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8769A -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8769A
KR20090108769A KR1020080034034A KR20080034034A KR20090108769A KR 20090108769 A KR20090108769 A KR 20090108769A KR 1020080034034 A KR1020080034034 A KR 1020080034034A KR 20080034034 A KR20080034034 A KR 20080034034A KR 20090108769 A KR20090108769 A KR 20090108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elastic
collecting plate
compressed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무룡
Original Assignee
변무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룡 filed Critical 변무룡
Priority to KR102008003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8769A/ko
Publication of KR2009010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rotary pressing members, other than worms or screws, e.g. rollers, rings, dis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가 모여서 슬러지(Sludge)가 바닥에 침전되는 침전지와; 상기 침전지의 내부에 형성되어 침전지 내부의 슬러지를 모아 끌어 올리는 슬러지 채집기인 켄베이어 벨트 구조인 탄성수집판 구비하고; 탄성수집판에는 다수의 수집고리인 탄성고리부가 형성되어 슬러지를 끌어올리면서; 다수의 슬러지 압축롤러가 스크렙터의 지지탄성벨트 내의 탄성고리부의 슬러지걸림구 내부에 모여 있는 슬러지를; 다수의 압축롤러가 지속적으로 압축하여 물기를 제거함으로; 슬러지를 수집하면서 탈수하여 고형화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침전지의 바닥면에 축적되는 슬러지를 끌어올리면서 압축롤러와 지지탄성벨트로 슬러지검림구에서 압축하여 물기를 제거함으로써 슬러지의 제거와 더불어 슬러지를 압축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는 현재의 슬러지 처리장치인 압축기 내지는 탈수기, 열건조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슬러지를 고형화하는 것에 반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슬러지 걸름장치인 탄성수집판의 일부 면에 슬러지를 침전지로부터 제거하는 슬러지 걸림구를 구비하고; 슬러지 걸림구를 압축하여 슬러지의 물기를 제거하는 압축롤라를 구비하여; 슬러지를 압축함으로써 슬러지 고형화 작업에 소요되는 일정 설비나; 슬러지 압축 및 탈수시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재처리할 필요가 없으며; 가열방법에 의한 슬러지 건조시 발생되는 각종 오염기체 등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슬러지를 수집하고 압축하는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Figure P1020080034034
슬러지, 오니, 침전지, 스크렙터, 롤라

Description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in waste water}
본 발명은 하수처리용 수조인, 침전지의 슬러지(Sludge) 처리장치 중에서 슬러지의 수집과 더불어 슬러지를 압축하는 하수처리용 수조(폐수)의 슬러지수집 및 슬러지압축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처리장은 상하수를 모으는 사각체의 구조물인 침전지에 탄성수집판이 설치되어 슬러지를 포집, 끌어 올려 대차에 수집을 하고, 수집된 슬러지는 원심력을 이용한 탈수 과정 내지는 자연건조에 의하여 고형화 및 압축을 유도; 또는 수집된 슬러지를 스크류를 이용하여 압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슬러지를 포집 끌어올리는 장치는 등록특허 10-0626155와 같이 침전지에서 슬러지를 끌어 올려 채집지에 모우거나; 등록실용 20-0387151과 같이 스크류축 방식의 압축에 의한 슬러지 수집기; 등록실용20-0320813과 같이 슬러지를 탈수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Sludge) 처리장치들이 슬러지를 포집하는 장치, 수집된 슬러지를 압축 또는 탈수하는 장치, 열에 의한 슬러지 건조하는 시스템들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슬 러지 걸름장치인 탄성수집판의 일부 면에 슬러지를 침전지로부터 제거하는 슬러지 걸림구를 구비하고; 슬러지 걸림구를 압축하여 슬러지의 물기를 제거하는 압축롤라를 구비하여; 슬러지를 압축함으로써 슬러지 고형화 작업에 소요되는 일정 설비나; 슬러지 압축 및 탈수시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재처리할 필요가 없으며; 가열방법에 의한 슬러지 건조시 발생되는 각종 오염기체 등의 발생을 최대한 저지함으로써,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Sludge) 처리장치 중에서; 슬러지의 수집과 더불어 슬러지를 압축하는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수집 및 슬러지압축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Sludge) 처리장치 등은 여러 가지가 발명 고안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슬러지를 포집하는 장치에만 그치고 있고, 수집된 슬러지를 압축 또는 탈수 건조하는 시스템을 별로로 설치함으로 인하여, 슬러지 처리 공간의 확보 및 각종 기계장치들을 별도로 운영해야 한다.
