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967A -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967A
KR20020090967A KR1020020065480A KR20020065480A KR20020090967A KR 20020090967 A KR20020090967 A KR 20020090967A KR 1020020065480 A KR1020020065480 A KR 1020020065480A KR 20020065480 A KR20020065480 A KR 20020065480A KR 20020090967 A KR20020090967 A KR 20020090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erobic
phosphorus
nitrogen
membrane
anox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2330B1 (ko
Inventor
안규홍
송경근
조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진우환경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진우환경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6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3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21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comprising treatment of the recirculated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은, 질소 제거를 위한 탈질반응이 일어나는 무산소 공정 및 인의 방출을 위한 혐기 공정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질소 및 인을 동시처리하기 위한 하·폐수고도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무산소 공정은, 하수, 오수, 또는 폐수를 유입원수로 하여 연속적으로 무산소/혐기조로 유입시키는 단계(a); 간헐적으로 가동되는 내부반송펌프를 가동시켜 폭기조에서 발생되는 질산성 질소를 계속적으로 내부반송하여 무산소/혐기조를 무산소 상태로 만드는 단계(b);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원수 중의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계(b)의 내부반송으로 공급되는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전환하여 제거하는 단계(c); 상기 단계(c)에서 탈질처리된 혼합액을 월류시켜 이어지는 폭기조로 이동시키는 단계(d); 블로어에 의하여 연속적인 폭기가 이루어지는 폭기조의 호기성 조건하에서 질산화 미생물에 의하여 유입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전환시키는 질산화 과정 및 남아있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유기물 산화과정을 진행시키는 단계(e); 및 폭기조 내에 설치된 침지형 분리막을 이용하여 처리수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는 단계(f)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혐기 공정은, 하수, 오수, 또는 폐수를 유입원수로 하여 연속적으로 무산소/혐기조로 유입시키는 단계(a'); 간헐적으로 가동되는 내부반송펌프의 가동을 정지시켜 폭기조에서 발생되는 질산성 질소의 내부반송을 중단하여 무산소/혐기조를 혐기 상태로 만드는 단계(b'); 상기단계(b)의 내부반송 중단으로 질산성 질소가 탈질되어 고갈된 혐기성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원수 중의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탈인 미생물로 인을 방출시키는 단계(c'); 상기 단계(c')에서 인을 방출한 미생물을 월류시켜 이어지는 폭기조로 이동시키는 단계(d'); 블로어에 의하여 연속적인 폭기가 이루어지는 폭기조의 호기성 조건하에서 상기 단계(d')의 인 방출 미생물의 인 과잉섭취를 통하여 폭기조 내의 용존성 인의 농도를 낮추고, 동시에 질산화 미생물에 의하여 유입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전환시키는 질산화 과정 및 남아있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유기물 산화과정을 진행시키는 단계(e'); 폭기조 내에 설치된 침지형 분리막을 이용하여 인이 제거된 처리수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는 단계(f'); 및 상기 단계(e')의 인이 과잉섭취된 상태의 슬러지를 폐기하여 인을 배출시키는 단계(g')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산소/혐기조에서의 무산소 공정 및 혐기 공정의 구분은 내부반송펌프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내부반송 유무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및 장치{Membrane Coupled Activated Sludge Method and Reactor Operating Anoxic/Anaerobic Zone alternatively for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본 발명은 하수 또는 폐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질 뿐만 아니라, 하천과 호수의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원인물질인 질소 및 인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한 하·폐수의 고도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간격에 따라 간헐적인 내부반송에 의하여 무산소 공정과 혐기 공정이 교대로 운전되는 무산소/혐기조와 연속운전이 되는 침지형 분리막이 장착된 폭기조의 2개 반응조로 구성된 막분리 활성슬러지장치를 이용하여 