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162B1 -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162B1
KR100828162B1 KR1020060089552A KR20060089552A KR100828162B1 KR 100828162 B1 KR100828162 B1 KR 100828162B1 KR 1020060089552 A KR1020060089552 A KR 1020060089552A KR 20060089552 A KR20060089552 A KR 20060089552A KR 100828162 B1 KR100828162 B1 KR 10082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redged soil
dredged
screen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856A (ko
Inventor
고재만
임재식
Original Assignee
(주)청호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이앤씨 filed Critical (주)청호이앤씨
Priority to KR102006008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162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는 상부에 준설토사 투입구, 측면에 이물질 배출구, 준설토사 배출구, 및 하부에 배수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투입된 준설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내어 상기 이물질 배출구로 방출시키고 이물질이 제거된 준설토사는 아래로 통과시키는 제1 스크린 층; 상기 제1 스크린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준설토사가 함유하고 있는 물을 아래로 통과시키는 제2 스크린 층; 및 상기 제2 스크린의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크린을 통과한 물을 여과하는 필터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린 층은 상기 제2 스크린 층을 통과하지 못한 준설토사를 상기 준설토사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스크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준설토사, 후처리, 건조, 기계처리방식, 스크린, 필터, 평판, 스크루

Description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Dewatering Apparatus for Dedged Sand}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도1에 도시된 탈수처리장치의 A-A' 단면도이다.
제3도는 도1에 도시된 탈수처리장치의 B-B'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스크린과 그 지지부재를 도시한 그림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본체 101 : 준설토사 투입구
102 : 이물질 배출구 103, 103a, 103b : 준설토사 배출구
104 : 배수구 110 : 제1 스크린 층
111 : 스크린 120 : 제2 스크린 층
121, 123 : 스크린 122, 124 : 스크루
130 : 필터 층 131 : 필터
132, 133 : 필터 케이스 면 140 : 평판
141 : 개구 150 : 본체 바닥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준설토사 후처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채취된 준설토사를 기계적으로 탈수시키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하천이나 해안의 바닥에 일정기간동안 흙이 쌓이게 되면 바닥에 쌓인 흙이나 암석 따위를 쳐내어 바닥을 깊게 하는 준설 작업을 하는데, 이 때 채취되는 준설토사는 많은 오염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건조 등의 일정한 후처리를 한 후 투기장에 버리거나 재활용된다.
이러한 준설토사의 후처리 방법으로는 채취한 준설토사를 바람과 햇빛만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자연처리방법, 기계에 준설토사를 넣고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기계적 처리방법, 및 고화제를 첨가하여 화학적으로 건조시키는 화학적 처리방법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탈수비용이 저렴한 자연건조처리를 선호하고 있다. 그 러나 자연처리방법은 저렴한 반면 준설토사를 펼쳐 놓을 넓은 부지가 확보되어야 하고 방치된 준설토사로 인해 부지 근처에 파리 등 해충이 창궐할 뿐만 아니라 건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처리된 준설토사의 품질 또한 양호하지 않은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외국에서는 3가지 처리방법을 적절히 혼용하여 준설토사를 탈수처리하고 있으나 기계적 처리방법의 경우 열을 가하여 준설토사를 건조시키는 것으로 자연처리방법에 비해 건조시간이 단축되나, 준설토사의 경우 적절한 양의 물만 제거하는 탈수 처리를 하면 재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요 이상 건조시킴으로써 처리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1일 처리물량이 한정적인 문제가 있으며, 화학적 처리방법은 어느 정도 준설토사의 탈수가 진행된 후에 고화제를 혼합하여 고화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화학반응에 따른 환경적 문제도 우려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완전한 건조 효과보다는 준설토사의 범용적인 재활용에 적합한 수준의 탈수 처리가 가능하며, 경제성을 갖추고 준설토사로부터 배출된 오염수의 정화가 가능한 새로운 탈수처리장치를 개발하게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준설토사를 기계적으로 탈수하기 위한 탈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범용적인 재활용에 적합한 수준의 경제적인 탈수기능 을 구비한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수준으로 준설토사의 