또한, 슬러지를 재활용 하거나 건조하기 위하여 외부로 슬러지의 수분을 유출하는 장치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이 또한 슬러지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을 재처리하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한다.
이는 현재의 슬러지 처리장치인 압축기 내지는 탈수기, 열건조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슬러지를 고형화하는 것에 반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슬러지 걸름장치인 탄성수집판의 일부 면에 슬러지를 침전지로부터 제거하는 슬러지 걸림구를 구비하고; 슬러지 걸림구를 압축하여 슬러지의 물기를 제거하는 압축롤라를 구비하여; 슬러지를 압축함으로써 슬러지 고형화 작업에 소요되는 일정 설비나; 슬러지 압축 및 탈수시 발생 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재처리할 필요가 없으며; 가열방법에 의한 슬러지 건조시 발생 되는 각종 오염기체 등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침전지로 삽입되어 회전하는 탄성수집판을 구비하고, 탄성수집판에 침전지의 슬러지를 모으고, 끌어올리는 슬러지걸림구를 구비하여, 침전지로부터 슬러지를 끌 어올려 슬러지압축롤러로, 슬러지가 들어 있는 슬러지걸림구의 외부에 돌출된 탄성고리부를 눌러,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물기를 제거함으로써, 슬러지를 압축 고형화하는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Sludge) 처리장치 중에서; 슬러지의 수집과 더불어 슬러지를 압축하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는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압축하기 위하여 다수의 슬러지압축롤러를 구비하고 탄성수집판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수집판의 일부 면에 지지탄성벨트를 구비하여, 슬러지의 압축시 탄성수집판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다수의 슬러지 압축롤러가 슬러지의 물기를 여러 차례 제거하도록 하였다.
또한, 압축된 압축슬러지를 효과적으로 회전하는 탄성수집판에서 배출하여 슬러지수집대차(22)에 모으기 위하여, 또는 압축슬러지가 슬러지수집기로 떨어지게 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탄성수집판의 탄성고리부를 벌어지게 할 수 있는, 슬러지수집기에 슬러지채집돌기를 구비하여; 압축된 슬러지가 슬러지수집기를 통하여 슬러지수집대차로 모이게 하였다.
이는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Sludge) 처리장치 중에서 슬러지의 수집과 더불어 슬러지를 압축하는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수집 및 슬러지압축처리 장치를 동시에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현재의 슬러지 처리장치인 압축기 내지는 탈수기, 열건조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슬러지를 고형화하는 것에 반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슬러지 걸름장치인 스크렙터의 일부 면에 슬러지를 침전지로부터 제거하는 슬러지 걸림구를 구비하고; 슬러지 걸림구를 압축하여 슬러지의 물기를 제거하는 압축롤라를 구비하여; 슬러지를 압축함으로써 슬러지 고형화 작업에 소요되는 일정 설비나; 슬러지 압축 및 탈수시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재처리할 필요가 없으며; 가열방법에 의한 슬러지 건조시 발생되는 각종 오염기체 등의 발생을 최대한 저지함으로써,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Sludge) 처리장치 중에서; 슬러지의 수집과 더불어 슬러지를 압축하는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수집 및 슬러지압축처리 장치를 동시에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수(11)가 모여서 슬러지(20)가 바닥면에 침전되는 침전지(10)와; 침전지(10)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탄성수집판(40)을 갖는다.
