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322A -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322A
KR20090104322A KR1020080029692A KR20080029692A KR20090104322A KR 20090104322 A KR20090104322 A KR 20090104322A KR 1020080029692 A KR1020080029692 A KR 1020080029692A KR 20080029692 A KR20080029692 A KR 20080029692A KR 20090104322 A KR20090104322 A KR 20090104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usion
socket
circumferential surfac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훈
Original Assignee
이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훈 filed Critical 이남훈
Priority to KR1020080029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4322A/ko
Publication of KR2009010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 연결부위에 비드가 발생하지 않고, 융착장치를 규격화할 수 있도록 하는 융착소켓이 개시되며, 본 발명의 주요 특징적 구성은 제1파이프를 삽입하는 제1삽입부와 제2파이프를 삽입하는 제2삽입부와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지며, 가열된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에 상기 제1, 제2파이프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융착소켓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의 직경이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의 직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이프, 클램프, 비드, 융착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coupling socket for pipes}
도 1은 종래의 맞대기 융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전기소켓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융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는 융착소켓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방법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히터에 의하여 파이프와 융착소켓이 가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의한 방법에 의하여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융착소켓와 연결 파이프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융착소켓과 연결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융착소켓을 이용하여 융착시키는 융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융착소켓으로 융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융착장치의 동작과정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히터가 분리된 상태에서 융착소켓에 파이프들이 결합시키는 융착장치의 동작과정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융착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융착소켓에 의하여 파이프가 융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융착소켓의 또 다른 실시예가 클램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융착소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두 개의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의 파이프 열 융착방법으로는 맞대기 융착방법, 전기에 의하여 용융되는 전기소켓을 이용한 융착방법 및 히터에 의하여 용융되 는 열융착 소켓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맞대기 융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맞대기 융착방법은 두 개의 파이프(1), (3)의 절단면(2), (4)을 히터(5)의 양쪽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가열시켜 녹인 후, 히터(5)를 제거한 후 용융된 절단면(2), (4)이 서로 가압되도록 하여 상호 융착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절단면(2), (4)이 용융된 후 상호 가압되게 되면 융착부위가 파이프 내측과 외측으로 융기된 비드(6)가 발생되게 되고, 파이프 내측에 발생된 비드(6)는 파이프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고, 비드(6) 부위에 이물질을 축적시켜 파이프를 막는 현상까지 발생시킨다.
도 3은 종래의 전기소켓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융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전기소켓(7)은 내주면에 열선(9)이 권취되어 있고, 길이의 중간부분의 내주면에는 파이프(1), (3)가 양쪽에서 삽입될 때, 절단면(2), (4)이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격벽(8)이 형성되어 있다.
전기소켓(7)을 이용하여 파이프(1), (3)을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열선(9)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소켓(7)의 내주면이 용융되도록 한 후 전기소켓(7)의 양쪽에 파이프(1), (3)를 삽입시키고, 절단면(2), (4)이 격벽(8)의 양쪽에 접촉할 때 까지 밀어준 후 냉각시킴으로써 용착이 완료되어 파이프(1), (3)가 연결된다. 이때, 격 벽(8)은 전기소켓(7)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8)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파이프(1), (3)가 전기소켓(7)의 양쪽에서 삽입되어 격벽(8) 쪽으로 이동될 때 전기소켓(7)의 내주면의 용융부위와 접촉되며 이동되기 때문에 용융물을 격벽(8)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내부로 돌출되는 비드(10)를 생성시킨다. 또한, 격벽(8)이 전기소켓(7)의 내주면 전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때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 (3)가 삽입될 때, 비드(10)가 축적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격벽(8)의 돌출길이가 파이프(1), (3)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러나, 전기소켓(7)의 내주면을 따라 파이프(1), (3)를 이동시킬 때 용융물이 많이 밀리게 되면 격벽(8) 부분에 많은 비드가 축적되게 되고, 결국 파이프(1), (3)의 융착부위를 막히게 하는 원인이 된다.
