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676B1 - 막결합형 침전조를 이용한 하폐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제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막결합형 침전조를 이용한 하폐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제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676B1
KR100542676B1 KR1020050034399A KR20050034399A KR100542676B1 KR 100542676 B1 KR100542676 B1 KR 100542676B1 KR 1020050034399 A KR1020050034399 A KR 1020050034399A KR 20050034399 A KR20050034399 A KR 20050034399A KR 100542676 B1 KR100542676 B1 KR 10054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embrane
bound
treated water
anaero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헌휘
박재휘
정광순
김종범
이우형
김창용
오지현
Original Assignee
(주)이엔이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엔이,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이엔이
Priority to KR1020050034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혐기조,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상부에 산기관 및 침지형 분리막이 침지되어 있어서 상부는 호기조의 역할을 하고, 하부는 침전조의 역할을 하는 막결합형 침전조를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혐기조로 유입된 피처리수가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막결합형 침전조를 거친 후 분리막을 통하여 처리수로 배출되는 한편, 피처리수의 일부는 막결합형 침전조의 상부에서 내부반송물로 임의성조로 유입되어 용존산소가 제거된 후 무산소조로 재차 유입되며, 일부는 막결합형 침전조의 하부에서 잉여슬러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피처리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처리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질소, 인, 막결합형 침전조

Description

막결합형 침전조를 이용한 하폐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membra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장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피처리수 2. 혐기조
3. 임의성조 4. 무산소조
5. 침지형 분리막 6. 막결합형 침전조
7. 처리수 8. 반송슬러지
9. 잉여슬러지 10. 내부반송물
11, 12, 13 교반기 14. 호기조
15. 산기장치
본 발명은 하폐수 내에 포함된 유기물과 질소 및 인을 생물학적으로 제거하 기 위한 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하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대부분이 활성슬러지법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활성슬러지법은 유기물의 제거에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질소와 인의 처리가 부족하므로 자연수계에 부영양화를 유발하고 있다.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소위 A2/O공법(Anaerobic Anoxic Oxic Process), VIP(Virginia Initiative Plant) 공법 및 바덴포(Bardenpho) 공법 등이 알려져 있다.
하폐수 중의 질소는 대부분 TKN(Total Kjeldahl Nitrogen)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질산화 및 탈질의 2단계 과정으로 이루어진 생물학적방법에 의하여 처리된다. 질산화 단계에서는 호기성인 질산화균에 의해 암모니아성질소 및 유기질소가 아질산성질소를 거쳐 질산성 질소로 전환된다. 무산소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탈질 단계에서는 유리산소 대신 질산성 질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탈질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시키고 질산성 질소는 질소(N2)가스로 환원시키고, 결과적으로 질소는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탈질 반응은 유기물이 없이 진행될 수 있는데, 유기물이 없는 경우를 내생 탈질반응(Endogeneous Denitrification)이라 하고, 상기 내생 탈질반응은 탈질 속도가 느려 피처리수가 장시간 체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탈질반응은 유기물의 농도 및 종류에 의존한다.
