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041A - 정합기 - Google Patents

정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041A
KR20090109041A KR1020080085154A KR20080085154A KR20090109041A KR 20090109041 A KR20090109041 A KR 20090109041A KR 1020080085154 A KR1020080085154 A KR 1020080085154A KR 20080085154 A KR20080085154 A KR 20080085154A KR 20090109041 A KR20090109041 A KR 20090109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body
bracket
sheet
pap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감베
성기원
Original Assignee
도와 웍스 가부시키가이샤
주식회사 도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와 웍스 가부시키가이샤, 주식회사 도와하이텍 filed Critical 도와 웍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008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9041A/ko
Publication of KR2009010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0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interpos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삽입 광고지를 급지 선반에 적재할 때, 브래킷과 함께 종동 급지 롤러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작업상의 효율이 향상되는 정합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삽입 광고지(S)의 묶음을 급지 선반(7a∼7k,8a∼8k)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삽입 광고지(S)의 선단부(S1)가 가이드체(23)의 피압박 상승부(23c)에 맞닿아 누르기 때문에, 브래킷(18)이 종동 급지 롤러(13)와 함께 밀어 올려짐으로써 상측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삽입 광고지(S)의 선단부(S1)가 종동 급지 롤러(13)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낱장 분리판(9) 상에 안내 배치된다. 급지할 때마다 종동 급지 롤러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아울러 반복작업에 기인하는 작업자의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없애어 정신위생의 보전에 이바지한다.

Description

정합기{A COLLATOR DEVICE}
본 발명은 상하로 설치된 각 급지 선반에서 배달용 시트지를 1장씩 송출하여 일정한 매수로 묶어서 정합 세트로 하는 정합기에 관한 것이다.
신문에 끼워 넣는 광고용의 여러 종류의 삽입 광고지를 시트지로서 1장씩 그러모아서 세트로 하는 정합기로서는, 일반적으로 상하로 복수 단(段)에 걸쳐서 급지 선반이 설치되어 있고, 각 급지 선반에서 삽입 광고지를 급지장치에 의해서 순차로 1장씩 송출하고, 세로이송장치에 의해서 포개어 맞추면서 하측으로 반송하고, 최하단에서 반절 접기를 한 삽입 광고지 내에 끼워 넣어서 삽입 광고지 세트를 작성하고, 이 삽입 광고지 세트를 종이 배출부에서 배출하고, 종이 받이부로서의 종이 받이 호퍼에 집적하는 종형(縱型)의 정합기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각 급지 선반(100)에는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부(103)의 브래킷(103a)이 급지 롤러축(104)에 주동 급지 롤러(104)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 어 있다. 브래킷(103a)에 있어서의 주동 급지 롤러(102)의 반대측에는 종동 급지 롤러(101)가 이송축(10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삽입 광고지(Sp)는 겹쳐 쌓인 상태로 각 급지 선반(100)에 적재되어 종동 급지 롤러(101)의 하측으로 안내되고, 주동 급지 롤러(102)가 삽입 광고지(Sp)를 낱장 분리판(105)과의 사이로 끼우면서 회전하여 삽입 광고지(Sp)를 상부에서 1장씩 분리하여 종이 받이부로 보낸다.
따라서, 삽입 광고지(Sp)를 각 급지 선반(100)에 적재할 때,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한쪽 손(L2)으로 삽입 광고지(Sp)의 묶음을 지지하면서 다른 한쪽 손(L1)으로 급지부(103)의 브래킷(103a)을 종동 급지 롤러(101)와 함께 급지 롤러축(104)을 중심으로 하여 일시적으로 들어올려서 삽입 광고지(Sp)를 종동 급지 롤러(101)의 하측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도 14의 (b) 참조).
또, 정합기에 병설되는 복수의 급지장치에 급지반송모터를 개별적으로 배치하고, 급지장치마다 설치된 각 급지반송모터는 제어장치(유니트 제어부)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각 트레이에 적층된 시트를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하는 소요시간을 일치시키도록 하고 있는 정합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3 참조).
특허문헌 2, 3의 급지장치에서도 삽입 광고지를 종동 급지 롤러의 하측에 배치하지 않을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삽입 광고지를 배치할 때에는 일시적으로 급지장치를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2-307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 제383559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허 제3919114호 공보
상기한 정합기에서는 삽입 광고지(Sp)를 각 급지 선반(100)에 적재할 때마다 급지부(103)의 브래킷(103a)을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귀찮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량의 삽입 광고지(Sp)를 일상의 업무로서 소정량씩 묶어서 정합하는 작업자에게 있어서는 급지부(103)를 들어올리는 조작은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되어 정신위생의 관점에서도 개선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시트지를 급지 선반에 적재함에 수반하여 시트지가 종동 급지 롤러의 하측으로 자동적으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급지할 때마다 종동 급지 롤러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아울러 작업자의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없애어 정신위생의 보전에 적합한 정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대해서)
정합기의 급지 선반은 측판을 따라서 상하 복수 단으로 설치되며, 배달용의 시트지가 적재되어 있다. 브래킷은 급지 선반의 내부에서 지지축에 의해서 시트지에 대해서 접촉ㆍ이탈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종동 급지 롤러 및 주동 급지 롤러는 브래킷에 시트지의 급지방향을 따라서 순차로 부착되어 있다. 낱장 분리판은 주동 급지 롤러의 하부에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체의 일단부는 브래킷에 회전방지상태로 부착되고, 타단부는 시트지의 급지방향에 대해서 돌출되도록 만곡 형성된 피압박 상승부를 가진다.