도 5는 종래의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는 융착소켓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방법을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히터에 의하여 파이프와 융착소켓이 가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의한 방법에 의하여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 파이프(1), (3)는 융착소켓(20)에 의하여 연결된다. 융착소켓(20)의 내경은 파이프(1), (3)의 외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중심의 내주면에는 내향으로 돌출된 격벽(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21)의 돌출된 길이는 비드가 격벽(21)의 전면에 축적될 수 있도록 파이프(1), (3)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파이프(1), (3), 융착소켓(20)은 히터(30)에 의하여 가열된다. 히터(30)는 전기에 의하여 가열되는 히터판(31)과 히터판(31)의 일측에 형성되어 파이프의 연결부위의 외주면을 가열하는 파이프 삽입관(32)과, 타측에 형성되어 융착소켓(20)에 삽입되어 융착소켓(20)의 내주면을 가열시키는 소켓 삽입관(33)으로 이루어진다.
융착소켓(20)의 양쪽의 내주면에 히터(30)의 소켓 삽입관(33)이 각각 삽입되고, 히터(30)의 파이프 삽입관(32)의 내주면에 각각 파이프(1), (3)가 삽입된 후 히터(30)에 의하여 융착소켓(20)의 내주면과 파이프(1), (3)의 연결부위의 외주면이 가열된 후 소켓이 분리되고, 파이프(1), (3)의 절단면이 융착소켓(20)의 격벽(21)에 접촉되도록 압입된다. 파이프(1), (3)가 융착소켓(20)의 내주면을 따라 압입될 때 용융물이 격벽(21) 쪽으로 밀리게 되고, 격벽(21) 부분에는 축적되는 용융물에 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드(22)가 형성되어 관이 막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파이프(1), (3)가 대형인 경우에는 융착소켓(20) 또한 대형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파이프(1), (3)를 가열하고 융착소켓(20)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파이프(1), (3), 융착소켓(20)을 클램핑하는 클램핑장치가 설치된 융착기계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융착소켓(20)의 외경이 파이프(1), (3)의 외경 보다 크기 때문에 융착소켓(20)의 클램핑장치와 파이프(1), (3)의 클램핑장치가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융착기계의 제작비가 고가로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융착소 켓을 사용하여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 연결부위에 비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융착소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형상의 클램프들을 사용하여 파이프 및 연결소켓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융착소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융착소켓을 사용하여 파이프 융착작업을 하도록 하는 융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파이프를 삽입하는 제1삽입부와 제2파이프를 삽입하는 제2삽입부와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지며, 가열된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에 상기 제1, 제2파이프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융착소켓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의 직경이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의 직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제1파이프를 삽입하는 제1삽입부와 제2파이프를 삽입하는 제2삽입부와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지며, 가열된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에 상기 제1, 제2파이프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융착소켓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1, 2 파이프의 내주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위의 양측단면은 내주면에 인접될수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융착소켓와 연결 파이프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융착소켓과 연결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40), (60)의 일단부의 외주면과 융착소켓(50)의 내주면은 가열된 상태에서 파이프(40), (60)의 일단부가 융착소켓(50)의 좌, 우 측에 압입되어 융착된다.
