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163B1 -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 Google Patents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163B1
KR101341163B1 KR1020120041540A KR20120041540A KR101341163B1 KR 101341163 B1 KR101341163 B1 KR 101341163B1 KR 1020120041540 A KR1020120041540 A KR 1020120041540A KR 20120041540 A KR20120041540 A KR 20120041540A KR 101341163 B1 KR101341163 B1 KR 101341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wage
immersion
membrane
anaero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574A (ko
Inventor
조가람
Original Assignee
가람환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람환경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람환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16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은 침전조 대신에 흡인여과방식의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하여 슬러지와 처리수를 완벽하게 분리하며, 전공정이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6시간이하로 되어 반응조의 용적이 작으며, 침전조가 없는 소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분리막의 세정시에 침지식 분리막이 호기조내에 설치된 위치에서 수두차이에 의하여 약품탱크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이 분사되게 되어 무동력으로 직접 세정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세정이 용이하고 세정인력이 절감되어 유지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A disposal facilities of sewage }
본 발명은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산소조, 혐기조, 호기조 및 탈기조의 순서대로 생물반응조를 배열시키고 호기조내에 중공사막으로 구성된 침지식 분리막을 설치하여 유기물 및 대장균의 제거뿐만이 아니라 영양염류의 처리 능력을 극대화시키고 질소,인을 효율적으로 처리함은 물론이고 침지식 분리막으로 고체 및 액체가 분리가능하게 되고 침지식 분리막을 호기조내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자연유하방식으로 세정하게 되어 용이하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세정인력이 절감되어 세정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생물학적으로 하폐수를 고도처리 하여 유기물과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주된 처리방법으로는, 하폐수를 혐기영역, 무산소영역, 호기영역등의 반응조를 통과 시키면서 반응조 슬러지를 반송하여 처리하는 AO, SBR, A2O공정, UCT공정, VIP공정 등의 연속식과 간헐포기에 의한 회분식 등 다수의 처리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중에서 AO, A2O 등을 기준으로 한 연속처리에 의한 간헐포기 연속처리식 하폐수 고도처리방법들은 시설자체의 규모가 크고 복잡하거나 교반기, 반송펌프 침전지등 기계시설과 전기 및 계장설비가 복잡하여 유지관리가 어렵고 운영비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SBR(회분식처리시설)의 경우는 연속처리가 어려우며 슬러지(MLSS) 농도가 높아지면 침전공정에서 슬러지 한계수면이 높아져 고액분리가 곤란하며, SRT(슬러지체류시간)이 길어지면 자산화에 의한 FIN FLOC이 증가하여 처리수질이 나빠져 고도처리의 한계가 있어 여과기 등 고도처리시설을 보완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그외에도, 부상식여재를 이용한 생물학적 하폐수고도처리방법, 완전침지형회전매체와 간헐포기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방법, 펌프이젝터 및 바이오그린 메디아를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기술, 혐기/간헐포기/배양조를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기술, 슬러지 재포기에 의한 하폐수 고도처리기술을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하폐수 고도처리기술들은, 연속처리가 어렵고, 반송슬러지 펌프와 배관설비를 및 침전지와 이의 반송펌프와 배관설비를 필요로 하므로 전기설비 및 계장설비가 복잡하여 유지관리가 어렵고 유지비용도 많이 드는 등의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85467,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전조 대신에 흡인여과방식의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하여 슬러지와 처리수를 완벽하게 분리하며, 전공정이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6시간이하로 되어 반응조의 용적이 작으며, 침전조가 없는 소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막의 세정시에 침지식 분리막이 호기조내에 설치된 위치에서 수두차이에 의하여 약품탱크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이 분사되게 되어 무동력으로 직접 세정되게 하여 세정인력이 절감되어 세정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것이 가능한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유입되는 하수내에 혼입된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차단되는 이물질제거용 스크린과, 하수가 일정기간 집수되어 유입유량의 변동에 대한 유량의 조정과 유입수질이 균등분배되게 하는 유량조정조와, 상기 유량조정조내에 설치된 하수이송펌프에 의하여 하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하수를 헤드박스의 좌우의 둑을 넘어 드럼내부면의 스크린간극에 직교하게 흘려 하부로 하수가 유출되고 