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302A -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302A
KR20090105302A KR1020080030675A KR20080030675A KR20090105302A KR 20090105302 A KR20090105302 A KR 20090105302A KR 1020080030675 A KR1020080030675 A KR 1020080030675A KR 20080030675 A KR20080030675 A KR 20080030675A KR 20090105302 A KR20090105302 A KR 2009010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atch
plate
active headres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1236B1 (ko
Inventor
이종윤
박상남
이인호
김도형
Original Assignee
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8003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23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스테이로드(10)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가이드바아(12)에 슬라이더(14)를 매개로 무빙바아(18)가 상하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에 프론트커버(20)의 내측 상부 모서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로드(10)에 상기 무빙바아(18)의 하강 상태를 구속하는 래치어셈블리(22)가 구비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헤드레스트 경사각 조절장치 및 목 상해 방지장치를 갖춘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전후이동장치의 부가 설치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액티브 헤드레스트, 목 상해 방지장치, 경사각 조절장치, 전후이동장치

Description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 for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방 충돌(추돌)시 탑승자의 목을 신속하게 받쳐주어 목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 중 마주 오던 차량이나 전방 장애물에 충돌하면 탑승자의 신체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스티어링휠이나 인스트루먼트패널 및 윈드쉴드글래스 등에 부딪히게 되는데, 이때 시트벨트나 에어백의 작용에 의해 상해 정도가 경감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 후방 차량의 과속에 의해 추돌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차체가 급가속되면서 머리가 후방으로 젖혀짐으로써 목에 심각한 부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는 시트백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가 머리(후두부)를 받쳐주어 상해 정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차량 주행 중 탑승자의 머리는(특히, 운전자의 머리) 헤드레스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추돌 사고 발생시에는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 주지 못하며, 이에 따라 탑승자의 목이 급격하게 뒤로 젖혀 지면서 심각한 상해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추돌 사고 발생시 헤드레스트를 전·상방(탑승자의 후두부를 향해 앞쪽 및 위쪽으로 동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탑승자의 머리를 신속하게 받쳐 줌으로써 목 상해를 방지해주는 목 상해 방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목 상해 방지장치의 경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근래 고급 차량의 헤드레스트에는 탑승자의 다양한 신체 조건에 따라 보다 편안하게 머리를 받쳐 줄 수 있도록 경사각 조절장치(스윙 장치) 및 전후 위치 조절장치 등의 편의 장치들이 부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편의 장치들 또한 그 구성 부품들로 인해 헤드레스트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헤드레스트 내부의 한정된 레이아웃으로 인하여 상기 장치들을 모두 설치하는 것이 매우 난해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목 상해 방지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목 상해 방지장치와 더불어 헤드레스트 경사각 조절장치 및 전후 위치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백의 상단에 설치된 스테이로드와,
상기 스테이로드의 상단에 양측 수직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된 가이드바아와,
상기 가이드바아의 양쪽 수직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양쪽 슬라이더에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무빙바아와,
상기 무빙바아의 상단이 내측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론트커버 및,
상기 스테이로드의 상단 중앙에 고정되어 하강한 상태의 상기 무빙바아를 잡 아주는 래치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반원통형의 양측 실린더부와 그 양측 실린더부의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래치어셈블리장착부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실린더부를 양쪽 수직부가 관통하는 상태로 장착 고정되는 가이드바아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바아의 양쪽 수직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양쪽 슬라이더에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무빙바아와,
상기 무빙바아의 상단이 내측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론트커버와,
상기 래치어셈블리장착부에 삽입 장착되어 하강한 상태의 상기 무빙바아를 잡아주는 래치어셈블리와,
시트백의 상단에 설치된 스테이로드의 상단 중앙에 장착 고정되는 전후이동장치 및,
상기 전후이동장치에 상기 가이드바아의 상단 수평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마찰회동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에는 가이드바아가 관통되는 관통공과 직교하여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에 일체로 고정되어 푸시버 튼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 출몰하는 록플레이트와, 상기 푸시버튼을 설치공 외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아의 상부에는 상기 록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로드에 직접 고정된 가이드바아를 따라 무빙바아가 상승하여 무빙바아에 장착된 헤드레스트(프론트커버 부분)가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 줄 수 있도록 된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목 상해 방지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 상해 방지장치와 더불어 무빙바아와 프론트커버의 연결 구성에 의해 구현된 헤드레스트 경사각 조절장치 및 상기 가이드바아와 무빙바아가 장착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가이드바아를 스테이로드에 연결하는 전후이동장치에 의해 구현된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장치가 모두 구비된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 상태 정면도(프론트커버 제외 상태)로서, 본 발명은 시트백의 상단에 삽입 설치된 스테이로드(10)와, 상기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양측부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된 가이드바아(12)와,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4)와,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 더(14)를 지지하는 스프링(16)과, 상기 양쪽 슬라이더(14)에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무빙바아(18)와, 상기 무빙바아(18) 상단이 내측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론트커버(20) 및, 상기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16)을 압축시킨 위치의 상기 무빙바아(18)를 잡아주는 래치어셈블리(2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바아(12)는 상단의 수평부 양단에 수직부가 절곡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양측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바아(12)의 고정 전에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는 슬라이더(14)와 스프링(16)이 끼워진다.