융착소켓(50)은 좌, 우 양쪽에 삽입부(51), (52)가 형성되고, 중간에 걸림부(53)가 형성된다. 삽입부(51)의 내주면은 좌측의 파이프(40)의 외주면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어 가열된 상태에서 파이프(40)가 압입될 때 파이프(40)의 외주면과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삽입부(52)의 내주면은 우측의 파이프(60)의 외주면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어 가열된 상태에서 파이프(60)가 압입될 때 파이프(40)의 외주면과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삽입부(51)와 삽입부(52)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부(53)의 내주면은 삽입부(51), (52)의 내주면 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이들의 경계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주면은 파이프(40), (60)의 외주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삽입부(51), (52)와 걸림부의 외주면 사이의 경계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40), (60)의 외주면의 직경과 융착소켓(50)의 걸림부(50)의 외주면의 직경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을 거치시켜 융착시키는 융착기의 클램프를 동일한 직경의 단일 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융착소켓을 이용하여 융착시키는 융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0, 도 11에 도시된 융착장치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출원하여 기등록한 특허 제712646호에 개시된 융착장치로서, 파이프들(40), (60)은 상, 하면으로 이루어져 결합 분리될 수 있는 클램프들(110), (120), (130), (140), (150)에 장착된다. 좌측 파이프(40)가 장착되는 고정 클램프(110), (120)는 프레임(160), (161)에 고정되며, 우측 파이프(60)가 장착되는 이동 클램프(140),(150)는 프레임(160), (161)에 대하여 왕복 운동이 가능하며, 연결 클램프(130)는 융착 소켓(50)이 장착되며, 이동 클램프(140), (150)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고정 클램프(110), (120)에 근접되거나 멀어지게 된다.
고정클램프(120)의 양측부에는 실린더 로드(171), (172)의 일단이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171), (172)를 중심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들(181), (182)이 왕복운동을 한다. 또한, 이동클램프(140), (150)의 하면(141), (151)의 양측부에는 실린더들(181), (182)이 고정되어 유압에 의하여 실린더 로드(171), (172)를 중심으로 실린더(181), (182)가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이동 클램프(140), (150)도 고정클램프(110), (120)에 대하여 왕복운동을 한다.
또한, 고정클램프(110), (120), 연결클램프(130), 이동클램프(140), (150)의 하면의 양 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봉(190), (190')이 관통되고 있다. 이때, 고정클램프들의 하면(111), (121)들과 가이드봉(190), (190')은 결착된다.
또한, 가이드봉(190), (19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봉(190), (190')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이동봉(191), (191')이 삽통되며, 이동봉(191), (191')의 이동위치를 제한하는 스톱퍼(192), (192')가 설치된다. 이동봉(191), (191')은 가이드봉(190), (190')에 삽통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93), (193')가 형성되고, 타단은 연결클램프(130)에 고정되며, 돌출부(193), (193')의 내측에 이동클램프(140)가 설치되고, 이동클램프(140)은 이동봉(191), (191')의 외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된다. 또한, 고정클램프(110)의 하면(111)은 프레임(160)에 결합되고, 고정클램프(120)의 하면(121)은 프레임(161)에 결합되고, 프레임(160)과 프레임(161)은 간격조절봉(162)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간격조절봉(162)을 신장, 압축시킴으로써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61)의 단부에는 연직으로 절곡부(163)가 형성되어 이동클램프(150)의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또한, 각 클램프들(110), (120), (130), (140), (150)의 상면과 하면은 가이드봉(19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있어, 가이드봉(190')을 중심으로 상면을 하면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다.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체결볼트(201), (202), (203), (204), (205)를 풀고, 체결구(211), (212), (213), (214), (215)를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변환한 후 가이드봉(190')을 중심으로 상부를 회전시킨다.
또한, 이동클램프(140)와 이동클램프(150)는 체결봉(164)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181), (182)에 의하여 함께 왕복운동을 한다.
도 12의 구성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융착소켓으로 융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융착장치의 동작과정의 단면도로써 파이프 이동에 관련된 주요구성만을 도시한 것이다.
단면이 면취된 좌, 우 파이프(40), (60), 융착소켓(50)은 클램프에 설치되 고, 히터(70), (80)이 융착장치에 설치되어 히팅된다.
좌측 파이프(40), 우측 파이프(60)와 융착 소켓(5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70), (80)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갖도록 고정클램프(110), (120), 연결클램프(130), 이동클램프(140), (150)에 파이프들(40), (60)이 장착되고, 파이프(40)와 융착 소켓(50)의 절단면 사이에 히터(70)를 설치하고, 융착소켓(50)의 절단면과 파이프(60) 사이에 히터(80)를 설치한다. 이때, 히터(70), (80)과 파이프(40), 융착소켓(50), 파이프(60)의 절단면들 사이에는 도 12a와 같이 간격이 벌어지도록 설치되며, 히터(70), (80)의 소켓 삽입관(73), (83)은 서로 마주 보게 설치되며, 파이프 삽입판(72), (82)는 서로 바깥쪽을 보도록 설치된다. 도 12a의 상태에서는 스톱퍼(192), (192')와 이동봉(191), (191')의 단부의 돌출부(193), (193')는 접촉된 상태에 있다.
