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272A - 글로우플러그 - Google Patents

글로우플러그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272A
KR20090103272A KR1020080028767A KR20080028767A KR20090103272A KR 20090103272 A KR20090103272 A KR 20090103272A KR 1020080028767 A KR1020080028767 A KR 1020080028767A KR 20080028767 A KR20080028767 A KR 20080028767A KR 20090103272 A KR20090103272 A KR 20090103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housing
shaft
intermediate shaft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호
박종철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테크
Priority to KR102008002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3272A/ko
Publication of KR20090103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27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9/00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 F02P19/02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01Glowing plu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01Glowing plu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3Q2007/004Manufacturing or assembl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로우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젤기관의 연료 착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연소실을 미리 가열하는 글로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전원을 인가받으면 발열되는 발열체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축과; 상기 중축에 끼워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를 향해 상기 중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중축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체결력에 의한 상기 와셔와 상기 중축 간 축방향 밀림을 방지토록 상기 와셔와 상기 중축을 서로 구속시키는 구속부를 포함함으로써, 체결부 체결시 그 체결력에 의한 와셔와 중축 간 축방향 밀림이 방지될 수 있는 글로우플러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글로우플러그{GLOW PLUG}
본 발명은 글로우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젤기관의 연료 착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연소실을 미리 가열하는 글로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글로우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우플러그는 내연기관(100) 등에 설치되는 중공의 하우징(housing)(110)과,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전원을 인가받으면 발열되는 발열체(120)와, 하우징(110)에 삽입되고 발열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축(130)을 포함함으로써, 발열체(130)의 발열 작용에 의해 연소실 등을 가열시킨다.
이러한 글로우플러그는, 하우징(110)과 중축(120)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150)와, 중축(120)에 체결되는 체결부(1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체결부(160)가 중축(120)의 축방향을 따라 와셔(150)를 향해 체결됨으로써 체결부(160)의 체결력(화살표 T)에 의해 중축(120)과 와셔(150) 간 축방향 밀림(slip) 현상이 발생된다. 즉 체결부(160)의 체결력에 의해 와셔(150)가 체결부(160)의 체결방향으로 밀려 내려가거나 중축(120)이 체결부(160)의 체결반대방향으로 밀려나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체결부(160)의 체결 토크 손실이 생겨 체결부(160)의 체결 토크가 약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 때문에 체결부(160)의 체결 토크를 높이게 되면, 과토크로 인해 중축(120)이 파손되거나, 중축(120)과 발열체(130)의 연결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공정에서 체결 토크에 의한 중축과 와셔 간 축방향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글로우플러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전원을 인가받으면 발열되는 발열체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축과; 상기 중축에 끼워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를 향해 상기 중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중축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체결력에 의한 상기 와셔와 상기 중축 간 축방향 밀림을 방지토록 상기 와셔와 상기 중축을 서로 구속시키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를 개시한다.
상기 와셔는 상기 중축에 끼워지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중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축에 끼워져서 상기 중축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중축에 압착되는 클램핑 너트일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절연부와 간섭되도록 상기 중축에 돌출된 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고정부와 간섭되도록 상기 중축에 돌출된 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전원을 인가받으면 발열되는 발열체와; 상기 하우징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축과; 상기 중축에 끼워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를 향해 상기 중축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와 상기 와셔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중축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부와; 상기 너트의 나사 체결력에 의한 상기 와셔와 상기 중축 간 축방향 밀림을 방지토록 상기 와셔와 상기 중축을 서로 구속시키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를 개시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중축과 상기 와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그 나머지 하나와 간섭되는 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우플러그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구속부에 의해 와셔와 중축이 서로 구속됨으로써, 체결부 체결시 그 체결력에 의한 와셔와 중축 간 축방향 밀림이 방지될 수 있어 중축, 와셔 그리고 체결부가 보다 견실하게 조립될 수 있고, 과토크로 인한 중축의 파손 및 중축과 발열체의 연결 해제가 방지될 수 있다.
