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734Y1 - 덕트 - Google Patents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734Y1
KR200441734Y1 KR2020080001438U KR20080001438U KR200441734Y1 KR 200441734 Y1 KR200441734 Y1 KR 200441734Y1 KR 2020080001438 U KR2020080001438 U KR 2020080001438U KR 20080001438 U KR20080001438 U KR 20080001438U KR 200441734 Y1 KR200441734 Y1 KR 200441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tepped
opening
stepped portion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중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디.에스.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080001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7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디부의 양측 또는 다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관체의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부의 단부를 외측방향으로 권취하여 권취롤이 형성되어 덕트와 관체의 결합에 따른 안전성 향상과 덕트의 강도유지가 우수해지는 덕트를 고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안된 덕트는 상기 개구부방향에 직경이 좁아지는 다수의 단차부를 형성하되, 상기 단차부는 바디부의 외측방향으로 제 1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 1경사면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된 제 1단차부와, 상기 제 1단차부의 단부로부터 제 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 2경사면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된 제 2단차부가 형성되어진 것과 상기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제 2단차부까지 가압평면부를 형성하되, 상기 가압평면부는 개구부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져 덕트의 강도유지가 우수해지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단차부의 외측으로 환형의 가스켓이 결합되어져 덕트와 관체의 결합에 따른 기밀성이 우수해지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바디부, 개구부, 가스켓, 권취롤, 가압평면부

Description

덕트{duct}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덕트 1-바디부
2-개구부 3-가스켓
4-관체 11-제 1경사면
12-제 2경사면 13-제 1단차부
14-제 2단차부 15-권취롤
16-가압평면부
본 고안은 바디부의 양측 또는 다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관체의 덕트에 관 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덕트의 개구부에 권취롤을 형성하여 상기 권취롤을 통하여 안전성과 강도유지를 보강함과 동시에 있어서,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개구부방향으로 다수의 경사면과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서 또 다른 강도유지가 가능한 것을 고안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기 다수의 경사면과 단차부에 수직방향으로 평면가압부를 형성함으로서 또 다른 강도유지의 우수성이 제공되며 상기 권취롤과 연결되어지는 단차부의 외측으로 환형의 가스켓이 결합되어져 우수한 기밀성의 효과가 제공되는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덕트는 각형 내지 원형의 형상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덕트가 제공되며 특히 각형보다는 원형의 덕트가 마찰손실이 적어 공기흐름이 원할하고 기밀성이 높아 에너지가 절감되는 효과등이 있어 주로 원형의 덕트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형의 덕트는 에어컨 등과 같은 냉난방기기의 열교환기 급기용으로 사용되는 스파이럴덕트와, 각종 실험실이나 크린룸 시설 및 공장환경개선장치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오발덕트와, 주택 및 택지공사의 토목공사 현장에 우수관으로 사용되는 파형강관, 고속도로나 일반도로 및 터널이나 하천등에 매립 설치되는 유공관 등 다양한 종류의 덕트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덕트는 그 사용목적이나 현장상황에 적합하게 엘보관, 티관, 와이브렌치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덕트는 주로 가공시 덕트의 단면부를 바로 컷팅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덕트의 단면부를 컷팅한 상태로 사용함으로서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상기 덕트를 파이프와 같은 관체에 결합시 덕트 단부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상해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덕트의 단부가 날카로운 상태에서 관체의 외측방향에 결합시 관체의 외경은 덕트의 내경에 비하여 약 2㎜~3㎜가량 좁게 형성되어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덕트의 단부가 바로 컷팅된 상태에서 사용시 단부의 강도가 강하지 않아 관체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쉽게 휘거나 구부러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컷팅된 덕트의 단부에 별도의 마감작업을 진행하거나 테이핑처리하는 등의 방식을 실시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작업의 비효율적인 문제점과, 관체결합시의 문제점이 그대로 방치되는 등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구부의 단부를 외측방향으로 권취하여 권취롤이 형성되어 덕트와 관체의 결합에 따른 안전성 향상과 덕트의 강도유지가 우수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개구부방향에 직경이 좁아지는 다수의 단차부를 형성하되, 상기 단차부는 바디부의 외측방향으로 제 1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경사면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된 제 1단차부와, 상기 제 1단차부의 단부로부터 제 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 2경사면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된 제 2단차부가 형성되어진 것과 상기 바디부의 단부로부터 제 2단차부까지 가압평면부를 형성하되, 상기 가압평면부는 개구부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져 덕트의 강도유지가 우수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2단차부의 외측으로 환형의 가스켓이 결합되어져 덕트와 관체의 결합에 따른 기밀성이 우수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바디부의 양측 또는 다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관체의 덕트 개구부 단부를 외측방향으로 권취하여 권취롤을 형성하되, 상기 권취롤은 호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진 덕트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덕트(A)는 개구부(2)방향에 직경이 좁아지는 다수의 단차부를 형성하되, 상기 단차부는 바디부(1)의 외측방향으로 제 1경사면(11)이 형성되어 상기 제 1경사면(11)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된 제 1단차부(13)와, 상기 제 1단차부(13)의 단부로부터 제 2경사면(12)이 형성되어 상기 제 2경사면(12)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된 제 2단차부(14)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부(1)의 단부로부터 제 2단차부(14)까지 가압평면부(16)를 형성하되, 상기 가압평면부(16)는 개구부(2)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덕트(A)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단차부(14)의 외측으로 환형의 가스켓(3)이 결합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엘보관으로 형성된 덕트(A)를 도시한 것인 바 실질적으로는 엘보관은 물론 컴비네이션관, 크로스관, 원뿔관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부(1)로부터 개구부(2)방향으로 다수의 단차부와 경사면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개구부(2)의 단부에는 개구부(2)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가압평면부(16)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바디부(1)로부터 개구부(2)방향을 따라 바디부(1)의 단부방향에는 제 1경사면(11)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1경사면(11)의 단부에서 개구부(2)방향으로 제 1단차부(13)가 연장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 1단차부(13)에는 제 2경사면(12)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경사면(12)의 단부에는 제 2단차부(14)가 연장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 2단차부(14)의 단부에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권취롤(15)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권취롤(15)이 형성된 상태에서 권취롤(15)의 단부에는 가스켓(3)이 끼움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가스켓(3)이 결합되어짐으로서 관 체(4)와 연결시 기밀성이 향상가능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덕트(A)의 외측으로 각각 관체(4)가 결합되어져 상기 관체(4)를 통하여 덕트(A)가 기밀하게 결합가능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양측으로 권취롤(15)이 형성되어지되, 일측에는 다수의 경사면과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과 단차부의 수직방향으로 수평가압부가 각각 형성된 것이며 타측에는 별도의 경사면과 단차부가 없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권취롤(15)과 경사면 및 단차부는 필요에 따라 일측 또는 양측으로 실시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디부로부터 개구부방향으로 다수의 경사면과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서 우수한 강도유지가 가능하며 상기 경사면과 단차부의 수직방향으로 가압평면부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가압평면부에 의하여 보다 더 우수한 강도유지가 실시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차부의 단부에는 권취롤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권취롤을 따라 관체결합시 안전하게 결합가능하며 덕트 자체의 강도유지가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권취롤의 외측으로 가스켓이 결합되어짐으로서 상기 가스 케을 통하여 기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삭제
  2. 바디부의 양측 또는 다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관체의 덕트 개구부 단부를 외측방향으로 권취하여 권취롤을 형성하되, 상기 권취롤은 호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진 덕트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방향에 직경이 좁아지는 다수의 단차부를 형성하되, 상기 단차부는 바디부(1)의 외측방향으로 제 1경사면(11)이 형성되어 상기 제 1경사면(11)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된 제 1단차부(13)와, 상기 제 1단차부(13)의 단부로부터 제 2경사면(12)이 형성되어 상기 제 2경사면(12)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된 제 2단차부(14)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의 단부로부터 제 2단차부(14)까지 가압평면부(16)를 형성하되, 상기 가압평면부(16)는 개구부(2)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차부(14)의 외측으로 환형의 가스켓(3)이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덕트.
KR2020080001438U 2008-01-30 2008-01-30 덕트 KR200441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38U KR200441734Y1 (ko) 2008-01-30 2008-01-30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38U KR200441734Y1 (ko) 2008-01-30 2008-01-30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734Y1 true KR200441734Y1 (ko) 2008-09-04