좀더 자세하게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도 이며,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만 사시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도면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침전지(10) 내부의 회동롤러(31), 상단회동롤러(32), 배출회동롤러(33)를 가동하는 모타의 도면은 생략하였다. 역시, 도면의 복잡성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압축롤러가동모타(65)의 가동 통제를 받는 다수의 압축롤라지지축(61)의 압축롤러를 가동하는 압축롤러회전벨트(63)의 연결벨트도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이는 본 발명이 모타의 구동과 더불어 벨트(또는 체인)에 의하여 가동된다 는 기본 설정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평면도이다.
폐수(11)의 침전지(10) 유입은 폐수유입구(12)로 시작되어 폐수(11)에 포함된 오니; 슬러지(20)를 일정 시간 동안 흐르면서 침전시키고, 폐수배출구(13)로 빠져나가게 된다.
침전지(10)의 기능은 폐수(11)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슬러지(20)를 모으는 설비이다. 침전지(10)에 적정량의 슬러지(20)가 모이게 되면; 이 슬러지(20)를 제거하게 되어 있는데, 슬러지(20)의 제거는 대부분 롤러 또는 체인과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형태로 끌어올리게 된다.
상기의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침전지(10)의 슬러지(20)를 침전지(10)의 외부로 끌어올려 모여진 슬러지(20)를 슬러지수집대차(22)에 모아 슬러지(20)를 가공하게 된다. 이렇게 수집된 슬러지(20)는 수분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건조기나 탈수기 등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도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의 회동롤라(31)가 회전 및 침전지(20)에서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러지지축(30)이 회동롤러(31)의 일부를 고정하여 침전지의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압출롤러부지지축(66) 또한 침전지(10)의 상단의 일부 면에 고정이 되어 슬러지수집부분(A)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도 슬러지(20)를 침전지(10)에서 수집하는 과정은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다 보아도 무관하다. 그러나 슬러지(20)를 수집하는 탄성수집판(40)의 구조가 슬러지수집부분(A)과 같다. 슬러지수집부분(A)는 도 3의 상세부분으로 표기하기 위 한 부호이다.
도 3은 슬러지수집부분 상세 평면도이다.
침전지(10)의 슬러지(20)를 끌어올리는 탄성수집판(40)의 형태는 회동롤러(31)와 상단회동롤러(32), 배출회동롤러(33)을 감싸면서 수집판이동방향(80a, 도 4)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있으며; 탄성수집판(40)의 외부로는 슬러지(20)를 수집하기 위하여 슬러지걸림구(42)가 구비되어 있고, 모여진 슬러지(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고리부(41) 형성되어 있다. 탄성고리부(41)는 모여진 슬러지(20)가 슬러지걸림구(42)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도 슬러지압축부분(B)의 슬러지압축롤러(64)가 회전하면서, 슬러지걸림구(42)를 덮고 있는 탄성고리부(41)가 슬러지(20)를 눌러 압축슬러지(21)를 만들게 한다.
또한, 탄성수집판(40)에서 압축슬러지(21)를 배출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형태의 탄성수집판(40)이 만곡을 유지하기 위하여 벨트의 꺽임지지롤러(34)를 구비하게 되어 탄성수집판(40)의 무게와 중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여기서 슬러지압축부분(B)은 도 4의 상세부분을 표기하기 위한 부호이다.
도 4는 슬러지압축부분(B)의 평면도이다.
슬러지(20)를 수집하기 위하여 탄성수집판(40)은 지속적으로 수집판이동방향(80a)으로 계속 이동 회전하게 된다. 탄성수집판(40)은 표면에 많은 돌기인 탄성고리부(41)를 구비하게 되고, 탄성고리부(41) 내부에는 슬러지(20)가 모일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의 슬러지걸림구(42)를 갖게 된다. 탄성수집판(40)이 침전지(10)의 내부 방향인 수집판이동방향(80a)으로 회전함으로써 침전지(10)에 고여지는 슬러지(20)를 계속해서 끌어올리게 된다.