하·폐수 중의 유기물과 함께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하는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하·폐수 고도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폐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와 인이 처리되지 않고 방류되는 경우, 하천과 호수의 부영양화를 일으켜 수자원 및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특히 질산성 질소가 다량 함유된 물을 유아가 마실 경우에는 청색증을 유발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규제가 강화되어가고 있는 질소와 인의 처리를 위하여 여러 가지 고도처리방법들이 고안되었으며, 대표적인 공정들로는 MLE(Modified Ludzack-Ettinger), A2O, UCT(University of Cape Town), MUCT(Modified University of Cape Town), VIP(Virginia Initiative Plant) 등의 생물학적 고도처리공법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표적인 공정들은 여러 개의 반응조와 내부순환펌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질소와 인의 제거를 위한 최적조건을 유지하기가 까다로워 운전이 매우 복잡하고, 미생물과 처리수의 고액분리가 침전조에서 중력침강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생물의 농도를 높게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공정들은 유입부하의 변동과 독성물질의 유입 등과 같은 충격부하에 의하여 미생물의 팽화현상 등이 발생하여 처리수질을 떨어뜨리거나 활성미생물의 유실로 효율적인 처리에 많은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독립적인 반응조들과 말단의 침전조를 설치해야 하므로 넓은 부지를 차지하여 중소규모의 하·폐수고도처리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액분리에 분리막을 이용하는 분리막 활성슬러지방법들을 응용한 여러 가지 하·폐수고도처리 방법들이 시도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고도처리를 위하여 여러 개의 반응조를 배열해야 하고, 인의 제거가 어려운 등의 단점들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처리방법 중에 하나로 "배수처리방법(일본 특허공개번호 특개평7-100486)"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간헐폭기를 통하여 질산화와 탈질을 유도하는 제1 처리조와 고액분리를 위한 침지형 분리막이 설치된 제2 처리조로 구성하여 질소제거가 가능하며 연속적인 흡인여과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인의 제거를 위한 혐기조건을 만들 수가 없어 인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없으며, 연속흡인여과를 위하여 제2 처리조를 따로 설치하여 운전함으로써 분리막의 오염방지를 위하여 제2 처리조에 대한 추가적인 폭기가 필요하게 되어 폭기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이 이중으로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방법으로서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 장치 및 방법(대한민국 특허공개 2002-44820)"이 있다. 이 방법은 무산소조, 혐기조, 호기조, 탈기조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질소와 인의 동시제거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인제거를 위해서 혐기조를 추가로 두어야하며, 또한 국내의 하수의 특성인 낮은 C/N비를 갖는 하수인 경우에는 전단에 설치된 무산소조에서 대부분의 탄소원을 탈질에 사용함으로써, 혐기조에서의 인의 방출에 필요한 탄소원의 부족으로 인의 제거에 한계가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순환펌프의 간헐적 가동으로 무산소/혐기 공정을 교대로 반복시켜, 무산소 상태에서는 탈질반응으로 질소를 제거하고, 혐기 상태에서는 인을 방출시킴으로써, 하·폐수 중의 질소와 인을 동시에 처리하고, 처리수질을 향상시킨,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산소/혐기 공정의 유지시간 및 내부순환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고, 반응조 및 소요펌프의 개수를 줄여 공정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한,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에 있어서, 무산소 처리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에 있어서, 혐기 처리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입원수2: 무산소/혐기조
3: 교반기4: 내부반송펌프
5: 폭기조6: 침지형 분리막
7: 처리수8: 슬러지 폐기
