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335A -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335A
KR20090106335A KR1020090011090A KR20090011090A KR20090106335A KR 20090106335 A KR20090106335 A KR 20090106335A KR 1020090011090 A KR1020090011090 A KR 1020090011090A KR 20090011090 A KR20090011090 A KR 20090011090A KR 20090106335 A KR20090106335 A KR 20090106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gulation
portabl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찌로 후꾸시마
요우 나까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09001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6335A/ko
Publication of KR2009010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종래,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역에서 통신 레귤레이션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 대응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국가 또는 지역마다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레귤레이션에 합치시킬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역에서 통신 레귤레이션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우선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국가 또는 지역마다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레귤레이션 정보를 입수하여, 무선 통신에 설정하고, 각 국가 또는 지역에 맞춰서, 이용자는 의식하지 않고, 간단히 레귤레이션에 합치한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레귤레이션에 의해 사용 불가인 경우에는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알기 쉽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무선 통신, 휴대 단말 장치, 레귤레이션 정보, 이동국, 국제 로밍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 관리 방법{PORTAB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RADIO COMMUNICATION SCHEME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역 등의 영역에서 무선 레귤레이션이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대응한 휴대 단말기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역에서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하며 음성 메모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국제 로밍 계약되어 있는 제외국과 통화를 행하는 경우, 각각의 국가의 법률 사정에 따라서 음성 메모 기능의 사용의 가부를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동체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5722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57229호 공보에서는, 국내 무선 통신망(1)과 해외 무선 통신망(2)은 국제 로밍(3)이 계약되어 있다. 음성 메모 기능을 구비한 이동국(5)이 해외 무선 통신망(2)의 이동국(7)과 통화할 때, 이동국(5)은, 해외 무선 통신망(2)을 서비스 에리어로 하는 국가가 대화 녹음의 법률 규제를 행하고 있는 국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대화 녹음의 법률 규제를 행하고 있지 않은 국가이 면, 이동국(5)은, 원하는 바에 따라 음성 메모 기능을 유효하게 하고, 이동국(7)과의 대화를 녹음한다. 한편, 대화 녹음의 법률 규제를 행하고 있는 국가이면, 이동국(5)은 음성 메모 기능을 자동적으로 무효화하므로, 이동국(7)과의 대화는 녹음되지 않는다. 또한, 녹음 규제된 이유가 이동국(5)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즉, 국제 로밍처에서 할당되는 자신의 로밍 번호를 식별 번호로서 기억하고, 이 식별 번호에 기초하여 녹음 기능을 제한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휴대 단말기가 국제 로밍처에서 사용하는 자신의 전화 번호를 검출하고, 이 번호 체계와 자신의 메모리 내용을 비교하면서 녹음 기능을 제한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열차의 노선 구간 변경시에 이동국의 송수신 주파수를 그 노선 구간에 따른 주파수로 절환하는 열차 무선 시스템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5415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54159호 공보에서는, 종래 수동 조작에 의해 주파수의 절환을 행하고 있던 것을, 지상자(12)가 송신하는 노선 구간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노선 구간 절환 포인트를 인식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다음 노선 구간의 무선 주파수로 설정 변경하며, 아울러 데이터 전송에 이용하는 노선 구간 데이터를 새로운 정보로 설정 변경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국가·지역의 법률에 따라서 기능의 사용 가부를 결정하면 되는 경우도 있지만, 휴대 단말기가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통신 방식에 따라서는 각국의 레귤레이션이 세세하게 서로 다른 경우가 있으며, 주파수대나 출력 등이 상세하게 제한되어 있어 그것에 따르지 않으면 안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57229호 공보의 경우, 주파수대 등을 그 국가, 지역 등의 영역에 따르는 것의 문제 의식이 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54159호 공보의 경우, 노선 구간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지상자 등의 특수한 구성이 필요로 될 뿐만 아니라, 노선 구간의 수도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대 등의 특성의 관리도 특별히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각 이동국이 노선 구간마다의 특성에 관한 정보의 전부를 보유하고, 이것을 이용하여도 상관없지만, 무선 단말기나 IC 태그 리더와 같이 다수국에 걸쳐 이용되는 것의 경우, 이들 전부를 각 단말기측에서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이지는 않다. 특히, 법 개정, 규제 완화 등에서의 변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단말기측에서 전부 관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국가, 지역 등의 영역에서 레귤레이션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한 휴대 단말기이어도, 용이하게 영역마다의 레귤레이션에 무선 통신 방식을 적합시키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무선 통신 방식에는, 소위 IC 태그에 대한 리드/라이트도 포함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그 휴대 단말기의 요구에 대한 관리 서버로부터의 레스펀스에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 치에 기초하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특정하고, 이것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는, 이하의 양태가 포함된다.
