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211A - 이동식 중량 함 - Google Patents

이동식 중량 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211A
KR20090107211A KR1020080032601A KR20080032601A KR20090107211A KR 20090107211 A KR20090107211 A KR 20090107211A KR 1020080032601 A KR1020080032601 A KR 1020080032601A KR 20080032601 A KR20080032601 A KR 20080032601A KR 20090107211 A KR20090107211 A KR 20090107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net
side frame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447B1 (ko
Inventor
곽인근
Original Assignee
곽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인근 filed Critical 곽인근
Priority to KR102008003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44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03Nets for tennis or like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6Supports, e.g. poles stabilised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중량 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되는 기둥을 이용하여 야외에서 운동경기를 위한 네트를 설치하거나 광고 및 간판, 중량물을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중량 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네트(31)의 네트 고정선(32)을 운동경기할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기둥(18)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바닥 연결대(15)를 연결한 바닥 프레임(12)의 상측에서 길이가 긴 2면에 측면 프레임(13)을 연결하고 길이가 짧은 2면에 사이드 프레임(40)을 연결하여 측면 프레임(13)과 사이드 프레임(40)의 상부 연결대(16)를 연결한 상부 프레임(14)과;
상기 상부 연결대(16)를 관통하여 바닥 연결대(15)의 하부 고정대(17)에 설치하며 상부 연결대(16)의 하측에 설치한 상부 고정대(20)에 연결하여 네트 고정선(32)을 연결한 기둥(18)과;
상기 바닥 프레임(12)의 내부에 중량물(3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중량 함, 네트, 기둥, 너트