인 성분은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이 유기물을 이용하여 인산염의 형태로 인을 방출 한 후, 호기상태에서 미생물이 상기 인을 과잉 섭취하고 세포내에 인의 함량이 높아진 상기 미생물을 잉여슬러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거된다. 한편,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한 인 방출을 위해서는 질산성질소의 농도가 낮아야 한다. 질산성질소가 다량 존재하게 되면 질산성질소의 결합 산소로 인하여 인의 방출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상기 생물학적으로 하폐수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지의 방법에 있어, 최종적으로 활성슬러지를 침전조에서 침전하고 처리된 상징수를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슬러지의 부상이나 사상균에 의한 벌킹 현상으로 상징수가 부유물질을 상당수 함유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침전된 슬러지 중 일부를 폐기하게 되면 슬러지 체류시간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슬러지 체류시간이 적게되면 슬러지 중의 질산화 미생물이 유실되어 질소제거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생물학적 처리장치의 폭기조에 분리막을 설치한 MBR(Membrane Bioreactor) 공법이 각광을 받고있다. 그러나 종래 MBR 공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MBR 공법은 질산화와 유기물의 제거 및 분리막의 세정을 위하여 공기를 주입하는데 이때, 질산화와 유기물 제거에 필요한 공기량보다 분리막의 세정을 위한 공기량이 훨씬 많기 때문에 조내에서의 과산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내부반송되는 피처리수 중의 용존산소 농도가 높게되어 전체공정에 용존산소 농도가 높게되고 따라서 탈질반응을 저해할 수 있다. 그리고 MBR공정의 장점인 긴 SRT(Solids Retention Time)로 인해 발생되는 막오염물질 중 SMP(Soluble microbial products)나 EPS(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등의 증가는 막의 수명을 저하시키고 세정주기를 짧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잉여슬러지의 폐기에 있어서 농축슬러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의 폭기조슬러지를 폐기시키게 되므로 필요제거량에 비해 많은 부피의 슬러지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MBR을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방법에 있어서 유기물 제거 및 질산화를 위한 호기조의 과산화현상을 줄이고 막오염을 최소화하며 적절한 양의 슬러지 폐기를 하는 막결합형 침전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처리수가 혐기조,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막결합형 침전조로 구성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장치를 효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질소 및 인이 보다 효율적으로 그리고 최대한 제거되도록 하고 침지형 분리막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혐기조,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상부에 산기관 및 침지형 분리막이 침지되어 있어서 상부는 호기조의 역할을 하고, 하부는 침전조의 역할을 하는 막결합형 침전조를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혐기조로 유입된 피처리수가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막결합형 침전조를 거친 후 분리막을 통하여 처리수로 배출되는 한편, 피처리수의 일부는 막결합형 침전조의 상부에서 내부반송물로 임의성조로 유입되어 용존산소가 제거된 후 무산소조로 재차 유입되며, 일부는 막결합형 침전조의 하부에서 잉여슬러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피처리수 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혐기조는 조내에 미생물이 인을 과잉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임의성조는 내부반송물 중의 높은 용존산소를 이용하여 혐기조 유출수중의 유기물을 산화시키고 용존 산소를 저감시키며, 무산소조는 탈질반응을 수행하며, 막결합형 침전조의 상부는 조내의 미생물이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유기물을 산화제거 하며, 피처리수 중의 유기질소를 질산성질소로 산화하는 질산화 반응을 하며, 혐기조에서 과잉 방출된 인의 과량 흡수를 유도하며, 또한 침지형 분리막을 통하여 미생물과 처리수를 흡입여과방식으로 분리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며, 하부는 침전조 형식으로 침전성이 양호한 미생물의 고농도 농축 및 선택을 유지하고 막분리 효율을 극대화하고 잉여슬러지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피처리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혐기조,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상부에 산기관 및 침지형 분리막이 침지되어 있어서 상부는 호기조의 역할을 하고, 하부는 침전조의 역할을 하는 막결합형 침전조를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피처리수를 상기 혐기조로 유입하여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막결합형 침전조를 거친 후 분리막을 통하여 처리수로 배출시키는 한편, 피처리수의 일부는 막결합형 침전조의 상부에서 내부반송물로 임의성조로 유입되어 용존산소가 제거된 후 무산소조로 재차 유입시키며, 일부는 막결합형 침전조의 하부에서 잉여슬러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중의 질소 및 인을 처리하는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략도로써, 상기 장치는 혐기조(2), 임의성조(3), 무산소조(4), 및 상부에 침지형 분리막(5) 및 산기관을 설치한 막결합형 침전조(6)가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처리수(1)는 혐기조(2)로 유입되고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막결합형 침전조를 거쳐 상기 막결합형 침전조에 설치된 분리막을 통하여 정화된 처리수가 배출된다. 한편 막결합형 침전조의 상부에서 일부 피처리수가 내부반송물로 임의성조로 반송되며, 하부에서는 잉여슬러지가 배출되어 일부는 혐기조로 반송되고 일부는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피처리수는 필요에 따라 혐기조 및 무산소조로 분할유입될 수 있다.