9: 블로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은, 질소 제거를 위한 탈질반응이 일어나는 무산소 공정 및 인의 방출을 위한 혐기 공정이 교대로이루어지는, 질소 및 인을 동시처리하기 위한 하·폐수고도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무산소 공정은, 하수, 오수, 또는 폐수를 유입원수로 하여 연속적으로 무산소/혐기조로 유입시키는 단계(a); 간헐적으로 가동되는 내부반송펌프를 가동시켜 폭기조에서 발생되는 질산성 질소를 계속적으로 내부반송하여 무산소/혐기조를 무산소 상태로 만드는 단계(b);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원수 중의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계(b)의 내부반송으로 공급되는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전환하여 제거하는 단계(c); 상기 단계(c)에서 탈질처리된 혼합액을 월류시켜 이어지는 폭기조로 이동시키는 단계(d); 블로어에 의하여 연속적인 폭기가 이루어지는 폭기조의 호기성 조건하에서 질산화 미생물에 의하여 유입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전환시키는 질산화 과정 및 남아있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유기물 산화과정을 진행시키는 단계(e); 및 폭기조 내에 설치된 침지형 분리막을 이용하여 처리수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는 단계(f)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혐기 공정은, 하수, 오수, 또는 폐수를 유입원수로 하여 연속적으로 무산소/혐기조로 유입시키는 단계(a'); 간헐적으로 가동되는 내부반송펌프의 가동을 정지시켜 폭기조에서 발생되는 질산성 질소의 내부반송을 중단하여 무산소/혐기조를 혐기 상태로 만드는 단계(b'); 상기 단계(b)의 내부반송 중단으로 질산성 질소가 탈질되어 고갈된 혐기성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원수 중의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탈인 미생물로 인을 방출시키는 단계(c'); 상기 단계(c')에서 인을 방출한 미생물을 월류시켜 이어지는 폭기조로 이동시키는 단계(d'); 블로어에 의하여 연속적인 폭기가 이루어지는 폭기조의 호기성 조건하에서 상기 단계(d')의인 방출 미생물의 인 과잉섭취를 통하여 폭기조 내의 용존성 인의 농도를 낮추고, 동시에 질산화 미생물에 의하여 유입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전환시키는 질산화 과정 및 남아있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유기물 산화과정을 진행시키는 단계(e'); 폭기조 내에 설치된 침지형 분리막을 이용하여 인이 제거된 처리수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는 단계(f'); 및 상기 단계(e')의 인이 과잉섭취된 상태의 슬러지를 폐기하여 인을 배출시키는 단계(g')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산소/혐기조에서의 무산소 공정 및 혐기 공정의 구분은 내부반송펌프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내부반송 유무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에 있어서, 무산소/혐기조에서의 무산소 공정 및 혐기 공정의 시간과 반송유량은 무산소 공정의 단계(b) 및 혐기 공정의 단계(b')에서의 내부반송펌프의 가동시간을 조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에 있어서, 무산소 공정의 단계(f) 및 혐기 공정의 단계(f')의 처리수를 얻기 위한 침지형 분리막은 막의 형태가 평막형, 중공사형, 또는 관형으로부터 선택되는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에 있어서, 무산소 공정의 단계(f) 및 혐기 공정의 단계(f')는 침지형 분리막으로부터 처리수를 얻기 위하여 막여과함에 있어 흡인펌프를 이용하거나, 수두차에 의한 자연적인 흡인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장치는, 질소 제거를 위한 탈질반응이 일어나는 무산소 공정 및 인의 방출을 위한 혐기 공정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질소 및 인을 동시처리하기 위한 하·폐수고도처리 장치로서, 교반기가 장착된 무산소/혐기조; 호기성 상태에서 유기물 산화, 질산화 반응, 및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나도록 하는, 블로우가 설치된 폭기조; 상기 폭기조로부터 발생되는 질산성 질소를 상기 무산소/혐기조로 반송하는 내부반송펌프; 및 막 여과를 통하여 처리수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상기 폭기조내에 장착되는 침지형 분리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산소/혐기조에서의 무산소 공정 및 혐기 공정의 구분은 내부반송펌프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내부반송 유무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지형 분리막은 막의 형태가 평막형, 중공사형, 또는 관형으로부터 선택되는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침지형 분리막으로부터 처리수를 흡인 여과하기 위하여 흡인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장치 및 공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에 있어서, 무산소 처리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에 있어서, 혐기 처리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폭기조(5)로부터 활성슬러지 혼합액을 무산소/혐기조(2)로 반송하는 내부반송펌프(4)를 시간간격에 따라 단속함으로써 무산소조건과 혐기조건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반기(3)가 장착된 무산소/혐기조(2)와 연속적인 폭기와 막여과가 이루어지는 침지형 분리막(6)이 장착된 폭기조(5)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수, 오수, 폐수 등의 유입원수(1)는 연속적으로 무산소/혐기조(2)로 유입된다. 무산소/혐기조에서의 무산소 공정과 혐기 공정의 구분은 내부반송의 유무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다. 즉, 시간간격에 따라 간헐적으로 가동되는 내부반송펌프(4)가 가동되고 있는 기간동안은 내부반송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질산성 질소가 공급되기 때문에 무산소 공정이 되며, 정지되어 있는 기간동안은 질산성 질소의 공급이 끊어져 조내에 질산성 질소가 고갈되어 혐기 공정이 된다.
