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8893A - 레이저 포인터 - Google Patents

레이저 포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8893A
KR20090108893A KR1020080034236A KR20080034236A KR20090108893A KR 20090108893 A KR20090108893 A KR 20090108893A KR 1020080034236 A KR1020080034236 A KR 1020080034236A KR 20080034236 A KR20080034236 A KR 20080034236A KR 20090108893 A KR20090108893 A KR 20090108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ser
pointer
light diffus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494B1 (ko
Inventor
최순필
Original Assignee
최순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필 filed Critical 최순필
Priority to KR102008003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49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6Glass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 H01S5/06825Protecting the laser, e.g. during switch-on/off, detection of malfunctioning or degrad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터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 광을 출광하는 레이저 모듈과; 상기 레이저 모듈을 수용하는 포인터 케이스와;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광된 상기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광 통과홀이 형성된 광확산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확산캡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될 때 상기 레이저 광을 확산시키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레이저 모듈로부터 레이저 광이 출광되면 해당 레이저 광 중 일부는 광 통과홀을 통해 조사되어 포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레이저 광 중 일부는 광확산캡부에 의해 확산되어 발광함으로써 레이저 포인터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음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포인터에서 실제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레이저 포인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는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반도체 레이저 발생 소자로서, CD 플레이어와 같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 픽업 소자나 레이저 포인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그 광량이 큰 경우, 사람의 눈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에, IEC 표준 60825-1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광하는 레이저 광에 의해 사람의 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칙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단지 회로의 정상적인 동작에서 뿐만 아니라, 예상 가능한 회로 상의 결함, 예컨대, 특정 소자에 쇼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만족시켜야 하는 규정이다. 또한, 한국에서도 IEC 60825-1에 대응하여 레이저 안전 규격(KS C IEC 60825-1)을 정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레이저의 출력을 1mW 이하(Class Ⅱ 기준)로 제안하고 있다. 레이저 포인터의 경우에도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있어서 이와 같은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100)는 펜 형태를 가지며, 일측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레이저 모듈(미도시)로부터 출광된 레이저 광이 외부로 조사되어 포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 레이저 포인터(100)에는 버튼(110)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버튼(110)을 누르면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누르고 있던 버튼(110)을 놓으면 레이저 광의 조사가 중단되는 방식이 사용된다.
여기서,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출광되는 레이저 광은 스크린이나 벽에 닿았을 때에만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고, 대기를 통과하는 레이저 광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는지 여부는 레이저 포인터(100)에 마련된 버튼(110)을 누르고, 레이저 광이 벽 등에 닿아 표시되는 것으로 확인하게 된다.
그런데, 레이저 포인터(100)의 작동 오류나, 또는 정상적인 작동에서도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여 레이저 포인터(100)로 다른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 레이저 광이 다른 사람의 눈에 조사되어 눈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이에, 일본 등과 같이 몇몇 국가에서는 사용자가 쉽게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레이저 포인 터(100)에 마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100)에는 사용자가 버튼(110)을 누르는 경우 버튼(110) 근처에 마련된 LED(111)가 발광하여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레이저 광을 조사하기 위한 버튼(11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LED(111)가 적용되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LED(111)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모듈과 레이저 광의 조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LED(111)는 별도의 회로 구성을 통해 동작하므로 LED(111)가 고장 등에 의해 사용자가 버튼(110)을 누르더라도 발광하지 않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사고의 위험성은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
둘째, LED(111)가 고장 등에 의해 버튼(110)의 작동과 무관하게 발광하는 경우, 사용자는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레이저 광이 조사된 것으로 판단하여 레이저 광이 조사된 위치를 찾으려는 불필요한 노력을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광되는 레이저 광의 일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게 함으로써, 레이저 광이 실제로 조사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 것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는 레이저 포인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광을 출광하는 레이저 모듈과; 상기 레이저 모듈을 수용하는 포인터 케이스와;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광된 상기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광 통과홀이 형성된 광확산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확산캡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될 때 상기 레이저 광을 확산시키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확산캡부는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광확산캡부가 결합되는 캡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확산캡부는 상기 광 통과홀이 형성된 광확산 모듈과, 일측은 상기 광확산 모듈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캡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연결캡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확산 모듈은, 상기 광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경우 상기 레이저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와; 상기 광 확산부의 외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투명한 재질의 광 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확산부는 아크릴, AB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유리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상기 캡 결합부에는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광된 상기 레이저 광이 상기 광확산캡부로 향하도록 상기 광확산캡부를 향해 광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확산캡부에 형성된 상기 광 통과홀의 내경은 상기 캡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광 통과공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광되는 레이저 광의 일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게 함으로써, 레이저 광이 실제로 조사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 것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어 레이저 광의 조사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판단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는 포인터 케이스(10), 레이저 모듈(31,32,33) 및 광확산캡부(20)를 포함한다.