Description

이동식 중량 함{A moving weight case}
본 발명은 이동식 중량 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되는 기둥을 이용하여 야외에서 운동경기를 위한 네트를 설치하거나 광고 및 간판, 중량물을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중량 함에 관한 것이다.
테니스, 족구, 배드민턴, 배구 등과 같은 운동 경기는 주로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계절이 오면 많은 사람이 야외에서 이와 같은 다양한 운동경기를 즐기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양한 운동경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공과 네트 및 기구 등을 준비해야만 하는 것이며, 공과 기구 등은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것이어서 준비가 간편하고, 대부분 어느 정도의 운동경기를 즐기거나 할 줄 아는 경우에는 준비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함께 야외 활동에서 테니스와 족구, 배드민턴, 배구 등과 같은 운동경기를 하기 위해서는 네트를 설치해야 하지만 별도의 고정식 기둥이 설치된 곳이 아니면 네트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므로 주변의 나무와 기구 등을 이용하여 네트를 설치하지만, 이러한 네트의 설치가 쉽지 않아 운동경기를 즐기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식으로 기둥(지주)을 설치한 후 기둥에 네트(31)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구가 제안된 바 있으나, 기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팩을 지면에 박아 끈을 이용하여 기둥을 고정한 후 네트를 설치하여 운동경기를 즐기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기둥을 팩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운동경기를 즐기는 과정에서 충돌하거나 공에 의해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네트의 설치상태가 쉽게 변형되어 네트를 다시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팩과 연결한 끈으로 인하여 운동경기를 즐기는 것이 매우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며, 내부에 중량물을 설치한 후 기둥을 이용하여 네트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이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둥의 돌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둥과 그 상측을 이용하여 광고 및 간판이나 중량물을 걸어 놓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량물을 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소정의 크기로 접어서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사각형의 함을 만들고, 양쪽 측면과 하측 및 상측을 가리며, 돌출되는 기둥을 이용하여 양쪽에서 네트를 설치하여 야외에서 이동식으로 다양한 운동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둥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광고 및 간판으로 사용하거나 기둥의 상측에 샌드백과 같은 중량물을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므로 분리하는 경우 소정의 크기로 축소되어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고, 중량물을 사용하여 함이 충격에도 설치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물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포대형으로 성형하고, 물을 제거하는 경우 두께가 얇아지며, 접어서 가방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과 이동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사각형의 함을 만들고, 양쪽 측면과 하측 및 상측을 가리며, 돌출되는 기둥을 이용하여 양쪽에서 운동경기에 맞는 네트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야외에서 이동식으로 다양한 운동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둥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옥외 광고 및 간판으로 사용하거나 기둥의 상측에 샌드백과 같은 중량물을 걸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 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므로 분리하는 경우 소정의 크기로 축소되어 하나의 가방에 삽입하여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고, 중량물을 사용하여 함이 충격에도 설치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물을 포대(자루)형태의 대형 및 소형의 크기로 성형한 후 물을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을 제거하면 얇게 되거나 접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여 간편하게 이동 및 가방에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용접하거나 나사식으로 조립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식 중량 함(10)을 형성하는 것으로 바닥 프레임(12)의 각 방향 선단에서 상측으로 길이가 긴 방향으로 측면 프레임(13)을 설치하고, 측면 프레임(13)의 양쪽으로 사이드 프레임(40)을 그리고 상측에서 상부 프레임(14)을 연결 스크류(14a)를 통해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사각형의 함을 설치한다.
상기 바닥 프임(12)과 상부 프레임(14)은 측면 프레임(13)과 사이드 프레임(40)에 연결 스크류(14a)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측면 프레임(13) 과 사이드 프레임(40)에는 너트(27)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조립되도록 하였다.
상기 바닥 프레임(12)의 상측에는 바닥판(23)을 설치하고 상부 프레임(14)의 상측에는 상부판(25)을 설치하는 것이며, 측면 프레임(13)의 외측에는 측면판(24)을 사이드 프레임(40)의 외측에는 사이드판(41)을 대고 통상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소정의 간격에서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23)과 상부판(25)은 기둥 관통구(18a)를 형성하여 기둥(18)이 관통되도록 하였으며, 바닥판(23)과 상부판(25)은 경첩(25a)을 설치하여 접어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바닥 프레임(12)의 중앙에서 한 방향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바닥 연결대(15)를 형성하여 그 상측으로 양쪽에 하부 고정대(17)를 용접하여 기둥(18)의 하측 선단을 대고 하부 고정볼트(19)를 관통시켜 하부 너트(19a)로 연결하며, 상부 프레임(12)의 중앙에서 한 방향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상부 연결대(16)를 형성하여 그 하측으로 양쪽에 상부 고정대(20)를 용접하여 기둥(18)을 관통시켜 상부 고정볼트(21)를 관통시켜 상부 너트(22)로 연결하여 기둥(18)이 외측에서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기둥(18)은 내부에 사각홀(18a)을 형성하고 네트(31)를 설치하여 네트 고정선(32)을 연결할 위치에 연결 고리(28)를 설치한다.