중축의 외경 치수에 의해 중축에 구속부의 턱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글로우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글로우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과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글로우플러그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하우징 4; 발열체
6; 중축 10; 와셔
12; 절연부 14; 고정부
20; 체결부 30; 구속부
32; 턱 40; 전원인가부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글로우플러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글로우플러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글로우플러그는 하우징(2)과, 하우징(2)에 삽입되어 전원을 인가받으면 발열되는 발열체(4)와, 하우징(2)에 삽입되고 발열체(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축(6)과, 중축(6)에 끼워지고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2)에 삽입되는 와셔(10)와, 와셔(10)를 향해 중축(6)의 축방향을 따라 중축(6)에 체결되는 체결부(20)와, 체결부(20)의 체결력에 의한 와셔(10)와 중축(6) 간 축방향 밀림을 방지토록 와셔(10)와 중축(6)을 서로 구속시키는 구속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글로우플러그는 체결부(20)와 와셔(10) 사이에 위치되도록 중축(6)에 끼워져고 체결부(20)에 의해 조여져서 중축(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셔(10)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와 같이 와셔(10)는 중축(6)에 끼워지고 하우징(2)에 삽입되며 절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절연재질로 형성된 절연부(12)와, 절연부(12)와 체결부(20) 사이에 위치되고 중축(6)에 고정되어 절연부(12)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4)는 중축(6)에 고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형성되든 무방하나, 중축(6)에 끼워져서 중축(6)의 반경방향으로 중축(6)에 압착되는 클램핑 너트(clamping nut)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고정부(14)의 조립 토크가 중축(6)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부(14)의 조립 토크가 고정부(14)와 축방향으로 배열된 와셔(10)에 작용되지 않는다.
체결부(20)는 중축(6)과 용이하게 체결되고 전원인가부(40)를 중축(6)에 견실하게 조일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며, 바람직한 일 예로써 중축(6)과 나사 체결되는 코니컬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구속부(30)는 중축(6)과 와셔(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그 나머지 하나와 간섭되는 턱(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와셔(10)가 중축(6)의 중간에 끼워지는바, 구속부(30)의 턱(32)은 와셔(10)보다는 중축(6)에만 형성되는 것이 보다 간소하게 구현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구속부(30)의 턱(32)은 중축(6)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속부(30)의 턱(32)은 중축(6)의 전 둘레 중 일부 둘레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 예와 같이 구속부(30)의 턱(32)은 중축(6)의 전 둘레에 형성토록 링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속부(30)의 턱(32)이 링 형상을 취하는 경우, 구속부(30)의 턱(32)만 중축(6)에서 돌출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중축(6)의 외경 치수에 의해 구속부(30)의 턱(32)이 형성됨으로써, 구속부(30)의 턱(32)이 링 형상으로 중축(6)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구속부(30)의 턱(32)을 기준으로 중축(6) 중 와셔(10)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경 치수(D1)보다 그 반대쪽 외경 치수(D2)가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구속부(30)의 턱(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와셔(10)는 구속부(30)의 턱(32)에 걸릴 수 있도록 와셔(10)의 내경이 'D2'로 도시된 중축(6)의 외경보다는 작도록 형성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속부(30)의 턱(32)은 본 실시 예와 같이 와셔(10) 중 특히 절연부(12)와 간섭되도록 중축(6)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와 같이 구속부(30)의 턱(32)은 와셔(10) 중 고정부(14)와 간섭되도록 중축(6)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또 다른 예로써 와셔(10)의 절연부(12) 및 고정부(14)와 각각 간섭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구속부(30)는 구속부(30)의 턱(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와셔(10)와 중축(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이나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글로우플러그의 체결부(20)의 조립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축(6)이 하우징(2)에 삽입되고 와셔(10) 및 전원인가부(40)가 조립되고 나면, 체결부(20)가 와셔(10)를 향해 중축(6)의 축방향을 따라 중축(6)에 체결된다. 이때 도 3에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0)의 체결력이 와셔(10)에 작용하는데, 구속부(30)의 턱(32)에 의해 와셔(10)와 중축(6)이 서로 구속됨으로써 도 3에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0)의 체결력에 대한 반발력이 형성되어, 이 반발력에 의해 와셔(10)에 작용한 체결부(20)의 체결력이 상쇄된다.