상기 혐기조(2)는 조내에 미생물이 피처리수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인을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혐기조(2)와 무산소조(4) 사이에 임의성조(3)를 두어서 침전조로부터 유입되는 내부반송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용존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임의성조(3)는 내부반송물(10) 중의 높은 용존산소를 이용하여 혐기조(2) 유출수중의 유기물을 산화시킴으로써 유기물을 제거하는 동시에 용존 산소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어지는 무산소조의 탈질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임의성조에서 유기물이 충분히 제거됨으로 인해 무산소조에서 탈질을 위한 탄소원이 부족할 경우 혐기성조로 유입되는 피처리수를 무산소조로 분할 유입함으로써 탈질을 위한 탄소원을 공급할 수 있다.
무산소조는 임의성조(3)로 유입되어 용존 산소가 저감된 내부반송물(10) 중 의 질산성 질소를 전자수용체로하여 질소(N2)가스로 환원하는 탈질 기능을 수행한다.
요컨대, 종래기술의 경우 침전조로부터 내부반송되는 피처리수에는 용존 산소가 많아서 이를 직접적으로 무산소조(4)로 유입시킬 경우 탈질반응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은 무산소조 앞에 임의성조를 두어 내부반송되는 피처리수 중의 용존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무산소조에서 탈질반응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막결합형 침전조(6)는 상부에 침지형 분리막 및 산기관이 구비되어 있어서 미생물과 처리수를 분리하여 배출하게 된다. 상기 분리막으로 바람직하게는 평균공경 0.2 ~ 0.5 ㎛의 공극을 갖는 침지형 분리막을 사용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공사형 지지체를 보유하여 인장강도가 35 ∼ 45 kgf/fil인 분리막을 사용함으로써 미생물과 처리수를 분리하여 청정한 처리수(7)를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중공사형 지지체를 보유하여 고인장강도를 갖는 분리막 분리막의 일예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68017호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기관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침지형 분리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산기관이 일체로 구비된 침지형 분리막의 일예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52192호에 공지되어 있다. 보통의 슬러지 및 대장균의 크기는 1 ㎛ 이상이므로 본 발명의 침지형분리막을 사용하면 완벽한 고액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막결합형 침전조의 상부는 분리막 및 산기관이 상부에 구비 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호기조의 역할을 한다. 즉, 산기관으로 공급된 공기에 의해 막결합형 침전조(6)의 상부는 유기질소가 질산성질소로 산화되고 유기물이 산화되어 제거된다. 또한 상기 산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침지형 분리막의 오염이 억제된다. 상기 상부의 피처리수의 일부는 재처리를 위하여 임의성조로 내부반송된다.
본 발명의 막결합형 침전조의 하부는 침전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막결합형 침전조(6)의 하부에서는 침전성이 양호한 미생물을 농축하고 선택하며 내생탈질을 유도하여 질소 제거율을 높이고 고농도의 슬러지의 일부를 혐기조로 반송(8)하여 다량의 미생물 확보를 통한 처리효율을 높일수 있으며 일부는 폐기함으로써 잉여슬러지(9)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혐기조(2), 임의성조(3), 무산소조(4)는 미생물의 부패 방지와 완전한 혼합작용을 위해 교반기(11, 12, 13)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피처리수는 혐기조 및 무산소조로 분할 유입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피처리수 중의 유기물에 의해 질산성 질소를 질소(N2) 가스로 환원하는 무산소조의 탈질반응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중의 질소 및 인을 처리하는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장치는 혐기조(2), 임의성조(3), 무산소조(4), 호기조(14) 및 상부에 침지형 분리막(5) 및 산기관을 설치한 막결합형 침전조(6)가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는 막결합형 침전조의 상부만으로 호기조의 역할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기조와 상기 막결합형 침전 조의 상부는 별도의 경계없이 이어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질소 및 인의 생물학적 처리에 있어, 내부반송물을 무산소조의 앞에 설치된 임의성조에 보내어 산소를 저감한 내부반송물을 무산소조로 유입시킴으로써 무산소조의 탈질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피처리수가 분할 유입되는 경우 무산소조는 피처리수의 유기물을 최대한 활용하여 질산성질소를 충분히 탈질시킨다. 