함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수와 동시에 준설토사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수와 동시에 필요한 입자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준설토사를 분류할 수 있는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준설토사로부터 배출된 오염수의 정화 기능을 구비한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는 상부에 준설토사 투입구, 측면에 이물질 배출구, 준설토사 배출구, 및 하부에 배수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투입된 준설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내어 상기 이물질 배출구로 방출시키고 이물질이 제거된 준설토사는 아래로 통과시키는 제1 스크린 층; 상기 제1 스크린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준설토사가 함유하고 있는 물을 아래로 통과시키는 제2 스크린 층; 및 상기 제2 스크린의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크린을 통과한 물을 여과하는 필터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린 층은 상기 제2 스크린 층을 통과하지 못한 준설토사를 상기 준설토사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스크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스크린 층과 제2 스크린 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준설토사 배출구 반대쪽에 개구를 갖는 평판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준설토사 투입구와 이물질 배출구는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스크린 층은 이물질 배출구쪽으로, 상기 제2 스크린 층은 준설토사 배출구쪽과 상기 스크루가 위치한 쪽으로, 본체 바닥은 배수구쪽으로 아랫방향 경사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준설토사 배출구를 형성하고, 각각의 준설토사 배출구로 연결되도록 다단으로 복수개의 스크린을 위치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은 상부에 위치한 스크린의 망크기를 하부에 위치한 스크린의 망크기 보다 크게하여 준설토사의 입자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1에 본 발명에 따른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는 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101)에 채취한 준설토사를 주입하면 준설토사는 탈수 처리되어 준설토사 배출구(103)로 방 출된다.
도1에 도시된 탈수처리장치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도2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본체(100)는 상부에 준설토사 투입구(101), 측면에 이물질 배출구(102), 준설토사 배출구(103), 및 하부에 배수구(10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준설토사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스크린 층(110), 준설토사를 탈수 처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제2 스크린 층(120), 준설토사로부터 배출된 물을 정수하는 필터 층(130)의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크린 층(110)은 준설토사 투입구(101)를 통해 투입된 준설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을 준설토사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층이다. 이를 위해 제1 스크린 층은 준설토사 입자 크기보다 크지만 페트병 등의 이물질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스크린(screen)(11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111)으로 적절한 망 크기(예를 들어, 25mm 정도가 바람직함)의 철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리된 이물질이 배출구(102)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스크린(111)은 이물질 배출구쪽으로 경사지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크린 층(120)은 상기 제1 스크린 층(110)을 통과한 준설토사를 탈수시키기 위한 층이다. 이를 위해 제2 스크린 층은 준설토사 입자 크기보다 작지만 물은 아래로 배출시킬 수 있는 크기(예를 들어, 망의 크기가 2mm 내지 3mm 정도가 바람직함)의 스크린(screen)(121)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크린 층(120)은 상기 스크린(121) 위에 스크루(122)를 구비하여 스크린(121)에 적층된 준설토사가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계속 움직이게 하여 배수가 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준설토사가 배출구(103)쪽으로 이동 배출될 수 있다.
준설토사는 제2 스크린 층(120)에 오래 머무를수록 더 많은 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스크린 층을 통과한 준설토사가 가능한 준설토사 배출구로부터 먼 곳에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스크린 층과 제2 스크린 층 사이에, 제1 스크린 층을 통과한 준설토사가 준설토사 배출구(103)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스크린 층 위에 떨어지도록 배출구 반대쪽에 개구(141)가 있는 평판(14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41)를 통해 떨어진 준설토사는 스크루(122)에 점점 준설토사 배출구(103) 쪽으로 이동하고, 준설토사에 함유되어 있던 물은 스크린(121) 밑으로 떨어져 탈수된 준설토사가 배출구로 배출된다.