무산소 공정 동안 무산소/혐기조(2) 내에서는,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원수(1) 중의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폭기조(5)로부터 내부반송으로 공급되는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전환하여 제거하는 탈질과정이 진행되며, 이렇게 탈질처리된 혼합액은 월류하여 이어지는 폭기조(5)로 이동하게 된다. 블로어(9)에 의하여 연속적인 폭기가 이루어지는 폭기조(5)에서는 호기성 조건하에서 질산화 미생물에 의하여 유입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전환시키는 질산화 과정 및 남아있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유기물 산화과정이 진행되며, 동시에 폭기조(5) 내에 설치된 침지형 분리막(6)을 이용하여 처리수(7)를 연속 배출한다.
혐기 공정 동안에는 무산소/혐기조(2)로의 내부반송이 멈추며 그에 따라 무산소/혐기조(2) 내에 잔류하고 있는 질산성 질소가 탈질되어 완전히 제거되어 혐기성 상태가 되며 유입원수 중에 포함된 탄소원을 이용하여 탈인 미생물이 인의 방출을 하게 된다. 인을 방출한 미생물은 이어지는 폭기조(5)에서 호기성 조건하에서 인의 과잉섭취를 통하여 폭기조(5) 내의 용존성 인의 농도를 낮추게 되며, 동시에 폭기조에서는 질산화 미생물에 의하여 유입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전환시키는 질산화 과정 및 남아있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유기물 산화과정이 진행된다. 이렇게 인이 제거된 처리수(7)를 침지형 분리막(6)을 이용하여 연속 배출하게 된다. 동시에 인이 과잉섭취된 상태의 슬러지를 폐기(8)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인이 배출된다.
비록 상기에서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은, 내부순환펌프의 간헐적 가동으로 무산소/혐기 공정을 교대로 반복시켜, 무산소 상태에서는 탈질반응으로 질소를 제거하고, 혐기 상태에서는 인을 방출시킴으로써, 하·폐수 중의 질소와 인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국내의 일반적인 하수의 특성인 C/N비가 낮은 경우에도, 하수 중에 포함된 한정된 탄소원을 탈질과 인 제거에 효과적으로 분배이용함으로써, 질소와 인의 제거효율을 동시에 높게 유지할 수 있어 국내하수처리에 적용이 유리한 방법이다. 또한, 처리되는 수질도 침지형 분리막을 통한 완벽한 고액분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도로 깨끗한 수질을 유지하게 되어 처리된 처리수를 별도의 추가적인 처리 없이 중수로서 바로 재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산소/혐기조가 시간간격에 따라 교대로 운전되지만, 유입원수가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동시에 폭기조에서 막여과 공정을 통해 연속적으로 처리수를 생산함으로써 총 처리수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반송펌프의 가동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무산소/혐기 공정의 유지시간 및 내부순환유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반응조 및 소요펌프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공정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Claims (7)

  1. 질소 제거를 위한 탈질반응이 일어나는 무산소 공정 및 인의 방출을 위한 혐기 공정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질소 및 인을 동시처리하기 위한 하·폐수고도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무산소 공정은,
    하수, 오수, 또는 폐수를 유입원수로 하여 연속적으로 무산소/혐기조로 유입시키는 단계(a);
    간헐적으로 가동되는 내부반송펌프를 가동시켜 폭기조에서 발생되는 질산성 질소를 계속적으로 내부반송하여 무산소/혐기조를 무산소 상태로 만드는 단계(b);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원수 중의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상기 단계(b)의 내부반송으로 공급되는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전환하여 제거하는 단계(c);
    상기 단계(c)에서 탈질처리된 혼합액을 월류시켜 이어지는 폭기조로 이동시키는 단계(d);
    블로어에 의하여 연속적인 폭기가 이루어지는 폭기조의 호기성 조건하에서 질산화 미생물에 의하여 유입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전환시키는 질산화 과정 및 남아있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유기물 산화과정을 진행시키는 단계(e); 및
    폭기조 내에 설치된 침지형 분리막을 이용하여 처리수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는 단계(f)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혐기 공정은,
    하수, 오수, 또는 폐수를 유입원수로 하여 연속적으로 무산소/혐기조로 유입시키는 단계(a');
    간헐적으로 가동되는 내부반송펌프의 가동을 정지시켜 폭기조에서 발생되는 질산성 질소의 내부반송을 중단하여 무산소/혐기조를 혐기 상태로 만드는 단계(b');
    상기 단계(b)의 내부반송 중단으로 질산성 질소가 탈질되어 고갈된 혐기성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원수 중의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탈인 미생물로 인을 방출시키는 단계(c');
    상기 단계(c')에서 인을 방출한 미생물을 월류시켜 이어지는 폭기조로 이동시키는 단계(d');
    블로어에 의하여 연속적인 폭기가 이루어지는 폭기조의 호기성 조건하에서 상기 단계(d')의 인 방출 미생물의 인 과잉섭취를 통하여 폭기조 내의 용존성 인의 농도를 낮추고, 동시에 질산화 미생물에 의하여 유입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전환시키는 질산화 과정 및 남아있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유기물 산화과정을 진행시키는 단계(e');
    폭기조 내에 설치된 침지형 분리막을 이용하여 인이 제거된 처리수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는 단계(f'); 및
    상기 단계(e')의 인이 과잉섭취된 상태의 슬러지를 폐기하여 인을 배출시키는 단계(g')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산소/혐기조에서의 무산소 공정 및 혐기 공정의 구분은 내부반송펌프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내부반송 유무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무산소/혐기조에서의 무산소 공정 및 혐기 공정의 시간과 반송유량은 무산소 공정의 단계(b) 및 혐기 공정의 단계(b')에서의 내부반송펌프의 가동시간을 조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무산소 공정의 단계(f) 및 혐기 공정의 단계(f')의 처리수를 얻기 위한 침지형 분리막은 막의 형태가 평막형, 중공사형, 또는 관형으로부터 선택되는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무산소 공정의 단계(f) 및 혐기 공정의 단계(f')는 침지형 분리막으로부터 처리수를 얻기 위하여 막여과함에 있어 흡인펌프를 이용하거나, 수두차에 의한 자연적인 흡인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5. 질소 제거를 위한 탈질반응이 일어나는 무산소 공정 및 인의 방출을 위한 혐기 공정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질소 및 인을 동시처리하기 위한 하·폐수고도처리 장치로서,