이렇게 침전지(10)를 돌아 나온 탄성수집판(40)은; 압축롤러가동모타(65)에 의하여 압축롤러회전벨트(63)가 압축롤러이동방향(81a)으로 회전함으로써, 압축슬러지배출부분(C)으로 올려지는 탄성수집판(40)의 슬러지걸림구(42)에 수집된 슬러지(20)를 탄성고리부(41)가; 압축롤러부지지축(66)과 연결되어 지지탄성롤러(51)에 의하여 회전되는 지지탄성벨트(50)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슬러지압축롤러(64)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여러 차례 슬러지압축롤러(64)에 의하여 탄성고리부(41)가 슬러지걸림구(42)를 누름으로 인하여, 슬러지(20)의 탈수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압축슬러지(21)가 만들어지게 된다.
좀더 자세하게는 압축슬러지롤러부분(D)을 참조하면 된다. 도 4의 압축슬러지롤러부분(D)는 도 5의 상세부분을 표기하기 위한 부호이다.
도 5는 슬러지압축부분(D) 상세 평면도이자 슬러지(20) 압축 작동 도이다.
압축롤러회전방향(81)으로 회전하는 압축롤러회전벨트(63)에 의하여 슬러지압축롤러(64)는 탄성수집판(40)의 슬러지걸림구(42)의 내부에 수집된 슬러지(20)를 탄성고리부(41)가 여러 차례 눌러 슬러지(20)를 압축함으로써; 압축슬러지(21)가 만들어지게 된다. 탄성수집판(40)이 슬러지압축롤러(64)에 의하여 슬러지(20) 압축시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롤러부지지축(66)은 지지탄성롤러(51)와 슬러지압축롤러(64)를 지탱하게 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탄성수집판(40)이 지지탄성롤러(51)와 슬러지압축롤러(64) 통과하여도 탄성수집판(40)이 뒤로 밀리지 않 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탄성수집판(40)의 외부에 형성된 슬러지걸림구(42)의 슬러지(20)를 탄성고리부(41)가 지지탄성롤러(51)와 슬러지압축롤러(64) 사이를 지속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슬러지(20)의 수분은 지속적으로 슬러지걸림구(42)에서 배출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슬러지(20)는 수분이 제거된 압축슬러지(21)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슬러지(20)의 압축과정을 거치면서 슬러지걸림구(42)에서 배출되는 수분은 수집기보호판(73)과 슬러지압축롤러(64)가 구비되어 있는 공간을 타고 다시 침전지(10)로 유입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도 2와 같이 여러 개를 설치; 또는 탄성수집판(40)의 슬러지걸림구(42)의 크기를 다양화하여; 침전지(10)에 발생하는 슬러지(20)의 형태에 따라 적응하도록 할 수 있게 하였다.
폐수(11)의 슬러지(20)의 경우 98% 이상의 함수율이 있어 슬러지(20) 자체의 처리·처분이 곤란하여, 자연 건조나 탈수기를 이용하여 함수율을 낮추고 있다.
지금까지는 혐기처리(嫌氣處理)에 의해 슬러지(20)를 안정화한 후 탈수하여 매립하는 방법으로 처분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슬러지(20)의 량의 증가로 인해 곤란하여 슬러지(20)를 직접 기계로 탈수한 후 소각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 밖에 습식산화 또는 가열처리 등의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러지(20)를 여러 차례 압축함으로써, 함수율을 최대한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압축된 슬러지(20)를 탄성수집판(40)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하여 본 발 명은 압축슬러지배출부분(C)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의 압축슬러지배출부분(C)은 도 6의 상세부분을 표기하기 위한 부호이다.
도 6은 압축슬러지배출부분(C)의 상세 평면도이다.
침전지(10)에서 슬러지(20)를 수집하여 올라오는 슬러지걸림구(42)가 지지탄성롤러(51)와 슬러지압축롤러(64) 사이에서 탄성고리부(41)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압축되어 꺽임지지롤러(34)를 통과한 후 압축슬러지(21)를 배출하기 위하여; 압축롤러회전지지축(67)에 구비된 수집기지지대(71)의 슬러지수집기(70) 상단에 구비된 슬러지채집돌출기(72)가; 수집판회전방향(80)으로 회전하는 탄성수집판(40)의 탄성고리부(41)의 끝 부분을 막아 슬러지걸림구(42)의 내부에 있는 압축슬러지(21)를 슬러지수집기(70)로 배출하게 되고; 슬러지수집기(70)는 압축된 슬러지(20)를 슬러지수집대차(22)로 모으게 된다.