이 때 스크루(122)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할수록 준설토사가 더 많이 탈수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스크루의 속도를 조절하므로써 원하는 함수량을 갖는 준설토사를 얻을 수 있다.
스크린(121)은 준설토사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출구(103)쪽으로 경사지도록 위치시키고(도2 참조), 또한 스크린 위에 적층된 준설토사가 스크루에 의해 잘 움직일 수 있도록 스크루쪽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3 참조).
상기 스크린(111, 121)은 용도에 따라 다른 망 크기의 스크린으로 교환과 손상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층(130)은 준설토사로부터 배출된 물을 정수하는 층으로, 상기 제2 스크린 층 아래에 위치한다. 준설토사가 함유하고 있는 물은 중금속 등으로 심하게 오염된 오염수로 이를 그대로 방출할 경우 악취, 해충 발생 등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준설토사로부터 배출된 오염수를 필터(131)로 정수한 후 방출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는 투수계수 1.0×10-2cm/s 이하의 친환경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는 일정 기간 사용 후에는 교체 또는 세척하여야 하므로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는 교환이 용이하도록 필터는 망구조의 케이스 등 적절한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는데 망구조의 케이스를 이용할 경우 필터 위쪽의 케이스면(132)은 제2 스크린층 스크린(121)보다 작은 망 크기를 갖는 스크린을 사용하여 제2 스크린층 스크린(121)을 통과한 토사가 직접 필터에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아래쪽의 케이스면(133)은 필터(1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케이스를 이용하지 않고 필터 상부에는 제2 스크린층 스크린(121)보다 작은 망 크기를 갖는 스크린를 설치하고, 필터 하부에는 필터를 지지할 수 있는 철재 프레임과 같은 지지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원활한 배수를 위해 본체 바닥은 배수구쪽으로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 도1에 도시된 탈수처리장치의 B-B'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 고로 본 발명에 따른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준설토사 투입구(101)를 통해 준설토사가 투입되고, 투입된 준설토사는 제1 스크린 층의 스크린(111)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되며, 제1 스크린 층을 통과한 준설토사는 제2 스크린 층의 스크린(121)에 적층되며, 스크루(122)에 의해 준설토사 배출구(103) 쪽으로 이동, 배출됨과 동시에 준설토사가 함유하고 있던 물이 아래 필터층(130)으로 떨어짐으로써 탈수되고, 필터층으로 떨어진 물은 필터(131)에 의해 정수된 후 본체 바닥(150)으로 떨어지고 배수구(104)를 통해 배수된다.
도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탈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탈수처리장치는 본체에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두개의 준설토사 배출구(103a, 103b)가 형성된 것과 이에 대응되도록 제2 스크린층(120)이 이층으로 구성한 것을 이외에는 도2에 도시된 탈수처리장치와 동일하다.
