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058B1 -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058B1
KR102091058B1 KR1020200009820A KR20200009820A KR102091058B1 KR 102091058 B1 KR102091058 B1 KR 102091058B1 KR 1020200009820 A KR1020200009820 A KR 1020200009820A KR 20200009820 A KR20200009820 A KR 20200009820A KR 102091058 B1 KR102091058 B1 KR 102091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teel pipe
telephone pole
lightning rod
light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0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강관을 용이하게 조립하여 조립에 대한 시간을 절약하는 설치의 용이성과 고정력을 갖는 전신주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전신주에 가해지는 낙뢰를 용이하게 지면에 접지할 수 있는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다수의 강관이 서로 고정되어 기둥형상의 전신주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강관을 고정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조립플랜지 및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조립플랜지는 상기 강관 하부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가 삽입되게 다른 상기 강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에 각각 돌출 형성된 돌출삽입체를 가압 고정하여 다수의 상기 강관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어 다수의 상기 강관이 서로 연결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신주를 형성한 이후에 상기 전신주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강관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플랜지는 낙뢰를 받아들여 지면에 접지시키는 피뢰침부재 및 상기 제1플랜지 외면에 구비되되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피뢰침부재를 직접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피뢰침부재 상단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낙뢰감지구역의 범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INTERCONNECTION APPARATUS FOR COUPLING UPPER POLE ANDLOWER POL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다수의 강관을 용이하게 조립하여 조립에 대한 시간을 절약하는 설치의 용이성과 고정력을 갖는 전신주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전신주에 가해지는 낙뢰를 용이하게 지면에 접지할 수 있는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둥 형상의 전신주는 전선이나 통신선 등으로 이루어진 배전선로를 늘여서 설치하고 있으며, 해당 전신주는 이동이나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하부지주와 다수의 상부지주로 성형되어 설치현장에서 조립되는 조립형과 하나의 전신주가 일체로 성형되는 단봉형의 방식을 사용한다.
종래의 단봉형 전신주는 하나의 기둥형태로 된 10~16m 길이의 콘크리트를 성형재료로 사용하는 전주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10미터 이내의 전신주나 가로등 지주 등은 이러한 콘크리트의 재료가 아닌, 금속재질을 갖는 수정길이를 갖는 강관을 다수 사용하여 볼트 등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전신주나 지주 등으로 자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다수의 강관은 연결장치를 통해 지면에 기둥형상으로 설치되어 전신주(지주 포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하여, 근래에는 강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많이 공개되고 있는 실정이나 대다수의 연결장치가 많은 양의 볼트로 고정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조립에 대한 시간의 소요가 많은 단점이 있으며, 특히 10미터 이내의 전신주 상단에는 유명무실한 피뢰침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피뢰침은 고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낙뢰를 용이하게 받아들여 접지하기 곤란하기에 해당 전신주에 구비된 배전선로나 전기시설물의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9-93356호(공개일:2009.09.02.) 국내공개특허 제10-2009-104322호(공개일:2009.10.06.) 국내등록특허 제10-2017847호(공고일:2019.09.23.)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신주를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강관을 연결하는 목적 이외에 해당 전신주에 근접하는 낙뢰를 용이하게 받아들여 지면에 접지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는 지면에 다수의 강관이 서로 고정되어 기둥형상의 전신주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강관을 고정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조립플랜지 및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조립플랜지는 상기 강관 하부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가 삽입되게 다른 상기 강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에 각각 돌출 형성된 돌출삽입체를 가압 고정하여 다수의 상기 강관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결수단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구비되어 다수의 상기 강관이 서로 연결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신주를 형성한 이후에 상기 전신주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강관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플랜지는 낙뢰를 받아들여 지면에 접지시키는 피뢰침부재 및 상기 제1플랜지 외면에 구비되되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피뢰침부재를 직접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피뢰침부재 상단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낙뢰감지구역의 범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조립플랜지의 조립방식을 갖는 전신주의 용이한 설치 및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상변화에 따라 피뢰침을 회전시켜 낙뢰를 감지하기 위한 낙뢰감지구역의 범위를 가변시킴으로써, 고정 형태를 갖는 종래의 피뢰침을 통해 감지되지 못한 낙뢰까지 받아들일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에 대한 조립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에 대한 체결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대한 제1플랜지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도 4에 대한 결합관계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대한 작용관계도.