상기 슬라이더(14)는 원통형 부품으로서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가 관통되는 관통공(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6)은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 관통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4)와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여 슬라이더(14)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항상 슬라이더(14)를 가이드바아(12)의 상부 쪽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16)의 상단은 상기 슬라이더(14)의 하면에 단순히 접촉하여 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4)의 하부 즉,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높이까지의 부분에 상기 관통공(14a)이 확장 성형되어 스프링(16)의 외경보다 크게 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그 스프링수용홈의 내부로 스프링(16)의 상부가 수 용되도록 함으로써 지지상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쪽 슬라이더(14)의 외주면 내측부(가이드바아의 양쪽 수직부에 슬라이더가 각각 설치되었을 때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너트좌면(14b)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너트좌면(14b)에 형성된 장착홈에 너트(24)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너트(24)에 볼트(26)를 매개로 무빙바아(18)의 양쪽 수직부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착 상태에서의 회동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무빙바아(18)의 양쪽 수직부 하단은 프레싱되어 납작한 플레이트형으로 가공되며, 그 플레이트 부분에 형성된 볼트공에 부시(28)가 구비되고, 상기 부시(28)를 통해 볼트(26)가 체결됨으로써 볼트(26)가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무빙바아(18)가 원활히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무빙바아(18)도 전체적으로는 가이드바아(12)와 동일하게 상단의 수평부 양단에 수직부가 절곡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의 수평부에 프론트커버(20)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커버(20)는 외부에 헤드레스트 쿠션이 부착되는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내부의 전방 상부 모서리에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가 안착되어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무빙바아연결부(20a ;도 4 참조)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무빙바아(12)의 상단 수평부가 탄성 변형을 통해 강제 삽입된 후 그 내부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원주의 일부가 개구된 원형 단면의 장착홈(20aa)을 갖춘 형상이면 족하다. 상기 장착홈(20aa)의 개구 면적을 확장하여 장착홈(20aa)에는 무빙바아(12)의 상단 수평부가 안착되도록만 하고 그 개구부는 별도의 커버브라켓을 장착하여 장착홈(20aa)에서 무빙바아(18)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래치어셈블리(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a)의 내부에 래치(22b)와, 릴리스레버(22c)와, 토션스프링(22d) 및 액츄에이터(22e)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2a)은 하면이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고정되고, 상면에는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가 진입되는 개구부(22aa)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2a)의 내부에는 상부에 핀을 매개로 래치(22b)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래치(22b)에는 상기 개구부(22aa)로 진입된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를 구속하여 그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22ba)가 형성된다.
상기 래치(22b)의 일측 하부에는 핀을 매개로 릴리스레버(22c)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릴리스레버(22c)는 둔각의 L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일측 단부의 상단에 래치(22b)쪽으로 절곡 형성된 스토퍼(22ca)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2ca)는 상기 래치(22b)가 무빙바아(18)의 상향 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래치(22b)에 형성된 걸림턱(22bb)에 걸려짐으로써 록(lock)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핀에는 일단이 상기 래치(22b)에 연결되고 타단은 릴리스레버(22c)의 타측 단부(스토퍼(22ca)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부분)에 지지 되는 토션스프링(22d)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릴리스레버(22b)의 하측에 토션스프링(22d)을 지지하는 부분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액츄에이터(22e)가 구비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2e)는 솔레노이드 타입으로서 전기를 공급받으면 내부의 플런저(22ea)를 돌출시켜 릴리스레버(22c)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22e)는 추돌사고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추돌감지센서로부터 발생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데, 상기 추돌감지센서로는 추돌시 발생하는 가속도의 변화에 의해 배터리와 액츄에이터(22e)의 사이에 구성된 회로의 스위치 접점을 연결하여 액츄에이터(22e)에 직접 전류를 공급하는 가속도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리어범퍼에 설치되어 추돌시 발생한 충격량에 의해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함으로써 전자제어유니트가 배터리와 액츄에이터(22e) 사이에 구성된 회로의 릴레이스위치를 작동시켜 액츄에이터(22e)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충격감지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기/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액츄에이터(22e)를 배제하고 순수한 기계식으로 래치어셈블리(2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시트백의 내부에 추돌 발생시 탑승자의 등에 밀려 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이동플레이트가 후방으로 밀려졌을 때 그에 연동되어 하방으로 당겨지는 와이어(외피와 그 내부에서 이동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케이블와이어)를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스토퍼(22ca)측 단부에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 서,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시트백을 가압하는 탑승자의 등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상기 와이어가 당겨져서 릴리스레버(22c)가 반시계 방향(액츄에이터(22e) 작동시와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진다.)으로 회동하여 래치(22b)의 구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선행 기술들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785625호의 베이스플레이트(49)는 힌지브라켓(45,47)의 이동힌지축(61,63)에 와이어를 연결함으로써 추돌시 베이스플레이트(49)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40600호(기아자동차)에는 이동플레이트(800)에 접철식 링크(900)가 구비되고 그 링크(900)의 단부에 와이어(720)가 연결됨으로써 추돌시 탑승자의 등이 이동플레이트(800)를 가압하면 링크(900)가 펼쳐지면서 와이어(720)가 당겨지도록 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시트백프레임에 상기 이동플레이트 이동시 회동되는 레버를 설치하고, 그 레버에 와이어를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시트백의 내부에 추돌시 탑승자의 등에 의해 밀려지는 이동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이동플레이트에 와이어를 연동시켜 와이어가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선행기술을 참조하여 용이하고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상세한 구성의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보통의 사용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는 도 2 및 도 4(a)와 같이 하강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14)에 의해 스프링(16)이 압축되고,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는 래치어셈블리(22) 하우징(22a)의 개구부(22aa)로 삽입되어 래치(22b)의 걸림부(22ba)에 걸려져 구속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하강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는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를 중심으로 회동(스윙)될 수 있어 탑승자가 머리를 기대는 각도에 따라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주행 중 추돌사고가 발생되면 그때 발생되는 가속도의 변화나 가해지는 충격량에 의해 추돌감지센서가 추돌사고가 발생했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어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액츄에이터(22e)로 공급되어 플런저(22ea)를 돌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22ea)에 의해 릴리스레버(22c)가 도 3(b)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스토퍼(22ca)가 걸림턱(22bb)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토션스프링(22d)에 의해 래치(22b)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걸림부(22ba)에 의한 무빙바아(18)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16)의 작용으로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의 상부로 이동되며, 동시에 무빙바아(18)가 볼트(26)를 중심으로 차량 전방쪽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커버(20)가 도 4(b)와 같이 전방 상부쪽으로 이동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신속하게 받쳐줄 수 있게 되므로 추돌사고에 의한 목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추돌감지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와이어를 설치한 경우(기계식)에도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관성에 따른 가속도 차에 의해 탑승자의 등 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이동플레이트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이동플레이트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와이어를 연동시켜 아래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릴리스레버(22c)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래치(22b)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므로 무빙바아(18)가 상승하는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바아(18)에 별도의 록바아(18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바아(18a)는 무빙바아(18)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형 바아로서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수평부에 평행한 상태로 양쪽 수직부에 용접 고정된다.