    교반기가 장착된 무산소/혐기조; 호기성 상태에서 유기물 산화, 질산화 반응, 및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나도록 하는, 블로우가 설치된 폭기조; 상기 폭기조로부터 발생되는 질산성 질소를 상기 무산소/혐기조로 반송하는 내부반송펌프; 및 막 여과를 통하여 처리수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상기 폭기조내에 장착되는 침지형 분리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산소/혐기조에서의 무산소 공정 및 혐기 공정의 구분은 내부반송펌프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내부반송 유무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형 분리막은 막의 형태가 평막형, 중공사형, 또는 관형으로부터 선택되는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침지형 분리막으로부터 처리수를 흡인 여과하기 위하여 흡인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장치.
KR10-2002-0065480A 2002-10-25 2002-10-25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 및 혐기 공정 교대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KR10041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480A KR100412330B1 (ko) 2002-10-25 2002-10-25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 및 혐기 공정 교대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480A KR100412330B1 (ko) 2002-10-25 2002-10-25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 및 혐기 공정 교대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967A true KR20020090967A (ko) 2002-12-05
KR100412330B1 KR100412330B1 (ko) 2004-01-07

Family

ID=2772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480A KR100412330B1 (ko) 2002-10-25 2002-10-25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 및 혐기 공정 교대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330B1 (ko)

Cited B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5440A1 (en) * 2005-11-14 2007-05-1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mbrane coupled activated sludge method and apparatus operating anoxic/anaerobic process alternately for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ous
KR100740580B1 (ko) * 2005-11-09 2007-07-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활성 슬러지 공법을 이용하는 기존의 하수 처리공정으로부터 개선된 단일 반응조를 구비하는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KR100814323B1 (ko) * 2004-04-22 2008-03-18 지멘스 워터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멤브레인 생물 반응기 및 유기물질 소화용 처리조를포함하는 여과 장치
US7718057B2 (en) 2005-10-05 2010-05-18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7718065B2 (en) 2004-04-22 2010-05-18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862719B2 (en) 2004-08-20 2011-01-04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Square membrane manifold system
US7938966B2 (en) 2002-10-10 2011-05-10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Backwash method
KR101063828B1 (ko) * 2009-02-06 2011-09-14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이온교환막으로 연결된 질산화조를 구비하는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 방법
US8048306B2 (en) 1996-12-20 2011-11-01 Siemens Industry, Inc. Scouring method
US8182687B2 (en) 2002-06-18 2012-05-22 Siemens Industry, Inc. Methods of minimising the effect of integrity loss in hollow fibre membrane modules
US8268176B2 (en) 2003-08-29 2012-09-18 Siemens Industry, Inc. Backwash
US8287743B2 (en) 2007-05-29 2012-10-16 Siemens Industry, Inc.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US8293098B2 (en) 2006-10-24 2012-10-23 Siemens Industry, Inc. Infiltration/inflow control for membrane bioreactor
US8318028B2 (en) 2007-04-02 2012-11-27 Siemens Industry, Inc. Infiltration/inflow control for membrane bioreactor
US8372282B2 (en) 2002-12-05 2013-02-12 Siemens Industry, Inc. Mixing chamber
US8377305B2 (en) 2004-09-15 2013-02-19 Siemens Industry, Inc. Continuously variable aeration
US8382981B2 (en) 2008-07-24 2013-02-26 Siemens Industry, Inc. Frame system for membrane filtration modules
US8496828B2 (en) 2004-12-24 2013-07-30 Siemens Industry, Inc. Cleaning in membrane filtration systems