여기서 탄성수집판(40)은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의 벨트로 제작이 되어; 복원력이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슬러지채집돌기(72)에 탄성고리부(41)가 탄성수집판(40)이 수집판회전방향(80)으로 회전하더라도 슬러지채집돌기(72)를 통과한 탄성고리부(41)가 다시 복원되어 침전지(10)로 돌아가도록 하였다.
이는 또한, 배출회동롤러(33)를 감아 돌아 탄성수집판(40)이 회전하면서; 탄성수집판(40)의 탄성고리부(41)는 슬러지채집돌출기(72)가 없어도 벌어지면서 압축슬러지(21)를 슬러지수집기(70)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여러 차례 압축된 슬러지(20)를 슬러지걸림구(42)로부터 완전하게 이탈시키기 위하여 슬러지수집기(70)의 상단의 일부 면에 슬러지채집돌출기(72)를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침전지(10)에서 침전되는 슬러지(20)를 탄성수집판(40)의 슬러지걸림구(42)가 수집하여 탄성고리부(41)로 글러지(20)를 압축하고, 압축된 슬러지(20)를 다시, 탄성수집판(40)의 슬러지걸림구(42)에서 배출함으로써 함수율을 낮춘 압축슬러지(21)를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서술을 요약하면,
침전지(10)로 삽입되어 회전하는 탄성수집판(40)을 구비하고, 탄성수집판(40)에 침전지(10)의 슬러지(20)를 모으고, 끌어올리는 슬러지걸림구(42)를 구비하여, 침전지(10)로부터 슬러지(20)를 끌어올려 슬러지압축롤러(64)로, 슬러지(20)가 들어 있는 슬러지걸림구(42)의 탄성고리부(41)를 눌러 슬러지(20)에 포함되어 있는 물기를 제거함으로써, 슬러지(20)를 압축 고형화하는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 처리장치 중에서 슬러지(20)의 수집과 더불어 슬러지(20)를 압축하게 되고,
보다 효과적으로 슬러지(20)를 압축하기 위하여 다수의 슬러지압축롤러(64)를 구비하고 탄성수집판(4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수집판(40)의 일부 면에 지지탄성벨트(50)를 구비하여, 슬러지(20)의 압축시 탄성수집판(40)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탄성벨트(50)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압축된 압축슬러지(21)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슬러지수집대차(22)에 모으기 위하여, 압축슬러지(21)가 슬러지수집기(70)로 떨어지게 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탄성수집판(40)의 탄성고리부(41)를 벌어지게 할 수 있는, 슬러지수집기(70) 에 슬러지채집돌기(참고:도 6)를 구비하여 압축슬러지(21)를 모으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20) 처리장치 중에서 슬러지의 수집과 더불어 슬러지를 압축하는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수집 및 슬러지압축처리를 동시에 구현하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도이며,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이는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평면도 이다.
여기서 A는 도 3의 상세부분을 표기하기 위한 부호이다.
도 3은 슬러지수집부분 상세 평면도이다.
여기서 B는 도 4의 상세부분을 표기하기 위한 부호이다.
여기서 C는 도 6의 상세부분을 표기하기 위한 부호이다.
도 4는 슬러지압축부분 평면도이다.
여기서 D는 도 5의 상세부분을 표기하기 위한 부호이다.
도 5는 슬러지압축부분 상세 평면도이자 슬러지 압축 작동도이다.