상기 제2 스크린층(120)을 구성하는 두개의 스크린(121, 123)은 상부에 위치하는 스크린(121)의 망 크기를 하부에 위치하는 스크린(123)의 망 크기보다 크게 함으로써 준설토사를 입자 크기에 따라 2가지로 분리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준설토사의 입자크기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하나 또는 마주보는 한쌍의 측면은 여닫이식 문으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는 컨테이너 박스 등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측면을 여닫이식 문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스크린에 남아 있는 이물질 제거, 스크린 및 필터의 교환 등 탈수처리장치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처리장치의 각 스크린 및 필터는 과도한 이물질, 준설토사, 물 등이 떨어지거나 적층될 경우 누르는 힘을 지탱하지 못하고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철재 프레임 등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범용적인 재활용에 적합한 수준의 경제적인 탈수기능에, 원하는 수준으로 준설토사의 함수량을 조절할 수 있고, 탈수와 동시에 준설토사에 섞여있는 이물질의 분리와 필요한 입자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준설토사를 분류할 수 있으며, 준설토사 탈수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된 방류수를 정화할 수 있으며, 관리가 용이하고 설치비가 저렴한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상부에 준설토사 투입구, 측면에 이물질 배출구, 준설토사 배출구, 및 하부에 배수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투입된 준설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내어 상기 이물질 배출구로 방출시키고 이물질이 제거된 준설토사는 아래로 통과시키는 제1 스크린 층;
    상기 제1 스크린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크린을 통과한 준설토사가 함유하고 있는 물을 아래로 통과시키는 제2 스크린 층; 및
    상기 제2 스크린의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크린을 통과한 물을 여과하는 필터 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린 층은 상기 제2 스크린 층을 통과하지 못한 준설토사를 상기 준설토사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스크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층과 제2 스크린 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준설토사 배출구 반대쪽에 개구를 갖는 평판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토사 투입구와 이물질 배출구는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크린 층은 이물질 배출구쪽으로 아랫방향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2 스크린 층은 준설토사 배출구쪽과 상기 스크루가 위치한 쪽으로 아랫방향 경사를 가지며, 본체 바닥은 배수구쪽으로 아랫방향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층, 제2 스크린 층 및 필터층은 스크린과 필터를 각각 지지하는 하부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준설토사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크린층은 각각의 준설토사 배출구로 연결되도록 다단으로 위치한 복수개의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은 상부에 위치한 스크린의 망크기가 하부에 위치한 스크린의 망크기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직육면체이며, 하나 또는 마주보는 한쌍의 측면은 여닫이식 문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KR1020060089552A 2006-09-15 2006-09-15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KR10082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52A KR100828162B1 (ko) 2006-09-15 2006-09-15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52A KR100828162B1 (ko) 2006-09-15 2006-09-15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856A KR20080024856A (ko) 2008-03-19
KR100828162B1 true KR100828162B1 (ko) 2008-05-15

Family

ID=3941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552A KR100828162B1 (ko) 2006-09-15 2006-09-15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266B1 (ko) 2016-03-21 2017-02-13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질개선 및 준설토 처리를 위한 준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433A1 (ko) * 2014-02-06 2015-08-13 이정용 원유묻은 돌과 모래의 원유제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216U (ko) * 1990-02-15 1991-10-31
JPH11324012A (ja) 1998-05-14 1999-11-26 Ihi Amtec:Kk 泥土の固化処理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216U (ko) * 1990-02-15 1991-10-31
JPH11324012A (ja) 1998-05-14 1999-11-26 Ihi Amtec:Kk 泥土の固化処理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266B1 (ko) 2016-03-21 2017-02-13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수질개선 및 준설토 처리를 위한 준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856A (ko)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045B1 (ko) 무동력 수질관리시설과 청소시설이 내장된 빗물저류탱크
KR20120095767A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0814790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1056115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2492248B1 (ko) 빗물 여과 장치
KR100823236B1 (ko) 방사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772744B1 (ko)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
KR100828162B1 (ko)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KR100849521B1 (ko) 준설토 선별 분리기
KR101085199B1 (ko) 하천 지류의 부유물 제거 및 여과 시스템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0892834B1 (ko) 다양한 입자별 거름기능과 수량조절, 정화 및 투수작용의 착탈식 침사조 시스템 장치
CN207228285U (zh) 一种雨水井净化装置
KR101134311B1 (ko) 로드 트랩 장치
KR100557493B1 (ko)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JPH0771019A (ja) 処理水中のし渣及び/又は油分の除去方法、これを使用した前処理施設及び汚水処理施設
KR200449657Y1 (ko) 회전스크린을 구비한 수중오염물질 처리장치
JP2607814Y2 (ja) 浄水化促進装置
KR101720715B1 (ko) 전처리를 통한 비점처리 지하 침투형 집수시스템
CN207436238U (zh) 一种模块化雨水过滤系统
KR200430295Y1 (ko) 세척수 회수가 가능한 여과사 골재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