상공정에 의한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JP3836038B2 (ja) 汚泥の処理方法及び処理設備
JP5925023B2 (ja) 汚泥排水の処理設備及び処理方法
KR100710488B1 (ko) 용존오존부상 및 가압오존산화와 생물처리를 연계한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1186360B1 (ko)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 방법
JP2000140886A (ja) 窒素含有排液の処理設備
KR102059988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분리막 수처리 장치
KR20180045919A (ko) 연속회분식 공정을 이용한 하수 고도처리 장치
JP4307275B2 (ja) 汚水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