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232A -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 - Google Patents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232A
KR20090106232A KR1020080031799A KR20080031799A KR20090106232A KR 20090106232 A KR20090106232 A KR 20090106232A KR 1020080031799 A KR1020080031799 A KR 1020080031799A KR 20080031799 A KR20080031799 A KR 20080031799A KR 20090106232 A KR20090106232 A KR 20090106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movable block
jig
guid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1931B1 (ko
Inventor
서창덕
홍지유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93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2Details or accessories of 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9Testing or calibrating during manufact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장비에 장착되어 각종 모터를 정지지하여 모터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이나모본체(20)에 대하여 측정대상물을 측정위치로 위치결정한 후 고정하는 지그본체(30)를 구비한 차량용 측정장비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3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가이드레일(31)과 맞물려 슬라이드 이동되고 1쌍의 고정대(33)가 장착된 수평가동블럭(32)과, 상기 고정대(33)와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35)가 형성되고 중앙에 모터(M)의 아래쪽을 받치는 모터받침부(36)가 구비된 수직가동블럭(34)과, 상기 결합부(35) 각각에 삽입된 가이드봉(37)을 매개로 위치조정되고 상기 모터(M)의 위쪽을 그립하는 그립바(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그본체(30)에 사양에 무관하게 각종 모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모터성능을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측정장비, 지그, 모터, 다이나모본체

Description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Jig for mounting a motor of test equipmen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장비에 장착되어 각종 모터를 정지지하여 모터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차량은 동력원을 가솔린 또는 디젤로 구동되는 엔진과 보조 동력원으로 모터를 사용하고 있는 바, 저속회전시에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하고, 일정 속도이상에서 동력원을 엔진으로 전환하여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연료전지차량은 연료전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연료의 산화에 의해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차량과 연료전지차량은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하여 현재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차량이 시장에 널리 보급되기 위해서는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를 개발이 중요하다.
또한, 보조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동력용 모터 외에도, 하이브리드차량과 연료전지차량은 토크모터, 블로워모터, 팬모터 등 각종 모터가 장착되기 때문에 현재 화석연료차량과 같이 고출력을 내기 위해서는 배터리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고용량의 모터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하이브리드차량과 연료전지차량에서 사용되는 각종 모터는 개발될 때부터 부품의 경량화에 주력하여야 하고, 보다 정밀하고 엄격한 성능테스트를 거쳐서 제작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하이브리드차량과 연료전지차량에 사용되는 각종 모터에 대한 성능을 테스트를 할 때, 측정장비에 모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또는 모터의 크기에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모터고정지그가 없었다.
즉 종래에는 토크모터, 블로워모터, 팬모터 등 모터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측정장비에 해당 모터에 필요한 지그를 일시적으로 만들어서 사용하였는 바, 모터의 사양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지그를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지그는 하이브리드차량과 연료전지차량에서 고속, 고용량의 토크모터를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특별히 별도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모터고정지그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의 사양이 변경되더라도 각종 모터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모터를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하여 모터의 성능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이나모본체에 대하여 측정대상물을 측정위치로 위치결정한 후 고정하는 지그를 구비한 차량용 측정장비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맞물려 슬라이드 이동되고 1쌍의 고정대가 장착된 수평가동블럭과, 상기 고정대와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중앙에 모터의 아래쪽을 받치는 모터받침부가 구비된 수직가동블럭과, 상기 결합부 각각에 삽입된 가이드봉을 매개로 위치조정되고 상기 모터의 위쪽을 그립하는 그립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본체는 상기 수직가동블럭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지정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그본체는 상기 수평가동블럭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고정레버를 통하여 전후방향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고정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에 의하면, 모터의 사양에 무관하게 각종 모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특히, 하이브리드차량과 연료전지차량에서 사용되는 고속회전(25,000RPM) 및 고용량 토크(31kgf·cm)용 모터성능 테스트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고정지그를 사용함으로써 모터의 사양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지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과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모터고정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고정지그의 수평가동블럭을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고정지그의 수직가동블럭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모터고정지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측정대상물을 측정하는 다이나모본체(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다이나모본체(20)에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지그본체(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각각의 가장자리부에 수평조절용 받침부재(1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재(11)의 바닥면에 고무패드(12)가 부착되어 있다. 