급지 선반에 시트지를 적재함에 수반하여 시트지의 선단부가 피압박 상승부에 맞닿아 누름으로써 브래킷을 종동 급지 롤러와 함께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회동시킴에 의해서 시트지를 종동 급지 롤러의 하측으로 안내한다. 종동 급지 롤러는 시트지를 송출하고, 주동 급지 롤러는 시트지를 낱장 분리판과의 사이로 끼우면서 회전하여 시트지를 상부에서 1장씩 분리하여 종이 받이부로 이송한다.
(청구항 2에 대해서)
가이드체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압박 상승부는 가이드체의 상단부의 평탄부에서 하단부를 향해서 형성되며, 급지방향에 대해서 솟아오르는 경사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청구항 3에 대해서)
피압박 상승부에는 탄성재제의 충격완화용의 세장 금속판이 피압박 상승부와의 사이에 완충공간이 생기도록 부착되어 있다.
(청구항 4에 대해서)
가이드체의 일측면부에는 가이드체와 대략 직각이 되는 돌출변부 및 협지변부가 형성되고, 브래킷의 직교하는 전면부와 측면부에는 돌출변부 및 협지변부에 대응하는 개구부 및 가로 나사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출변부를 개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대략 90도만큼 회전하여 돌출변부를 개구부에 걸어 맞춤과 동시에 가이드체를 브래킷의 측면부에 맞닿게 하고, 협지변부를 부착나사로 브래킷의 전면부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청구항 5에 대해서)
가이드체는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며, 가이드체의 일단부는 고정수단에 의해서 브래킷에 고정되는 원호부와, 원호부의 하측으로 지향하는 원호형상부와, 원호형상부에서 피압박 상승부로 연장되는 직선부를 가진다.
(청구항 6에 대해서)
가이드체는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며, 가이드체의 일단부는 브래킷에 급지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관통구멍에 끼워지고, 타단부는 브래킷의 하면에 형성한 구멍부에 끼워져 있다.
(청구항 7에 대해서)
브래킷은 시트지의 종이 이송 조정다이얼을 가지는 장방형 케이스를 구비하고, 가이드체의 원호형상부를 장방형 케이스의 외측면에 맞닿게 하여 맞닿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한다.
(청구항 1에 대해서)
시트지를 급지 선반에 적재함에 수반하여, 적층상태의 시트지의 선단부가 피압박 상승부에 맞닿아 누름으로써 브래킷을 종동 급지 롤러와 함께 지지축을 중심 으로 하여 상측으로 회동시키기 때문에, 시트지가 종동 급지 롤러의 하측에 자동적으로 안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서, 급지할 때마다 종동 급지 롤러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아울러 들어올리는 반복작업에 기인하는 작업자의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없애어 정신위생의 보전에 적합한 노동환경의 개선에도 이바지한다.
(청구항 2에 대해서)
가이드체의 피압박 상승부는 급지방향에 대해서 솟아오르도록 경사상태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압박 상승부에 대한 시트지의 압압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브래킷 및 종동 급지 롤러의 상측으로의 양호한 회동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에 대해서)
피압박 상승부에는 탄성재제의 충격완화용의 세장 금속판이 피압박 상승부와의 사이에 완충공간이 생기도록 부착되어 있다.
피압박 상승부에 세장 금속판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시트지가 세장 금속판에 맞닿아 눌렀을 때, 세장 금속판이 완충공간의 방향으로 휨변형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시트지의 적층량이 많아 큰 중량이 될 때에도 시트지를 불필요하게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청구항 4에 대해서)
브래킷에 대한 가이드체의 부착시, 돌출변부를 개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대략 90도만큼 회전하여 돌출변부를 개구부에 걸어 맞춤과 동시에 가이드체를 브래킷의 측면부에 맞닿게 하고, 협지변부를 부착나사로 브래킷의 전면부에 체결하여 고 정한다.
개구부에 대한 돌출변부의 삽입에 의해서 빠짐방지가 이루어지고, 브래킷의 측면부에 대한 가이드체의 맞닿음에 의해서 회전방지가 이루어지고, 브래킷의 전면부에 대한 협지변부의 체결에 의해서 가이드체가 브래킷에 고정된다. 따라서, 브래킷에 대한 가이드체의 부착이 고강성으로 강고하게 된다. 또한, 돌출변부를 개구부에 삽입하면서 회전시키고, 부착나사를 브래킷에 체결한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부착이 완료되기 때문에 부착 작업성이 우수하다.