Family

ID=4164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438U KR200441734Y1 (ko) 2008-01-30 2008-01-30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7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103B1 (ko) * 2014-06-18 2016-02-05 (주)디.에스.인더스트리 건축물의 최상층 매립형 입상덕트용 슬리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103B1 (ko) * 2014-06-18 2016-02-05 (주)디.에스.인더스트리 건축물의 최상층 매립형 입상덕트용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316481U (zh) 智能管道
ATE226699T1 (de) Flexible kastenförmige metallkarkasse und eine biegsame rohrleitung mit einer solchen karkasse
KR200441734Y1 (ko) 덕트
JP5972565B2 (ja) 二重管の継手構造
JP5738182B2 (ja) プラスチック材料より成る管縮小部材
CN205341695U (zh) 胀管器
CN203131233U (zh) 一种管道过墙减振连接装置
CN102853709A (zh) 多套管换热器的连接结构
TW201130579A (en) Flexible stainless steel tube
CN215170242U (zh) 汽轮机蒸汽余热再利用结构
CN206514071U (zh) 一种管道
CN108581264A (zh) 一种双层弯头加工方法
CN201149143Y (zh) 一种两侧为圆弧状的扁平形膨胀节管
CN205137520U (zh) 一种超超临界锅炉水冷壁管排
KR101109368B1 (ko) 에어 덕트
CN210978893U (zh) 制冷设备用管件
CN204255120U (zh) 三层套管冷凝器
KR20230101859A (ko) 가스 수집관 어셈블리
CN206875021U (zh) 一种回路式伸缩软管
CN206234481U (zh) 一种防冷桥型滑动支架
CN208282360U (zh) 空调连接管
RU2009119460A (ru) Стойк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ы стойки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KR200435798Y1 (ko) 복합 동파이프
CN101474465A (zh) 槽式机械接头消防栓及其与进水管的连接方法
CA2563969A1 (en) Flow enh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