상기 록바아(18a)는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를 대신하여 래치어셈블리(22)의 래치(22b)에 구속되는 것으로 프론트커버(20)와 무빙바아(18) 및 슬라이더(14)가 스프링(16)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였을 때 상기 록바아(18a)가 래치어셈블리(22) 하우징(22a)의 개구부(22aa)로 삽입되어 래치(22b)의 걸림부(22ba)에 걸려진다.
래치(22b)에 의해 구속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든 작동이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이 록바아(18a)가 무빙바아(18)의 수평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래치어셈블리(22)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게 되어 헤드레스트 내 레이아웃 설정의 자유도가 증가함은 물론 중량 절감의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커버(20)의 하단 회동량을 제한하는 로워링 크(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로워링크(30)는 하부의 직선부(30a) 양단이 상기 가이드바아(12)를 감싸도록 동일한 형태로 절곡 연장되고 그 양쪽 상단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절곡단부(30b)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직선부(30a)와 절곡단부(30b)가 각각 프론트커버(20)의 내측 하면에 형성된 로워링크연결부(20b)와 가이드바아(12)의 수직부 상부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로워링크연결부(20b)는 도 5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커버(20)의 내측 하면에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이 돌출 형성되며, 그 내측면(프론트커버의 안쪽을 향하는 면)에 안착홈(20ba)이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30a)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수직부 상부에는 외측면에 삽입공(12a)이 형성되어 그 삽입공(12a)에 상기 절곡단부(30b)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따라서, 프론트커버(20)가 로워링크(30)를 매개로 가이드바아(12)에 연결되어 프론트커버(20)의 하단 회동 경로는 상기 로워링크(30)에 의해 제한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록바아(18a)와 로워링크(3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작동은 도 6 및 도 7의 (a),(b)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a)와 같이 무빙바아(18)와 슬라이더(14)가 스프링(16)을 압축시킨 상태로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록바아(18a)가 래치어셈블리(22)의 래치(22b)에 구속되어 헤드레스트가 하강한 보통의 사용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무빙바아(18)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헤드레스트의 경사각 조절 범위는 상기 로워링크(30)에 의해서 적절한 범위 내로 제한된다.
한편, 추돌사고가 발생하여 래치어셈블리(22)의 래치(22b)에 의한 록바아(18a)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도 7(b)와 같이 스프링(16)이 슬라이더(14)를 밀어 올림으로써 무빙바아(18)가 상승하면서 볼트(26)를 중심으로 앞쪽으로 회동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신속하게 받쳐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커버(20)의 하단이 상기 로워링크(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승 후 프론트커버(20)의 하단이 전후로 흔들리는 현상이 억제됨으로써 일정한 경사각이 유지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경사각 조절 기능과 추돌시 목 상해 방지 기능 이외에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 조절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구성된다.(도 8은 분해 사시도, 도 9는 조립 상태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각각 조립 상태 정면도와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바디(32)와 전후이동장치(34)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32)는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가이드바아(12), 슬라이더(14), 스프링(16), 무빙바아(18)가 설치되는 반원통형의 실린더부(32a)가 형성되고, 양쪽 실린더부(32a)의 사이의 중간부분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래치어셈블리(22)가 안착 고정되는 래치어셈블리장착부(32b)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는 실린더부(32a)의 상부판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어 실린더부(32a)에 놓여진 슬라이더(14)와 스프링(16)을 관통하고 실린더부(32a)의 하부판에 형성된 구멍으로 돌출된 후, 그 돌출된 하단부에 고정핀(36)이 관통(수직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됨으로써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바아(12)의 수평부 양단은 실린더부(32a) 상부판에 형성된 가이드바아지지턱(32c)의 홈(32c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더(14)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너트좌면(14b)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너트좌면(14b)에 형성된 장착홈에 너트(24)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너트(24)에 볼트(26)를 매개로 무빙바아(18)의 양쪽 수직부 하단(볼트(26)가 관통되는 부시(28)가 