(청구항 5에 대해서)
가이드체가 금속선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이드체는 구조가 간소하고 경량이고, 비용적으로도 저렴하게 된다.
(청구항 6에 대해서)
브래킷에 대한 가이드체의 부착은, 가이드체의 일단부를 브래킷의 관통구멍에 끼움과 아울러 타단부를 구멍부에 끼우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부착구조가 간소하고 비용적으로도 유리하게 된다.
(청구항 7에 대해서)
가이드체의 원호형상부는 장방형 케이스의 외측면에 맞닿기 때문에, 외측면에 맞닿는 방향으로의 회전방지가 간소한 구성에 의해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시트지를 급지 선반에 적재함에 수반하여 시트지가 종동 급지 롤러의 하측에 자동적으로 안내 배치되기 때문에, 급지할 때마다 종동 급지 롤러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아울러 작업자의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없애어 정신위생의 보전에도 이바지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합기(1)는 좌우 측면에 부설된 스타트ㆍ스톱 스위치(W)의 투입에 의해서 모터(R)가 기동하여 운전이 개시되는 것으로서, 양측에 측판(2,3)이 세워진 하판(4)을 가진다. 하판(4)의 전방측에는 반송벨트(31) 및 배지(排紙)가이드(6a)가 설치되어 있고, 시트지로서 정합된 삽입 광고지(S)의 묶음이 삽입 광고지 세트(5)로 되어 적재되는 종이 받이 호퍼(6)가 부착되어 있다. 종이 받이 호퍼(6)의 상측에는 접지(摺紙)용 급지 선반(7)이 접지단(摺紙段)으로서 설치되고, 접지용 급지 선반(7)의 상측에는 서로 전후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하 복수 단의 급지 선반(7a∼7k) 및 급지 선반(8a∼8k)이 부착되어 있다.
급지 선반(7a∼7k,8a∼8k)의 내측 단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낱장 분리판(9)의 상부에 급지부(10)를 배치하고 있다. 급지부(10)는 도 3 및 도 4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 요동 가능한 브래킷(18) 및 타이밍 벨트(22)에 의해서 연결된 주동 급지 롤러(12) 및 종동 급지 롤러(13)를 급지 롤러로서 구비하고 있다. 낱장 분리판(9)은 주동 급지 롤러(12)의 하부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급지부(10)의 주동 급지 롤러(12)에 인접하여 반송 롤러(14,15)가 상하로 슬 라이드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전후로 대향하는 급지부(10)의 사이에는 서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1쌍의 세로 반송 롤러(16,17)(도 2 참조)가 급지 선반(7a∼7k,8a∼8k)의 단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급지부(10)에 있어서, 브래킷(18)은 그 선단부에 대략 U자 형상의 회전 지지부(18a)를 형성하고, 후단부에 삽입 광고지(S)의 종이 이송 조정다이얼(18b)을 가지는 장방형 케이스(18c)를 설치하고 있다.
종이 이송 조정다이얼(18b)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평1-1458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래킷(18)과 급지 롤러 축(13a)과의 사이에 제동 토크를 발생시키는 브레이크와, 손잡이(18d)의 회동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동 토크를 조정하는 토크 조정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동 토크의 조정에 의해서 종동 급지 롤러(13)의 삽입 광고지(S)에 대한 압압력에 따라서 삽입 광고지(S)에 대한 마찰 구동력을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브래킷(18)의 회전 지지부(18a)는 지지축으로서의 급지 롤러 축(13a)에 부시(도시생략)를 개재하여 끼워지며, 브래킷(18)이 급지 롤러 축(13a)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지 롤러 축(13a)은 회전 지지부(18a)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관통하며, 선단부에 탄성재제의 고무 기어(20) 및 주동 급지 롤러(12)를 근접 상태로 부착하고 있다. 장방형 케이스(18c)에는 급지 롤러 축(13a)과 평행한 이송축(19)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송축(19)에는 탄성재제의 고무 기어(21) 및 종동 급지 롤러(13)가 근접 상 태로 부착되어 있다. 회전 지지부(18a)의 고무 기어(20)와 장방형 케이스(18c)의 고무 기어(21)와의 사이에는 타이밍 벨트(22)가 걸려 있으며, 전자의 고무 기어(20)의 회전을 후자의 고무 기어(21)로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가이드체(23)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의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며, 가이드체(23)의 일단부는 브래킷(18)의 장방형 케이스(18c)의 상면에 후술하는 나사(24)에 의해서 고정되는 원호부(23a)와, 원호부(23a)의 하측으로 지향하는 원호형상부(23b)와, 원호형상부(23b)에서 피압박 상승부(23c)로 연장되는 직선부(23d)를 가진다. 피압박 상승부(23c)는 삽입 광고지(S)의 급지방향(P)에 대해서 솟아오르는 경사상태로 돌출되도록 만곡 형성된 갈고리형상을 이루고 있다.