레이저 모듈(31,32,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 케이스(10)에 수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는 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포인터 케이스(10)의 형상이 팬 형태를 갖는다.
광확산캡부(20)는 포인터 케이스(10)의 일측, 즉 포인터 케이스(10) 중 레이저 광이 출광되는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광확산캡부(20)는 포인터 케이스(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포인터 케이스(10)가 팬 형태를 가지므로 이에 대응하여 대략 원통 형태를 갖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그리고 광확산캡부(20)에는 레이저 모듈(31,32,33)로부터 발생되어 포인터 케이스(10)로부터 출광하는 레이저 광이 통과하는 광 통과홀(25)이 형성된다. 여기서, 광 통과홀(25)을 통과하는 레이저 광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포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광확산캡부(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레이저 광이 입사될 때,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확산시키는 재질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광확산캡부(20) 내부로 입사되는 레이저 광은 확산되고, 사용자는 레이저 광의 확산에 의해 광확산캡부(20)가 빛나는 것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모듈(31,32,33)로부터 실제로 레이저 광이 출광되는 경우에만 광확산캡부(20)가 빛나게 되고, 사용자는 광확산캡부(20)가 빛나는 경우에만 레이저 포인터(1)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어, 레이저 광의 조사 여부에 대한 판단 오류가 발생할 여지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의 광확산캡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 케이스(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인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광확산캡부(20)가 결합되는 캡 결합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광확산캡부(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 모듈(22)과 모듈 연결캡(21)을 포함할 수 있다.
광확산 모듈(22)은 광확산캡부(20)로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실질적으로 확산시키는 부분으로 포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이 통과하는 광 통과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광확산 모듈(2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확산부(23)와 광 투과부(24)로 구성될 수 있다.
광 확산부(23)는 광 통과홀(25)이 형성되고,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경우 레이저 광을 확산시킨다. 여기서, 광 확산부(23)는 레이저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되며, 일 예로 아크릴, AB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유리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광 투과부(24)는 광 확산부(23)의 외경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마련된다.
여기서, 레이저 광이 광 확산부(23) 측으로 입사되어 확산되어 광 투과부(24) 쪽으로 방출되고, 광 확산부(23)로부터 방출된 광은 투명한 광 투과부(24)를 통과하므로 투명한 재질의 광 투과부(24) 내에서 광 확산부(23)가 발광하는 형태를 갖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의 실제 제작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광 투과부(24) 내부에서 광 확산부(23)가 발광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모듈 연결캡(21)의 일측에는 광확산 모듈(22)이 결합되고, 모듈 연결캡(21)의 타측은 포인터 케이스(10)에 형성된 캡 결합부(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가 팬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모 듈 연결캡(21)의 타측은 포인터 케이스(10)의 캡 결합부(11)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광확산 모듈(22) 또한 모듈 연결캡(21)의 일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 연결캡(21)의 내벽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 플레이트(21a)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21a)는 모듈 연결캡(21)에 광확산 모듈(22) 및 포인터 케이스(10)의 캡 결합부(11)가 양측에서 각각 삽입될 때, 광확산 모듈(22)과 캡 결합부(11)의 경계가 된다. 그리고 연장 플레이트(21a)에는 레이저 모듈(31,32,33)로부터의 레이저 광이 통과하는 플레이트 통과공(21b)이 형성된다.
여기서, 플레이트 통과공(21b)의 내경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 모듈(22)에 형성된 광 통과홀(25)의 내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이저 모듈(31,32,33)로부터 출광하여 포인터 케이스(10)의 광 통과공(12)을 통과하여 직진하는 레이저 광의 일부는 광 통과홀(25)을 통과하여 포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플레이트 통과공(21b)을 통해 노출되는 광확산 모듈(22)의 일부 영역,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확산 모듈(22)의 광 확산부(23)의 일부 영역으로 입사되어 확산된다.
또한, 광확산 모듈(22)에 형성된 광 통과홀(25)의 내경은 포인터 케이스(10)의 캡 결합부(11) 측에 형성된 광 통과공(12)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레이저 모듈(31,32,33)로부터 출광하여 포인터 케이스(10)의 광 통과공(12)을 통과한 광의 단면적이 광 통과홀(25)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레이저 광의 일부는 광 통과홀(25)을 통과하고 나머지 일부는 플레이트 통과공(21b)을 통해 노출되는 광확산 모듈(22)의 일부 영역,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확산 모듈(22)의 광 확산부(23)의 일부 영역으로 입사되어 확산된다.
한편, 레이저 모듈(31,32,33)은 사용자가 버튼(13)을 누르는 경우 레이저 광을 출광한다. 여기서, 레이저 모듈(31,32,3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32)와, 사용자가 버튼(13)을 누르는 경우 광원부(32)에서 레이저 광이 방출되도록 광원부(32)를 제어하는 제어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모듈(31,32,33)에는 광원부(32)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원부(32)로부터 출광된 레이저 광을 광 통과공(12) 쪽으로 집광시키는 렌즈(33)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레이저 모듈(31,32,33)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일 뿐이며, 레이저 광을 광 통과공(12)을 통해 외부로 조사할 수 있다면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별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광확산캡부를 포인터 케이스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실제 제작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번호에 대한 설명>
1 : 레이저 포인터 10 : 포인터 케이스
11 : 캡 결합부 12 : 광 통과공
13 ; 버튼 20 : 광확산캡부
21 : 모듈 연결캡 22 : 광확산 모듈
23 : 광 확산부 24 : 광 투과부
25 : 광 통과홀