상기 연결 고리(28)는 미리 용접하거나 통상적인 너트를 용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6)을 천공하고 관통구멍(26)의 양쪽이나 4방향으로 용접 구멍(26a)을 천공한다.
상기 관통 구멍(26)의 내부에는 너트(27)를 고정하고 나사 구멍(11a)을 천공한 너트 설치대(11)를 삽입하여 용접 구멍(26a)을 이용 용접에 의해 너트 설치대(11)를 용접 구멍(26a)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 고리(28)에 형성한 나사축(29)을 관통 구멍(26)에 조립하여 나사 구멍(11a)을 관통한 후 너트(27)에 나사식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상기 너트 설치대(11)는 기둥(18)의 필요한 위치에 따라 다수 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기둥(18)을 더 높이기 위해서는 사각홀(18a)에 새로운 기둥을 조립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식 중량 함(10)의 바닥판(23) 상측에는 내부에 물이나 모래, 흙 등으로 채워진 중량물(30)을 공급하거나 돌, 벽돌 등을 공급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 프레임(12)의 2곳에는 바퀴(33)를 설치하여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중량물(30)은 주로 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중량물(30)의 양족으로 입구(33)를 형성하고, 입구(33)의 선단을 나사돌기(35)의 안쪽과 고정 부재(34)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뚜껑(36)을 나사돌기(35)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가방에 각 부품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보관되며,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것이다.
이동식 중량 함(1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할 장소로 운반하여 바닥 연결 대(15)와 바닥 프레임(12)을 연결한 코너 부분의 4방향에서 2방향에 측면 프레임(13)을 나머지 2방향에 사이드 프레임(40)을 설치하고 바닥 프레임(12)과 상부 프레임(14)의 연결부분에 미리 용접한 너트(27)와 관통하도록 구멍을 천공하여 연결 스크류(14a)로 4방향에서 조립식으로 연결한다.
상기 바닥 프레임(12)의 상측에는 바닥판(23)을 상부 프레임(14)의 상측에는 상부판(25)을 조립하여 외주연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에서 통상적인 스크류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13)의 양쪽에는 측면판(24)을 사이프 프레임(40)의 양쪽에는 사이드판(41)이 외주연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에서 통상적인 스크류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상부 프레임(14)의 상부 연결대(16)와 상부판(25)과 바닥판(23)의 기둥 관통구(18a)에 기둥(18)을 관통시켜 바닥 연결대(15)에서 하부 고정대(17)의 사이에 놓고 하부 고정볼트(19)가 하부 고정대(17)와 기둥(18)을 관통하여 하부 너트(19a)로 고정하며, 상부 연결대(16)의 상부 고정대(20) 사이에 놓고 상부 고정볼트(21)가 상부 고정대(20)와 기둥(18)을 관통하여 상부 너트(22)로 고정한다.
그러면 기둥(18)은 하부 고정대(17)와 상부 고정대(20)에서 각각 고정되므로 일직선으로 세워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기둥(18)이 양쪽에 위치하도록 이동식 중량 함(10)을 설치한 후 바닥판(23)의 상측으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중량물(30)을 설치하여 이동식 중량함(10)이 외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중량물(20)은 물을 채워 놓거나, 흙이나 모래 등을 채워 놓을 수 있으며, 돌이나 벽돌 등과 같은 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중량물(20)은 포대(자루)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뚜껑(36)을 열어 입구(33)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한 후 뚜껑(36)을 나사돌기(35)에 고정시켜 물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담을 수 있게 되고, 이동에 의한 중량물(20)로 사용이 용이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을 제거하면 얇은 형태로 되어 접는 것이 가능하므로 가볍고 작아 가방에 보관과 이동이 편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기둥(18)을 설치한 상태에서 테니스, 족구, 배드민턴, 배구 등과 같은 다양한 운동경기를 하기 위해서 네트(31)를 설치하는 것으로, 네트 고정선(32)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네트 설치대(11)를 용접 고정한 위치에 형성한 관통 구멍(26)에 연결 고리(28)의 나사축(29)을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나사 구멍(11a)을 관통한 후 너트(27)에 고정되도록 하여 돌출 고정된 연결 고리(28)에 네트 고정선(32)을 연결하여 네트(31)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네트(31)를 설치한 후에는 다양한 운동경기를 할 수 있으며, 기둥(18)의 높이가 낮은 경우, 기둥(18)에 새로운 기둥을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기둥(18)의 상측에 샌드백과 같은 운동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실외에 설치하는 간판이나 광고판, 아치물 등 다양한 물품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야외에서 이동식으로 안정되게 네트를 설치하여 테니스와 배드민턴, 족구, 배구 등의 운동경기를 마음껏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둥의 높이를 조절하여 샌드백과 같은 중량물을 설치하거나, 옥외용 간판과 광고판과 같은 상업용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기둥 상측을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기둥 하측을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기둥에 대한 주요 부분의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도 6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도 6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네트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프레임에 대한 연결부분의 분리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프레임에 대한 연결부분의 분리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프레임에 대한 연결부분의 조립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중량물에 대한 주요 부분의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식 중량 함 11 : 너트 설치대
11a : 나사 구멍 12 : 바닥 프레임
13 : 측면 프레임 14 : 상부 프레임
15 : 바닥 연결대 16 : 상부 연결대
17 : 하부 고정대 18 : 기둥
19 : 하부 고정볼트 19a : 하부 너트
20 : 상부 고정대 21 : 상부 고정볼트
22 : 상부 너트 23 : 바닥판
24 : 측면판 25 : 상부판
26 : 관통 구멍 26a : 용접 구멍
27 : 너트 28 : 연결 고리
30 : 중량물 31 : 네트
32 : 네트 고정선 33 : 입구
34 : 고정 부재 35 : 나사돌기
36 :뚜껑 40 : 사이드 프레임
41 : 사이드판