고형물은 내부에 걸려져 나선식 배출관을 따라 배출되게 하는 드럼스크린과, 상기 드럼스크린의 유출구를 통과한 하수가 유입되며 내부에 충진된 유기물에 의하여 질산성 질소 및 아질산성 질소를 탈질시키는 무산소조와, 상기 무산소조에서 탈질된 탈질처리수가 유입되며 미생물이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 인을 방출시키는 혐기조와, 상기 혐기조에서 인을 방출시킨 미생물의 체내에 인을 과잉으로 방출된 양의 8배정도까지 섭취시켜서 미생물을 침전시키는 인을 처리시키는 호기조와, 상기 호기조내에 설치되며 중공사막형 흡인여과방식으로 인이 처리된 처리수가 흡입되어 여과되면서 처리되는 침지식 분리막과, 상기 침지식 분리막의 상부에 연결되고 침지식 분리막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약품으로 처리가능한 약품탱크와, 상기 침지식 분리막의 상부에 연결되어 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저장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은 침전조 대신에 흡인여과방식의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하여 슬러지와 처리수를 완벽하게 분리하며, 전공정이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6시간이하로 되어 반응조의 용적이 작으며, 침전조가 없는 소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분리막의 세정시에 침지식 분리막이 호기조내에 설치된 위치에서 수두차이에 의하여 약품탱크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이 분사되게 되어 무동력으로 직접 세정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세정이 용이하고 세정인력이 절감되어 유지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의 드럼스크린의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의 드럼스크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의 침지식 분리막의 일부분이 도시된 사시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되는 하수내에 혼입된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차단되는 이물질제거용 스크린(1)과, 하수가 일정기간 집수되어 유입유량의 변동에 대한 유량의 조정과 유입수질이 균등분배되게 하는 유량조정조(3)와, 상기 유량조정조(3)내에 설치된 하수이송펌프(31)에 의하여 하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하수에서 고형물은 내부에 걸려져 나선식 배출관을 따라 배출되게 하고 걸러진 하수는 하부로 유출되는 드럼스크린(4)과, 상기 드럼스크린(4)의 유출구를 통과한 하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하수를 정화시키는 생물반응조(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생물반응조(5)는 중간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분할수직벽(51)으로 분할되어 차례로 무산소조(52), 혐기조(53), 호기조(54) 및 탈기조(55)로 분할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호기조(54)내에는 중공사막형 흡인여과방식으로 인이 처리된 처리수가 흡입되어 여과되면서 처리되는 침지식 분리막(6)이 설치되고, 상기 침지식 분리막(6)의 상부에는 침지식 분리막(6)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약품으로 처리가능한 약품탱크(7)가 연결관(71)으로 연결되게 배치되고 동일한 연결관(71)상에는 처리수배출펌프(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생물반응조(5)의 호기조(54)의 저면에는 호기조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56)이 설치되어 상기 호기조(54)와 침지식 분리막(6)상에 공기를 공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산소조(52)와 혐기조(53)를 분할시키는 제1분할수직벽(51)의 인접한 부분에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상기 제1분할수직벽(51)에 평행하게 배치된 보조수직벽(521)이 형성되고, 상기 혐기조(53)와 호기조(54)를 분할시키는 제2분할수직벽(51)의 인접한 부분에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상기 제2분할수직벽(51)에 평행하게 배치된 보조수직벽(531)이 형성되고, 상기 호기조(54)와 탈기조(55)를 분할시키는 제3분할수직벽(51)의 하부에는 통수공(5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기조(55)의 외측에는 탈기조내의 처리수를 반송시키는 내부반송펌프(9)가 설치되어 배출된 처리수가 압축되어 압축슬러지를 형성시키거나 무산소조(52)로 반송시키는 반송관(9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스크린(4)은 유입관(41)을 통하여 유입된 하수가 저장수조(42)의 좌우의 둑을 넘어 내부에 설치된 나선식 배출관(43)을 따라 고형물이 걸러지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나선식 배출관(43)을 통과한 하수는 스크린망(44)을 통과하게 흘려 유출관(45)을 통하여 생물반응조(5)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드럼스크린(4)은 하수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며 제어반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스크린망(44)을 세정수분사부(46)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세정수가 분사되어 계속적인 청정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 무산소조(52)는 내부에 교반모터(522)가 설치되고, 유입된 하수내의 NOx를 탈질시키기 위하여 운영되며, 무산소조(52)가 생물반응조(5)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질소의 제거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무산소조(52)의 pH의 변화폭은 7.1~7.2 정도이다. 상기 무산소조(52)는 산소가 0.5㎎/ℓ이하로 형성되는 무산소 상태로 조성되며, 하수내 미생물들에 의해 무산소상태에서 부족한 산소를 질산성질소내 산소가 소비되는 환원 작용으로 질소가스 상태로 대기중에 방출시키는 탈질화 반응이 수행된다.
