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294B1 - 레이저 포인터 - Google Patents

레이저 포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294B1
KR101301294B1 KR1020120033305A KR20120033305A KR101301294B1 KR 101301294 B1 KR101301294 B1 KR 101301294B1 KR 1020120033305 A KR1020120033305 A KR 1020120033305A KR 20120033305 A KR20120033305 A KR 20120033305A KR 101301294 B1 KR101301294 B1 KR 101301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ound signal
terminal
right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228A (ko
Inventor
최순필
Original Assignee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초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PCT/KR2013/00094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19037A1/ko
Publication of KR2013009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어 동작하는 레이저 포인터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포인터는, 레이저 방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몸체에 결합되며, 좌측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와, 우측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입력단자와, 몸체 내부에 수용되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로부터 좌측음향신호 및 우측음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레이저를 생성하여 레이저 방출구를 통하여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모듈과,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레이저와 접하여 레이저 중 일부를 확산시키는 확산렌즈를 포함하되,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는 어느 하나의 위상이 다른 하나의 위상보다 빠르거나 늦다.

Description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스마트폰, MP3, 오디오 기기 등의 전자기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어 특수한 음원과 회로에 의해 동작하는 레이저 포인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포인터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방에 렌즈가 구성되고, 후방에는 전원인 배터리 및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되면, 레이저 다이오드가 턴온되면서 레이저 포인터의 전방으로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동작된다.
이와 같은 레이저 포인터는 회의, 건설현장 및 설명회 등에서 챠트 또는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지시하는 지시봉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포인터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도록 소형화된 제품이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6806호 "레이저 포인터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단말기에 레이저 포인터를 구성하여, 휴대성 및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킨 휴대단말기 일체형 레이저 포인터를 제공함으로써, 독립형 레이저 포인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교체와 같은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6806호와 같은 휴대단말기 일체형 레이저 포인터의 경우, 사용자가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던 휴대단말기와 레이저 포인터가 구성된 휴대단말기를 교체하거나, 레이저 포인터가 구성된 휴대단말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4695호 "착탈식 레이저 포인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되는 착탈식 레이저 포인터도 제공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4695호의 경우, 휴대단말기와 별도로 제공되는 레이저 포인터를 휴대단말기에 탈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 일체형 레이저 포인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4695호는 단순히 탈부착이 가능한 레이저 포인터가 휴대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나타낼 뿐, 실질적으로 발생되는 구체적인 문제점에 대해서는 그 해결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내부 전원 단자를 이용하는 레이저 포인터의 경우, 휴대단말기마다 사용되는 전원이 달라 각 기기별로 별도로 개발해야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에 구성되는 레이저방출소자의 경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단자의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사용하여야만 해당 레이저 포인터가 그 기본기능(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4695호의 경우에는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방출소자로 충분한 전압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에 구성되는 2차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저전력 기능의 휴대단말기가 보급되고 있는 바,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는 내부소자들이 저전력소자들로 구성되어 있어, 충분한 전압을 제공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6806호 "레이저 포인터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4695호 "착탈식 레이저 포인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폰, 스마트폰, MP3, 오디오 기기 등의 전자기기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어 특수한 음원과 회로에 의해 동작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는, 레이저 방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좌측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와, 우측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로부터 상기 좌측음향신호 및 상기 우측음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레이저를 생성하여 상기 레이저 방출구를 통하여 상기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모듈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이저와 접하여 상기 레이저 중 일부를 확산시키는 확산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좌측음향신호와 상기 우측음향신호는 어느 하나의 위상이 다른 하나의 위상보다 빠르거나 늦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는, 레이저 방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좌측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와, 우측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로부터 상기 좌측음향신호 및 상기 우측음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레이저를 생성하여 상기 레이저 방출구를 통하여 상기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모듈과, 상기 몸체 및 상기 입력단자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좌측음향신호와 상기 우측음향신호는 어느 하나의 위상이 다른 하나의 위상보다 빠르거나 늦고, 상기 커버는 일단부에 터치펜이 결합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이어폰 잭에 간단히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해 휴대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이어폰 잭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출력이 낮더라도 추가 전원을 요하지 않고 레이저 포인터를 구동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삽입하여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레이저 포인터를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이저 포인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레이저 포인터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레이저 포인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레이저 모듈의 회로도이다.