원호부(23a)가 도 5의 (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 케이스(18c)에 나사(24)에 의해서 고정되고, 원호형상부(23b)가 장방형 케이스(18c)의 외측면(18e)에 맞닿음으로써, 가이드체(23)의 화살표 U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b),(c)에서는 도면의 간편화를 위해서 고무 기어(20), 주동 급지 롤러(12), 타이밍 벨트(22) 및 급지 롤러 축(13a)을 생략하고 있다.
정합 작업에 앞서서, 삽입 광고지(S)의 묶음을 급지 선반(7a∼7k,8a∼8k)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광고지(S)의 선단부(S1)가 가이드체(23)의 피압박 상승부(23c)에 맞닿아 누르기 때문에, 도 3의 화살표 H로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18)이 종동 급지 롤러(13)와 함께 밀어 올려짐으로써 상측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삽입 광고지(S)의 선단부(S1)가 종동 급지 롤러(13)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자동적으로 낱장 분리판(9) 상에 안내 배치된다.
따라서, 급지할 때마다 종동 급지 롤러(13)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아울러 작업자의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없애어 정신위생의 보전에 적합한 노동환경의 개선에도 이바지한다.
게다가, 가이드체(23)가 금속선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하고 경량이고, 비용적으로 저렴하다. 또, 피압박 상승부(23c)는 스테인리스강의 금속선재에 의해서 만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광고지(S)가 피압박 상승부(23c)를 강하게 누르면서 맞닿더라도, 피압박 상승부(23c)가 탄성변형에 의해서 삽입 광고지(S)의 충격을 흡수하여 브래킷(18)으로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되므로, 급지부(10)의 작동 불량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급지 선반(7a∼7k,8a∼8k)에 적재된 삽입 광고지(S)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 급지 롤러(13)에 의해서 송출되어 주동 급지 롤러(12)와 낱장 분리판(9)과의 사이에 끼워지고, 반송 롤러(14,15)의 사이에서 반송경로로 안내된다. 반송경로로 안내된 삽입 광고지(S)는 세로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세로 반송 롤러(16,17)를 통해서 하측으로 이송되어 최하단의 시트 접지부(25)에 이른다.
접지용 급지 선반(7)에서 공급되어 접지 박스(26a)에 이르른 접지(G)는 상하이동하는 접지용 나이프(26)에 의해서 중앙부가 하측으로 휘어지도록 접혀진다. 반절 상태로 접혀진 접지(G)에는 각 급지 선반(7a∼7k,8a∼8k)에서 공급되어 묶음으로 된 삽입 광고지(S)가 삽입되고, 재밍(jamming)검지센서(26b)에 의해서 검지되면서 접지 롤러(27,28)에 끼워 넣어진다. 접지 롤러(27,28)에 끼워 넣어진 삽입 광고 지 세트(5)는 구동 롤러(29,30)에 의해서 구동되는 반송벨트(31)에 의해서 운반되어, 도 6에 나타내는 종이 받이 호퍼(6)에 적재되도록 배지 가이드(6a)에 안내되면서 배출된다.
반송 롤러(14,15)에 있어서의 삽입 광고지(S)의 급지방향(P)의 하류측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32)와 액추에이터(34)를 구비한 급지 미스 검지센서(33)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14,15)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보다도 약간 하류측에서 삽입 광고지(S)의 유무가 액추에이터(34)를 통해서 급지 미스 검지센서(33)에 의해 검출된다. 급지 미스 검지센서(33)에서의 출력은 도 7에 나타내는 입출력제어회로(35)를 통해서 연산부(36)로 보내져서 후술하는 전자 클러치(37,38) 및 전자 브레이크(39) 등을 구동 제어한다.
각 급지 선반(7a∼7k,8a∼8k)의 반송 롤러(1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롤러 구동축(14a)에 설치되어 있고, 반송 롤러 구동축(14a)의 일단부에는 전자 클러치(37)를 통해서 풀리(54)가 설치되어 있고, 반송 롤러 구동축(14a)의 타단부에는 전자 브레이크(39)를 통해서 풀리(56)가 설치되어 있다.
급지 롤러 축(13a)의 일단부에는 전자 클러치(38)를 통해서 풀리(55)가 설치되어 있다. 풀리(55)와 반송 롤러 구동축(14a)의 풀리(56)는 타이밍 벨트(57)에 의해서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도 4에 화살표 M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만 주동 급지 롤러(12) 및 종동 급지 롤러(13)를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전자 브레이크(39)와 풀리(56)와의 사이에 원웨이 클러치(58)가 설치되어 있다.