상기 혐기조(53)는 활성슬러지가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 Poly-P를 Ortho-P로 방출하여 이후의 호기조에서 방출되었던 Ortho-P를 방출된 양의 약 8배까지 Poly-P로 합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혐기조(53)내에는 교반모터(532)가 설치되어 활성슬러지의 인의 방출을 촉진시킨다.
상기 호기조(54)에서는 상기 혐기조(53)에서 인이 과잉방출된 상태의 미생물이 호기조건에서 방출되었던 Ortho-P를 방출된 양의 약 8배까지 Poly-P로 합성시켜서 인을 미생물에 의하여 과잉섭취시켜서 하부에 침전되게 하여 인을 제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호기조(54)에서 처리하는 인은,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또 다른 주요 물질로서, 질소와 인은 주로 화학비료의 원료로 하천이나 호소로 유입될 때 녹조류를 성장시키는 원인이 된다. 인을 제거하기 위해서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혐기 조건 (anaerobic condition)을 형성하여 인 축적 미생물 (phosphorus accumulating organisms, XPAO)에 의해 유기물을 세포 내에 합성하면서 인을 세포 밖으로 방출 (P release)하는 과정과 호기 조건 (oxic condition)에서는 세포 내에 축적된 유기물을 산화시켜 다시 인을 세포 내에 축적 (P uptake)하는데 이때 과잉의 인이 축적 (luxury P uptake)되며 슬러지를 폐기함으로써 인이 제거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인 축적 미생물의 경우 일반 미생물보다 세포 내에 축적할 수 있는 인의 양이 커서 많은 양의 인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인 축적 미생물이 세포 내에 인을 과잉으로 축적하기 위해서는 anaerobic-oxic 조건이 교대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anaerobic 조건이 형성되는 인 축적 미생물은 세포 밖의 분해하기 쉬운 유기물 (VFACOD)를 polymer 형태의 중간 생성물인 PHA (polyhydroxyalkanonates)로 축적한다. PHA를 축적하기 위하여 필요한 에너지는 ATP (adenosine triphosphate)를 ADP (adenosine diphosphate)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얻게 되는데 이러한 결과로 인의 방출이 발생하게 된다. anaerobic 조건 후에 oxic 조건이 형성되면 축적된 PHA를 전자 공여체 (electron donor)로 이용하여 이를 산화시켜 에너지를 얻어 세포 증식과 함께 ATP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인의 축적이 발생하게 되는데 anaerobic 조건에서 방출한 인보다 많은 양의 인을 축적하게 되며 이를 과잉 인 축적 (luxury P uptake)이라고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인이 과잉축적된 미생물을 침전시켜서 인을 제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호기조(54)의 내부에 설치된 침지식 분리막(6)에 의하여 고액분리되어 분리된 처리수는 침지식 분리막(6)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관(71)을 통하여 처리수배출펌프(8)로 외부로 송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침지식 분리막(6)은 중공사막형태의 미세한 관형태로 형성된 멤브레인(61)이 설치되고 측면에 배치된 흡인관(62)을 통하여 흡인되면서 하수는 멤브레인에 의하여 걸러지고 멤브레인(61)을 통과한 처리수는 배출되게 되는 것이며, 이 경우에 하부에 설치된 공기공급관(56)에 의하여 공기가 공급되면서 세정시키는 방식이 수행되므로 세정이 간편하게 수행되면서 세정설비의 크기가 월등하게 감소되게 되고 발생되는 악취의 발생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침지식 분리막(6)에 의하여 고체 및 액체 분리로 MLSS 농도가 매우 높게 유지되어, 미생물의 자산화로 잉여슬러지 발생량을 줄일 수 있고 혐기상태 및 무산소상태에서 미생물의 내생호흡에 의한 용존산소 소비량이 많아서 질소제거에 적합한 C/N비가 충족되지 않아도 질소제거효율이 높아진다.