US8506806B2 (en) 2004-09-14 2013-08-13 Siemens Indust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from a membrane module
US8512568B2 (en) 2001-08-09 2013-08-20 Siemens Industry, Inc. Method of cleaning membrane modules
US8518256B2 (en) 2001-04-04 2013-08-27 Siemens Industry, Inc. Membrane module
US8758622B2 (en) 2004-12-24 2014-06-2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Simple gas scouring method and apparatus
US8758621B2 (en) 2004-03-26 2014-06-2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ying impure water using microfiltration or ultrafiltration in combination with reverse osmosis
US8790515B2 (en) 2004-09-07 2014-07-2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Reduction of backwash liquid waste
US8808540B2 (en) 2003-11-14 2014-08-1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odule cleaning method
US8858796B2 (en) 2005-08-22 2014-10-1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Assembly for water filtration using a tube manifold to minimise backwash
KR20140142991A (ko) * 2013-06-05 2014-12-15 경기도 인공 빛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US8956464B2 (en) 2009-06-11 2015-02-1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thod of cleaning membranes
US9022224B2 (en) 2010-09-24 2015-05-0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control manifold for membrane filtration system
KR20160150287A (ko) 2016-12-19 2016-12-2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호기성 입상 슬러지를 이용한 부분 질산화 방법
US9533261B2 (en) 2012-06-28 2017-01-0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Potting method
US9604166B2 (en) 2011-09-30 2017-03-2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anifold arrangement
US9675938B2 (en) 2005-04-29 2017-06-1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Chemical clean for membrane filter
US9764289B2 (en) 2012-09-26 2017-09-1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securement device
US9764288B2 (en) 2007-04-04 2017-09-1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module protection
US9815027B2 (en) 2012-09-27 2017-11-1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Gas scouring apparatus for immersed membranes
US9914097B2 (en) 2010-04-30 2018-03-1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flow distribution device
US9925499B2 (en) 2011-09-30 2018-03-2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Isolation valve with seal for end cap of a filtration system
US9962865B2 (en) 2012-09-26 2018-05-0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potting methods
US10322375B2 (en) 2015-07-14 2019-06-1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Aeration device for filtration system
CN110015756A (zh) * 2019-04-11 2019-07-16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反硝化除磷耦合振动缺氧mbr装置及工艺
US10427102B2 (en) 2013-10-02 2019-10-01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a membrane filtration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579B1 (ko) 2005-11-09 2007-07-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활성 슬러지 공법을 이용하는 기존의 하수 처리공정으로부터 개선된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KR101216181B1 (ko) * 2012-01-18 2012-12-28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Mbr 공정에 적합한 인 제거용 응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9391A (ja) * 1992-05-12 1993-11-22 Kubota Corp 水処理方法
JPH0947781A (ja) * 1995-08-11 1997-02-18 Seiriyuu Kk 廃水中のbod、窒素および燐の処理方法
JP3385150B2 (ja) * 1996-02-22 2003-03-10 株式会社クボタ 廃水処理方法
KR19990083645A (ko) * 1999-07-29 1999-11-25 이호용 간헐폭기공정과 평판형 정밀여과막을 이용한 유기물 및 질소·인의 제거방법

Cited B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8306B2 (en) 1996-12-20 2011-11-01 Siemens Industry, Inc. Scouring method
US8518256B2 (en) 2001-04-04 2013-08-27 Siemens Industry, Inc. Membrane module
US8512568B2 (en) 2001-08-09 2013-08-20 Siemens Industry, Inc. Method of cleaning membrane modules
US8182687B2 (en) 2002-06-18 2012-05-22 Siemens Industry, Inc. Methods of minimising the effect of integrity loss in hollow fibre membrane modules
US7938966B2 (en) 2002-10-10 2011-05-10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Backwash method
US8372282B2 (en) 2002-12-05 2013-02-12 Siemens Industry, Inc. Mixing chamber