풀리(54)에는 정합 운전 개시시에 타이밍 벨트(59)를 통해서 모터(R)로부터 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으며, 전자 클러치(37)가 여자되면 반송 롤러 구동축(14a)을 통해서 반송 롤러(14)를 회전시킨다. 반송 롤러 구동축(14a)의 회전 구동에 의해서 그 회전력이 풀리(56) 및 타이밍 벨트(57)을 통해서 풀리(55)에 전달되고, 급지 롤러 축(13a)을 통해서 주동 급지 롤러(12) 및 종동 급지 롤러(13)를 화살표 M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삽입 광고지(S)가 액추에이터(34)에 도달하면, 그 도달을 마이크로 스위치(32)의 온(ON)상태에 의해서 급지 미스 검지센서(33)가 검지하고, 전자 브레이크(39)가 여자되어 반송 롤러 구동축(14a)의 회전을 순시에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연산부(36)는 각종 스위치나 센서의 입출력을 통신에 의해서 집중관리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조작 표시부(60)의 입력조작화면(60a)의 입력 및 표시를 제어하는 것이다.
각 급지 선반(7a∼7k,8a∼8k)의 전자 클러치(37,38) 및 전자 브레이크(39)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연산부(36)로의 통신을 통해서 도 8에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에 의거하여 제어된다. 이 타이밍 차트는 인코더(Em)에서의 타이밍 펄스에 의거하여 각 급지 선반(7a∼7k,8a∼8k)의 삽입 광고지(S)를 1장마다 급지시키는 급지 사이클을 나타내며, 반송 롤러 구동축(14a)과 급지 롤러 축(13a)의 회전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공백부(□)는 관성모멘트에 의한 타성(惰性)회전을 나타낸다.
타이밍 차트에 의거하여 주동 급지 롤러(12), 종동 급지 롤러(13) 및 반송 롤러(14,15)에 의한 삽입 광고지(S)의 급지가 개시되고, 각 급지 선반(7a∼7k,8a∼8k)에서 급지된 삽입 광고지(S)의 선단부가 가지런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조작 표시부(60)와 연산부(36)는 설정된 기억내용을 백업 회로(61)에 의해서 기억장치(62)에 이중으로 기억 보존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고장·수리를 위해서 조작 표시부(60)나 연산부(36)를 교환할 때, 새로운 조작 표시부(60)나 연산부(36)에 기억보존내용을 옮겨 기록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호퍼 만재(滿載) 스위치(73a)는 스타트·스톱 스위치(W) 및 로크 스위치(49)와 함께 릴레이 회로(Re)를 통해서 연산부(36)에 접속되고, 연산부(36)와 모터(R)는 릴레이 회로(Re) 및 인버터(Ie)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배출 스위치(46), 테스트 스위치(47) 및 접지 조정다이얼(52)은 연산부(3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합기(1)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측판(2,3) 중 일방에는 미리 준비된 사용조건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정합 조건을 설정 입력하기 위해서 각종의 정합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할 수 있는 입력조작화면(60a)을 가지는 패널형상의 조작 표시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표시부(60)는 연산부(36)와 통신케이블(63)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 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원호부(23a), 원호형상부(23b)를 생략하고, 직선부(23d)를 단면 장방형으로 설정하고 있다.
가이드체(23)의 일단부인 직선부(23d)는 장방형 케이스(18c)에 급지방향(P)을 따라서 형성한 단면 장방형의 관통구멍(70)에 끼워진다. 피압박 상승부(23c)의 선단부(23s)는 장방형 케이스(18c)의 하면에 형성한 구멍부(71)에 끼워진다.
장방형 케이스(18c)의 상면에 관통구멍(70)과 연이어 통하도록 암나사 구멍(72)을 형성하고, 볼트(73)를 암나사 구멍(72)에 체결함에 의해서 직선부(23d)를 압압 고정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브래킷(18)에 대한 가이드체(23)의 부착이 가이드체(23)의 일단부를 브래킷(18)의 관통구멍(70)에 끼우고서 볼트(73)로 고정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부착구조가 간소하고 비용적으로도 유리하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3 실시예에서는 금속선재 대신에 소정의 두께(t1)를 가지는 판형상의 가이드체(74)를 설치하고 있다{도 10의 (a) 참조}. 이 가이드체(74)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는 능선부(74A)와 평탄부(74a)를 연속되게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피압박 상승부로서 기능하는 경사변부(74b)를 급지방향(P)(도 9 참조)에 대해서 솟아오르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있다. 즉, 상단부의 평탄부(74a)에서 하단부를 향해서 경사변부(74b)가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가이드체(74)의 상변부에는 2개의 나사구멍(74c)이 좌우로 병렬되게 형성되며, 가이드체(74)가 부착판(75e)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부착판(75e)은 수평부(75f)와 수직부(75g)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 되어 있으며, 수직부(75g)에는 나사구멍(74c)에 대응하는 나사구멍(75h)이 좌우로 병렬되게 형성되어 있다. 부착나사(75i)를 와셔(75j) 및 패킹(75k)을 개재하여 가이드체(74)의 나사구멍(74c) 및 수직부(75g)의 나사구멍(75h)에 나사 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가이드체(74)가 부착판(75e)에 고정된다.