구비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는 메인바디(32)의 개방된 상부(상기 양쪽 가이드바아지지턱(32c) 사이 부분)를 통해 돌출되어 프론트커버(20)의 내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무빙바아(18)에는 도 5와 동일한 록바아(18a)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32a)부의 전면 상부에 상기 가이드바아지지턱(32c)에 연결된 록바아지지턱(32d)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록바아지지턱(32d)의 상면에는 홈(32da)이 형성되어 록바아(18a)의 양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후이동장치(34)는 도 8과 도 12(배면사시도)와 같이, 어퍼브라켓(34a)과 로워브라켓(34b)에 프론트브라켓(34c)과 리어브라켓(34d)의 상/하단이 각각 2개씩의 샤프트(34e)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어퍼브라켓(34a)과 로워브라켓(34b)이 상호 평행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4절링크 작동방식)으로, 상기 어퍼브라켓(34a)의 일측면 하단에 걸림톱니(34aa)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걸림톱니(34aa)에 걸려지는 스톱레버(34f)가 프론트브라켓(34c)의 측 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측의 샤프트에는 양단이 각각 로워브라켓(34b)과 리어브라켓(34d)에 지지되어 리어브라켓(34d)에 후방으로 복귀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34g)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로워브라켓(34b)이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용접 고정되며, 상기 어퍼브라켓(34a)은 마찰회동브라켓(36)을 매개로 가이드바아(12)의 수평부 중앙에 연결된다.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은 상부판과 하부판의 일측 단부가 원통형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원통형상부에 가이드바아(12)의 상단 수평부가 삽입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이 볼트(38)와 너트(40)를 매개로 상기 전후이동장치(34)의 어퍼브라켓(34a)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의 상부판과 하부판 및 전후이동장치(34)의 어퍼브라켓(34a)의 사이에는 소정 두께의 스페이서(42)를 설치하여 댐핑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래치어셈블리(22)는 하우징(22a)의 외측면 형상에 맞도록 메인바디(32)의 래치어셈블리장착부(32b) 내측면에 형성된 장착좌면에 안착 고정되며, 하우징(22a)의 상부(개구부(22aa)와 래치(22b)의 걸림부(22ba)가 있는 부분)는 래치어셈블리장착부(32b)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무빙바아(18)가 하강하여 록바아(18a)가 록바아지지턱(32d)의 홈(32da)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록바아(18a)는 래치어셈블리(22)의 개구부(22aa)에 삽입되어 래치(22b)의 걸림부(22ba)에 구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래치어셈블리(22)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식 또는 기계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가 프론트커버(20)의 내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헤드레스트의 하단이 스윙가능하여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추돌감지센서 또는 이동플레이트에 의해 추돌이 감지되어 래치어셈블리(22)가 작동되면 래치(22b)에 의한 록바아(18a)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므로 스프링(16)력에 의해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를 따라 실린더부(32a)의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무빙바아(18)가 상승하면서 전방으로 회동되어 프론트커버(20)가 전방 상부로 이동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해줌으로써 목 상해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도 10과 도 11에서와 같이, 메인바디(32)의 상부 개구부 전면에 양단이 실린더부(32a)의 측벽에 고정되는 서포트와이어(35)를 설치하여 무빙바아(18)를 지지함으로써 하강 위치에서 무빙바아(18)의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상승시 전방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일정하게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경사각을 조절하고 추돌시 전방 상부쪽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목을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부분들이 모두 상기 메인바디(32)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바디(32)는 자신에 고정된 가이드바아(12)가 마찰회동브라켓(36)을 매개로 스테이로드(10)에 고정된 전후이동장치(34)에 장착됨으로써 전후이동장치(34)의 작동(고정된 로워브라켓(34b)에 대한 어퍼브라켓(34a)의 전후 이동)에 따라 헤드레스트 전체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헤드레스트(상기 프론트커버와 결합되는 리어커버와 이들의 사이에 내장되는 전술한 모든 부품들)에 전방으로 힘을 가하면 프론트브라켓(34c)과 리어브라켓(34d)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위치 고정된 로워브라켓(34b)에 대해 어퍼브라켓(34a)이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헤드레스트의 전방 이동이 가능하고, 이때 어퍼브라켓(34a)의 전방 이동량에 따라 스톱레버(34f)가 대응되는 걸림톱니(34aa)에 걸려져 후방으로 이동이 불가한 상태가 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가 고정된다.