히터(70), (80)과 좌측 파이프(40), 융착소켓(50), 우측 파이프(60)를 접촉시키기 위하여 실린더(181), (182)를 우에서 좌로 이동시키면, 실린더에 고정되어 실린더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 클램프(140), (150)도 우에서 좌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서 도 12b와 같이 히터(80)의 파이프 삽입관(82)의 내주면에 우측 파이프(60)의 단부 외주면이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이동 클램프(140)는 이동봉(191), (191')의 외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실린더(181), (182)를 계속해서 우에서 좌로 이동시키면 이동클램프(140), (150)도 우에서 좌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히터(80)의 소켓 삽입관(83)이 융착소켓(60)의 우측의 내주면에 삽이되게 되어 결국 융착소켓(50)의 걸림부의 걸림턱과 소켓 삽입관(83)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인 도 12c의 상 태가 된다. 도 12c의 상태까지는 이동봉(191), (191')이 우에서 좌로 이동하지 않지만 도 12c의 상태에서 실린더(81), (82)가 계속해서 우에서 좌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클램프(40), (50)도 우에서 좌로 이동하게 되고, 우측 파이프(60)와 융착소켓(50)이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융착소켓(50)이 우에서 좌로 밀리게 되어 결국 융착소켓(50)에 고정되어 있는 이동봉(191), (191')도 우에서 좌로 이동하게 된다.
도 12c의 상태에서 실린더(181), (182)가 계속해서 우에서 좌로 이동하게 되면, 히터(70)의 소켓 삽입관(73)은 융착소켓(60)의 좌측 내주면으로 삽입되게 되어 도 12d의 상태로 되고, 계속해서 실린더(181), (182)가 이동함에 따라서 히터(70)의 파이프 삽입관(72)에 좌측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는 도 5e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도 12c의 상태에서 도 12e 상태까지는 클램프(130)가 이동함에 따라서 이동봉(191), (191')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히터(70), (80)에 전기를 가하여 좌측 파이프(40), 융착소켓(50), 우측 파이프(60)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실린더(181), (182)를 좌에서 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역순으로 좌측 파이프(40), 융착소켓(50), 우측 파이프(60)를 분리시키고, 히터(70), (80)를 제거한다.
히터(70), (80)가 제거된 상태에서 도 13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파이프들을 결합시킨다.
도 13a는 도 12e로부터 히터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b는 실린더(181), (182)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여 이동클램프(140), (150)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여 융착소켓(50)의 우측 내주면에 우측 파이프(60)의 융착부위가 삽입된 상태 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c는 도 13b의 상태에서 실린더(181), (182)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여 연결클램프(130), 이동클램프(140), (150)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여 융착소켓(60)의 좌측 내주면에 좌측 파이프(40)의 융착부위가 삽입되어 융착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융착장치를 사용하여 융착이 이루어질 때, 융착소켓(60)의 걸림부(53)의 외주면의 직경이 좌, 우 파이프(40), (60)의 외주면의 직경과 같기 때문에 연결 클램프(130)를 고정 클램프(110), (120) 및 이동 클램프(140), (150)와 동일한 크기와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한, 파이프들의 외경이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클램프(130) 또한 규격화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융착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융착소켓에 의하여 파이프가 융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융착소켓(210)은 좌, 우 양측으로 삽입부(211), (212)와 삽입부 사이에 형성되며, 삽입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좌, 우 파이프(40), (60)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213)로 이루어진다. 좌측 삽입부(211)의 내주면에는 좌측 파이프(40)가 삽입되고, 우측 삽입부(212)에는 우측 파이프(60)가 삽입된다. 이때, 양측 삽입부(211), (212)의 단면 형상은 내주면보다 외주면이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경사면을 형성하여 양측의 파이프(40), (60)가 삽입부(211), (212)에 각각 삽입될 때, 용융물이 경사면 외측에 축적되도록 하여 용융물이 파이프(40)의 외주면에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걸림부(213)의 두께는 파이프(40), (60)의 두께와 일치하여 내주면이 삽입부(211), (212)의 내 주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되게 되고, 돌출된 양측 단면은 내주면 측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양측의 파이프(40), (60)의 단면과 걸림부(213)의 양단면의 경사면과 접촉시에 공간부(214), (215)를 형성하도록 하고, 양측 파이프(40), (60)의 삽입시에 파이프(40), (60)에 밀리는 용융물이 공간부(214), (215)에 축적됨으로써 융착부위에 비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융착소켓의 또 다른 실시예가 클램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융착소켓(220)은 도 14에 도시된 융착소켓(210)에 걸림부(213)의 외주면에 돌출턱(216), (217)이 더 형성된 것이다. 