휴대 단말기가, 자신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검지하고, 이 위치 정보 및 레귤레이션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관리 서버에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된 레귤레이션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이것을 자신의 기억 장치에 기록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요구 정보에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식별하는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여도 된다. 이 경우, 관리 서버에서,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레귤레이션 정보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가 저장하고 있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한다. 반대로,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위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한다.
또한, 이 경우,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레귤레이션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각각의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관리 서버에서는 그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레귤레이션 정보의 것과 일치한 경우, 그 취지의 관리 서버로부터 휴대 통신 단말기에 송신한다.
송신된 레귤레이션 정보에, 휴대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없는 경우, 휴대 단말 장치는 에러를 출력한다. 이것은, 휴대 단말기가, 자신이 대응할 수 없는(혹은, 대응 가능한) 레귤레이션 정보의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의 리스트를 기억해 놓 고, 이것과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 정보에는, 소위 GPS를 이용하여 특정되는 위도 경도 정보, 이 위도 경도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가 특정하는 영역명(국가명, 지역명, 도시명 등) 이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접수되는 영역명(국가명, 지역명, 도시명 등)이 포함된다. 이 경우, 영역명은, 각 레귤레이션 정보에 의해 제한되는 영역과 일치시킨다. 혹은, 일치하지 않은 경우, 각 레귤레이션 정보에 의해 제한되는 영역과 영역명의 대응표를, 관리 서버 및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보유하고, 이에 기초하여 입력 등 되는 영역명이 어느 영역(제한의 단위로 됨)인지를 특정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검지하고, 전회 검지한 제한의 단위로 되는 영역으로부터 변경이 있었는지를 판단하고, 변경이 있었다고 판단한 경우,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것도 본 발명의 일 양태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리더 라이터 기능(리더 라이터부) 이외의 기능에 의해, 제한의 단위로 되는 영역이 변경된 것을 검지하고, 이 검지가 있던 경우,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에 송신한다. 이것은, 휴대 단말기가 보유하는 제한의 단위로 되는 영역의 리스트에 의해, 영역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실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 기능(혹은, 메일 등)에서,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국가(영역)가 변경된 것을 검지하고, 태그 리더/라이터 기능에, 변경이 있었다는 취 지를 통지한다. 또한, 태그 리더/라이터 기능이 휴대 전화기능 등에 주기적으로 조회를 행하고, 이에 대한 레스펀스에 의해 판단하여도 된다. 혹은, 휴대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검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게 각 영역을 따른 무선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대해서는, 그 상세는 후술하지만, 휴대 단말기가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역에서 통신 레귤레이션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우선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국가 또는 지역마다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레귤레이션 정보를 입수하여, 무선 통신에 설정함으로써, 이용자는 의식하지 않고, 간단히 레귤레이션에 합치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해 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역에서 통화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RFID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R/W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가, 탑재하고 있는 RFID R/W의 무선 통신 레귤레이션이 국가마다 서로 다른 경우에 어떻게 그 국가의 레귤레이션에 간단히 대응시켜 가는지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역에서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하며 RFID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RFID R/W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100)가 국가 A의 서비스 에리어(101)로부터 국가 B의 서비스 에리어(102)로 이동한 경우의, 기지국 A(102), 기지국 B(104),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GPS 위성(105), 각국의 RFID R/W 레귤레이션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관리 서버(106)와의 관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고, 각종 판정이나, 연산 등에 의해 휴대 전화의 통괄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201)와, 음성 통화를 행하기 위한 입출력부(202)와, 각종 설정 데이터 등을 보존하는 기억부(203)와, 음성 통신이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04)와, 휴대 단말기 안테나(205)와, 텐키 입력이나 RFID의 R/W의 판독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입력부(206)와, 전화 번호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07)와, 기지국으로부터의 정보나 GPS 위성 등에 의해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말기 위치 인식부(208)와, 각국의 무선 통신 레귤레이션에 따라 RFID R/W를 설정하는 RFID R/W 레귤레이션 설정부(209)와, RFID R/W 레귤레이션 정보 설정부(209)의 설정에 따라 RFID와 통신을 행하는 RFID R/W부(210)와, RFID R/W 안테나(211)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RFID R/W 레귤레이션 정보 설정부(209)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저장하여도 되며, 레귤레이션 정보를 식별하는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도시 생략)를 저장하고, 레귤레이션 정보를 기억부(203)에 레귤레이션 정보 식별 정보와 대응지어 기억해 두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설정부(209)에 저장된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기억부(203)로부터 읽어내어, 그 제어를 행한다.