US8268176B2 (en) 2003-08-29 2012-09-18 Siemens Industry, Inc. Backwash
US8808540B2 (en) 2003-11-14 2014-08-1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odule cleaning method
US8758621B2 (en) 2004-03-26 2014-06-2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ying impure water using microfiltration or ultrafiltration in combination with reverse osmosis
KR100814323B1 (ko) * 2004-04-22 2008-03-18 지멘스 워터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멤브레인 생물 반응기 및 유기물질 소화용 처리조를포함하는 여과 장치
US7718065B2 (en) 2004-04-22 2010-05-18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862719B2 (en) 2004-08-20 2011-01-04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Square membrane manifold system
US8790515B2 (en) 2004-09-07 2014-07-2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Reduction of backwash liquid waste
US8506806B2 (en) 2004-09-14 2013-08-13 Siemens Indust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from a membrane module
US8377305B2 (en) 2004-09-15 2013-02-19 Siemens Industry, Inc. Continuously variable aeration
US8496828B2 (en) 2004-12-24 2013-07-30 Siemens Industry, Inc. Cleaning in membrane filtration systems
US8758622B2 (en) 2004-12-24 2014-06-2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Simple gas scouring method and apparatus
US9675938B2 (en) 2005-04-29 2017-06-1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Chemical clean for membrane filter
US8858796B2 (en) 2005-08-22 2014-10-1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Assembly for water filtration using a tube manifold to minimise backwash
US8894858B1 (en) 2005-08-22 2014-11-2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ssembly for water filtration using a tube manifold to minimize backwash
US7722769B2 (en) 2005-10-05 2010-05-25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US7718057B2 (en) 2005-10-05 2010-05-18 Siemens Water Technologies Corp.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0740580B1 (ko) * 2005-11-09 2007-07-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활성 슬러지 공법을 이용하는 기존의 하수 처리공정으로부터 개선된 단일 반응조를 구비하는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WO2007055440A1 (en) * 2005-11-14 2007-05-1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mbrane coupled activated sludge method and apparatus operating anoxic/anaerobic process alternately for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ous
US7314563B2 (en) 2005-11-14 2008-01-0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mbrane coupled activated sludge method and apparatus operating anoxic/anaerobic process alternately for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ous
US8293098B2 (en) 2006-10-24 2012-10-23 Siemens Industry, Inc. Infiltration/inflow control for membrane bioreactor
US8318028B2 (en) 2007-04-02 2012-11-27 Siemens Industry, Inc. Infiltration/inflow control for membrane bioreactor
US8623202B2 (en) 2007-04-02 2014-01-07 Siemens Water Technologies Llc Infiltration/inflow control for membrane bioreactor
US9764288B2 (en) 2007-04-04 2017-09-1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module protection
US9206057B2 (en) 2007-05-29 2015-12-0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US8372276B2 (en) 2007-05-29 2013-02-12 Siemens Industry, Inc.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US8287743B2 (en) 2007-05-29 2012-10-16 Siemens Industry, Inc.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US10507431B2 (en) 2007-05-29 2019-12-1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US8840783B2 (en) 2007-05-29 2014-09-2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Water treatment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US9573824B2 (en) 2007-05-29 2017-02-21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US9023206B2 (en) 2008-07-24 2015-05-0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rame system for membrane filtration modules
US8382981B2 (en) 2008-07-24 2013-02-26 Siemens Industry, Inc. Frame system for membrane filtration modules
KR101063828B1 (ko) * 2009-02-06 2011-09-14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이온교환막으로 연결된 질산화조를 구비하는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 방법