여 기서, 상기 수평조절용 받침부재(11)는 체결구(11a)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체결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면에 대해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바닥면을 수평으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그본체(3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가이드레일(31)과 맞물려 슬라이드 이동되고 1쌍의 고정대(33)가 장착된 수평가동블럭(32)과, 상기 고정대(33)와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35)가 형성되고 중앙에 모터(M)의 아래쪽을 받치는 모터받침부(36)가 구비된 수직가동블럭(34)과, 상기 결합부(35) 각각에 삽입된 가이드봉(37)을 매개로 위치조정되고 상기 모터(M)의 위쪽을 그립하는 그립바(3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1)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고정 설치되어 수평가동블럭(32)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31)은 상기 수평가동블럭(32)과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평가동블럭(3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상기 가이드레일(31)과 각각 결합되는 레일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윗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1쌍의 고정대(33)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가동블럭(32)은 상기 레일부(32a)가 상기 가이드레일(31)과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33)는 각각에 상기 수직가동블럭(34)에 관통되는 고정구(33a)가 앞쪽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33a)는 하나의 상기 고정대(33)에 1쌍으로 형성되는 되도록 되어 있고, 고정레버(33b)와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33a)와 결합된 상기 고정레버(33b)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대(33)와 수직가동블럭(34)의 결합부(35)를 결합 또는 결합해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가동블럭(34)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이 U자구조로 되어 있으며, 양측으로 상기 고정대(33)와 결합되는 결합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모터(M)의 아래쪽을 받치는 모터받침부(3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35)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구(33a)가 관통되는 장공(35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1쌍의 가이드봉(37)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그립바(38)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터받침부(3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가동블럭(34)과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모터받침부(36)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1쌍의 결합돌기(36a)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36a)에 대응되게 수직가동블럭(34)에 결합홈(34a)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M)의 크기에 맞추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모터받침부(36)를 필요에 따라 상기 수직가동블럭(34)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그립바(3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봉(37)과 노브(37a)를 통하여 상기 모터(M)의 위쪽을 그립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그립바(38)는 모터(M)를 상기 모터받침부(36)에 배치한 후, 양단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38a)에 상기 가이드봉(37)을 삽입하고 상기 노브(37a)를 죄어서 모터(M)의 위쪽 으로 그립한다. 여기서, 상기 그립바(38)는 바닥면에 상기 모터(M)와 접촉되는 접촉면을 넓게 형성되도록 곡면부가 형성되게 하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그본체(30)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가동블럭(34)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지정가이드(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높이지정가이드(40)는 고정단이 상기 수직가동블럭(34)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이 상기 수평가동블럭(32)의 체결홀(32b)을 관통하게 설치되는 회전봉(41)과 이 회전봉(41)을 회전시키는 높이조절레버(4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레버(42)는 원판형 구조로 되어 상기 회전봉(4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레버(42)는 원주면을 따라 레버고정홈(42a)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고정홈(42a)에 레버를 끼워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높이조절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봉(4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고정단)이 수직가동블럭(34)의 삽입홈(34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자유단)이 상기 수평가동블럭(32)의 체결홀(32b)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고정홈(42a)에 레버(미도시)를 끼워서 조절레버(42)를 시계 또는 반시계 회전시키면 회전봉(41)이 수평가동블럭(32)의 체결홀(32b)을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수평가동블럭(32)에 