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243A - 청소기용 연장관 - Google Patents

청소기용 연장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243A
KR20090105243A KR1020080030582A KR20080030582A KR20090105243A KR 20090105243 A KR20090105243 A KR 20090105243A KR 1020080030582 A KR1020080030582 A KR 1020080030582A KR 20080030582 A KR20080030582 A KR 20080030582A KR 20090105243 A KR20090105243 A KR 20090105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pipe
lever
outer pipe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751B1 (ko
Inventor
황정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75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조절이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지고 내부의 전선이 신축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청소기의 연장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연장관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파이프(100)와;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파이프(200)와;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파이프(100)와 내부파이프(200)의 상호 유동을 제어하는 조절수단(1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조절수단(150)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톱레버(152)의 어느 일측 끝단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파이프(100)와 내부파이프(200)가 서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사고와 단선의 위험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청소기, 연장관, 길이조절, 전선

Description

청소기용 연장관{Pipe of cleaner}
본 발명은 길이조절이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지고 내부의 전선이 신축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청소기의 연장관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기계의 힘으로 청소를 수행하여 인간의 노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 흡인력을 이용한 진공청소기와 물을 분사하여 물과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물청소기는 물론 최근에는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팀청소기가 등장하는 한편, 종래의 흡입 및 스팀을 동시에 사용가능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청소기에는 일반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장관(흡입파이프 또는 연장파이프 등으로 불리기도 함)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연장관은 이중관으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파이프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청소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연장관의 길이조절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스팀 청소기(또는 진공 청소기)의 파이프(또는 흡입관)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직경이 다른 다수개의 파이프를 걸림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을 제한하거나 해제하여 길이를 조절케 하고 있는데, 걸림 수단으로는 주로 스토퍼를 결속시키거나 해제하여 각각의 파이프를 결속된 상태에서는 길이가 고정되고, 해제된 상태에서는 파이프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스토퍼가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쉽게 영향을 받아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스토퍼의 결속이 해제되어 사용 중 또는 취급 중에도 빈번히 의도하지 않은 상태로 길이가 조절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사용자가 불의의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지속적인 사용에 의한 마모로 스토퍼의 기능이 상실되어, 스토퍼의 결속 및 해제시 많은 소음을 유발하거나 원활하게 동작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스팀이 구비되는 청소기에서는, 스팀발생장치가 본체와 이격된 노즐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체로 공급되는 전원을 다시 노즐로 공급하여 스팀발생장치를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연장관은 노즐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을 본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였으나, 이러한 스팀청소기에서는 연장관이 전원을 노즐로 공급하는 역할을 겸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청소기의 연장관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이러한 연장관의 내부에 전선을 내장시키는 경우에는 연장관의 길이가 변경되는 경우 단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전선의 내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연장관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청소를 할 수 있는 청소기용 연장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장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경우에도 내부에 구비되는 전선의 단선이 방지되는 청소기용 연장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연장관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 또는 외부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선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파이프와 내부파이프의 상호 유동을 제어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연결선은, 신축성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연장관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파이프와 내부파이프의 상호 유동을 제어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조절수단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톱레버의 어느 일측 끝단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파이프와 내부파이프가 서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연장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조절수단을 구성하는 스톱레버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스톱레버의 얀단 중 어느 일단을 누르는 경우에만 연장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즉, 사용자가 청소기 사용중에 스톱레버의 중앙부를 감싸더라도 연장관의 길이가 임의로 조절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톱레버의 양단 중 어느 일단만 누르게 되면 연장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전선연결선이 전화선 타입으로 꼬여진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전원연결선이 신축성을 가지게 되므로, 연장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경우에도 전원연결선의 단선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연장관은 청소기의 타입에 불구하고 어떠한 청소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장관을 가지는 청소기라면, 어떠한 청소기라도 가능할 것이나,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팀 기능을 구비한 청소기에 사용되는 연장관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연장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관(10)은, 청소기의 흡입노즐(도시되지 않음)과 손잡이(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사용자가 선 자세로 청소가 가능하도 록 하는 부분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장관(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파이프(100)와,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파이프(20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외부 하측에는 파이프커버(300)가 길이방향으로 되응되게 결합 설치되고, 이러한 외부파이프(100)에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스톱레버(152)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연장관(10)의 내부 구성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장관(10)이 뒤집어진 상태를 보인 하부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장관(10)의 분해사시도와 정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파이프(100)는 원통형의 골격을 가지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외부파이프(100)의 상측에 상기에서 설명한 파이프커버(300)가 덧씌워진다.