도 8은 좌측음성신호와 우측음성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7의 노드 'N1' 내지 'N3'에서의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의 레이저 포인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레이저 포인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더불어,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레이저 포인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레이저 포인터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레이저 포인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는 레이저 방출구(11)가 형성된 몸체(10)와, 몸체(10)에 결합되며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60)를 포함한다. 레이저 포인터(1)는 입력단자(60)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이어폰잭에 삽입되며,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의 이어폰잭으로부터 인가되는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를 레이저 모듈(4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으로 이용한다.
한편, 좌측음향신호 및 우측음향신호는 스테레오 음향 중에서 좌측스피커로 출력되는 음향 및 우측스피커로 출력되는 음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음향신호라 함은, 전자기기의 오디오잭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는 모든 대역폭의 신호를 말한다. 즉, 음향신호는 오디오잭에서 출력될 수 있는 신호라면 사람의 음성뿐만 아니라, 각종 음향 및 사람의 가청 범위를 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레이저 포인터(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이저 포인터(1)는 몸체(10), 확산렌즈(20), 탄성부재(30), 레이저 모듈(40), 홀더(50) 및 입력단자(6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일측에 레이저가 방출되는 레이저 방출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모듈(40)을 수용한다. 몸체(10)의 일측에는 제1 단자(61), 제2 단자(62), 제3 단자(63)를 포함하는 입력단자(60)가 결합된다.
입력단자(60)는 레이저 모듈(4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이 입력되는 통로가 되며, 휴대용 전자기기(도시하지 않음)의 이어폰잭에 삽입되어 음향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입력단자(60)는 각종 음향기기의 이어폰잭 또는 헤드폰잭으로부터 스테레오 음향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입력단자(60)는 일반 스테레오 음향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도록 제1 단자(61), 제2 단자(62) 및 제3 단자(63)를 포함한다. 제1 단자(61)는 좌측음향신호를 인가받고, 제2 단자(62)는 우측음향신호를 인가 받고, 제3 단자(63)는 음향기기의 이어폰잭으로부터 "Signal Return"으로 사용되는 공통핀(그라운드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마이크 신호가 입출력되거나 제어신호가 입출력되는 제4 단자(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3 단자(63)와 제4 단자(64)는 레이저 포인터(1)의 구성에 있어서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1)는 음향을 출력하는 각종 전자기기의 이어폰잭으로부터 교류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레이저를 방출하기 위한 구동전압을 발생시킨다. 교류의 음향신호를 구동신호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레이저 모듈(40)은 입력단자(60)로부터 입력 받은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를 이용하여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시킨다.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는 일종의 교류신호로서, 구형파(펄스파) 및 정현파(사인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기기에 따라 편차가 있으나, 예를 들어, 레이저 모듈(40)은 직류전원일 경우 약 2.1V 이상에서 작동한다. 그러나, 교류전원을 사용할 경우, 전압강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보다 높은 전압을 요구한다. 일반적인 오디오 기기에서 생성하는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는 통상 교류신호이다. 따라서,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를 이용하여 레이저 모듈(40)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특수한 음원이 필요하다. 여기서, 특수한 음원이란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위상이 다른 하나의 위상보다 빠르거나 늦은 것을 말한다. 위상차값은 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레이저 모듈(40)은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위상을 다른 하나의 위상보다 빠르거나 늦도록 조정된 신호를 수신하고, 두 신호를 합하여 구동신호로 사용한다. 레이저 모듈(40)에 입력되는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는 180°의 위상차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레이저 모듈(40)에 포함된 승압회로, 평활회로(체배회로) 및 안정화 회로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레이저는 레이저 모듈(40)에서 발생되어 확산렌즈(20)를 통과하고, 레이저 방출구(11)를 통하여 몸체(10) 외부로 방출된다. 