도 3은, 국가별 RFID R/W 레귤레이션 정보 관리 서버(106) 내에 보유되어 있 는, 국가별 레귤레이션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정보의 항목으로서 어느 국가의 레귤레이션 정보인지를 나타내는 국가(300)와, 그 국가에서 RFID R/W가 이용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이용 가부(301)와, 이용 가능한 주파수(302)와, 최대 출력(303)과, 전파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공용화 제어 방식(304)과, 그 밖의 정보인 기타(305)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데이터는, 집중 관리하여도 되고, 각 국가마다 개별 관리를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가 액세스하여 취득하여도 되고, 사전에 휴대 단말기(100) 내의 기억부(203)에 저장해 두어도 된다. 또한, 각 레귤레이션 정보는, 자신을 식별하는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도시 생략)와 대응지어 저장되어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6)는, 국가(300)와 위도·경도 정보 등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대응표(도시 생략)도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있다.
도 4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RFID R/W 레귤레이션 설정부(209)에 설정(저장)하는 데이터의 예이다. 이들 데이터는, R/W 레귤레이션 정보 관리 서버(106) 내에 보유되어 있는, 국가별 레귤레이션 정보에 합치하는 범위에서 설정한다. 이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정보로서, 휴대 단말기(100)는, 이 내용을 따라서 통신을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정보는, 기억부(203)에 저장해 놓고, RFID R/W 레귤레이션 설정부(209)에는 대응하는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도 대응지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 설정 정보도 복수 저장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현시점에서 이용하는 설정 정보에 「플래그」를 세워서 기억해 둔다.
도 5는, 휴대 단말기(100)의 RFID R/W를 이용하여 RFID의 판독을 실행하는 경우에, 각각의 국가의 레귤레이션에 어떻게 합치하여 판독을 행하는지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 수순에 의해 처리하는지를 나타내는 플로우예이다.
우선 휴대 단말기(100)에서 RFID의 판독을 개시하는 경우, 예를 들면 입력부(206)에 할당되어 있는 판독 개시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스텝 S500이 호출되어 처리가 개시되고, 스텝 S501로 진행한다. 또한, 판독 스위치의 압하 대신에 이하와 같이 하여, 본 처리를 개시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통신을 행한 경우, 통신 에러를 검지한 경우에 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검지하고, 전회 검지한 제한의 단위로 되는 영역으로부터 변경이 있었는지를 판단하고, 변경이 있었다고 판단한 경우, 본 처리를 개시하여도 된다.
스텝 S501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어느 국가에서 휴대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인식하고 스텝 S502로 진행한다. 어느 국가에서 이용되고 있는지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국제 로밍 정보를 이용하여도 되고, GPS 정보를 기초로 R/W 레귤레이션 정보 관리 서버(106)에 조회하여 인식하여도 된다.
스텝 S502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UHF RFID R/W의 레귤레이션 정보를 취득하고 S503으로 진행한다. 레귤레이션 정보는, 스텝 S502에서 인식한 단말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대응하는 국가 R/W 레귤레이션 정보 관리 서버(106)에 조회함으로써 입수한다.
여기에서, 스텝 S501, S502의 보다 상세한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제1 예를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GPS 기능에 의해 현재의 위도·경도를 나타내는 위도 경도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 위도 경도 정보를 관리 서버(106)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관리 서버(105)는, 송신된 위도 경도 정보에 대응하는 국가명을, 도시하지 않은 대응표(위도 경도와 국가의 대응 관계를 갖는 것)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05)는 검색된 국가명을, 휴대 단말기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스텝 501에서의 단말기 위치 정보=국가명을, 휴대 단말기(100)가 취득하게 된다.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100)는, 취득한 국가명(예를 들면, 일본)을 포함하는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105)에 송신한다. 관리 서버(105)에서는,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국가명에 대응하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도 3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이것을 휴대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이것을,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하고, 설정부(209) 혹은 기억부(203)에 저장한다. 이것에 의해, 현재 위치를 따른 레귤레이션 정보의 취득이 이루어진다.