따라서, 체결부(20)의 체결력에 의한 와셔(10)와 중축(6) 간 축방향 밀림이 방지됨으로써, 체결부(20)의 체결 토크를 낮출 수 있고, 아울러 중축(6), 와셔(10), 체결부(20)는 서로 보다 견실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전원을 인가받으면 발열되는 발열체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축과;
    상기 중축에 끼워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를 향해 상기 중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중축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체결력에 의한 상기 와셔와 상기 중축 간 축방향 밀림을 방지토록 상기 와셔와 상기 중축을 서로 구속시키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중축에 끼워지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중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중축에 끼워져서 상기 중축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중축에 압착되는 클램핑 너트인 글로우플러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절연부와 간섭되도록 상기 중축에 돌출된 턱을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고정부와 간섭되도록 상기 중축에 돌출된 턱을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
  6.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전원을 인가받으면 발열되는 발열체와;
    상기 하우징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축과;
    상기 중축에 끼워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를 향해 상기 중축에 나사 체결되는 코니컬 너트와;
    상기 코니컬 너트와 상기 와셔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중축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부와;
    상기 코니컬 너트의 나사 체결력에 의한 상기 와셔와 상기 중축 간 축방향 밀림을 방지토록 상기 와셔와 상기 중축을 서로 구속시키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중축과 상기 와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그 나머지 하나와 간섭되는 턱을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
KR1020080028767A 2008-03-28 2008-03-28 글로우플러그 KR20090103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767A KR20090103272A (ko) 2008-03-28 2008-03-28 글로우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767A KR20090103272A (ko) 2008-03-28 2008-03-28 글로우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272A true KR20090103272A (ko) 2009-10-01

Family

ID=4153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767A KR20090103272A (ko) 2008-03-28 2008-03-28 글로우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32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883B1 (ko) * 2011-02-25 2013-02-27 주식회사 유라테크 클램핑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883B1 (ko) * 2011-02-25 2013-02-27 주식회사 유라테크 클램핑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8368B2 (ja) 混合気の点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エンジンおよびそのシリンダヘッドへの組立方法
US6655334B2 (en) Ignition apparatus for us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2512980A5 (ko)
KR102045164B1 (ko) 차량 전원 시스템과 배터리 핀 간에 전기 연결을 위한 전기 접촉장치와 배터리 핀
RU2014142092A (ru) Защищенный от проворота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прежде всег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 обогреваемого сотового тела
JP2015510090A (ja) 排気ガスターボチャージャ
JP2013234651A (ja) 自動車用内燃機関のための点火装置
US20100007257A1 (en) Spark Plug
KR20090103272A (ko) 글로우플러그
US8373337B2 (en) Spark plug having a reduced physical volume
KR101115006B1 (ko) 글로우플러그
KR100783003B1 (ko) 디젤 엔진용 글로우 플러그
KR102031139B1 (ko) 배기가스 터보차저
JP3841680B2 (ja) 内燃機関
KR101237883B1 (ko) 클램핑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글로우플러그
CA2945273A1 (en) Plug connector, rubber member, and ring member
KR100534682B1 (ko) 점화 플러그
JP6450821B1 (ja) スパークプラグ、およびスパークプラグの製造方法
JP2011527491A (ja) 取付けスペースに最適化された点火プラグ
JP2006308252A (ja) 燃焼圧検知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5896Y2 (ko)
RU2002132951A (ru) Легкосъемное крепежное соединение с радиальным натягом
FI127732B (en) Otto gas engine
JP2017117733A (ja) 点火プラグ
JP2006308245A (ja) 燃焼圧検知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