대하여 수직가동블럭(34)의 높이가 조절되고, 결국 수직가동블럭(34)의 모터받침부(36)에 안착되는 모터(M)가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그본체(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가동블럭(32)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지정가이드(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지정가이드(50)는 상기 수평가동블럭(32)에 나사결합된 고정봉(51)과,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장홈(51a)이 뚫려있고 상기 고정봉(51)의 하부와 결합되는 고정구(52b)가 내장된 가이드부재(52) 및 상기 고정봉(51)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레버(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봉(51)은 상기 수평가동블럭(32)의 체결홀(32c)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레버(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강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봉(51)은 상기 고정레버(53)가 주변과 간섭되지 않도록 수평가동블럭(32)의 연장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52)는 상기 고정봉(51)과 대향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홈(52a)은 상기 가이드부재(52)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52b)는 상기 가이드부재(5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봉(51)의 하부선단을 선택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52b)는 상기 가이드부재(52)의 내부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비에 모터고정지그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 2,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성능을 테스트 할 모터(M)를 수직가동블럭(34)의 모터받침부(36)에 올 려 놓은 다음 그립바(38)를 모터(M)의 상부를 그립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받침부(36)는 모터(M)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채택한다. 그 후, 고정대(33)와 수직가동블럭(34)의 결합부(35)를 고정하는 고정구(33a)와 고정레버(33b)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도 4a와 같이 높이조절레버(42)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직가동블럭(34)을 다이나모본체(20)와의 높이를 맞춘다. 수직가동블럭(34)을 다이나모본체(20)와의 높이를 맞춘 후, 고정대(33)와 수직가동블럭(34)의 결합부(35)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구(33a)에 고정레버(33b)를 견고히 죈다.
다음으로, 수평가동블럭(32)을 고정하는 위치지정가이드(50)의 고정레버(53)를 가이드부재(52)와 결합해제시킨 상태에서, 도 4b와 수평가동블럭(32)을 앞뒤로 위치이동하여 모터(M)와 다이나모본체(20)의 사이거리를 설정한다. 그 후, 위치지정가이드(50)의 고정레버(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봉(51)의 선단이 가이드부재(52)의 장홈(52a)에 내장된 고정구(52b)와 견고히 고정한다.
최종적으로, 다이나모본체(20)와 모터(M)의 중심점을 정확하게 일치시킨 다음 모터(M)의 성능을 테스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에 의하면, 수직가동블럭(34)의 모터받침부(36)에 모터(M)를 올려놓고 그립바(38)로써 그립한 상태로, 높이지정가이드(40)를 통하여 수직가동블럭(34)의 높이를 설정하고, 위치지정가이드(50)를 통하여 수평가동블럭(32)의 전후방향 위치를 결정하여 모터(M)를 다이나 모본체(20)와 중심점을 정확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사양에 관계없이 각종 모터성능을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기재된 범주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모터고정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고정지그의 수평가동블럭 및 그립바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고정지그의 수직가동블럭, 높이지정가이드 및 위치지정가이드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고정지그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모터고정지그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상태도,
(b)는 모터고정지그의 앞뒤방향으로 이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받침부재
12 : 고무패드 20 : 다이나모본체
30 : 지그본체 31 : 가이드레일
32 : 수평가동블럭 33 : 고정대
34 : 수직가동블럭 35 : 결합부
36 : 모터받침부 37 : 가이드봉
38 : 그립바 40 : 높이지정가이드
41 : 회전봉 42 : 높이조절레버
50 : 위치지정가이드 51 : 고정봉
52 : 가이드부재 53 : 고정레버

Claims (4)

  1. 다이나모본체(20)에 대하여 측정대상물을 측정위치로 위치결정한 후 고정하는 지그본체(30)를 구비한 차량용 측정장비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3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가이드레일(31)과 맞물려 슬라이드 이동되고 1쌍의 고정대(33)가 장착된 수평가동블럭(32)과, 상기 고정대(33)와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35)가 형성되고 중앙에 모터(M)의 아래쪽을 받치는 모터받침부(36)가 구비된 수직가동블럭(34)과, 상기 결합부(35) 각각에 삽입된 가이드봉(37)을 매개로 위치조정되고 상기 모터(M)의 위쪽을 그립하는 그립바(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30)는 상기 수직가동블럭(34)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지정가이드(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지정가이드(40)는 고정단이 상기 수직가동블럭(34)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유단이 상기 수평가동블럭(32)을 관통하게 설치되는 회전봉(41)과 이 회전봉(41)을 회전시키는 높이조절레버(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30)는 상기 수평가동블럭(32)의 전후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지정가이드(50)로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지정가이드(50)는 상기 수평가동블럭(32)에 나사결합된 고정봉(51)과,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장홈(51a)이 뚫려있고 상기 고정봉(51)의 하부와 결합되는 고정구(52b)가 내장된 가이드부재(52) 및 상기 고정봉(51)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레버(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받침부(36)는 상기 수직가동블럭(34)에 조립가능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고정지그.