도 8은 도 4에 대한 제어부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이하, 간략하게 '연결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1)는 다수의 강관(100), 상기 강관(100)의 상부나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된 조립플랜지(200) 및 복수의 상기 조립플랜지(200)을 가압 고정하여 하나의 전신주(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결수단(300)을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요지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전신주(10)를 예시적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지면에 기둥형상으로 설치되는 금속소재의 가로등 지주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관(100)은 지면(G)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전신주(10)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의 강관(100)은 다수가 후술하는 체결수단(300)에 의해 체결되어 조립되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하되 충격에 의한 내구성 및 코팅 등에 의해 부식방지성이 우수한 금속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강관(100) 외면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전신주(10)를 형성한 이후에 해당 전신주(10)의 상부 측 외면에는 배전선로(L)나 변압기 등과 같은 전기시설물이 설치되기 위한 트레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플랜지(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강관(100)의 상부나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결수단(3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강관(100)이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전신주(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플랜지(210), 제2플랜지(220), 돌출삽입체(230) 및 완충체(24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암수 형태로 서로 연결되는 제1플랜지(210)와 제2플랜지(220)는 다수의 강관(100)이 서로 조립되기 위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서로 배치시에 각각의 상기 강관(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칭되게 배치되어 체결수단(300)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구성이며, 본 발명의 도면상에서 제1플랜지(210)는 상기 강관(1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2플랜지(220)는 상기 제1플랜지(210)와 서로 마주보는 다른 강관(100)의 상부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암수형태로 서로 결합되어 질 수 있게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플랜지(210)는 후술하는 제2플랜지(220)와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강관(100)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220)와 서로 결합한 이후에 외력(예를 들어, 바람이나 차량의 충돌로 인한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소정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의 보조플랜지가 상기 제1플랜지(210)와 상기 제2플랜지(220)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다.
제1플랜지(210)는 제2플랜지(220)와 암수 형태로 연결되기 위해 상기 제2플랜지(220)에 형성된 삽입홈(221)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체(211)가 하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제2플랜지(220)는 상술한 제1플랜지(210)와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강관(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210)에 돌출 형성된 삽입체(211)가 형상 맞춤으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221)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체(211)의 하면과 삽입홈(221)의 바닥면에는 완충체(240)가 구비되기 위한 홈부(27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홈부(270)의 전체 면적은 상기 완충체(240)의 면적보다 좀 더 작게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210,220)가 서로 연결시에 탄성 복원이 가능한 상기 완충체(240)의 완충작용에 의해 복수의 강관(100)이 서로 연결시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삽입체(2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플랜지(210,220) 각각의 외면에 외측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돌출삽입체(230)는 후술하는 체결수단(300)에 삽입 후, 가압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210,220)의 고정을 통해 한 쌍의 강관(100)이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한 쌍의 돌출삽입체(230)는 제1 및 제2플랜지(210,220)가 서로 연결된 이후에 서로 면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210,220)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완충체(240)의 파손 등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완충체(240)는 탄성 복원이 가능한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볼(BALL)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플랜지(210)나 제2플랜지(220)에 각각 형성된 홈부(270) 중 어느 하나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제1플랜지(21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배전선로(L)와 전기시설물을 포함하는 전신주(10)가 낙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낙뢰방지수단인 피뢰침부재(250)와 타격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피뢰침부재(250)와 상기 타격부재(260)가 구비된 상기 제1플랜지(210')는 전신주(10)의 최상단에 위치하되 강관(100)을 대신하여 상술한 제1플랜지(210)에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피뢰침부재(250)는 후술하는 타격부재(260)에 의해 낙뢰감지구역(S-R)의 범위가 가변되어 전신주(10)에 근접하는 낙뢰를 받아들여 지면(G)에 접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말구캡(251) 및 피뢰침(252)을 포함한다.