확산렌즈(20)는 몸체(10) 내부에 수용되며 레이저 방출구(11)와 레이저 모듈(40)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확산렌즈(20)는 레이저 모듈(40)에서 발생된 레이저 중 적어도 일부와 접하여 레이저를 확산시키고, 확산된 레이저의 일부를 레이저 확인홀(1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레이저 확인홀(12)은 몸체(10)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확산렌즈(20)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확산렌즈(20)에 의해 확산된 레이저광의 일부가 외부로 방출된다. 레이저 확인홀(12)을 통하여 방출되는 레이저광은 레이저 포인터(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레이저를 방출하고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레이저광은 직진광이므로 주변에서 방출 사실을 쉽게 인지하기 어려우며 직접 눈으로 확인할 경우, 실명의 우려가 있다. 그러나, 레이저 확인홀(12)을 통하여 방출되는 레이저광은 빛의 세기가 현저하게 낮아 안전하게 레이저 포인터(1)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확산렌즈(20)는 중앙부에 레이저가 통과하는 레이저 통과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레이저 통과홀(21)의 직경은 레이저 모듈(40)에서 생성되는 레이저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렌즈(20)는 몸체(1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필요는 없으며, 몸체(10)의 일측에 부착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확산렌즈(20)와 레이저 모듈(40) 사이에 개재되어 확산렌즈(20)에 탄성력을 전달한다. 탄성부재(30)는 확산렌즈(20)와 레이저 모듈(40) 사이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확산렌즈(20)와 레이저 모듈(40)을 고정한다. 확산렌즈(20)와 레이저 모듈(40)은 가공과정에서 가공 공차가 발생하거나, 사용 중에 간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0)는 확산렌즈(20)와 레이저 모듈(4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확산렌즈(20)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0)는 중앙이 관통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레이저 모듈(40)과 입력단자(60)는 홀더(50)에 의해 몸체(10)에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레이저 모듈(40)로부터 레이저광(L1)이 방출되면, 레이저광(L1)은 확산렌즈(20)를 통과하여 몸체(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레이저 모듈(40)로부터 생성된 레이저광(L1)의 폭은 확산렌즈(20)의 레이저 통과홀(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레이저 모듈(40)로부터 발생된 레이저광(L1) 중 확산렌즈(20)와 접한 레이저광(L3)은 레이저 확인홀(12)을 통하여 몸체(10)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나머지 레이저광(L2)은 레이저 방출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레이저 포인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a)는 커버(70)를 더 포함한다. 커버(70)는 내측에 몸체(10) 및 입력단자(6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터치펜(80)을 포함하고 있다. 커버(7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몸체(10) 보다 작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몸체(10)와 입력단자(60)는 개구부(71)를 통하여 커버(7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커버(70) 내부에 몸체(10)와 입력단자(60)가 완전히 삽입되면, 커버(7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이저 포인터(1a)를 잡고 터치펜(8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커버(70)는 탄소와 같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도전성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펜(80)과 연결된 일부분만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레이저 모듈에 포함된 회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레이저 모듈의 회로도이고, 도 8은 좌측음성신호와 우측음성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는 도 7의 노드 'N1' 내지 'N3'에서의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레이저 포인터(1)의 입력단자(60)로 입력되는 두 개의 음향신호는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승압회로블록(B1)으로 입력될 수 있다. 입력단자(60)의 제1 단자(61)와 제2 단자(62)로 각각 입력되는 신호는 좌측음향신호(LS)와 우측음향신호(RS)가 각각 입력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좌측음향신호(LS)와 우측음향신호(RS)의 파형은 서로 180°의 위상차를 갖는다. 도 8의 좌측음향신호(LS)는 제1 단자(61)와 제3 단자(63) 사이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며, 우측음향신호(RS)는 제2 단자(62)와 제3 단자(63) 사이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좌측음향신호(LS)와 우측음향신호(RS)는 서로 위상이 반대이며, +a ~ -a의 전압을 갖는 일종의 교류전압이다.
제1 단자(61)와 제2 단자(62)로 입력되어 승압회로블록(B1)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노드 'N1'의 출력신호이며, 도 9의 N1 그래프와 같다. 즉, 도 8의 좌측음향신호(RS)와 우측음향신호(LS)가 합하여 진폭이 큰 신호가 생성된다.
