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662A - 엘보우 덕트 및 엘보우 덕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엘보우 덕트 및 엘보우 덕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662A
KR20090105662A KR1020080031249A KR20080031249A KR20090105662A KR 20090105662 A KR20090105662 A KR 20090105662A KR 1020080031249 A KR1020080031249 A KR 1020080031249A KR 20080031249 A KR20080031249 A KR 20080031249A KR 20090105662 A KR20090105662 A KR 20090105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uct
elbow duct
jaw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915B1 (ko
Inventor
노성근
Original Assignee
노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근 filed Critical 노성근
Priority to KR102008003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91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보우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 덕트는 양 끝단이 수평하게 개구되고, 횡단면이 원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유체가 유동되는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1)로 유입된 유체의 흐름이 우회되도록 절곡형성되는 엘보우 덕트(12)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 덕트(12)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단된 상태로 결합되되, 절단되는 각각의 절단면은 상기 양 끝단의 개구보다 소정각도 기울어지며, 일측 결합부에는 결합홈(13)이 형성되고, 타측 결합부에는 결합턱(1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3)과 결합턱(14)은 서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 덕트에 의하면, 초기상태의 덕트에 결합홈과 결합턱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결합부위를 횡절단한 후, 절단된 결합홈과 결합턱을 서로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덕트를 절곡시키므로 엘보우 덕트의 제작시 절곡을 위한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공조시스템, 포름알데히드