말구캡(251)은 전체적으로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지름 폭이 좁아지는 고깔형상을 가지되 그 내부에는 각각 소정의 지름을 갖는 회전공(253) 및 회전공간부(255)가 형성되어 타격부재(260)의 직접적인 타격에 의해 피뢰침(252)이 X축, Y축 및 원형의 형태로 상기 말구캡(251) 내에서 이탈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말구캡(251)은 피뢰침(252)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게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몸체가 서로 분리/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회전공(253)과 회전공간부(255) 역시, 상기 말구캡(251)의 분리 이전에는 반구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말구캡(251)이 서로 결합한 이후에는 전체적으로 볼(BALL)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공(253)은 피뢰침(252) 외면에 형성된 회전구(254)의 지름 보다 좀 더 큰 지름을 갖도록 말구캡(251) 내부에 형성되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공간부(255)와 서로 이어지게 형성되어 봉 형상을 갖는 상기 피뢰침(252)이 말구캡(251) 내에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공(253)의 개방된 상부는 피뢰침(252)에 형성된 회전구(254)의 지름보다 더 작게 형성하여 상기 피뢰침(252)이 말구캡(251) 상단의 개방된 상기 회전공(253)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나아가 회전공간부(255)와 이어지는 회전공(253)의 하부는 그 양 측벽이 서로 대칭되게 하방으로 넓어지는 사선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피뢰침(252)의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공간부(255)는 회전공(253)과 연결되게 말구캡(251) 내부에 형성되되 말구캡(251) 외부에서 출입하는 타격봉(261)의 이동에 의해 절연체(256)가 타격 시, 그 타격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공(253)에 배치된 회전구(254)를 중심으로 상기 절연체(256)가 상기 회전공간부(255) 내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말구캡(251) 외면 즉, 타격부재(260)가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말구캡(251)의 외면에는 타격봉(261)이 회전공간부(255) 내/외부로 출입하기 위한 관통공(257)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뢰침(252)은 전체적으로 봉 형상을 갖도록 말구캡(251) 내부에 관통 설치되되 그 상단은 전신주(10)의 최상단 높이보다 일정길이 높게 설치되어 해당 전신주(10)로 내려치는 낙뢰(D-S)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피뢰침(252)은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형성되되 그 외면은 접지선(G-L)을 통해 지면(G)에 접지된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피뢰침(252)에 구비된 접지선(G-L)은 상기 피뢰침(252)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여유 있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피뢰침(252) 외면에는 상술한 회전공(253)에 거치 및 삽입되는 볼(BALL) 형상을 갖는 회전구(254)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탈착 가능한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체(256)가 구비되어 상기 피뢰침(252) 하부에 하중이 가중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절연체(256)에 타격봉(261)에 의한 직접적인 타격 이후에, 상기 피뢰침(252)이 회전과 동시에 그 회전에 의한 운동에너지가 모두 소진되면 항시 수직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절연체(256) 및 후술하는 타격봉(261)을 절연재질로 형성하는 이유는 낙뢰를 피뢰침(252)이 받아들이는 상황에서 상기 타격봉(261)이 상기 절연체(256)를 타격 하여도 상기 피뢰침(252)에 인가된 고전압이 실린더(263)나 제어부(400)에 인가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타격부재(260)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되 상술한 피뢰침(25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타격하여 그 회전을 통해 상기 피뢰침(252) 상단에 가상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는 낙뢰감지구역(S-R)의 범위를 가변시켜 낙뢰(D-S)의 감지 영역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타격봉(261) 및 실린더(263)를 포함한다.