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파이프(2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좌우방향)으로 길게 전선안착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안착부(102)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선케이스(31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좌측 상면에는 커넥터안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안착부(1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커넥터어셈블리(112)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안착부(110)에는 커넥터어셈블리(112)가 장착된다. 상기 커넥터어셈블리(112)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연결선(32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흡입노즐(도시되지 않음)로 공급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커넥터어셈블리(1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연결선(320)의 일단(좌측단)이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안착부(110)의 상측에는 커넥터커버파이프(114)가 장착된다. 상기 커넥터커버파이프(114)는 상기 커넥터안착부(110)에 장착되는 커넥터어셈블리(112)를 감싸게 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좌측단 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노즐(도시되지 않음)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파이프(120)와 버튼커버(122) 및 릴리스버튼(124) 등이 더 구비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우측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조절지지부(13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조절지지부(130)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절수단(15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파이프(100)와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상면과 조절지지부(130) 사이에 아래에서 설명할 전선케이스(310)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조절지지부(130) 상면에는 레버설치부(13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레버설치부(132)는 아래에서 설명할 스톱레버(152)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레버설치부(132)의 중앙부 전후면에는 전후방으로 돌출된 힌지축(134)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134)은 아래에서 설명할 스톱레버(152)의 회 전 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설치부(132)의 좌우 양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래치(158)가 지렛대 역할을 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턱(136)이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턱(136)은 아래에서 설명할 래치(158)가 지렛대 기능을 하도록 받침점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우측단 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파이프(140)가 더 삽입된다.
상기 조절지지부(130)의 상측에는 조절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조절수단(150)은, 상기 외부파이프(100)와 내부파이프(200)의 상호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톱레버(152)와, 아래에서 설명할 스톱홈(316)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톱후크(154)와, 스톱후크(154)가 스톱홈(316)에 삽입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156)와, 상기 스톱레버(152)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스톱후크(154)가 스톱홈(316)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강제하는 래치(15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톱레버(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V'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스톱레버(152)의 상면 양단은 중앙부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톱레버(152)는, 중앙부의 저면이 하측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중앙부에 힌지홀(152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레버(152)의 내부는 빈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스톱레버(152)의 내부에 상기 래치(158)와 탄성 부재(156) 등이 수용된다.
상기 힌지홀(152a)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레버설치부(132)의 힌지축(134)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톱레버(152)는 상기 힌지축(13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톱후크(154)는 상기 레버설치부(132)의 중앙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스톱홈(316)에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톱후크(154)에는 상기 한 쌍의 래치(158) 일단이 각각 걸어져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톱후크(154)에는 래치(158)의 일단이 걸어지는 한 쌍의 탄성홀(154a)이 전후면에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톱후크(154)는 상기 레버설치부(132)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이러한 스톱후크(154)의 양측에는 한 쌍의 래치(158)가 경사지게 대칭적으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156)는 상기 스톱후크(154)가 아래에서 설명할 스톱홈(316)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으로, 상기 스톱후크(154)의 상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56)의 상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톱레버(152)의 내부 상면과 스톱후크(154)의 상면에 각각 접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56)는 압축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158)는 상기 스톱후크(154)를 중심으로 좌우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설치되며, 전체적으로는 '⊂', '⊃'과 같은 형상(상방에서 볼 경우)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래치(158)의 양단은 다시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bending)되어 상기 스톱후크(154)의 탄성홀(154a)에 각각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수단(150)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톱레버(152)의 어느 일측 끝단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파이프(100)와 내부파이프(200)가 서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한 쌍의 래치(158)는, 일단이 상기 스톱후크(154)의 탄성홀(154a)에 걸어지고, 다른 일단은 상기 스톱레버(152)의 내부 좌우 단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도 4 참조) 따라서, 상기 스톱레버(152)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을 누르게 되면, 상기 레버설치부(132)에 형성된 지지턱(136)이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스톱후크(154)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스톱홈(316)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파이프(200)는 상기 외부파이프(1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파이프(10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내부파이프(200)의 좌측단에는 실패킹(210)이 장착된다. 