또한 기존의 MBR공법에서의 폭기조에 분리막을 침지시킴으로 발생되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분리막 및 산기관을 침전조의 상부에 설치한 막결합형 침전조를 사용함으로써 분리막에 의한 고액분리가 충분히 이루어지며, 상기 막결합형 침전조가 호기조 및 침전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침전조에서 충분히 농축된 슬러지를 배출 또는 반송함으로써 슬러지의 활용은 높이고, 폐기량은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MBR공정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하폐수 및 오수 중의 유기물은 물론 질소 및 인을 효과적인 제거하면서 침지형 분리막의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처리기술을 제공하여 자연수계에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의해서 낮은 유기물 부하에서도 효과적인 질소 및 인의 제거가 이루어지며, 침지형 분리막의 완벽한 고액분리로 인한 양질의 처리수 배출, 적절한 슬러지체류시간 확보를 통한 F/M비 유지, 이로 수반된 슬러지 발생량 저감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0)

  1. 혐기조,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상부에 산기관 및 침지형 분리막이 침지되어 있어서 상부는 호기조의 역할을 하고, 하부는 침전조의 역할을 하는 막결합형 침전조를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혐기조로 유입된 피처리수가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막결합형 침전조를 거친 후 분리막을 통하여 처리수로 배출되는 한편, 피처리수의 일부는 막결합형 침전조의 상부에서 내부반송물로 임의성조로 유입되어 용존산소가 제거된 후 무산소조로 유입되며, 일부는 막결합형 침전조의 하부에서 잉여슬러지로 배출 및 혐기조로 반송되며,
    상기 침지형분리막은 흡입여과방식의 중공사분리막으로 중공사형 지지체를 보유하여 인장강도가 35 ∼ 45 kgf/fil이며, 평균공경은 0.2 ~ 0.5 ㎛이며, 또한 상기 분리막에는 산기관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치형분리막을 이용한 피처리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피처리수가 혐기조 및 무산소조로 분할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피처리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조는 조내에 미생물이 인을 과잉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임의성조는 내부반송물 중의 높은 용존산소를 이용하여 혐기조 유출수 중의 유기물을 산화시키고 용존 산소를 저감시키며,
    무산소조는 탈질반응을 수행하며,
    막결합형 침전조의 상부는 조내의 미생물이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유기물을 산화제거 하며, 피처리수 중의 유기질소를 질산성질소로 산화하는 질산화 반응을 하며, 혐기조에서 과잉 방출된 인의 과량 흡수를 유도하며, 또한 침지형 분리막을 통하여 미생물과 처리수를 흡입여과방식으로 분리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며, 하부는 침전성이 양호한 미생물을 농축하고 선택하고 막분리 효율을 극대화하고 잉여슬러지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피처리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와 상기 막결합형 침전조의 사이에 별도의 호기조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피처리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장치.
  7. 혐기조,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상부에 산기관 및 침지형 분리막이 침지되어 있어서 상부는 호기조의 역할을 하고, 하부는 침전조의 역할을 하는 막결합형 침전조를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피처리수를 상기 혐기조로 유입하여 임의성조, 무산소조 및 막결합형 침전조를 거친 후 분리막을 통하여 처리수로 배출시키는 한편, 막결합형 침전조의 상부에서 내부반송물로 임의성조로 유입되어 용존산소가 제거된 후 무산소조로 유입시키며, 막결합형 침전조 하부의 농축된 슬러지는 혐기조로 반송시키고 일부는 잉여슬러지로 배출시키며,
    상기 침지형분리막은 흡입여과방식의 중공사분리막으로 중공사형 지지체를 보유하여 인장강도가 35 ∼ 45 kgf/fil이며, 평균공경은 0.2 ~ 0.5 ㎛이며, 또한 상기 분리막에는 산기관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피처리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피처리수가 혐기조 및 무산소조로 분할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피처리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조는 조내에 미생물이 인을 과잉방출하며,
    상기 임의성조는 내부반송물 중의 산소를 최소화하여 무산소조의 탈질효율을 높이며,
    상기 무산소조는 질산성 질소를 피처리수의 유기물 존재하에서 질소(N2)가스로 탈질반응을 하며,
    상기 막결합형 침전조의 상부는 분리막을 통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기능과 함께 조내에 미생물이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유기물을 산화제거 하며, 피처리수 중의 유기질소를 질산성질소로 산화하는 질산화 반응을 하며, 혐기조에서 과잉 방출 된 인의 과량 흡수를 유도하며, 막결합형 침전조의 하부는 유용한 미생물의 농축을 통해 질소 및 인의 제거효율을 증가시키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피처리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와 상기 막결합형 침전조의 사이에 별도의 호기조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분리막을 이용한 피처리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 제거방법.