타격봉(261)은 제어부(400)의 제어신호를 통해 인장/수축하는 실린더(263)에 그 일단이 결합하되 타단은 말구캡(251) 외면에 형성된 관통공(257)을 관통하여 회전공간부(255)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출입에 의해 상기 회전공간부(255) 내에 위치하는 절연체(256)를 타격함으로써, 피뢰침(252) 상단이 그 타격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타격봉(261)은 말구캡(251) 외부에서 상기 말구캡(251) 내부에 위치하는 절연체(256)의 타격방향으로 여러방향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말구캡(251) 외면에 도면상에서와 같이, 사선방향은 물론, 상/하/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절연체(256)를 타격함으로써, 피뢰침(252) 상단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낙뢰감지구역(S-R)이 X축방향, Y축방향 및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회전하여 낙뢰감지구역(S-R)의 범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박스 형태로 전신주(10) 외면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린더(263)를 제어하되, 다수의 해당 전신주(10)를 관리하는 관리서버(20)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실시간으로 기상변화에 반응할 수 있게 관리서버(20)는 기상청 등과 같은 기상서버(30)에서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4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3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플랜지(210,220)가 서로 연결되어 복수의 강관(100)이 수직되게 설치되도록 한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210,220)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돌출삽입체(230) 외면을 감싸도록 가압 고정하여 복수의 상기 강관(100)이 지면에 수직되게 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물론, 체결수단(300)은 상술한 다른 실시예인 피뢰침부재(250)과 타격부재(260)가 구비된 제1플랜지(210')와 제2플랜지(220)의 결합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체결수단(3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한 두 몸체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몸체는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 등에 의해 서로 결합한 이후에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체결수단(300) 외면 즉, 한 쌍의 돌출삽입체(230)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고정홈(310)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310) 내측으로 상기 돌출삽입체(230)가 인입되어 복수의 상기 체결수단(300)이 볼트 등에 의해 서로 체결시, 그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홈(310) 내면이 상기 돌출삽입체(230) 외면을 가압하여 그 가압에 의해 제1 및 제2플랜지(210,22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조립플랜지(200)의 조립방식을 갖는 전신주(10)의 용이한 설치 및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상변화에 따라 피뢰침(252)을 회전시켜 낙뢰(D-S)를 감지하기 위한 낙뢰감지구역(S-R)의 범위를 가변시킴으로써, 고정 형태를 갖는 종래의 피뢰침을 통해 감지되지 못한 낙뢰까지 받아들일 수 있는 연결장치(1)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강관
200: 조립플랜지
210: 제1플랜지 211: 삽입체
220: 제2플랜지 221: 삽입홈
230: 돌출삽입체 240: 완충체
250: 피뢰침부재 251: 말구캡
252: 피뢰침 253: 회전공
254: 회전구 255: 회전공간부
256: 절연체 257: 관통공
260: 타격부재 261: 타격봉
263: 실린더
300: 체결수단
310: 고정홈
400: 제어부

Claims (1)

  1. 지면에 다수의 강관(100)이 서로 고정되어 기둥형상의 전신주(10)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강관(100)을 고정하는 연결장치(1)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1)는 조립플랜지(200) 및 체결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조립플랜지(100)는
    상기 강관(100) 하부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210), 상기 제1플랜지(210)가 삽입되게 다른 상기 강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220), 상기 제1플랜지(210)와 상기 제2플랜지(220)에 각각 돌출 형성된 돌출삽입체(230)를 가압 고정하여 다수의 상기 강관(100)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결수단(300) 및 상기 제1플랜지(210)와 상기 제2플랜지(220) 사이에 구비되어 다수의 상기 강관(100)이 서로 연결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체(240)를 포함하며,
    상기 전신주(10)를 형성한 이후에 상기 전신주(1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강관(10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플랜지(210)는 낙뢰를 받아들여 지면에 접지시키는 피뢰침부재(250) 및 상기 제1플랜지(210) 외면에 구비되되 제어부(400)의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피뢰침부재(250)를 직접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피뢰침부재(250) 상단에 가상으로 형성되는 낙뢰감지구역(S-R)의 범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타격부재(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