상기 실패킹(210)은 상기 내부파이프(200)와 내부파이프(200) 사이의 틈새로 공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실패킹(210)과 내부파이프(200)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돌기(212)와 체결홀(214)이 형성되어 실패킹(210)이 내부파이프(2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파이프(200)의 우측단 상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안착부(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터미널안착부(220)에는 한 쌍의 터미널핀(222)이 장착된다. 상기 터미널핀(22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연결선(320)의 우측단이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220)의 상측에는 터미널커버(224)가 감싸여지고, 이러한 터미널커버(224)의 하측에는 내부파이프커버(226)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파이프(200) 우측단 부근을 감싸게 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00) 상부 외측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파이프커버(300)가 장착된다. 상기 파이프커버(300)는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러한 파이프커버(300)의 내부 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선케이스(310) 등이 수용된다.
상기 파이프커버(300)의 우측단에는 상기 스톱레버(152)의 상반부가 노출되는 레버홀(302)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부파이프(100)와 파이프커버(300) 사이의 공간에는 전선케이스(310)가 내장된다. 즉, 상기 외부파이프(100)의 전선안착부(102)에는 전선케이스(310)가 장착된다. 상기 전선케이스(310)는, 상기 전선안착부(102)에 접하는 전선베이스(312)와, 상기 전선케이스(31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선커버(31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베이스(312)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전선구획선(312a)이 길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한 쌍의 전원연결선(320)이 서로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전선커버(314)는 상기 전선베이스(312)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스톱홈(316)이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톱홈(316)은 상기 조절수단(150)을 구성하는 스톱후크(154)의 하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스톱홈(316)은 상기 스톱후크(154)의 하단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다수개가 등(等)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케이스(310) 내부에는 한 쌍의 전원연결선(320)이 수용된다. 상기 전원연결선(320)은 청소기의 본체(도시되지 않음)로 유입된 전원을 흡입노즐(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이루어지고, 신축성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외부파이프(100)와 내부파이프(200)의 슬라이딩에 따라 변동되는 연장관(10)의 길이변화에 대응 가능하도록 신축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원연결선(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회 감겨진 전화선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즉, 코일스프링(coil spring)과 같이 나선방향으로 감겨진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전원연결선(320)의 좌측단은 상기 커넥터어셈블리(112)에 연결되고, 우측단은 상기 터미널안착부(220)에 장착되는 터미널핀(222)에 연결되어, 연장관(10)의 길이 변화에 따라 신축성있게 전체 길이가 변화된다. 즉, 내부에는 전기 전도도가 좋은 금속재질이 구비되고, 외부에는 절연재 등으로 코팅된 전원연결선(320)이 전화선과 같이 꼬여진 형태로 구비되므로, 좌우의 길이 변화에 따라 신축성을 가지게 된다.
도 5는 상기 레버설치부(132)에 상기 한 쌍의 래치(158)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연장관(10)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연장관(10)은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되며, 도 4에는 상기의 조절수단(150)에 의해 외부파이프(100)와 내부파이프(200)가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이때에는 상기 조절수단(150)의 스톱후크(154)가 상기 스톱홈(316)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부파이프(200)는 상기 외부파이프(100) 내부에서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6과 같이, 상기 스톱레버(152)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외부파이프(100)와 내부파이프(200)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톱레버(152)의 내부에는 한 쌍의 래치(158)가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톱레버(152)의 좌측단이 눌려지거나 우측단이 눌려지거나 그 작동 상태는 서로 대칭되어 결국 동일한 효과를 발생하므로 여기서는 도 6과 같이 상기 스톱레버(152)의 우측단을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톱레버(152)의 우측단을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스톱레버(152)가 상기 힌지축(13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스톱레버(152)의 내부에 구비된 우측의 래치(158) 우측단이 하방으로 눌려진다.
이때 상기 우측의 래치(158)는 상기 우측의 지지턱(136)이 지렛대의 받침 역할을 하게 되므로, 우측의 래치(158)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턱(13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우측 래치(158)의 좌측단에 걸어져 있는 스톱후크(154)가 상방으로 올라간다. 즉, 상기 래치(158)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스톱후크(154)를 누르고 있는 탄성부재(156)의 압력보다 강하게 되므로, 상기 스톱후크(154)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톱후크(154)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톱후크(154)가 상기 전선케이스(310)에 형성된 스톱홈(316)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톱후크(154)가 상기 스톱홈(316)을 빠져나오면, 상기 내부파이프(200) 및 이에 고정된 상기 전선케이스(310)는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톱레버(152)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을 누른 상태에서 연장관(10)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상기 스톱레버(152)의 누름을 해제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5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톱후크(154)는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게 되고, 상기 래치(158)와 스톱레버(152)는 원상으로 회복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후크(154)가 상기 다수의 스톱홈(316)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상기 내부파이프(200)는 좌우로 유동이 차단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연장관(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연장관(10)의 길이 조절시 상기 전선케이스(310) 내부에 삽입된 전원연결선(320)은 좌우 길이가 변화게 된다. 즉, 상기 전원연결선(320)의 양단이 상기 외 부파이프(100)와 내부파이프(200)와 고정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내부파이프(200)가 외부파이프(100) 내부를 유동하게 되면, 상기 전원연결선(320)은 좌우로 길이가 변하게 된다. 이는 전화선의 길이가 변하는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용 연장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하부 구성을 보인 하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래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연장관 100. 외부파이프
150. 조절수단 152. 스톱레버
154. 스톱후크 156. 탄성부재
158. 래치 200. 내부파이프
300. 파이프커버 320. 전원연결선