수평부(75f)에는 2개의 나사구멍(75m)이 좌우로 병렬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24)를 상기 나사구멍(75m)을 통해서 장방형 케이스(18c)의 우측 상면에 형성된 나사구멍(18h){도 5의 (b),(c) 참조}에 체결함으로써, 가이드체(74)가 브래킷(18)에 부착된다{도 10의 (b) 참조}.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4 실시예가 제 3 실시예와 다른 점은 가이드체(74)의 경사변부(74b)에 탄성재제의 세장(細長) 금속판(75)을 충격완화용으로 설치한 점이다{도 11의 (a),(b) 참조}. 즉, 세장 금속판(75)의 일단부(75a)를 원호형상으로 구부려서 경사변부(74b)의 하단부에 부착하고, 타단부(75b)를 평탄형상으로 형성하여 경사변부(74b)의 상단부에 부착하고 있다. 세장 금속판(75)의 중심선(Ks)과 경사변부(74b)는 동일면 상에 있고{도 11의 (b) 참조}, 이들 양자의 사이에는 소정의 폭치수(Ms)를 가지는 완충공간(Sp)이 생기도록 설정하고 있다.
경사변부(74b)에 세장 금속판(75)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삽입 광고지(S)가 세장 금속판(75)에 맞닿아 눌렀을 때, 세장 금속판(75)이 완충공간(Sp)의 방향으로 휨변형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삽입 광고지(S)의 적층량이 많아 큰 중량이 될 때에도 삽입 광고지(S)를 불필요하게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완충공간(Sp)의 폭치수(Ms)는 경사변부(74b)의 연장방향에 걸쳐서 반드시 똑같지 않아도 되며, 세장 금속판(75)의 중앙부에서는 크고 일단부(75a) 및 타단부(75b)를 향하여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설정하여도 된다. 세장 금속판(75) 대신에 플라스틱제의 세장판을 형성하여도 된다.
도 11의 (c)는 제 4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세장 금속판(75)의 중심선(Ks)을 따라서 돌조 리브(75c)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 리브(75c)에 의해서 세장 금속판(75)의 두께(t2)를 작게 하더라도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5 실시예)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5 실시예가 제 3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 3 실시예의 나사구멍(74c) 대신에 가이드체(74)의 경사변부(74b)의 반대방향의 일측면부(74f)에 돌출변부(74d) 및 협지변부(挾持邊部)(74e)를 형성한 것이다. 능선부(74A)를 평탄부(74a)보다도 길게 되도록 설정하여 경사변부(74b)의 급지방향(P)(도 9 참조)에 대한 솟아오르는 경사영역이 상하로 길게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하고 있다.
가이드체(74)의 일측면부(74f)에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상의 보강변부(74i)가 동일면 상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보강변부(74i)에는 돌출변부(74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변부(74d)는 세로변부(74g)와 가로변 부(74h)가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변부(74g)는 보강변부(74i)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고, 가로변부(74h)는 세로변부(74g)에 대략 수직상태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다.
협지변부(74e)는 돌출다리부(74j,74k)로 이루어지며, 돌출변부(74d)로부터 이간되어 경사변부(74b) 근방에 위치하고, 가이드체(74)의 일측면부(74f)에 대략 수직상태로 포크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의 (a)에 나타내는 장방형 케이스(18c)의 하면부에는 세로부(76a)와 가로부(76b)로 이루어지는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앵글판(76)이 그 가로부(76b)가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세로부(76a)에 있어서의 장방형 케이스(18c)에 덮여진 모서리부에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가로변부(74h)에 대응하는 개구부(76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76c)는 모서리부를 절결하는 것 대신에 세로부(76a)의 평탄부에 장방형의 투공부를 뚫음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되며, 요점은 가로변부(74h)를 안내하여 후술하는 옹벽부(18m)의 내면(18s)에 걸어 맞출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장방형 케이스(18c)의 옹벽부(18m)는 개구부(76c)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이루며, 앵글판(76)의 세로부(76a)와 함께 브래킷(18)의 측면부로서 장방형 케이스(18c)의 전면부(18j)에 대해서 대략 직교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장방형 케이스(18c)의 전면부(18j)에서 후방을 향해서 가로 나사구멍(18k)이 협지변부(74e)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체(74)의 가로변부(74h)를 세로부(76a)의 개구부(76c)에 삽입함과 동 시에, 도 12의 (b)에 화살표 J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대략 90도만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가이드체(74)가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워짐에 의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변부(74h)가 옹벽부(18m)의 내면(18s)에 걸어 맞춰짐과 동시에, 가이드체(74)가 앵글판(76)의 세로부(76a){브래킷(18)의 측면부}에 맞닿게 된다.
이때, 협지변부(74e)도 상기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대략 90도만큼 회전하여 그 돌출다리부(74j,74k)의 사이에 가로 나사구멍(18k)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장방형 케이스(18c)의 전면부(18j)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부착나사(77)를 와셔(78), 패킹(79) 및 돌출다리부(74j,74k)를 개재하고서 가로 나사구멍(18k)에 나사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협지변부(74e)를 장방형 케이스(18c)의 전면부(18j)에 부착한다.