승압회로블록(B1)은 입력신호의 전압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입력신호(노드 'N1'의 전압)의 최소전압을 기준전압(그라운드 전압)으로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가 +b ~ -b의 전압(여기서 b는 약2a)을 갖는 펄스파인 경우, 승압회로블록(B1)은 해당 입력신호를 +b'~ 0의 전압(여기서 b'는 약2b)을 갖는 펄스파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압회로블록(B1)은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 및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평활회로블록(B2)은 승압된 입력신호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 행할 수 있다. 입력단자(60)로 입력되는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는 기본적으로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평활회로블록(B2)이 입력신호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평활회로블록(B2)은 +b'~ 0의 전압을 갖는 펄스파의 입력신호는 b"의 전압(여기서 b"는 b'보다 약간 낮은 전압)을 갖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활회로블록(B2)은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정화회로블록(B3)은 레이저방출소자(100)의 출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활회로블록(B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은 소폭의 맥동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맥동전압은 레이저방출소자(10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의 출력변화(밝기변화)를 초래 또는 레이저방출소자(100)의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정화회로블록(B3)은 맥동전압에 의하여 레이저의 출력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정화회로블록(B3)은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피드백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방출소자(100)는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발광소자(100a)와 빛을 감지하는 수광소자(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소자(100b)는 발광소자(100a)에서 발생시키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100a)에서 발생시키는 레이저광의 출력이 낮을 경우, 수광소자(100b)의 피드백 신호를 받아 레이저광의 출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00a)에서 발생시키는 레이저광의 출력이 높을 경우, 수광소자(100b)의 피드백 신호를 받아 레이저광의 출력을 낮추어 레이저가 발산하여 고장나지 않게 한다. 즉, 발광소자(100a)와 수광소자(100b)를 이용하여 레이저광의 출력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의 레이저 포인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a는 휴대용 전자기기(200)의 이어폰잭(230)에 레이저 포인터(1)를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기기(200)는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이어폰잭(2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어폰잭(230)은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b를 휴대용 전자기기(200)의 이어폰잭(230)에 레이저 포인터(1)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기기(200)는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를 레이저 포인터(1)에 제공하고 레이저 포인터(1)는 레이저를 방출하게 된다.
휴대용 전자기기(200)를 예로써 레이저 포인터(1)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휴대용 전자기기(200)는 레이저 포인터(1)의 제1 단자(61)와 제2 단자(62)에 각각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를 각각 제공한다.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는 어느 하나의 위상이 다른 하나의 위상보다 빠르거나 늦으며, 바람직하게는 180°의 위상차값을 갖는다. 이러한,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는 구형파 및 정현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평활회로를 내장할 경우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를 직류로 변환하여 레이저 포인터(1)에 제공할 수도 있다.
레이저 포인터(1)는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를 각각 제공받아 승압하고, 정류한 후 레이저 모듈(40)에 제공하여 레이저를 발생시킨다.
도 11은 도 5의 레이저 포인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는 터치펜(80)이 부착된 커버(70)를 포함한다. 따라서, 몸체(10)와 입력단자(60)를 커버(70) 내부에 삽입하고, 레이저 포인터(1)를 터치 스크린(220)에 접촉시켜 터치 입력 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용 전자기기(200)는 레이저 포인터(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좌측음향신호 및 우측음향신호)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다른 호스트 기기(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으로 동작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20)의 레이저 발생 영역(221)을 터치하면 이어폰잭(230)으로부터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가 발생된다. 주 제어 영역(222)을 터치하면 호스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기기가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있을 경우, 주 제어 영역(222)은 페이지 넘김 기능을 제어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마우스 동작 중일 경우 마우스 위치를 제어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설정 영역(223)은 진동 여부, 소리의 크기, 마우스의 감도 등을 조절하는 아이콘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여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a: 레이저 포인터 10: 몸체
11: 레이저 방출구 12: 레이저 확인홀
20: 확산렌즈 21: 레이저 통과홀
30: 탄성부재 40: 레이저 모듈
50: 홀더 60: 입력단자
61: 제1 단자 62: 제2 단자
63: 제3 단자 64: 제4 단자
70: 커버 71: 개구부
80: 터치펜 100: 레이저방출소자
100a: 발광소자 100b: 수광소자

Claims (13)

  1. 레이저 방출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좌측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와, 우측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입력단자;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로부터 상기 좌측음향신호 및 상기 우측음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레이저를 생성하여 상기 레이저 방출구를 통하여 상기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모듈;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이저와 접하여 상기 레이저 중 일부를 확산시키는 확산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좌측음향신호와 상기 우측음향신호를 상기 레이저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으로 사용하되, 상기 좌측음향신호와 상기 우측음향신호는 어느 하나의 위상이 다른 하나의 위상보다 빠르거나 늦도록 조정된 신호인 레이저 포인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렌즈는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레이저 방출구와 상기 레이저 모듈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레이저 확인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확인홀은 상기 확산렌즈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레이저 포인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렌즈와 상기 레이저 모듈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확산렌즈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렌즈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레이저 방출구의 외측으로 노출된 레이저 포인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렌즈는 중앙부를 관통하여 레이저 통과홀이 형성된 레이저 포인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입력단자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일단부에 터치펜이 결합된 레이저 포인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몸체보다 작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커버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레이저 포인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음향신호는 상기 우측음향신호와 180°의 위상차값을 갖는 레이저 포인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모듈은 상기 좌측음향신호와 상기 우측음향신호 합한 신호의 최소 전압을 기준전압으로 상승시키는 승압회로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터.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모듈은 상기 좌측음향신호와 상기 우측음향신호 합한 신호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평활회로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터.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모듈은, 상기 레이저를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레이저를 수광하여 피드백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는 안정화회로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터.