Claims (12)

  1.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 또는 외부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선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파이프와 내부파이프의 상호 유동을 제어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연결선은, 신축성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선은,
    다수 회 감겨진 전화선 타입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톱레버와;
    상기 스톱레버의 일측에 구비되어, 스톱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톱후크와;
    상기 스톱후크의 일측에 구비되어, 스톱후크가 스톱홈에 삽입되도록 힘을 가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스톱레버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스톱후크가 스톱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강제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4.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파이프와 내부파이프의 상호 유동을 제어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조절수단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톱레버의 어느 일측 끝단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파이프와 내부파이프가 서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톱레버와;
    상기 스톱레버의 일측에 구비되어, 스톱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톱후크와;
    상기 스톱후크의 일측에 구비되어, 스톱후크가 스톱홈에 삽입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스톱레버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스톱후크가 스톱홈으로부터 이탈되도 록 강제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후크가 삽입되는 스톱홈은,
    전원연결선을 감싸는 전선커버에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톱후크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일단은 상기 스톱후크에 걸어지고, 다른 일단은 상기 스톱레버의 단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파이프의 일단에는, 상기 조절수단을 지지하는 조절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조절지지부에는, 상기 스톱레버가 장착되는 레버설치부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설치부에는,
    상기 스톱레버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설치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톱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스톱후크의 양측에는 한 쌍의 래치가 경사지게 대칭적으로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설치부에는,
    상기 래치가 지렛대 역할을 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연장관.
KR1020080030582A 2008-04-02 2008-04-02 청소기용 연장관 KR100963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582A KR100963751B1 (ko) 2008-04-02 2008-04-02 청소기용 연장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582A KR100963751B1 (ko) 2008-04-02 2008-04-02 청소기용 연장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243A true KR20090105243A (ko) 2009-10-07
KR100963751B1 KR100963751B1 (ko) 2010-06-14

Family

ID=4153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582A KR100963751B1 (ko) 2008-04-02 2008-04-02 청소기용 연장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7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207A2 (ko) * 2010-11-29 2012-06-07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텔레스코픽 연장관
WO2014042294A1 (ko) * 2012-09-13 2014-03-20 은성전자 주식회사 텔레스코픽용 연장관의 길이조절장치
WO2021182771A1 (ko) * 2020-03-10 2021-09-16 삼성전자(주) 진공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83B1 (ko) 2018-08-30 2020-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2065775B1 (ko) * 2018-10-29 2020-01-13 은성전자 주식회사 전선내장 신축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878A (ko) * 1997-12-05 1999-07-05 최진호 청소기용 연장관의 전원통전장치
JP2001017365A (ja) * 1999-07-05 2001-01-23 Toshiba Tec Corp 伸縮延長管およびこの伸縮延長管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1346742A (ja) * 2000-06-09 2001-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伸縮パイプおよび電気掃除機
KR100767062B1 (ko) 2006-08-28 2007-10-18 주식회사 퓨어네츄럴컴퍼니 스프링형 전선이 설치된 연장 파이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207A2 (ko) * 2010-11-29 2012-06-07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텔레스코픽 연장관
WO2012074207A3 (ko) * 2010-11-29 2012-07-26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텔레스코픽 연장관
WO2014042294A1 (ko) * 2012-09-13 2014-03-20 은성전자 주식회사 텔레스코픽용 연장관의 길이조절장치
WO2021182771A1 (ko) * 2020-03-10 2021-09-16 삼성전자(주)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751B1 (ko)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751B1 (ko) 청소기용 연장관
KR101927805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선 트레이
AU2004273551B2 (en) Vacuum cleaner current-carrying hose connection system
KR200480878Y1 (ko)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JP2012089500A (ja) 電気コネクタ
TWM507610U (zh) 電聯接端子之扳動件固定結構
JP2016536736A (ja) 電気接続端子
US7004782B2 (en)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socket of an electrical apparatus with a power cord plug
KR100883540B1 (ko) 청소기용 연장관
ITTO20030086U1 (it) Gruppo porta-contatti per una presa-spina di connessione elettrica.
CN209930689U (zh) 一种机箱压线压紧固定结构、机箱及电子设备
KR101567801B1 (ko)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KR102306788B1 (ko)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KR200335154Y1 (ko) 이동식 콘센트
KR200416360Y1 (ko) 인입출이 가능한 건축용 콘센트
KR200487310Y1 (ko) 전기 플러그
KR200458651Y1 (ko) 원터치 방수콘센트
KR100962718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호스 단선방지장치
TWI701870B (zh) 插座改良結構
US20050006516A1 (en) Wire winding device for electrical appliances
KR200239704Y1 (ko)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US20230375109A1 (en) Bendable joint, cleaner connecting pipe, and cleaner
KR101451519B1 (ko) 조명기구의 전선꼬임 방지장치
KR200372008Y1 (ko) 전선 연결용 단자
JP2012059368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