KR1020200009820A 2020-01-28 2020-01-28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 KR10209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20A KR102091058B1 (ko) 2020-01-28 2020-01-28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20A KR102091058B1 (ko) 2020-01-28 2020-01-28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058B1 true KR102091058B1 (ko) 2020-03-20

Family

ID=6995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820A KR102091058B1 (ko) 2020-01-28 2020-01-28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0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563B1 (ko) * 2020-03-20 2020-08-03 김기동 원거리 송전선로에 구비된 낙뢰방지 기능을 갖는 철탑 고정장치
KR102163275B1 (ko) * 2020-02-24 2020-10-08 김기동 접지가 용이한 송전케이블이 구비된 철탑의 낙뢰방지장치
KR102163435B1 (ko) * 2020-03-31 2020-10-08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전기회선통신망을 활용한 공동주택의 관리시스템
KR102163839B1 (ko) * 2020-04-02 2020-10-12 (주)부흥이앤씨 기상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KR102163840B1 (ko) * 2020-04-01 2020-10-12 (주)부흥이앤씨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관리시스템
KR102190195B1 (ko) * 2020-01-23 2020-12-11 (주)극동아이피엘씨 가공 배전선로의 낙뢰방지 시스템
KR102553328B1 (ko) * 2023-01-26 2023-07-10 주식회사 보문기술감리단 전주 탈착형 기능성 향상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553326B1 (ko) * 2023-01-26 2023-07-10 주식회사 보문기술감리단 낙뢰회피 기능 탑재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884B1 (ko) * 2006-12-28 2007-04-13 노상도 전신주의 낙뢰처리구조
KR20090093356A (ko)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신우폴리텍 이중 관 구조의 온수배관
KR20090104322A (ko) 2008-03-31 2009-10-06 이남훈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KR102017847B1 (ko) 2019-02-08 2019-09-03 (주)한빛기술단 배전선로의 전신주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884B1 (ko) * 2006-12-28 2007-04-13 노상도 전신주의 낙뢰처리구조
KR20090093356A (ko)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신우폴리텍 이중 관 구조의 온수배관
KR20090104322A (ko) 2008-03-31 2009-10-06 이남훈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KR102017847B1 (ko) 2019-02-08 2019-09-03 (주)한빛기술단 배전선로의 전신주 연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195B1 (ko) * 2020-01-23 2020-12-11 (주)극동아이피엘씨 가공 배전선로의 낙뢰방지 시스템
KR102163275B1 (ko) * 2020-02-24 2020-10-08 김기동 접지가 용이한 송전케이블이 구비된 철탑의 낙뢰방지장치
KR102140563B1 (ko) * 2020-03-20 2020-08-03 김기동 원거리 송전선로에 구비된 낙뢰방지 기능을 갖는 철탑 고정장치
KR102163435B1 (ko) * 2020-03-31 2020-10-08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전기회선통신망을 활용한 공동주택의 관리시스템
KR102163840B1 (ko) * 2020-04-01 2020-10-12 (주)부흥이앤씨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관리시스템
KR102163839B1 (ko) * 2020-04-02 2020-10-12 (주)부흥이앤씨 기상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KR102553328B1 (ko) * 2023-01-26 2023-07-10 주식회사 보문기술감리단 전주 탈착형 기능성 향상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553326B1 (ko) * 2023-01-26 2023-07-10 주식회사 보문기술감리단 낙뢰회피 기능 탑재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058B1 (ko) 배전선로용 전신주 연결장치
JP4901873B2 (ja) 深打用接地棒の設置構造
KR101496979B1 (ko) 쌍극자 피뢰장치
JP2008010241A (ja) 避雷装置
CN207320351U (zh) 一种电力线路接地装置
KR10219019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낙뢰방지 시스템
KR102103203B1 (ko) 낙뢰의 접지가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의 설치방법
CN103311811A (zh) 无晕避雷针
KR101543014B1 (ko) 송배전선로의 역섬락 방지장치
CN205901071U (zh) 一种变能限流型避雷针
CN206849757U (zh) 一种zw32真空断路器隔板装置
KR102134116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조립형 전신주
KR102140563B1 (ko) 원거리 송전선로에 구비된 낙뢰방지 기능을 갖는 철탑 고정장치
CN209805383U (zh) 10kv架空线路施工的防雷装置
CN105514805A (zh) 避雷针及其接闪系统
KR100532069B1 (ko) 낙뢰접지봉
CN202363862U (zh) 用于高压、超高压交联电缆中间接头的保护盒
KR101085173B1 (ko) 피뢰도선 지지구
CN214314556U (zh) 一种轨道衡防雷装置
KR102667565B1 (ko) 변압기가 설치된 전신주의 안전 장치
CN213460472U (zh) 一种钛制铁塔避雷针
CN205539166U (zh) 备用接地网及地埋尖端放电装置
CN210404683U (zh) 一种新建建筑或构筑物防雷检测系统
CN206673319U (zh) 一种放电式避雷针
KR100664695B1 (ko) 공동주택용 피뢰침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