반대로 상기 스톱레버(34f)를 회동시켜 걸림톱니(34aa)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면 리턴스프링(34g)의 작용에 의해 리어브라켓(34d) 및 프론트브라켓(34c)이 후방으로 회동되므로 어퍼브라켓(34a)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그 중간에 스톱레버(34f) 조작력을 제거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경사각 조절장치와 목 상해 방지장치 및 전후이동장치가 모두 구비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메인바디(32)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로워링크(30)의 상단 절곡단부(30b)는 상기 메인바디(3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메인바디(32)의 후면 상부(양쪽 실린더부(32a)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절곡단부지지부(32e)가 형성되고, 그 절곡단부지지부(32e)에 홈(32ea)이 형성되어 로워링크(30)의 양쪽 절곡단부(30b)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아(12)에는 대략 ??자 형상을 가지는 수평플레이트(44) 가 장착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44)는 양쪽 단부가 가이드바아(12) 수평부의 하면에 용접되고, 양측부를 연결하는 후방의 연결부(44a)는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의 상부에 위치되며, 양측부의 측면에는 홈(44b)이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상태에서 상기 홈(44b)이 절곡단부지지부(32e)의 홈(32ea)에 안착된 로워링크(30)의 절곡단부(30b)를 덮어주게 되어, 상기 절곡단부(30b)가 상기 홈(32e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장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수평플레이트(44) 후방의 연결부(44a)가 마찰회동브라켓(36)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 전방 이동시 일정 거리 이동 후에는 마찰회동브라켓(36)이 상기 연결부(44a)에 닿게 되어 전후이동장치(34)의 어퍼브라켓(34a)이 더 이상 앞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전후이동장치(34)의 작동이 억제된다. 즉, 상기 수평플레이트(44)의 연결부(44a)와 마찰회동브라켓(36)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전방 이동량을 적절한 수준 내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목 상해 방지장치가 작동되었을 때 전방 상부로 이동한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원위치로 하강하지 않고 탑승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헤드레스트의 상승 위치를 고정해주는 상승위치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상승위치 고정장치는 도 13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4)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14)에는 가이드바아(12)가 삽입되는 관통공(14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사각 단면 형상의 설치공(14c)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14c)에는 푸시버튼(46)과, 푸시버튼(46)에 일체로 고정된 록플레이트(48)와, 푸시버튼(46)을 설치공(14c) 외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50)이 설치된다.
상기 푸시버튼(46)은 설치공(14c)의 일측 외측부에 위치되는 버튼부(46a)와, 그 버튼부(46a)의 일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14c)의 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단부(46b)와, 상기 각 삽입단부(46a)로부터 설치공(14c)의 타측 외부로 연장 형성된 탄성편(46c)과, 각 탄성편(46c)의 단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14c)의 외측부(설치공 외측의 슬라이더 몸체 부분)에 걸려지는 걸림단(46d)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46)의 양측 삽입단부(46b) 하면에는 디귿자(??) 형상의 록플레이트(48)의 양단부가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양측 삽입단부(46b)의 상부 측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스프링설치구(46e)가 돌출 형성되고, 그 스프링설치구(46e)에 스프링(50)이 끼워진다. 상기 스프링(5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설치공(14c)의 반대쪽 단부(걸림단(46d)쪽 단부)에 형성된 지지턱(14d)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상부 즉, 목 상해 방지장치가 작동되어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의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록플레이트(48)와 대응되는 가이드바아(12)의 부분에는 록플레이트(48)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홈(12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승위치 고정장치는 도 14의 (a),(b),(c)와 같은 3가지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먼저 도 14(a)와 같은 오픈(open) 상태로서 푸시버튼(46)이 눌려서 걸림단(46d)이 설치공(14c)의 외측부에 걸려진 상태이다. 스프링(50)은 지지턱(14d)에 지지된 상태에서 압축되어 푸시버튼(46)을 설치공(14c)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므로 상기 걸림단(46d)의 걸림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록플레이트(48)가 상기 가이드바아(12)의 표면으로부터 미소 거리 이격되어 있어서,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의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도 14(b)에는 노멀(normal)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노멀 상태는 상기 오픈 상태에서 양쪽 걸림단(46d)이 내측으로 오므려져 ━ 상기 탄성편(46c)의 변형에 의해 가능하다 ━ 걸림단(46d)과 설치공(14c) 외측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태로서 상기 스프링(50)력에 의해 푸시버튼(46)이 설치공(14c)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도면상 왼쪽 방향)으로 밀려져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의 표면에 맞닿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도 가이드바아(12)와 슬라이더(14)를 상호 구속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록플레이트(48)의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더(14)는 가이드바아(12)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14(c)는 클로즈(close) 상태로서,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의 상부에 위치하여 록플레이트(48)와 상기 걸림홈(12a)의 위치가 일치되었을 때 스프링력(50)에 의해 푸시버튼(46)이 이동함으로써 록플레이트(48)가 걸림홈(12a)에 삽입되어 걸려진 상태이다. 따라서 슬라이더(14)는 가이드바아(12)의 상부에 위치 고정 되어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이때 푸시버튼(46)의 버튼부(46a)는 슬라이더(14)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이고 반대쪽의 걸림단(46d)은 설치공(14c)의 내부로 진입되어 있다.
한편, 도 15와 같이 상기 상승위치 고정장치는 슬라이더(14)의 상하 위치에 따라 상기 푸시버튼(46)의 걸림단(46d)이 설치공(14c)의 외측부에 대해 걸림해제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걸림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플레이트(52)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2)의 푸시버튼(46)의 걸림단(46d)과 마주보는 면에는, 중간 이하 부분에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점차 반경이 증가하여 자신들의 사이로 진입된 상기 양쪽 걸림단(46d)이 오므려지도록 함으로써 설치공(14c) 외측부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반원형 단면을 가진 한 쌍의 가이드돌기(52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2)는 가이드바아(12)가 스테이로드(10)의 상단에 직접 장착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바아(12)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스테이로드(10)에 고정된다.