KR1020050034399A 2005-04-26 2005-04-26 막결합형 침전조를 이용한 하폐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제거장치 및 방법 KR100542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399A KR100542676B1 (ko) 2005-04-26 2005-04-26 막결합형 침전조를 이용한 하폐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제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399A KR100542676B1 (ko) 2005-04-26 2005-04-26 막결합형 침전조를 이용한 하폐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제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2676B1 true KR100542676B1 (ko) 2006-01-11

Family

ID=3717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399A KR100542676B1 (ko) 2005-04-26 2005-04-26 막결합형 침전조를 이용한 하폐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제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1422A (zh) * 2018-08-27 2018-12-25 南京泽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臭氧和微量过氧化钙去除水体中低浓度氨氮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998A (ja) * 1983-06-28 1985-01-16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窒素除去装置
KR100189091B1 (ko) * 1995-11-22 1999-06-01 김형벽 하.폐수 정화장치
KR20020044820A (ko) * 2000-12-06 2002-06-19 방정섭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장치 및 방법
KR20040020325A (ko) * 2002-08-30 2004-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분리막을 이용한 중수도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998A (ja) * 1983-06-28 1985-01-16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窒素除去装置
KR100189091B1 (ko) * 1995-11-22 1999-06-01 김형벽 하.폐수 정화장치
KR20020044820A (ko) * 2000-12-06 2002-06-19 방정섭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장치 및 방법
KR20040020325A (ko) * 2002-08-30 2004-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분리막을 이용한 중수도 처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환경신기술지정서 제31호, 환경기술검증서 제33호, 환경관리공단 환경기술검증보고서, 2001.1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1422A (zh) * 2018-08-27 2018-12-25 南京泽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臭氧和微量过氧化钙去除水体中低浓度氨氮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330B1 (ko) 질소 및 인의 동시처리를 위한 무산소 및 혐기 공정 교대운전형 막분리 활성슬러지공법
JPS633680B2 (ko)
JP3385150B2 (ja) 廃水処理方法
KR100643775B1 (ko) 부유·부착성장 미생물을 이용한 영양염류처리 하이브리드시스템
JP4859170B2 (ja) 窒素含有有機性廃水処理システム
KR100294075B1 (ko) 침출수처리방법및장치
KR20010025386A (ko) 축산폐수의 생물· 물리 및 화학적 처리방법
KR100937482B1 (ko) 중공복합담체를 이용한 하수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KR19980083279A (ko) 침지형 정밀여과막-활성슬러지 공정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 및 영양물질 처리방법
KR20010065008A (ko) 역삼투시스템 및 증발농축법을 이용한 매립장 침출수처리방법
KR100709456B1 (ko) 폐수처리장치 및 폐수처리방법
KR100992321B1 (ko) 분리막 모듈을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KR100542676B1 (ko) 막결합형 침전조를 이용한 하폐수의 생물학적 질소 및 인제거장치 및 방법
KR100331898B1 (ko) 생물·화학적 고도 하수처리 방법
KR100414610B1 (ko) 분리막 생물 반응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100993265B1 (ko) 순환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JP3095620B2 (ja) 生物学的窒素除去装置
JP4363260B2 (ja) 汚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40020325A (ko) 분리막을 이용한 중수도 처리방법
KR20030097075A (ko) 생물막활성탄과 마이크로필터모듈을 이용한 오·폐수고도처리장치
KR20010076873A (ko) 혐기-호기-무산소 시스템을 이용한 침출수의 고농도유기물 및 질소 제거 방법
KR100783790B1 (ko) 다단탈질여과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JP4464035B2 (ja) 汚泥返流水の処理方法
JP2004097926A (ja)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KR1004067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sewage and wastewater using tubular ultra-filtration membrane without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