본 예에서, GPS 정보 대신에 국제 로밍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단, 이 경우, 국제 로밍 정보로서, 액세스 포인트를 특정하는 정보나 국가를 특정하는 정보=국가명을 이용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를 특정하는 정보의 경우, 상기한 위도 경도 정보 대신에 이것을 이용하여, 대응표도 액세스 포인트로 바꾼 것으로 대용한다. 국가명을 특정하는 경우, 스텝 S501을 스킵하여 S502부 터 실행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내용은, 휴대 단말기(100)는, S501에서 위치 정보=국가명의 특정을 생략하고, 레귤레이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S501에서, 위도 경로 정보나 액세스 포인트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05)가, 그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국가명을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05)는, 특정한 국가명을 포함하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또한, 요구 정보에, 휴대 단말기(100) 자신이 설정부(209)(혹은, 기억부(203))에 저장하고 있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식별하는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여도 된다. 이 경우, 관리 서버(105)는, 요구 정보에 포함되는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와 전술한 특정된 국가명을 포함하는 레귤레이션 정보의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한 경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하여, 이미 필요한 레귤레이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송신한다.
또한, 위도 경도 정보 대신에, 이용자로부터의 입력 등에 의해 국가명을 직접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에서 특정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제3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테이블을 휴대 단말기(100)에도 보유하는 예이다. 단, 용량 관계로 모든 레귤레이션 정보를 보유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우선, 제1 예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가, 관 리 서버(105)로부터 위치 정보=국가명의 통지를 받는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 내의 기억부(203)에 저장된 레귤레이션 정보로부터, 해당 국가명을 키로 하여 레귤레이션 정보를 검색한다. 그 결과, 기억부(203)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이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그 정보를 기억부(203)로부터 설정부(209)에 카피 혹은 이동시킨다. 또는, 설정부(209)에 이 레귤레이션 정보의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도 되고, 기억부(203)에서 해당하는 레귤레이션 정보에 대하여, 유효 플래그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검색되지 않은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국가명을 포함하는 요구 정보를, 관리 서버(105)에 송신하고, 이후에는 제1 예 및 제2 예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S503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스텝 S502에서 취득한 레귤레이션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가 사용되는 위치에서 RFID의 R/W가 사용 가능인지를 판단하고, 사용 가능의 경우에는 스텝 S506으로 진행하고, 사용 불가의 경우에는 스텝 S504로 진행한다.
즉, 특정된 레귤레이션 정보의 「이용 가부(301)」의 란을 참조하고, 그 내용에 따른다. 즉, 도 3의 예에서는 「볼리비아」의 경우, 사용 불가라고 판단한다. 또한, 관리 서버(105)가 갖는 도 3의 테이블에서는, 이용 가부(301)의 란을 생략하여도 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자신이 이용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대응표를 갖고 이것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즉, 대응표로서,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와 해당 레귤레이션 정보가 자신이 사용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해 놓고, 특정된 레귤레이션 정보의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이 대응표를 검색함으로써 사용 가능, 불가능을 판단한다. 또한, 본 대응표 대신에, 사용 가능한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 혹은 사용 불가능한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의 리스트를 보유하고 있어도 된다.
사용 불가의 경우에는, 스텝 S504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207)에 R/W가 이용 불가인 것의 표시를 하고, 스텝 S505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사용 가능의 경우에는, 스텝 S506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레귤레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R/W에 설정을 행하고, 스텝 S507로 진행한다. 스텝 S507에서는, 설정된 레귤레이션에 의해 RFD R/W의 동작을 개시한다.
도 6은, 스텝 S504에서 표시부에 RFID R/W가 사용 불가인 경우의 화면의 예이다. 또한, 스텝 S506이나 S507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특정된 레귤레이션 정보의 「기타(305)」의 내용(도 3의 예에서는 「일본」의 「4W 출력에는 라이센스가 필요」)을 표시하는 것도 본 실시 형태에 포함된다.