Claims (7)

  1. 레이저 포인터에 있어서,
    레이저 광을 출광하는 레이저 모듈과;
    상기 레이저 모듈을 수용하는 포인터 케이스와;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광된 상기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광 통과홀이 형성된 광확산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확산캡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될 때 상기 레이저 광을 확산시키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캡부는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광확산캡부가 결합되는 캡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확산캡부는,
    상기 광 통과홀이 형성된 광확산 모듈과,
    일측은 상기 광확산 모듈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캡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 게 결합되는 모듈 연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모듈은,
    상기 광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경우 상기 레이저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와;
    상기 광 확산부의 외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투명한 재질의 광 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아크릴, AB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유리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상기 캡 결합부에는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광된 상기 레이저 광이 상기 광확산캡부로 향하도록 상기 광확산캡부를 향해 광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캡부에 형성된 상기 광 통과홀의 내경은 상기 캡 결합부에 형성 된 상기 광 통과공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
KR1020080034236A 2008-04-14 2008-04-14 레이저 포인터 KR100923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236A KR100923494B1 (ko) 2008-04-14 2008-04-14 레이저 포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236A KR100923494B1 (ko) 2008-04-14 2008-04-14 레이저 포인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893A true KR20090108893A (ko) 2009-10-19
KR100923494B1 KR100923494B1 (ko) 2009-10-27

Family

ID=4155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236A KR100923494B1 (ko) 2008-04-14 2008-04-14 레이저 포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4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9037A1 (ko) * 2012-02-07 2013-08-15 (주)초이스테크놀로지 레이저 포인터, 전원공급장치, 레이저 포인터 제어방법, 및 전원공급장치 제어방법
KR101301294B1 (ko) * 2012-02-07 2013-08-28 (주)초이스테크놀로지 레이저 포인터
KR101301292B1 (ko) * 2012-04-10 2013-08-28 (주)초이스테크놀로지 레이저 포인터의 제어 방법
CN104848165A (zh) * 2015-05-12 2015-08-19 上海华测导航技术股份有限公司 实现避免激光灯发散现象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0746B2 (ja) * 2004-08-03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レーザー照射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9037A1 (ko) * 2012-02-07 2013-08-15 (주)초이스테크놀로지 레이저 포인터, 전원공급장치, 레이저 포인터 제어방법, 및 전원공급장치 제어방법
KR101301294B1 (ko) * 2012-02-07 2013-08-28 (주)초이스테크놀로지 레이저 포인터
KR101301292B1 (ko) * 2012-04-10 2013-08-28 (주)초이스테크놀로지 레이저 포인터의 제어 방법
CN104848165A (zh) * 2015-05-12 2015-08-19 上海华测导航技术股份有限公司 实现避免激光灯发散现象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494B1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5522B2 (ja) 光電式煙センサおよび照明機器
KR100923494B1 (ko) 레이저 포인터
EP1347406B1 (en) Card reader having an illuminated card insertion slot
CN111062370B (zh) 光学检测装置
JP2008032522A (ja) 光ファイバを用いた触覚センサ
AU2013232436A1 (en) Side-light display illuminator
JP6870583B2 (ja) 遊技機用押ボタン
TW201804279A (zh) 具均勻出光之擴充卡及其均光裝置
US20050007791A1 (en) Lighting element with a light emitting device
US20090000929A1 (en) Illuminated switch
KR101081896B1 (ko) 레이저 포인터
CN111126349A (zh) 光学检测装置、显示装置和电子设备
US9941644B1 (en) Power outlet device
US7578602B2 (en) Laser irradiation system
JP496226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5337219B2 (ja) 字光式ナンバープレート用照明装置
US11123573B2 (en) Skin or hai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3459920A (zh) 具有集成电气电路的平坦光纤照明组件
JP2020146279A (ja) 遊技機用押しボタン、照光装置
JP3230230U (ja) Uv殺菌器
CN109117708A (zh) 指纹辨识装置以及使用其的移动装置
JP4604780B2 (ja) 照明構造
CN107643803B (zh) 具有均匀出光的扩展卡及其均光装置
JP2009287976A (ja) 感度校正用光源装置
JP201817062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