US8956464B2 (en) 2009-06-11 2015-02-1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thod of cleaning membranes
US10441920B2 (en) 2010-04-30 2019-10-1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flow distribution device
US9914097B2 (en) 2010-04-30 2018-03-1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flow distribution device
US9630147B2 (en) 2010-09-24 2017-04-2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control manifold for membrane filtration system
US9022224B2 (en) 2010-09-24 2015-05-0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control manifold for membrane filtration system
US9604166B2 (en) 2011-09-30 2017-03-2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anifold arrangement
US11065569B2 (en) 2011-09-30 2021-07-20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Singapore Pte. Ltd. Manifold arrangement
US10391432B2 (en) 2011-09-30 2019-08-2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anifold arrangement
US9925499B2 (en) 2011-09-30 2018-03-2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Isolation valve with seal for end cap of a filtration system
US9533261B2 (en) 2012-06-28 2017-01-0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Potting method
US9962865B2 (en) 2012-09-26 2018-05-0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potting methods
US9764289B2 (en) 2012-09-26 2017-09-1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securement device
US9815027B2 (en) 2012-09-27 2017-11-1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Gas scouring apparatus for immersed membranes
KR20140142991A (ko) * 2013-06-05 2014-12-15 경기도 인공 빛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US10427102B2 (en) 2013-10-02 2019-10-01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a membrane filtration module
US11173453B2 (en) 2013-10-02 2021-11-16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Singapores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a membrane filtration module
US10322375B2 (en) 2015-07-14 2019-06-1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Aeration device for filtration system
KR20160150287A (ko) 2016-12-19 2016-12-2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호기성 입상 슬러지를 이용한 부분 질산화 방법
CN110015756A (zh) * 2019-04-11 2019-07-16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反硝化除磷耦合振动缺氧mbr装置及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2330B1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330B1 (ko)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 및 혐기 공정 교대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US8679339B2 (en) Refuse landfill leachat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technology
JP4632356B2 (ja) 生物学的窒素除去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00115412A (ko) 생물반응조, 슬러지분리조, 및 막분리조를 구비한 오폐수 처리장치
KR101721251B1 (ko) 막 결합형 sbr 공법
KR100422211B1 (ko)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장치 및 방법
CN108101313A (zh) 一种反渗透浓水处理设备
KR100327151B1 (ko) 간헐폭기 막활성 슬러지 공정을 사용한 하수처리 방법
KR100889377B1 (ko) 혐기성 및 호기성 반응처리법이 적용된 폐수처리장치
KR100463631B1 (ko) 연속유입 및 간헐배출식 하ㆍ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435107B1 (ko) 오.폐수 및 하수의 질소, 인 제거를 위한 고도 처리장치 및 고도처리방법
KR100709456B1 (ko) 폐수처리장치 및 폐수처리방법
KR100911443B1 (ko) 오폐수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KR100353004B1 (ko) 스미어에 의한 하수의 생물학적 고도처리공정
KR20040020325A (ko) 분리막을 이용한 중수도 처리방법
KR200283062Y1 (ko) 오.폐수 및 하수의 질소, 인 제거를 위한 고도처리장치
KR19990083645A (ko) 간헐폭기공정과 평판형 정밀여과막을 이용한 유기물 및 질소·인의 제거방법
JP3807945B2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348500B1 (ko) 심층순산소폭기에의한하ㆍ폐수고도처리장치
KR100542676B1 (ko) 막결합형 침전조를 이용한 하폐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제거장치 및 방법
CN211814033U (zh) 一种高浓度有机废水好氧mbr及深度处理系统
KR100239804B1 (ko) 생물학적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및 운전방법
KR100740579B1 (ko) 활성 슬러지 공법을 이용하는 기존의 하수 처리공정으로부터 개선된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KR102106688B1 (ko)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방법
KR100740580B1 (ko) 활성 슬러지 공법을 이용하는 기존의 하수 처리공정으로부터 개선된 단일 반응조를 구비하는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