Description

엘보우 덕트 및 엘보우 덕트 제작방법{A elbow duct and elbow duct 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엘보우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초기상태의 덕트에 결합홈과 결합턱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결합부위를 횡절단한 후, 절단된 결합홈과 결합턱을 서로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덕트를 절곡시키므로 엘보우 덕트의 제작시 절곡을 위한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간편한 엘보우 덕트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거주지, 지하상가, 도서관, 의료기관 등의 다중이용시설은 이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유해세균, 일산화탄소 등의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기준치 이하로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다중이용시설에는 공조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은 덕트를 이용해서 공기를 환기 또는 순환시키는데, 일반적으로 덕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며, 양측 끝단이 개구되어 있는 형상, 예컨대, 원통형상으로 연장형성된다.
최근에는 고층아파트나 고층건물의 시공시 실내공간의 활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메인 덕트를 천정의 모서리 부분으로 배치하며, 이러한 메인덕트의 외주면에 브렌치 덕트를 연결하여 천정의 중앙으로 뻗는 방식으로 공조시스템이 시공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 덕트와 브렌치 덕트 또는 천정모서리 부분의 각 메인 덕트사이에는 시공공간의 최소화와 높은 공조효율유지를 위해 직각 또는 기울어져 연결되는데, 덕트의 내부로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이 예컨대, 90도 우회되도록 엘보우 덕트가 각 덕트의 연결부위에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엘보우 덕트는 원통형상의 덕트를 절곡기를 이용하여 절곡하였는데, 이러한 종래의 제작방법은 절곡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이는 결국 철판을 롤링한 결합부위에 틈이 발생시키게되는데,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틈으로 인하여 엘보우 덕트의 장착 후에 공조효율이 저하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엘보우 덕트를 제작하는 또 다른 방법은 절곡형성되는 엘보우 덕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금형을 제작한 후, 상기 금형에 철판을 넣고 찍어내는 방식으로 생산하였는데, 예컨대, 30, 60, 90도로 절곡되는 각도에 따라 금형을 각각 제작해야하므로 엘보우 덕트의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상태의 덕트에 결합홈과 결합턱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결합부위를 횡절단한 후, 절단된 결합홈과 결합턱을 서로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덕트를 절곡시키므로 엘보우 덕트의 제작시 절곡을 위한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간편한 엘보우 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덕트의 절곡시, 롤링, 절단, 결합의 비교적 간단한 과정으로 절곡하므로 엘보우 덕트를 생산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이 필요없게되어 제작단가가 저렴한 엘보우 덕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 덕트는, 양 끝단이 수평하게 개구되고, 횡단면이 원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유체가 유동되는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1)로 유입된 유체의 흐름이 우회되도록 절곡형성되는 엘보우 덕트(12)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 덕트(12)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단된 상태로 결합되되, 절단되는 각각의 절단면은 상기 양 끝단의 개구보다 소정각도 기울어지며, 일측 결합부에는 결합홈(13)이 형성되고, 타측 결합부에는 결합턱(1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3)과 결합턱(14)은 서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끝단이 수평하게 개구되고, 횡단면이 원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덕트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제1결합홈(13)과 제1결합턱(14)이 연속형성되도록 롤링하는 제1롤링단계(S100);와, 상기 제1롤링단계(S100)에서 롤링된 제1결합홈(13)과 제1결합턱(14)이 분리되도록 연결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제1절단단계(S110);와, 상기 제1절단단계(S110)에서 절단되어 분리된 2개의 덕트 중 일측 덕트를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킨 후 상기 제1결합홈(13)과 제1결합턱(14)을 결합시켜 상기 2개의 덕트를 결합하는 제1결합단계(S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단계(S120) 이후에는, 상기 제1결합단계(S120)에서 결합된 2개의 덕트 중 일측 덕트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제2결합홈(13')과 제2결합턱(14')을 형성시키되, 이러한 제2결합홈(13')과 제2결합턱(14')은 상기 제1롤링단계(S100)에서 롤링된 제1결합홈(13) 및 제1결합턱(14)과 횡방향으로 180도 대칭되도록 롤링하는 제2롤링단계(S200);와, 상기 제2롤링단계(S200)에서 롤링된 제2결합홈(13')과 제2결합턱(14')을 상기 제1절단단계(S110)와 동일하게 절단하는 제2절단단계(S210);와, 상기 제2절단단계(S210)에서 절단되어 분리된 2개의 덕트를 상기 제1결합단계(S120)와 동일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단계(S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결합단계(S220) 이후에는, 상기 제2롤링단계(S200)와 제2절단단계(S210) 및 제2결합단계(S220)와 동일한 단계가 선택적으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상태의 덕트에 결합홈과 결합턱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결합부위를 횡절단한 후, 절단된 결합홈과 결합턱을 서로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덕트를 절곡시키므로 엘보우 덕트의 제작시 절곡을 위한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덕트의 절곡시, 롤링, 절단, 결합의 비교적 간단한 과정으로 절곡하므로 엘보우 덕트를 생산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이 필요없게되어 제작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10)는 중공부(11), 결합홈(13), 결합턱(14)이 포함된다.
또한, 후술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는 원통형의 덕 트를 절곡형성한 덕트이며, 일반적으로 건물의 모서리 부분이나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우회시키는 곳에 설치되고, 횡단면은 원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유체가 유동되는 공간으로서, 직사각형 철판의 롤링시 양측 끝단을 결합하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단되어 4개의 덕트부로 분할되며, 제1덕트부(1)와 제4덕트부(4), 제2덕트부(2)와 제3덕트부(3)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됨에 따라 형성되는 각 덕트부(1, 2, 3, 4)의 절단면은 양 끝단의 개구의 절단면보다 소정각도 기울어져 절단되며, 제2덕트부(2)와 제3덕트부(3)의 절단시 각 덕트부(2, 3)의 양측 절단면의 절단각이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절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절단면, 즉, 절단된 제2 및 제3덕트부(2, 3)의 각 절단면에는 결합홈(13)과 결합턱(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합홈(13)과 결합턱(14)은 서로 끼움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엘보우 덕트의 제작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에는 원통형상 덕트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제1결합 홈(13)과 제1결합턱(14)이 연속형성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1결합홈(13)과 제1결합턱(14)은 덕트의 양측 끝단의 개구와 소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된다.(S100)
도 3b에는 상기와 같은 도 3a의 상태에서 롤링된 제1결합홈(13)과 제1결합턱(14)이 분리되도록 연결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절단되면, 덕트는 제1덕트부(1)와 제2덕트부(2)로 분할되며, 롤링시에 제1결합홈(13)과 제1결합턱(14)이 덕트의 양측 끝단의 개구와 소정각도 기울어져 롤링되므로 절단면의 절단각도 또한 덕트의 양측 끝단의 개구와 소정각도 기울어진다.(S110)
도 3c에는 상기와 같이 도 3b에서 절단되어 분리된 2개의 덕트 중 제2덕트부(2)를 회전시킨 후 상기 제1결합홈(13)과 제1결합턱(14)을 끼움결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제2덕트부(2)의 회전시 덕트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킨다.(S120)
도 3d에는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제1덕트부(1)와 제2덕트부(2) 중 제2덕트부(2)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제2결합홈(13')과 제2결합턱(14')을 형성시키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2결합홈(13')과 제2결합턱(14')은 도 3a에서 형성된 제1결합홈(13)과 제1결합턱(14)과 덕트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롤링한다.(S200)
도 3e에는 상기와 같이 롤링된 제2결합홈(13')과 제2결합턱(14')을 도 3b와 동일하게 절단한다.(S210)
도 3f에는 상기와 같이 절단된 제2결합홈(13')과 제2결합턱(14')을 결합하는데, 도 3c와 동일하게 결합한다.(S220)
도 3f의 이후에는, 도 3d 내지 도 3f와 동일한 단계가 연속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이 설치되는 설치현장의 여건상 또는 중공부(12)로 유동되는 유체의 우회방향 및 공조효율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과 제2덕트부 양측 끝단의 절단면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15도씩 기울어지며, 이를 합산하면 30도가 된다.
즉, 도 3a, 3b, 3c의 과정을 3회 반복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는 90도 절곡되는 것이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예컨대, 30, 60, 120도로 절곡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가 4개의 덕트부로 분할형성됨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시된 실시에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덕트의 제작방법의 순서도,
도 4는 종래의 덕트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엘보우 덕트 11-중공부
13-결합홈, 제1결합홈 14-결합턱, 제1결합턱
13'-제2결합홈 14'-제2결합턱