Claims (4)

  1. 네트(31)의 네트 고정선(32)을 운동경기할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기둥(18)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바닥 연결대(15)를 연결한 바닥 프레임(12)의 상측에서 길이가 긴 2면에 측면 프레임(13)을 연결하고 길이가 짧은 2면에 사이드 프레임(40)을 연결하여 측면 프레임(13)과 사이드 프레임(40)의 상부 연결대(16)를 연결한 상부 프레임(14)과;
    상기 상부 연결대(16)를 관통하여 바닥 연결대(15)의 하부 고정대(17)에 설치하며 상부 연결대(16)의 하측에 설치한 상부 고정대(20)에 연결하여 네트 고정선(32)을 연결한 기둥(18)과;
    상기 바닥 프레임(12)의 내부에 중량물(3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량 함.
  2. 제 1항에 있어서, 바닥 프레임(12)에는 바닥판(23)을 설치하고 측면 프레임(13)의 양쪽 방향에는 측면판(24)을 사이드 프레임(40)에는 사이드판(41)을 설치하며, 상부 프레임(14)에는 상부판(25)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량 함.
  3. 제 1항에 있어서, 기둥(18)은 한 부분에 관통 구멍(26)을 설치하고 그 양쪽으로 용접 구멍(26a)을 형성하여 사각홀(18a)의 내부에 너트(27)를 설치한 너트 설치대(11)를 삽입하여 용접구멍(26a)에서 너트 설치대(11)를 용접 고정하여 연결 고 리(28)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량 함.
  4. 제 1항에 있어서, 중량물(30)은 물을 저장하는 것이며, 양쪽으로 형성한 입구(33)와 나사돌기(35)를 고정 부재(34)로 고정하여 뚜겅(36)으로 나사돌기(35)와 결합하고, 물을 제거하면 얇게 접는 것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량 함.
KR1020080032601A 2008-04-08 2008-04-08 이동식 중량 함 KR100964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601A KR100964447B1 (ko) 2008-04-08 2008-04-08 이동식 중량 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601A KR100964447B1 (ko) 2008-04-08 2008-04-08 이동식 중량 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211A true KR20090107211A (ko) 2009-10-13
KR100964447B1 KR100964447B1 (ko) 2010-06-16

Family

ID=4153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601A KR100964447B1 (ko) 2008-04-08 2008-04-08 이동식 중량 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4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9721A1 (en) * 2009-11-25 2011-09-01 Goody Products, Inc. Ultrasonic Hair Dryer
CN116077907A (zh) * 2022-12-30 2023-05-09 广西民族师范学院 一种便于调节且携带的便捷式盘排球训练用拦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840B1 (ko) 2023-04-13 2023-11-03 곽인근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776U (ja) 1984-06-25 1986-01-22 正昌 森山 テニス練習用ネツト
JPS61151766U (ko) 1985-03-11 1986-09-19
KR200329936Y1 (ko) 2003-07-07 2003-10-17 우종선 여러가지 운동기구로 사용이 가능한 지주대 구조
KR100578285B1 (ko) * 2004-11-16 2006-05-11 정한근 공놀이용 네트설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9721A1 (en) * 2009-11-25 2011-09-01 Goody Products, Inc. Ultrasonic Hair Dryer
CN116077907A (zh) * 2022-12-30 2023-05-09 广西民族师范学院 一种便于调节且携带的便捷式盘排球训练用拦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447B1 (ko)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865B2 (en) Multi-purpose portable lay-down post and fencing system
US20040159280A1 (en) Pylon
KR100964447B1 (ko) 이동식 중량 함
US8500074B1 (en) Bicycle storage tree
JP2012513550A (ja) 自立構造体を支持するとともに搬送するためのベースアセンブリ
US6851661B1 (en) Multi-purpose portable lay-down fence
US20150247314A1 (en) System for Creating Decorative Arches and Columns
KR100890352B1 (ko) 휴대용 조립식 배드민턴 네트.
KR200367705Y1 (ko) 운동 경기를 위한 설비 장치
US20140026454A1 (en) Frames and frame systems for portably supporting indicia-bearing media
CN210247657U (zh) 一种生态花卉种植装置
CN201132049Y (zh) 可升降篮球架
WO2005024763A1 (en) Placard supporter
CN206468104U (zh) 一种景观护栏
US20150105185A1 (en) Portable physical activity panels
CN202929994U (zh) 多功能广告支架
IT201900005162A1 (it) Campo polivalente recintato, nonché metodo e kit per la realizzazione dello stesso
ES1063607U (es) Soporte flexible para colocar una red con publicidad junto a las porterias de futbol.
JP3193914U (ja) 連続旗及びネット巻き取り型移動式収納保管機
KR101534072B1 (ko) 스윙 연습대
KR100578285B1 (ko) 공놀이용 네트설치대
JP3150962U (ja) テニスのボレー練習用具
CN101134135A (zh) 可升降篮球架
KR20130022040A (ko) 골프 연습장의 기둥 구조물을 활용한 인공암벽 구조물
IT201900005168A1 (it) Campo sportivo polivalente con recinzione rimbalz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