상기 침지식 분리막(6)은 막공경이 0.2 ~ 0.4㎛ 정도로 형성된 친수처리된 중공사형 침지여과막으로 항상 수중에 침지될 수 있게 수면아래에 30 ~ 50㎝ 깊이에 설치되며, 상기 침지식 분리막(6)은 연결관(71)에 의하여 연결된 약품탱크(7)의 수두차에 의하여 상기 침지식 분리막(6)이 자연유하방식으로 세정되게 되는 것이다.
즉, 약품탱크(7)내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이 충진되어 있으며, 세정시에는 상기 약품탱크(7)내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수두차에 의하여 상기 침지식 분리막(6)으로 흐르면서 자연적으로 세정과 소독이 수행되게 되므로서 이러한 침지식 분리막(6)의 세정 및 소독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세정에 필요한 노동력이 대폭적으로 감소되는 것은 물론이고 세정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탈기조(55)는 제3분할수직벽(51)의 하부에 형성된 통수공(511)을 통하여 인을 과잉섭취하여 가라앉은 슬러지들이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슬러지들은 내부반송펌프(9)를 통하여 압축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압축시키거나 반송관(91)을 통하여 무산소조(52)로 이송시켜 유입된 하수의 탈질화를 가능하게 미생물을 반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은 무산소조, 혐기조, 호기조 및 탈기조의 순서대로 생물반응조를 배열시키고 호기조내에 중공사막으로 구성된 침지식 분리막을 설치하여 유기물 및 대장균의 제거뿐만이 아니라 영양염류의 처리 능력을 극대화시키고 질소,인을 효율적으로 처리함은 물론이고 침지식 분리막으로 고체 및 액체가 분리가능하게 되고 침지식 분리막을 호기조내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자연유하방식으로 세정하게 되어 용이하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세정인력이 절감되어 세정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설치공간이 작아도 되므로 건설비용이 절감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침지식 분리막을 교환하는 것에 의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은 일반적인 정화처리공장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스크린 3. 유량조정조 4. 드럼스크린
5. 생물반응조 6. 침지식 분리막 7. 약품탱크
8. 처리수배출펌프

Claims (3)

  1.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A)에 있어서,
    상기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A)은, 유입되는 하수내에 혼입된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차단되는 이물질제거용 스크린(1)과,
    하수가 일정기간 집수되어 유입유량의 변동에 대한 유량의 조정과 유입수질이 균등분배되게 하는 유량조정조(3)와,
    상기 유량조정조(3)내에 설치된 하수이송펌프(31)에 의하여 하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하수에서 고형물은 내부에 걸려져 나선식 배출관을 따라 배출되게 하고 걸러진 하수는 하부로 유출되는 드럼스크린(4)과,
    상기 드럼스크린(4)의 유출구를 통과한 하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하수를 정화시키는 생물반응조(5)로 구성되고,
    상기 생물반응조(5)는 중간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분할수직벽(51)으로 분할되어 차례로 무산소조(52), 혐기조(53), 호기조(54) 및 탈기조(55)로 분할되게 설치되고,
    상기 호기조(54)내에는 중공사막형 흡인여과방식으로 인이 처리된 처리수가 흡입되어 여과되면서 처리되는 침지식 분리막(6)이 설치되고, 상기 침지식 분리막(6)의 상부에는 침지식 분리막(6)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약품으로 처리가능한 약품탱크(7)가 연결관(71)으로 연결되게 배치되고 동일한 연결관(71)상에는 처리수배출펌프(8)가 설치되고,
    상기 생물반응조(5)의 호기조(54)의 저면에는 호기조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56)이 설치되어 상기 호기조(54)와 침지식 분리막(6)상에 공기를 공급하게 설치되고,
    상기 무산소조(52)와 혐기조(53)를 분할시키는 제1분할수직벽(51)의 인접한 부분에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상기 제1분할수직벽(51)에 평행하게 배치된 보조수직벽(521)이 형성되고, 상기 혐기조(53)와 호기조(54)를 분할시키는 제2분할수직벽(51)의 인접한 부분에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상기 제2분할수직벽(51)에 평행하게 배치된 보조수직벽(531)이 형성되고, 상기 호기조(54)와 탈기조(55)를 분할시키는 제3분할수직벽(51)의 하부에는 통수공(511)이 형성되고,
    상기 탈기조(55)의 외측에는 탈기조내의 처리수를 반송시키는 내부반송펌프(9)가 설치되어 배출된 처리수가 압축되어 압축슬러지를 형성시키거나 무산소조(52)로 반송시키는 반송관(91)이 설치되고,