도 6은 압축슬러지배출부분 상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슬러지수집부분
B:슬러지압축부분
C:압축슬러지배출부분
D:압축슬러지롤러부분
11:폐수, 12:폐수유입구, 10:침전지, 13:폐수배출구
20:슬러지, 21:압축슬러지, 22:슬러지수집대차
30:롤러지지축, 31:회동롤러, 32:상단회동롤러, 33:배출회동롤러
34:꺽임지지롤러
40:탄성수집판, 41:탄성고리부, 42:슬러지걸림구
50:지지탄성벨트, 51:지지탄성롤러, 52:지지탄성롤러지지축
60:압출롤러회전축, 61:압축롤러지지축, 63:압축롤러회전벨트
64:슬러지압축롤러, 65:압축롤러가동모타, 66:압축롤러부지지축
67:압축롤러회전지지축
70:슬러지수집기, 71:수집기지지대, 72:슬러지채집돌출기, 73:수집기보호판
80:수집판회전방향, 80a:수집판이동방향,
81:압출롤러회전방향, 81a:압축롤러이동방향

Claims (3)

  1. 침전지(10)로 삽입되어 회전하는 탄성수집판(40)을 구비하고, 탄성수집판(40)에 침전지(10)의 슬러지(20)를 모으고, 끌어올리는 슬러지걸림구(42)를 구비하여, 침전지(10)로부터 슬러지(20)를 끌어올려 슬러지압축롤러(64)로, 슬러지(20)가 들어 있는 슬러지걸림구(42)의 탄성고리부(41)를 눌러 슬러지(20)에 포함되어 있는 물기를 제거함으로써, 슬러지(20)를 압축 고형화하는 하수처리용 수조의 슬러지 처리장치 중에서 슬러지(20)의 수집과 더불어 슬러지(20)를 압축하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러지(20)를 압축하기 위하여 다수의 슬러지압축롤러(64)를 구비하고 탄성수집판(4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수집판(40)의 일부 면에 지지탄성벨트(50)를 구비하여, 슬러지(20)의 압축시 탄성수집판(40)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탄성벨트(50)를 구비한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3. 슬러지(20)의 수집과 더불어 슬러지(20)를 압축하는 폐수의 슬러지 제거 장치 중에서,
    압축된 압축슬러지(21)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슬러지수집대차(22)에 모으기 위하여, 압축슬러지(21)가 슬러지수집기(70)로 떨어지게 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탄성수집판(40)의 탄성고리부(41)를 벌어지게 할 수 있는, 슬러지수집기(70)에 슬러지채집돌기(참고:도 6)를 구비한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20080034034A 2008-04-14 2008-04-14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KR20090108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034A KR20090108769A (ko) 2008-04-14 2008-04-14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034A KR20090108769A (ko) 2008-04-14 2008-04-14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769A true KR20090108769A (ko) 2009-10-19

Family

ID=4155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034A KR20090108769A (ko) 2008-04-14 2008-04-14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87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8670A (zh) * 2019-09-26 2020-01-10 华南理工大学 连续增压带式脱水机用的可调式互锁机构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8670A (zh) * 2019-09-26 2020-01-10 华南理工大学 连续增压带式脱水机用的可调式互锁机构及方法
CN110668670B (zh) * 2019-09-26 2023-10-27 华南理工大学 连续增压带式脱水机用的可调式互锁机构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507B1 (ko) 오폐수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스크린탈수장치
CN113480138B (zh) 一种污泥深度调理脱水系统及其脱水控制方法
JPH09262574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1021423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0258Y1 (ko)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KR1012338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458499B1 (ko) 스크류 프레스형 슬러지 탈수장치
KR101563804B1 (ko) 음폐수 저감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7556B1 (ko) 무주축 스크류 이송식 압축·탈수 장치
KR20090108769A (ko) 폐수의 슬러지 제거장치
KR200409043Y1 (ko) 농축, 탈수라인을 갖는 슬러지 처리장치
KR101263755B1 (ko)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CN217628075U (zh) 一种城市污泥处理系统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0345619B1 (ko) 찌꺼기 분리장치
KR100620438B1 (ko) 상향식 오폐수 처리 장치
KR200203076Y1 (ko) 협잡물 제거장치의 보조장치(2)
KR20090061398A (ko) 협잡물 제거장치
KR0155031B1 (ko) 토사 및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0470648B1 (ko) 대용량 백을 이용한 침전물 탈수 및 건조장치
KR100702670B1 (ko) 슬러지 탈수 장치
KR100828162B1 (ko)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KR1004897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9116Y1 (ko) 폐 음식물 처리장치의 여과장치
KR101345389B1 (ko) 수처리용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