또한, 복수의 국가에서 공통의 레귤레이션 정보를 이용 가능한 경우, 도 3이나 도 4에 도시한 레귤레이션 정보의 국가(300)의 란에 복수의 국가명을 기록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역에서 통신 레귤레이션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 대응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이어도,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여, 국가 또는 지역마다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레귤레이션 정보를 입수하고, 무선 통신에 설정함으로써, 각 국가 또는 지역에 맞춰서, 이용자는 의식하지 않고, 간단히 레귤레이션에 합치한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레귤레이션에 의해 사용 불가인 경우에는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알기 쉽게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기지국, GPS 위성, 국가별 UHF RFID R/W 레귤레이션 정보 관리 서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가별 UHF대 RFID R/W 레귤레이션 정보의 항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R/W 레귤레이션 설정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R/W 동작 개시까지의 처리 플로우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R/W가 사용 불가인 경우의 화면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해외 무선 통신망
3: 국제 로밍
5, 7: 이동국
100: 휴대 단말기
102: 휴대 단말기 기지국 A
104: 휴대 단말기 기지국 B
105: GPS 위성
106: 관리 서버
203: 기억부
206: 입력부
300: 국가

Claims (10)

  1. 서로 다른 영역에서 통신 레귤레이션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 대응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 휴대 단말 장치로서,
    자신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되는 위치 관련 정보를 검지하는 수단과,
    검지한 위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식을 실현하기 위한 레귤레이션 정보를 특정하는 수단과,
    특정된 레귤레이션 정보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해당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각각에서의 레귤레이션 정보를 저장한 관리 서버와 접속하는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접속하는 수단은,
    상기 관리 서버에 검지된 상기 위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위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레귤레이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레귤레이션 정보의 특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레귤레이션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접속하는 수단은,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요구 정보로서, 상기 저장하는 수단에 저장된 레귤레이션 정보를 식별하는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접속하는 수단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그 관리 서버에서 검색된 레귤레이션 정보가, 상기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가 식별하는 레귤레이션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검색된 레귤레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수단은, 상기 관리 서버에서의 일치하는지의 판단에서,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일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수단은, 상기 저장하는 수단에 저장된 레귤레이션 정보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해당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수단은, 상기 무선 통신으로서, IC 태그에 대한 정보의 판독, 기입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서로 다른 영역에서 통신 레귤레이션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 대응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자신이 존재하는 위치에 관련되는 위치 관련 정보를 검지하고,
    검지한 위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식을 실현하기 위한 레귤레이션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레귤레이션 정보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해당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영역의 각각에서의 레귤레이션 정보를 저장한 관리 서버와 접속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관리 서버에 검지된 상기 위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위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레귤레이션 정보를 검색하여, 그 검색된 레귤레이션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송신된 상기 레귤레이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레귤레이션 정보의 특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 선 통신 방식의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레귤레이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갖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요구 정보로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레귤레이션 정보를 식별하는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그 관리 서버에서 검색된 레귤레이션 정보가, 상기 레귤레이션 식별 정보가 식별하는 레귤레이션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판단의 결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검색된 레귤레이션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일치하는지의 판단에서,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일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일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레귤레이션 정보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해당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수단은, 상기 무선 통신으로서, IC 태그에 대한 정보의 판독, 기입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 관리 방법.
KR1020090011090A 2008-04-04 2009-02-11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관리 방법 KR20090106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090A KR20090106335A (ko) 2008-04-04 2009-02-11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7699 2008-04-04
KR1020090011090A KR20090106335A (ko) 2008-04-04 2009-02-11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335A true KR20090106335A (ko) 2009-10-08

Family

ID=4153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090A KR20090106335A (ko) 2008-04-04 2009-02-11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63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708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C car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communication charge notification method
US75774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563954B2 (ja) 携帯電話機、電話番号管理サーバ、電話番号変更システム、電話番号ダウンロード方法、及び電話番号ダウンロードプログラム
KR1006177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장치 및 방법
US200800040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location of lost wireless terminal
US7792543B2 (en) Shared phon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in program for controlling shared 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ared phone
US748694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position search method
JPWO2009008035A1 (ja) 情報収集システム、情報登録サーバ、情報収集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9253565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における無線通信方式の管理方法
US20080270419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4963416B2 (ja) 通信端末装置、通信制御装置、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4421397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ならびに通信方法
JP2007189394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地域別パラメータ設定方法
KR20070078788A (ko) 휴대형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사이트 액세스방법 및 그기록매체
KR200900020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및 장치
KR2010000746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90106335A (ko)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의관리 방법
JP4796785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742076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のローミングリスト更新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JP2002159063A (ja) 携帯端末の位置情報提供許諾方法
JP2008227580A (ja) 携帯端末、セル探索方法、およびセル探索システム
JP4688705B2 (ja) 携帯電話機及び通信端末
US750234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terminal with unknown ID information via a network
KR20070014512A (ko)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종업원 호출 방법
KR100700524B1 (ko) 만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