연결 클램프(130)는 협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융착소켓(220)의 걸림부(213)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내측으로 원주형상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턱(216), (217)는 연결 클램프(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연결 클램프(130)는 융착소켓(220)을 견고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융착소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융착소켓(230)은 융착소켓에 3개의 파이프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3가지 방향으로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방향의 삽입부 내측에는 걸림부들(231), (232), (233)이 형성되고, 걸림부들(231), (232), (233)의 측단면은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 쪽으로 파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각 연결 파이프들과 경사면이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걸림부(231), (232), (233)의 외주면은 연결되는 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융착장치의 연결클램프(130)가 견고하게 협지될 수 있도록 연결클램프(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출부의 반대형상의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융착소켓의 걸림부의 내주면과 파이프의 내주면을 일치시키고, 걸림부의 외주면 중 일부 또는 전체를 파이프의 외주면과 일치시켜 형성함으로써 연결 클램프를 규격화할 수 있어 융착장치를 염가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융착소켓의 삽입부의 외측단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파이프의 융착부위로부터 밀려 나오는 용융물이 경사면 주위에 축적되도록 함으로써 융착된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융착소켓에 파이프 삽입시에 용융물이 걸림부의 양측의 경사면과 파이프 단면에 형성된 공간부에 축적되어 파이프 내부에 비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8)

  1. 제1파이프를 삽입하는 제1삽입부와 제2파이프를 삽입하는 제2삽입부와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지며, 가열된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에 상기 제1, 제2파이프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의 직경이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의 직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의 외주면의 직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두께는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외측 단면은 외주면이 내주면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두께는 상기 제1파이프, 제2파이프의 두 께와 일치하며 내주면이 상기 제1삽입부, 제2삽입부의 내주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되게 되고, 돌출된 양측 단면은 상기 걸림부의 내주면측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 제2파이프가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의 단면과 상기 걸림부의 돌출부위의 양측 경사면사이에는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가 삽입될 때 용융물이 축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에는 철(凸)부 또는 요(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8. 제1파이프를 삽입하는 제1삽입부와 제2파이프를 삽입하는 제2삽입부와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지며, 가열된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에 상기 제1, 제2파이프가 삽입되어 융착되는 융착소켓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1, 2 파이프의 내주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위의 양측단면은 내주면에 인접될수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KR1020080029692A 2008-03-31 2008-03-31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KR20090104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92A KR20090104322A (ko) 2008-03-31 2008-03-31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92A KR20090104322A (ko) 2008-03-31 2008-03-31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322A true KR20090104322A (ko) 2009-10-06

Family

ID=4153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692A KR20090104322A (ko) 2008-03-31 2008-03-31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432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610B1 (ko) * 2011-03-31 2014-01-17 김영심 일체형 수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과 이를 위한 융착히터