KR1020080031799A 2008-04-04 2008-04-04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 KR10139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799A KR101391931B1 (ko) 2008-04-04 2008-04-04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799A KR101391931B1 (ko) 2008-04-04 2008-04-04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232A true KR20090106232A (ko) 2009-10-08
KR101391931B1 KR101391931B1 (ko) 2014-05-07

Family

ID=4153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799A KR101391931B1 (ko) 2008-04-04 2008-04-04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9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73B1 (ko) * 2013-10-28 2014-12-0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모터 저항 측정기
CN110000722A (zh) * 2018-12-22 2019-07-12 浙江金浪动力有限公司 摩托车发动机插板式外特性试验架
KR102308055B1 (ko) * 2021-07-01 2021-10-05 (주)대성지이-쓰리 전기자동차 진단 및 테스트 장비
KR20230111972A (ko) * 2022-01-19 2023-07-26 (주)백산프로펠라 부싱 토크 측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05B1 (ko) 2011-11-25 2013-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페달 충돌 성능 테스트용 지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73B1 (ko) * 2013-10-28 2014-12-0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모터 저항 측정기
CN110000722A (zh) * 2018-12-22 2019-07-12 浙江金浪动力有限公司 摩托车发动机插板式外特性试验架
CN110000722B (zh) * 2018-12-22 2023-11-28 金浪科技有限公司 摩托车发动机插板式外特性试验架
KR102308055B1 (ko) * 2021-07-01 2021-10-05 (주)대성지이-쓰리 전기자동차 진단 및 테스트 장비
KR20230111972A (ko) * 2022-01-19 2023-07-26 (주)백산프로펠라 부싱 토크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931B1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97147A (zh) 一种太阳能电池多功能接触电阻自动测量仪及其测量系统
KR20090106232A (ko)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
CN105004889A (zh) 一种端面定位式电机实验台架多自由度快速对中装置
US1418655A (en) Adjustable support for testing electrical units
CN219391606U (zh) 材料拉伸力学试验设备
CN106979859A (zh) 一种汽车空调出风口拨轮操作力测量装置
CN211148858U (zh) 马达综合负载测试机
CN206695986U (zh) 一种汽车空调出风口拨轮操作力测量装置
CN219551455U (zh) 一种可调式检具
CN212207445U (zh) 一种可自动调节的三点测试机构
KR200449174Y1 (ko) 프로브카드 검사장치의 마더보드 고정부
CN220699334U (zh) 一种光器件快速定位工装
CN218896132U (zh) 一种磁铁磁性测试用定位夹具
CN220583743U (zh) 一种弧状件弹性伸缩寿命测试装置
CN212083616U (zh) 一种外转子电机用检测工装
CN220998281U (zh) 传感器装配测试机用工件上料机构
CN221007063U (zh) 一种冲击试验机用试样定位装置
CN220162341U (zh) 一种发动机支架安装模具
CN216310071U (zh) 一种电磁吸附定位的电测治具
CN219404053U (zh) 一种机械设备组装用定位夹具
CN217901532U (zh) 可调式外观量测装置及外观检测设备
CN220854430U (zh) 绝缘子拉伸弯曲试验机
CN216900726U (zh) 一种rfid测试装置
CN216746417U (zh) 一种nvh噪声测试专用预极化传声器定位装置
CN211603467U (zh) 一种电视电源开关疲劳测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