반면, 가이드바아(12)가 메인바디(32)에 장착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인바디(32)의 실린더부(32a) 안쪽면에 장착된다. 이 경우 가이드플레이트(52)를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돌기(52a)만을 실린더부(32a)의 안쪽면 즉, 푸시버튼(46)의 걸림단(46d)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4)와 가이드바아(12)를 조립하기 위해 먼저 실린더 부(32a)의 하부에 버튼부(46a)가 후방쪽으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더(14)를 위치시키고 상기 버튼부(46a)를 눌러 슬라이더(14)의 관통공(14a)에 록플레이트(48)가 돌출되어 있지 않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메인바디(32)의 상부로부터 가이드바아(12)를 삽입하여 슬라이더(14)의 관통공(14a)으로 관통시킨 뒤 메인바디(32) 하부 외측에서 가이드바아(12)의 단부에 고정핀(36)을 끼워 고정시키며, 그 상태에서 버튼부(46a)를 놓으면 스프링(50)력에 의해 푸시버튼(46)이 미세하게 이동하여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46d)은 설치공(14c)의 외측부에 걸리지 않고 내부로 진입된 상태로서 도 14(b)의 노멀상태에 해당된다.
상기 노멀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에 단순 접촉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추돌사고가 발생하여 래치어셈블리(22)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슬라이더(14)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14)가 가이드바아(12)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목 상해 방지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4)가 상승하여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의 걸림홈(12a) 형성 위치에 이르면 푸시버튼(46)을 탄지하는 스프링(50)력에 의해 푸시버튼(46)이 설치공(14c) 외측으로 밀림으로써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가 삽입된 관통공(14a)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도 15(b)와 같이 상기 걸림홈(12c)에 삽입되어 걸려지게 된다.(도 14(c)의 클로즈 상태에 해당)
따라서, 슬라이더(14)의 상승위치가 고정되어 탑승자의 머리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대응하여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게 되므로 탑승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 상해 방지장치 작동상태에서 평상시 사용상태로의 복귀는 도 16과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도 16의 (a)는 상기 클로즈 상태이다. 클로즈 상태에서 슬라이더(14)를 하강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푸시버튼(46)의 버튼부(46a)를 눌러 가이드바아(12)의 걸림홈(12a)으로부터 록플레이트(48)를 이탈시켜 슬라이더(14)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푸시버튼(46)의 걸림단(46d)은 설치공(14c)로부터 빠져나와 탄성편(46c)의 복원작용에 의해 양쪽으로 벌어져 도 16의 (b)와 같이 설치공(14c)의 외측부에 다시 걸려진다.(도 14(a)의 오픈상태에 해당)
그 상태에서 슬라이더(14)를 가이드바아(12)의 수직부를 따라 하강시켜 실린더부(32a)의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상기 양쪽 걸림단(46d)이 가이드플레이트(52)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2a)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면 양쪽 가이드돌기(52a)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것에 의해(양자 사이의 폭이 좁아짐) 가이드바아(12)를 따라 하강할수록 점차 오므려져서 결국 최초 위치로 복귀되었을때 도 16(c)와 같이 설치공(14c) 외측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설치공(14c)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가 된다.
이때 스프링(50)의 작용에 의해 푸시버튼(46)이 설치공(14c)의 외부로 밀려지는 힘을 받게 되어 록플레이트(48)가 가이드바아(12)의 표면에 단순 접촉한 도 14(b)의 노멀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즉, 목 상해 방지장치 작동 전 상태로의 복귀가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 정면도(프론트커버 제외),
도 3은 래치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록 상태, (b)는 언록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의 (a),(b)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전/후의 상태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록바아와 로워링크가 더 구비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 상태 정면도(프론트커버 제외),
도 7의 (a),(b)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전/후의 상태도,
도 8은 메인바디와 전후이동장치를 더 구비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조립 상태 정면도,
도 11은 도 8의 조립 상태 배면도,
도 12는 전후이동장치의 사시도,
도 13의 (a),(b)는 슬라이더에 설치된 헤드레스트 상승위치 고정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4는 상기 헤드레스트 상승위치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a)는 오픈 상태, (b)는 노멀 상태, (c)는 클로즈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목 상해 방지장치 작동시의 상기 헤드레스트 상승위치 고정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 16은 목 상해 방지장치 복귀시의 상기 헤드레스트 상승위치 고정장치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테이로드 12 : 가이드바아
14 : 슬라이더 14a : 관통공
14b : 너트좌면 14c : 설치공
16 : 스프링 18 : 무빙바아
20 : 프론트커버 22 : 래치어셈블리
24 : 너트 26 : 볼트
28 : 부시 30 : 로워링크
32 : 메인바디 32a : 실린더부
32b : 래치어셈블리장착부 34 : 전후이동장치
35 : 서포트와이어 36 : 마찰회동브라켓
38 : 볼트 40 : 너트
42 : 스페이서 44 : 수평플레이트
46 : 푸시버튼 46a : 버튼부
46b : 삽입단부 46c : 탄성편
46d : 걸림단 48 : 록플레이트
50 : 스프링 52 : 가이드플레이트

Claims (29)

  1. 시트백의 상단에 설치된 스테이로드(10)와,
    상기 스테이로드(10)의 상단에 양측 수직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된 가이드바아(12)와,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4)와,
    상기 슬라이더(14)를 지지하는 스프링(16)과,
    상기 양쪽 슬라이더(14)에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무빙바아(18)와,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이 내측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론트커버(20) 및,
    상기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고정되어 하강한 상태의 상기 무빙바아(18)를 잡아주는 래치어셈블리(22)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의 직선부(30a)와, 그 직선부(30a)의 양단이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의 절곡단부(30b)로 이루어진 로워링크(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로워링크(30)의 직선부(30a)가 상기 프론트커버(20)의 내측 하면에 돌출 형성된 로워링크연결부(20b)의 안착홈(20b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절곡단부(30b)는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공(12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커버(20)의 하단 회동량이 제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3. 반원통형의 양측 실린더부(32a)와 그 양측 실린더부(32a)의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래치어셈블리장착부(32b)가 형성된 메인바디(32)와,
    상기 실린더부(32a)를 양쪽 수직부가 관통하는 상태로 장착 고정되는 가이드바아(12)와,
    상기 실린더부(32a)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양쪽 수직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4)와,
    상기 슬라이더(14)를 지지하는 스프링(16)과,
    상기 양쪽 슬라이더(14)에 양쪽 수직부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무빙바아(18)와,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이 내측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론트커버(20)와,