    상기 드럼스크린(4)은 유입관(41)을 통하여 유입된 하수가 저장수조(42)의 좌우의 둑을 넘어 내부에 설치된 나선식 배출관(43)을 따라 고형물이 걸러지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나선식 배출관(43)을 통과한 하수는 스크린망(44)을 통과하게 흘려 유출관(45)을 통하여 생물반응조(5)로 유입되고, 상기 드럼스크린(4)은 하수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며 제어반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스크린망(44)을 세정수분사부(4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2. 삭제
  3. 삭제
KR1020120041540A 2012-04-20 2012-04-20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KR10134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540A KR101341163B1 (ko) 2012-04-20 2012-04-20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540A KR101341163B1 (ko) 2012-04-20 2012-04-20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574A KR20130118574A (ko) 2013-10-30
KR101341163B1 true KR101341163B1 (ko) 2013-12-13

Family

ID=4963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540A KR101341163B1 (ko) 2012-04-20 2012-04-20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1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841A (ko)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하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KR20200119084A (ko) * 2019-04-09 2020-10-19 백종학 순환식 돈사용 액비의 제조시스템
KR102596610B1 (ko) 2022-10-25 2023-11-02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br 공법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 설비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2596611B1 (ko) 2022-10-25 2023-11-07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기포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mbr 공법 기반 하폐수 처리 설비
KR20240053811A (ko) 2022-10-18 2024-04-2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br 공법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 설비 및 이를 위한 분리막 여과 장치
KR102686620B1 (ko) 2023-10-26 2024-07-22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br 공법 기반 하폐수 처리 설비용 하폐수 전처리 장비 및 이의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2348B (zh) * 2016-06-21 2024-02-27 江苏如意环境工程有限公司 一体化立体式生物池
CN113716744A (zh) * 2021-09-06 2021-11-30 黄春燕 一种环保用可清理的污水处理装置
KR102725085B1 (ko) * 2023-08-22 2024-11-01 (주)보경종합기술 하수 고도 처리 시설
CN118026407B (zh) * 2024-04-11 2024-08-02 广东海洋大学 一种基于自清洁多模态膜组件的污水处理装置
KR102749233B1 (ko) * 2024-04-15 2024-12-31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분리막과 생물막을 이용한 복합 수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820A (ko) * 2000-12-06 2002-06-19 방정섭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장치 및 방법
KR200342805Y1 (ko) 2003-11-26 2004-02-18 주식회사삼공환경건설 하수여과용 협작물 처리기
KR20040082186A (ko) * 2003-03-18 2004-09-24 대한통운 주식회사 오·폐수 고도처리용 침지식막분리시스템
KR20090109957A (ko) * 2008-04-17 2009-10-21 주식회사 태영건설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820A (ko) * 2000-12-06 2002-06-19 방정섭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 인 제거장치 및 방법
KR20040082186A (ko) * 2003-03-18 2004-09-24 대한통운 주식회사 오·폐수 고도처리용 침지식막분리시스템
KR200342805Y1 (ko) 2003-11-26 2004-02-18 주식회사삼공환경건설 하수여과용 협작물 처리기