제 5 실시예에서도 경사변부(74b)가 피압박 상승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이드체(74)의 부착시, 개구부(76c)에 대한 돌출변부(74d)의 삽입에 의해서 빠짐방지가 이루어지고, 앵글판(76)의 세로부(76a)에 대한 가이드체(74)의 맞닿음에 의해서 회전방지가 이루어지고, 장방형 케이스(18c)의 전면부(18j)에 대한 협지변부(74e)의 체결에 의해서 가이드체(74)가 브래킷(18)에 고정된다. 따라서, 브래킷(18)에 대한 가이드체(74)의 부착이 고강성으로 강고하게 된다.
또한, 돌출변부(74d)를 개구부(76c)에 삽입하면서 회전시키고, 부착나사(77)를 장방형 케이스(18c)의 전면부(18j)에 체결한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부착이 완료되기 때문에 부착 작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정합기에서는, 삽입 광고지를 급지 선반에 적재함에 수반하여, 삽입 광고지의 선단부가 가이드체의 피압박 상승부에 맞닿아 누름으로써 브래킷을 종동 급지 롤러와 함께 상측으로 회동시키기 때문에, 급지할 때마다 종동 급지 롤러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아울러 작업자의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없애어 정신위생의 보전에 적합한 노동환경 개선의 유익성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에, 선전광고의 배포관계업계에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정합기의 사시도(제 1 실시예)
도 2는 정합기의 종단면도(제 1 실시예)
도 3은 급지부의 확대 종단면도(제 1 실시예)
도 4는 각 급지 선반에 있는 급지부의 작동 설명도(제 1 실시예)
도 5에 있어서, (a)는 가이드체의 사시도(제 1 실시예), (b) 및 (c)는 브래킷을 다른 위치에서 본 사시도(제 1 실시예)
도 6은 종이 받이 호퍼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제 1 실시예)
도 7은 연산부의 주변부에 있어서의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블럭도(제 1 실시예)
도 8은 각 급지 선반의 정합시에 있어서의 타이밍 차트(제 1 실시예)
도 9는 가이드체와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제 2 실시예)
도 10에 있어서, (a)는 가이드체와 부착판의 분해 사시도(제 3 실시예), (b)는 가이드체를 부착한 브래킷의 사시도(제 3 실시예)
도 11에 있어서, (a)는 경사변부에 세장 금속판을 부착한 가이드체의 사시도, (b)는 세장 금속판의 사시도(제 4 실시예), (c)는 세장 금속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에 있어서, (a)는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b) 및 (c)는 가이드체의 사시도(제 5 실시예)
도 13은 가이드체를 부착한 브래킷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제 5 실시 예)
도 14에 있어서, (a) 및 (b)는 작동설명을 위해서 주동 급지 롤러 및 종동 급지 롤러가 설치된 브래킷을 나타내는 급지부의 종단면도(종래예)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정합기 2,3 - 측판
5 - 삽입 광고지 세트 6 - 종이 받이 호퍼(종이 받이부)
7 - 접지(摺紙)용 급지 선반 7a∼7k,8a∼8k - 급지 선반
9 - 낱장 분리판 10 - 급지부
12 - 주동 급지 롤러(급지 롤러) 13 - 종동 급지 롤러(급지 롤러)
13a - 급지 롤러 축(지지축) 14,15 - 반송 롤러
18 - 브래킷 18a - 회전 지지부
18b - 종이 이송 조정다이얼 18c - 장방형 케이스
18j - 장방형 케이스의 전면부(브래킷의 전면부)
18k - 가로 나사구멍
18m - 장방형 케이스의 옹벽부(브래킷의 측면부)
23 - 가이드체 23a - 원호부
23b - 원호형상부 23c - 피압박 상승부
23d - 직선부 24 - 나사(고정수단)
70 - 관통구멍 71 - 구멍부
74 - 가이드체 74b - 경사변부(피압박 상승부)
74d - 돌출변부 74e - 협지변부
74f - 가이드체의 일측면부 75 - 세장(細長) 금속판
75a - 세장 금속판의 일단부 75b - 세장 금속판의 타단부
76 - 앵글판
76a - 앵글판의 세로부(브래킷의 측면부)
76c - 앵글판의 개구부(브래킷의 개구부)
77 - 부착나사 S - 삽입 광고지(시트지)
G - 접지(摺紙) P - 급지방향
Sp - 완충공간 Ms - 완충공간의 폭치수

Claims (7)

  1. 측판을 따라서 상하 복수 단으로 설치되며 배달용의 시트지가 적재되는 급지 선반과,
    상기 급지 선반의 내부에서 지지축에 의해서 상기 시트지에 대해서 접촉ㆍ이탈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상기 시트지의 급지방향을 따라서 순차로 부착된 종동 급지 롤러 및 주동 급지 롤러와,
    상기 주동 급지 롤러의 하부에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된 낱장 분리판과,
    상기 브래킷에 일단부가 회전방지상태로 부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시트지의 급지방향에 대해서 돌출되도록 만곡 형성된 피압박 상승부를 가지는 가이드체를 구비하고,
    상기 급지 선반에 상기 시트지를 적재함에 수반하여 상기 시트지의 선단부가 상기 피압박 상승부에 맞닿아 누름으로써 상기 브래킷을 상기 종동 급지 롤러와 함께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회동시킴에 의해서 상기 시트지를 종동 급지 롤러의 하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종동 급지 롤러가 상기 시트지를 송출하고, 상기 주동 급지 롤러가 상기 시트지를 낱장 분리판과의 사이로 끼우면서 회전하여 상기 시트지를 상부에서 1장씩 분리하여 종이 받이부로 이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을 이루며,