KR101936602B1 (ko) * 2018-08-22 2019-04-03 주식회사 신성테크닉스 파이프 양단 고정기
KR102017847B1 (ko) * 2019-02-08 2019-09-03 (주)한빛기술단 배전선로의 전신주 연결장치
KR102091058B1 (ko) 2020-01-28 2020-03-20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
KR102103203B1 (ko) 2020-02-07 2020-04-23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낙뢰의 접지가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의 설치방법
KR102166422B1 (ko) * 2020-02-26 2020-10-15 (주)해성 플랜지용 pfa 아답터
KR102271335B1 (ko) 2021-04-29 2021-06-30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다규격 파이프용 어댑터의 파이프 체결을 위한 지그장치
KR102345058B1 (ko) 2021-04-16 2021-12-29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파이프의 그루브 형성장치 및 그루브 형성방법
KR102356769B1 (ko) 2021-04-26 2022-02-0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파이프용 어댑터의 파이프 체결방법
KR102369611B1 (ko) 2021-08-05 2022-03-03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외부 체결형 어댑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610B1 (ko) * 2011-03-31 2014-01-17 김영심 일체형 수중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과 이를 위한 융착히터
KR101936602B1 (ko) * 2018-08-22 2019-04-03 주식회사 신성테크닉스 파이프 양단 고정기
KR102017847B1 (ko) * 2019-02-08 2019-09-03 (주)한빛기술단 배전선로의 전신주 연결장치
KR102091058B1 (ko) 2020-01-28 2020-03-20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
KR102103203B1 (ko) 2020-02-07 2020-04-23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낙뢰의 접지가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의 설치방법
KR102166422B1 (ko) * 2020-02-26 2020-10-15 (주)해성 플랜지용 pfa 아답터
KR102345058B1 (ko) 2021-04-16 2021-12-29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파이프의 그루브 형성장치 및 그루브 형성방법
KR102356769B1 (ko) 2021-04-26 2022-02-0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파이프용 어댑터의 파이프 체결방법
KR102271335B1 (ko) 2021-04-29 2021-06-30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다규격 파이프용 어댑터의 파이프 체결을 위한 지그장치
KR102369611B1 (ko) 2021-08-05 2022-03-03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외부 체결형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4322A (ko)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CN113770574A (zh) 一种自动化焊接设备
RU2462649C1 (ru) Электрофузионная муфта
EP0355579B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Verschweissen von rohrförmigen Teilen aus Kunststoff
KR20160060070A (ko) 원추형 슬리브 잠금식 철근 연결 커넥터 및 그 설치도구
KR101456055B1 (ko) 철근 마디 형태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및 철근 이음 방법
EP1545824A1 (en) Deformation resistance welding of sheet metal, tubes, and similar shapes
KR101150473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JP3855083B2 (ja) 中空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712646B1 (ko) 공극을 갖는 파이프 융착 방법, 연결파이프 및 공극을 갖는파이프 융착 장치
KR100456615B1 (ko) 히터 분리수단이 구비된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20040096757A (ko) 합성수지관 융착구조
KR101839586B1 (ko) 가열기 및 압착기 일체형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장치
EP050789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rmoplastic welding
CN215146331U (zh) 一种tpx芯棒焊接装置
CN210940502U (zh) 热收缩套烫压机
KR102577543B1 (ko) 버트 융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매를 보강하기 위한 전기 융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283836Y1 (ko) 히터 분리수단이 구비된 파이프 클램핑 장치
JP6904698B2 (ja) 分岐サドル継手
CN206343759U (zh) 管道热压扩散焊接设备
KR20070058850A (ko) 파이프 융착소켓 및 융착소켓을 사용한 파이프 융착방법
JP2012016897A (ja) 樹脂管融着装置
US20130200133A1 (en) Device for welding the end faces of thin-walled jackets
KR100358526B1 (ko) 합성수지관의 어댑터 융착방법
KR100406259B1 (ko) 파이프 연결용 부싱의 융착방법 및 그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28

Effective date: 2011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