KR20090109957A (ko) * 2008-04-17 2009-10-21 주식회사 태영건설 초음파 탈기장치를 적용한 침지형 막분리 하수 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841A (ko)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하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KR20200119084A (ko) * 2019-04-09 2020-10-19 백종학 순환식 돈사용 액비의 제조시스템
KR102198471B1 (ko) * 2019-04-09 2021-01-05 백종학 순환식 돈사용 액비의 제조시스템
KR20240053811A (ko) 2022-10-18 2024-04-2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br 공법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 설비 및 이를 위한 분리막 여과 장치
KR102596610B1 (ko) 2022-10-25 2023-11-02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br 공법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 설비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2596611B1 (ko) 2022-10-25 2023-11-07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기포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mbr 공법 기반 하폐수 처리 설비
KR20240060438A (ko) 2022-10-25 2024-05-0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인 제거 효율이 향상된 mbr 공법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 설비 및 이의 운전 방법
KR20240062953A (ko) 2022-10-25 2024-05-09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폐수 처리 설비의 전처리 장비
KR20240062954A (ko) 2022-10-25 2024-05-09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거대 기포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설비의 분리막 세정 장치
KR102686620B1 (ko) 2023-10-26 2024-07-22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br 공법 기반 하폐수 처리 설비용 하폐수 전처리 장비 및 이의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574A (ko)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163B1 (ko) 침지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시설
CN101205109B (zh) 厌氧法处理化纤废水装置
US20110068058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wastewater
CN109437482A (zh) 一种制药行业原料药生产有机废水的高效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KR20060086308A (ko) 유기성 오탁수중의 유기물의 분해처리방법 및 분해처리장치
KR101226547B1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CN111333271B (zh) 污水处理系统及其应用以及污水处理方法
KR20130138048A (ko) 일정 수위의 연속회분식 반응조 공정에서 높은 에너지 효율, 높은 유량, 낮은 운전 비용, 자동화된 스컴과 거품의 제거 / 파괴 및 공정 전환 방법을 갖춘 막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과 방법
CN103402927A (zh) 污水处理工艺、污水处理装置及污水处理用膜生物反应器
CN110431114A (zh) 废水处理系统和方法
CN104030517A (zh) 焦化废水的深度处理回收工艺
KR100872863B1 (ko) 악취 제거와 여과 효율이 향상된 하수 및 오수 처리장치
CN1533992A (zh) 高浓度有机污水处理组合工艺及其设备
AU2006298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organically contaminated waste water
CN107739132A (zh) 一种生活污水自循环式一体化处理装置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100540986B1 (ko)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장치
CN101734794B (zh) 利用侧流式膜生物反应器装置及利用其的污水处理方法
CN201154935Y (zh) 化纤废水处理装置
UA87613C2 (uk) Спосіб очистки стічної води (варіанти) та пристрій для його здійснення (варіанти), накопичувальна ємність для стічної води та пристрій доочистки стічної води
CN212894377U (zh) 一种生活污水处理设备
JPH09155391A (ja) 生物学的水処理装置
KR20150016775A (ko) 농축 슬러지 처리 효율이 개선된 고도처리시스템
CN201305510Y (zh) 利用侧流式膜生物反应器装置
KR20220108524A (ko) 미생물 농축 공정을 포함하는 하수 처리 공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18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71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