    상기 피압박 상승부는 상기 가이드체의 상단부의 평탄부에서 하단부를 향해서 형성되며, 상기 급지방향에 대해서 솟아오르는 경사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압박 상승부에는 탄성재제의 충격완화용의 세장 금속판이 상기 피압박 상승부와의 사이에 완충공간이 생기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의 일측면부에는 상기 가이드체와 직각이 되는 돌출변부 및 협지변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의 직교하는 전면부와 측면부에는 상기 돌출변부 및 협지변부에 대응하는 개구부 및 가로 나사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변부를 상기 개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90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돌출변부를 상기 개구부에 걸어 맞춤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체를 상기 브래킷의 상기 측면부에 맞닿게 하고, 상기 협지변부를 부착나사로 상기 브래킷의 전면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는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체의 상기 일단부는 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의 하측으로 지향하는 원호형상부와, 상기 원호형상부에서 상기 피압박 상승부로 연장되는 직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는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체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브래킷에 급지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관통구멍에 끼워지고, 타단부는 상기 브래킷의 하면에 형성한 구멍부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합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시트지의 종이 이송 조정다이얼을 가지는 장방형 케이스 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체의 상기 원호형상부를 상기 장방형 케이스의 외측면에 맞닿게 하여 맞닿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합기.
KR1020080085154A 2008-04-14 2008-08-29 정합기 KR20090109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154A KR20090109041A (ko) 2008-04-14 2008-08-29 정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104282 2008-04-14
KR1020080085154A KR20090109041A (ko) 2008-04-14 2008-08-29 정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041A true KR20090109041A (ko) 2009-10-19

Family

ID=4155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154A KR20090109041A (ko) 2008-04-14 2008-08-29 정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90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8992A (zh) * 2018-03-28 2018-09-25 江苏南江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夹持旋转式纸质手提成型机及手提成型方法
CN108638584A (zh) * 2018-03-28 2018-10-12 江苏南江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纸质提手机
CN108705811A (zh) * 2018-03-28 2018-10-26 江苏南江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纸质提手机及加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8992A (zh) * 2018-03-28 2018-09-25 江苏南江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夹持旋转式纸质手提成型机及手提成型方法
CN108638584A (zh) * 2018-03-28 2018-10-12 江苏南江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纸质提手机
CN108705811A (zh) * 2018-03-28 2018-10-26 江苏南江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纸质提手机及加工方法
CN108638584B (zh) * 2018-03-28 2019-11-22 江苏南江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纸质提手机
CN108705811B (zh) * 2018-03-28 2019-12-03 江苏南江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纸质提手机及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9503B2 (ja) 給紙装置
KR100860419B1 (ko) 시트를 인출하는 장치 및 방법
US7621526B2 (en) Apparatus for stacking individual sheets
MX2010013597A (es) Dispensador de toallas intercaladas.
KR20090109041A (ko) 정합기
KR20070024509A (ko) 종이류 송출 장치
JP3798228B2 (ja) 丁合装置
EP1688378A3 (en) System with opposing means for alternate high speed sheet feeding from the same sheet stack
US5888047A (en) Separating and feeding machine for bound booklets
JP2009256005A (ja) 丁合機
JP3059992B2 (ja) 紙葉類搬送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現金自動取扱装置
US7766316B2 (en) Roll-on and strip-off apparatus for the stacked depositing of sheets
CA22835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flat products
JP4497789B2 (ja) 紙葉類集積装置
WO2010004842A1 (ja) 媒体分離装置および方法
JP6429067B2 (ja) 用紙搬送装置、給紙装置、及び丁合装置
JP3966997B2 (ja) 用紙供給装置
KR10102242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 클램핑장치
JP4334509B2 (ja) 被搬送物の枚数計数装置
JP7080518B2 (ja) 紙葉類の重送検知装置
JP6615261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6117518B2 (ja) 折込用広告束紙揃え搬送装置、及び折込用広告束紙揃え搬送装置付き丁合機
JP6596540B1 (ja) 紙葉類処理装置
JP3774210B2 (ja) 下敷き材供給装置
US20060255536A1 (en) Sheet buffering means and method for buffering she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