Claims (3)

  1. 양 끝단이 수평하게 개구되고, 횡단면이 원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유체가 유동되는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1)로 유입된 유체의 흐름이 우회되도록 절곡형성되는 엘보우 덕트(10)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 덕트(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절단된 상태로 결합되되, 절단되는 각각의 절단면은 상기 양 끝단의 개구보다 소정각도 기울어지며, 일측 결합부에는 결합홈(13)이 형성되고, 타측 결합부에는 결합턱(1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3)과 결합턱(14)은 서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10).
  2. 양 끝단이 수평하게 개구되고, 횡단면이 원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덕트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제1결합홈(13)과 제1결합턱(14)이 연속형성되도록 롤링하는 제1롤링단계(S100);와
    상기 제1롤링단계(S100)에서 롤링된 제1결합홈(13)과 제1결합턱(14)이 분리되도록 연결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제1절단단계(S110);와
    상기 제1절단단계(S110)에서 절단되어 분리된 2개의 덕트 중 일측 덕트를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킨 후 상기 제1결합홈(13)과 제1결합턱(14)을 결합시켜 상기 2개의 덕트를 결합하는 제1결합단계(S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 제작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단계(S120) 이후에는,
    상기 제1결합단계(S120)에서 결합된 2개의 덕트 중 일측 덕트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제2결합홈(13')과 제2결합턱(14')을 형성시키되, 이러한 제2결합홈(13')과 제2결합턱(14')은 상기 제1롤링단계(S100)에서 롤링된 제1결합홈(13) 및 제1결합턱(14)과 횡방향으로 180도 대칭되도록 롤링하는 제2롤링단계(S200);와
    상기 제2롤링단계(S200)에서 롤링된 제2결합홈(13')과 제2결합턱(14')을 상기 제1절단단계(S110)와 동일하게 절단하는 제2절단단계(S210);와
    상기 제2절단단계(S210)에서 절단되어 분리된 2개의 덕트를 상기 제1결합단계(S120)와 동일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단계(S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결합단계(S220) 이후에는, 상기 제2롤링단계(S200)와 제2절단단계(S210) 및 제2결합단계(S220)와 동일한 단계가 선택적으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 제작방법.
KR1020080031249A 2008-04-03 2008-04-03 엘보우 덕트 제작방법 KR100963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249A KR100963915B1 (ko) 2008-04-03 2008-04-03 엘보우 덕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249A KR100963915B1 (ko) 2008-04-03 2008-04-03 엘보우 덕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662A true KR20090105662A (ko) 2009-10-07
KR100963915B1 KR100963915B1 (ko) 2010-06-17

Family

ID=4153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249A KR100963915B1 (ko) 2008-04-03 2008-04-03 엘보우 덕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217B1 (ko) * 2015-09-10 2016-07-08 주식회사 선주에어테크 엘보우 배관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936U (ja) 1984-03-31 1985-10-2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冷暖房装置のダクト接続構造
JPS62179551U (ko) 1986-05-01 1987-11-14
JPH0234933U (ko) * 1988-08-26 1990-03-06
JPH07328833A (ja) * 1994-06-09 1995-12-19 Metcoil Kk エルボー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217B1 (ko) * 2015-09-10 2016-07-08 주식회사 선주에어테크 엘보우 배관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915B1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75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duct by inserted corner members
US6957670B1 (en) Duct unit for air-conditioner
US5529092A (en) Air duct turning vane and rail assembly
KR100963915B1 (ko) 엘보우 덕트 제작방법
US20040250596A1 (en) Rectangular and square double wall ducting systems
US10953446B2 (en) Apparatus for forming round and flat-oval shaped HVAC ducts
CN112228654B (zh) 一种可错位安装的管井风管连接结构
CA29213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duct by inserted corner members
CN112325014B (zh) 一种基于冷弯成型法兰的风管装配方法及其装配结构
JP2001132112A (ja) ブレース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950774B2 (ja) サプライ丸チャンバ
JP3158553U (ja) 多層階建物における冷媒配管の連結構造
JP2008224125A (ja) 一体型螺旋ダクト
JP2009156370A (ja) 集合管用遮音シート
CN111770799A (zh) 用于形成椭圆形hvac管道的设备和方法
KR200441734Y1 (ko) 덕트
KR20090100864A (ko) 탈착식 덕트
CN112524361B (zh) 一种基于冷弯工艺一体成型的法兰及其加工方法
CN215175868U (zh) 一种用于通风管小空间安装的连接设备
CN218714698U (zh) 一种便于跨越障碍物的通风管节
JP6988424B2 (ja) ダクト施工方法
KR20050030928A (ko) 스파이럴 사각덕트
JP2003147901A (ja) 鋼梁の開口部補強構造及び補強金具
AU20122450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duct by inserted corner members
EP2412517A1 (en) System for the formation of small curvature radius in preformed mineral wool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