  13. 레이저 방출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좌측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와, 우측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입력단자;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로부터 상기 좌측음향신호 및 상기 우측음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레이저를 생성하여 상기 레이저 방출구를 통하여 상기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모듈; 및
    상기 몸체 및 상기 입력단자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좌측음향신호와 상기 우측음향신호를 상기 레이저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으로 사용하되, 상기 좌측음향신호와 상기 우측음향신호는 어느 하나의 위상이 다른 하나의 위상보다 빠르거나 늦도록 조정된 신호이고, 상기 커버는 일단부에 터치펜이 결합된 레이저 포인터.
KR1020120033305A 2012-02-07 2012-03-30 레이저 포인터 KR101301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0949 WO2013119037A1 (ko) 2012-02-07 2013-02-06 레이저 포인터, 전원공급장치, 레이저 포인터 제어방법, 및 전원공급장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554 2012-02-07
KR20120012554 2012-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228A KR20130091228A (ko) 2013-08-16
KR101301294B1 true KR101301294B1 (ko) 2013-08-28

Family

ID=492165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240A KR101301293B1 (ko) 2012-02-07 2012-02-24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 포인터 단말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20033305A KR101301294B1 (ko) 2012-02-07 2012-03-30 레이저 포인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240A KR101301293B1 (ko) 2012-02-07 2012-02-24 스피커단자 연결용 레이저 포인터, 포인터 단말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301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351A (ko) * 2020-02-24 2021-09-01 원형석 레이저 프리젠터용 다각형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27A1 (ko) * 2015-06-02 2016-12-08 맹용주 적외선 감지센서가 마련된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0610A1 (en) * 2000-12-22 2002-06-27 Butt Aamir M. Combination stylus and laser pointer
KR20060027565A (ko) * 2004-09-23 2006-03-28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어잭을 이용한 레이저 포인터
KR20090108893A (ko) * 2008-04-14 2009-10-19 최순필 레이저 포인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715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 단말기용 레이저 포인터
US20060014564A1 (en) 2004-07-14 2006-01-19 Shao-Tsu Kung External illumina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0610A1 (en) * 2000-12-22 2002-06-27 Butt Aamir M. Combination stylus and laser pointer
KR20060027565A (ko) * 2004-09-23 2006-03-28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어잭을 이용한 레이저 포인터
KR20090108893A (ko) * 2008-04-14 2009-10-19 최순필 레이저 포인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351A (ko) * 2020-02-24 2021-09-01 원형석 레이저 프리젠터용 다각형 케이스
KR102313743B1 (ko) * 2020-02-24 2021-10-18 원형석 레이저 프리젠터용 다각형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226A (ko) 2013-08-16
KR101301293B1 (ko) 2013-08-28
KR20130091228A (ko)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3921A1 (en) Power management circuitry in peripheral accessories of audio devices
JP5669263B2 (ja) 位置指示器
JP4566943B2 (ja) 充電装置
US7282037B2 (en) Skin care appliance
US8073172B2 (en) Speak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same
EP2693298A2 (en) Power management circuitry in peripheral accessories of audio devices
JP2012221304A5 (ko)
KR200281003Y1 (ko) 뇌파 유도 신호 발생장치
US11110267B2 (en) Electrical treatment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KR101301294B1 (ko) 레이저 포인터
TW200719110A (en) Active current regulator circuit and related light structure
KR101509719B1 (ko) 전원공급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KR101301292B1 (ko) 레이저 포인터의 제어 방법
CN203840397U (zh) 压电模块及应用该压电模块的电子设备
KR20060027565A (ko) 이어잭을 이용한 레이저 포인터
KR101319018B1 (ko) 전원공급장치, 레이저 포인터 및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KR101509720B1 (ko) 레이저 포인팅 장치
US2010010622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electric acupuncture function
KR101428794B1 (ko) 레이저포인터가 수납된 필기구
KR200409468Y1 (ko) 휴대용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는 레이저 포인터 장치
KR101457400B1 (ko) 초음파를 이용하는 피부 미용기기
US879717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ensory warning generating method thereof
KR200258388Y1 (ko) 레이저 포인트 기능을 갖는 마우스
KR200356476Y1 (ko) 탈부착식 레이저포인터를 구비한 휴대폰 단말기장치
JPWO2019064839A1 (ja) 発電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