    상기 래치어셈블리장착부(32b)에 삽입 장착되어 하강한 상태의 상기 무빙바아(18)를 잡아주는 래치어셈블리(22)와,
    시트백의 상단에 설치된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장착 고정되는 전후이동장치(34) 및,
    상기 전후이동장치(34)에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상단 수평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마찰회동브라켓(36)
    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하부의 직선부(30a)와, 그 직선부(30a)의 양단이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의 절곡단부(30b)로 이루어진 로워링크(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로워링크(30)의 직선부(30a)가 상기 프론트커버(20)의 내측 하면에 돌출 형성된 로워링크연결부(20b)의 안착홈(20b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절곡단부(30b)는 상기 메인바디(32)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절곡단부지지부(32e)의 홈(32e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커버(20)의 하단 회동량이 제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록바아(18a)가 장착되어 무빙바아(18)가 하강하였을 때 상기 록바아(18a)가 래치어셈블리(22)에 구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4)에 관통공(14a)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수직부가 관통되고, 상기 슬라이더(14)의 하부에 상기 관통공(14a)이 확장되어 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그 스프링수용홈에 스프링(16)의 상부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4)의 측면에 너트좌면(14b)이 돌출형성되고, 그 너트좌면(14b)에 형성된 장착홈에 너트(24)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무빙바아(18)의 수직부 하단이 플레이트형상으로 가공되고, 그 플레이트형상 부분에 형성된 볼트공에 부시(28)가 구비되며, 그 부시(28)를 통해 볼트(26)가 상기 너트(24)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커버(20)의 내측 전방 상부 모서리에 무빙바아연결부(20a)가 형성되고, 그 무빙바아연결부(20a)에 형성된 장착홈(20aa)에 무빙바아(12)의 상단 수평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어셈블리(22)가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용접되고 상면에 개구부(22aa)가 형성된 하우징(22a)과, 상기 하우징(22a)의 내부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22aa)로 진입된 무빙바아(18)의 상단 수평부를 구속하는 걸림부(22ba)가 형성된 래치(22b)와, 상기 래치(22b)의 일측 하부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래치(22b)의 걸림턱(22bb)에 걸려지는 스토퍼(22ca)가 형성된 릴리스레버(22c)와,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핀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래치(22b)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스토퍼(22ca) 형성부분의 반대쪽 부분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22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하측에 토션스프링(22d)을 지지하는 부분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솔레노이드 타입의 액츄에이터(22e)가 구비되고, 상기 액츄에이터(22e)는 추돌감지센서가 추돌사고의 발생을 감지하면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플런저(22ea)를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릴리스레버(22c)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래치(22b)의 록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스토퍼(22ca)측 단부에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시트백의 내부에 설치되어 추돌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등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이동플레이트에 연동되어 당겨짐으로써 상기 릴리스레버(22c)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래치(22b)의 록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래치어셈블리(22)가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용접되고 상면에 개구부(22aa)가 형성된 하우징(22a)과, 상기 하우징(22a)의 내부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22aa)로 진입된 록바아(18a)를 구속하는 걸림부(22ba)가 형성된 래치(22b)와, 상기 래치(22b)의 일측 하부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래치(22b)의 걸림턱(22bb)에 걸려지는 스토퍼(22ca)가 형성된 릴리스레버(22c)와,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핀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래치(22b)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스토퍼(22ca) 형성부분의 반대쪽 부분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22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하측에 토션스프링(22d)을 지지하는 부분을 상방으로 밀어주는 솔레노이드 타입의 액츄에이터(22e)가 구비되고, 상기 액츄에이터(22e)는 추돌감지센서가 추돌사고의 발생을 감지하면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플런저(22ea)를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릴리스레버(22c)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래치(22b)의 록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레버(22c)의 스토퍼(22ca)측 단부에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시트백의 내부에 설치되어 추돌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등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이동플레이트에 연동되어 당겨짐으로써 상기 릴리스레버(22c)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래치(22b)의 록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32a)의 하부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가이드바아(12)의 하단부에 고정핀(36)이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수평부 양단은 실린더부(32a)의 상부판에 형성된 가이드바아지지턱(32c)의 홈(32ca)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1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록바아(18a)의 양단이 상기 실린더부(32a)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록바아지지턱(32d)의 홈(32da)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1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장치(34)는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에 장착되는 어퍼브라켓(34a)과, 스테이로드(10)의 상단 중앙에 용접되는 로워브라켓(34b) 및, 상기 어퍼브라켓(34a)과 로워브라켓(34b)에 상/하단이 각각 2개씩의 샤프트(34e)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프론트브라켓(34c)과 리어브라켓(34d)으로 이 루어져, 상기 로워브라켓(34b)에 대해 어퍼브라켓(34a)이 전후방향으로 평행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은 상부판과 하부판 및 이들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원통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상부에 가이드바아(12)의 상단 수평부가 삽입되며,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이 상기 어퍼브라켓(34a)에 볼트(38)와 너트(40)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및 어퍼브라켓(34a)의 사이에 스페이서(4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2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32)의 상부 개구부 전면에 양단이 양쪽 실린더부(32a)의 측벽에 고정되는 서포트와이어(35)가 설치되어 무빙바아(18)를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2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수평부에 디귿자 형상의 수평플레이트(44)의 양쪽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44)의 후방 연결부(44a)가 상기 마찰회동브라켓(36)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44a)에 의해 전후이동장치(34)의 작동량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44)의 양측부 측면에 상기 절곡단부지지부(32e)의 홈(32ea)에 안착된 로워링크(30)의 절곡단부(30b)를 덮어주는 홈(4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2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4)에 관통공(14a)과 직교하는 설치공(14c)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4c)에 푸시버튼(46)과, 상기 푸시버튼(46)에 일체로 고정되어 푸시버튼(46)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관통공(14a)의 내부로 출몰하는 록플레이트(48)와, 상기 푸시버튼(46)을 설치공(14c) 외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5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아(12)의 상부에는 상기 록플레이트(48)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홈(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46)은 버튼부(46a)와, 상기 버튼부(46a)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14c)의 내부로 삽입된 한 쌍의 삽입단부(46b)와, 상기 양측 삽입단부(46a)에서 설치공(14c)의 외부로 연장 형성된 탄성편(46c)과, 상기 탄성편(46c)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14c)의 외측부에 걸려지는 걸림단(46d)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46d)과 마주보는 면의 중간 이하 부분에 반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반경이 증가하여 자신들의 사이로 진입되는 상기 양쪽 걸림단(46d)이 오므려지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2a)가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52)가 가이드바아(12)와 평행한 상태로 스테이로드(10)의 상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46d)과 마주보는 면의 중간 이하 부분에 반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반경이 증가하여 자신들의 사이로 진입되는 상기 양쪽 걸림단(46d)이 오므려지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2a)가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52)가 상기 메인바디(32)의 실린더부(32a) 안쪽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27.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46d)과 마주보는 상기 메인바디(32)의 실린더부(32a) 안쪽면의 중간 이하 부분에 반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반경이 증가하여 자신들의 사이로 진입되는 상기 양쪽 걸림단(46d)이 오므려지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28.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삽입단부(46b) 하면에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록플레이트(48)의 양단부가 일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 브 헤드레스트.
  29.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삽입단부(46b)의 상부 측면에 원기둥 형상의 스프링설치구(46e)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설치구(46e)에 상기 스프링(50)이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5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설치공(14c)의 상기 걸림단(46d)쪽 단부에 형성된 지지턱(14d)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20080030675A 2008-04-02 2008-04-02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0991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75A KR100991236B1 (ko) 2008-04-02 2008-04-02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75A KR100991236B1 (ko) 2008-04-02 2008-04-02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02A true KR20090105302A (ko) 2009-10-07
KR100991236B1 KR100991236B1 (ko) 2010-11-01

Family

ID=4153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675A KR100991236B1 (ko) 2008-04-02 2008-04-02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2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98B1 (ko) * 2008-09-08 2011-04-13 현대다이모스(주)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1470186B1 (ko) * 2013-07-04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엑티브 헤드레스트
JP6148777B1 (ja) * 2016-09-01 2017-06-14 備前発条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564B1 (ko) 2011-03-25 2012-11-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유동방지 구조
KR101972509B1 (ko) * 2017-10-11 2019-04-2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4554A (ja) 1985-03-07 1986-09-10 Lion Shoji Kk 繊維状物の水分測定用プロ−ブ
JPS63117336A (ja) 1986-11-04 1988-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式記録再生装置
JP2005211402A (ja) 2004-01-30 2005-08-11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98B1 (ko) * 2008-09-08 2011-04-13 현대다이모스(주)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1470186B1 (ko) * 2013-07-04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엑티브 헤드레스트
JP6148777B1 (ja) * 2016-09-01 2017-06-14 備前発条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236B1 (ko)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236B1 (ko)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USRE44432E1 (en) Headrest on a vehicle seat
JP5049790B2 (ja) シートの背もたれ支持機構
US8100472B2 (en) Vehicle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with a locking linkage
US7118174B2 (en) Activating headrest
EP1953035B1 (en) Child seat
US8690238B2 (en)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seat
CN111546951B (zh) 车辆用座椅滑动构造
KR20080051411A (ko)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높이 유지 장치
CN111845481B (zh) 儿童安全座椅
JP2540733B2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装置の高さ調節装置
JP4230053B2 (ja) ヘッドレストの頭部衝撃吸収装置
KR100980830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1199715B1 (ko) 자동차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KR200423596Y1 (ko)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목 부상 방지 타입 헤드레스트
WO2006071879A2 (en) Energy absorbing seat recliner assembly
KR20070034756A (ko) 차량의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동작 구조
KR101028398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11167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200326793Y1 (ko) 헤드레스트
JP4423669B2 (ja) 車両用可倒式ヘッドレスト
KR100776917B1 (ko) 자동차 시트의 목 상해 방지장치
KR20100006194A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WO2009005414A1 (en) A seat back support mechanism
KR101039675B1 (ko) 상해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틸팅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