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430A - 전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 - Google Patents

전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430A
KR20090102430A KR1020080027876A KR20080027876A KR20090102430A KR 20090102430 A KR20090102430 A KR 20090102430A KR 1020080027876 A KR1020080027876 A KR 1020080027876A KR 20080027876 A KR20080027876 A KR 20080027876A KR 20090102430 A KR20090102430 A KR 20090102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ircuit unit
unit
power
digit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2430A/ko
Publication of KR2009010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4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6Power supplies; Circuitry or arrangement to switch on the power source; Circuitry to check the power source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6Means for providing current step on switching, e.g. with saturable rea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멈추는 등의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전원 회로부와 방전 회로부를 연결한 후 다시 입력 전원을 전원 회로부에 공급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여, 용이하게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Power supply and digit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모바일 기기 등의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중에 여러 요인으로 시스템이 멈추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종래에는 1차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리셋 처리하거나, 2차적으로 배터리를 빼낸 후 다시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강제적으로 리셋 동작을 실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1차적인 방법은 시스템이 정지하는데 다양한 요인이 있는바, 이들 모두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법이 되지 못하며, 2차적인 방법은 배터리를 빼내고 다시 장착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적인 경우, 효과적으로 리셋시킬 수 있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입력 전원을 조절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전원을 디지털 기기에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와, 상기 전원 회로부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는 방전 회로부와,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일 때, 상기 전원 회로부와 상기 방전 회로부를 연결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는 상기 전원 회로부에 상기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정상일 때 상기 입력 전원부와 상기 전원 회로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전원 회로부를 플로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입력 전원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방전 회로부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은 플로팅하는 제3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입력 전원부와 상기 방전 회로부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방전 회로부와 상기 전원 회로부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스위칭 소자는 상기 디지털 기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 바람직하게는 소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전원 입력부, 상기 방전 회로부 및 상기 입력 전원부 어느 것에도 연결하지 않고 일 단을 플로팅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상기 전원 회로부와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전원을 조절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회로부와, 상기 전원 회로부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는 방전 회로부와,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일 때 상기 전원 회로부와 상기 방전 회로부를 연결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하는 전원부, 및 상기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입력 전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입력 전원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방전 회로부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와,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은 플로팅하는 제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3 스위칭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멈추는 등의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배터리를 빼내거나 별도의 소프트웨어 처리 없이, 전원 회로부와 방전 회로부를 연결한 후 다시 입력 전원을 전원 회로부에 공급하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함으로써, 용이하게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기기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기기에 장착되는 전원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기기에 장착되는 전원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기기의 일 실시 예인 디지털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기기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MP, PDA, 셀룰러 폰 등이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는 광학부(10), 셔터(11), 모터 구동부(12), 촬상 소자(13)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가 입력되어 촬상 소자(13)로 제공한다. 광학부(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10)에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11)는 광학부(10)의 위치를 조절하여 광학 신호가 촬상 소자(13)에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11)는 광학부(10)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셔터(11)는 AF 셔터로서 렌즈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셔터(11)는 모터 구동부(12)에 의해 제어되며, 구체적으로 모터 구동부(12)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셔터(11)로 출력하여 제어된다.
상기 광학부(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3)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3)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작부(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3)를 빛에 노출하는 셔터(11)를 제어하는 셔터 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조작부(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30),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아울러, 디지털 카메라는 통신부(6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60)는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되어 이미지 파일 또는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60)는 USB 단자, 케이블 단자 등일 수 있으며, 또는 RFID,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71), 표시 제어부(71)로부터 입력되어 표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73)와 주사 구동부(72), 데이터 구동부(73)와 주사 구동부(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74)를 포함한다. 표시부(74)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D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와 같이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74) 외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코덱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81),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81)로부터 제공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헤드폰(82), 스피커(83) 및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81)로 전송하는 마이크(8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촬상 소자(13)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DSP(9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촬상 소자(13)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181)는 그 기능이 설정된 경우 오토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러를 이용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며, 압축하여 소정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반대로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DSP(90)는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각 구성부들이 작동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부(100)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전원 회로부와, 회로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는 방전 회로와,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전원부(100)에 따르면, 입력 전압(Vin)을 제어 회로부(110)를 통해 전원 회로부(1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전원 회로부(130)는 해당 구성부에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원의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에는 제어 회로부(110)를 통해 입력 전원이 전원 회로부(130)에 전달되고, 상기 전원 회로부(130)에서 안정적인 전압(Vout)을 출력하여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만약,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을 재실행하더라도 상기 전원 회로부(130)에 축적된 전하들로 인해 시스템 부팅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 회로부(110)에 의해 전원 회로부(130)와 방전 회로부(120)를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 회로부(130)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 회로부(120)를 통해 방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소정 시간 방전 동작이 수행된 후, 상기 제어 회로부(110)는 방전 회로부(120)와 전원 회로부(130)의 연결을 끊고, 다시 입력 전압(Vin)을 전원 회로부(130)에 전달되도록 연결한다. 따라서, 시스템을 용이하게 재부팅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압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원부(100)의 일 실시 예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부(100)는 제어 회로부(110)와 방전 회로부(120)와 전원 회로부(130)를 구비한다. 또한, 전원부(100)는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10)는 적어도 2개의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111)는 그 일 단자에 입력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111)가 턴 온 되었을 때, 상기 입력 전원을 전원 회로부(130)에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111)의 타 단자는 전원 회로부(130)에 연결된다.
제2 스위칭 소자(112)는 턴 온(Turn on)되었을 때, 방전 회로부(120)와 전원 회로부(130)를 연결한다. 즉, 제2 스위칭 소자(112)의 일 단은 방전 회로부(120)에 연결되고, 타 단은 전원 회로부(130)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스위칭 소자(111)와 제2 스위칭 소자(112)는 동시에 전원 회로부(130)와 연결될 수 없으며, 둘 중 어느 하나가 전원 회로부(130)에 연결되면 다른 하나는 턴 오프(Turn off)된다.
상기 제1 스위칭 소자(111)가 턴 온되고, 제2 스위칭 소자(112)가 턴 오프되면 전원 회로부(130)는 입력된 전원을 변환하여 출력 전원을 각 구성부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111)가 턴 오프되고, 제2 스위칭 소자(112)가 턴 온되면 전원 회로부(130)에 축적된 전하들을 방전 회로부(120)를 통해 방전될 수 있다. 방전 회로부(120)는 저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 소자(111)와 제2 스위칭 소자(112)는 사용자 등의 입력에 의해 턴 온/턴 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눌러 디지털 기기의 전원을 키면 제1 스위칭 소자(111)가 턴 온되어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가 디지털 기기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 제2 스위칭 소자(112)가 턴 온되어 전원 회로부(130)를 방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예를 들어 시스템 동작이 정지한 경우 리셋 버튼을 눌러 재부팅할 수 있다.
또는 제1 스위칭 소자(111)와 제2 스위칭 소자(112)는 자동으로 턴 온/턴 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제1 스위칭 소자(111)가 턴 온되어 입력 전원이 전원 회로부(130)에 공급되고,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제1 스위칭 소자(111)가 턴 오프되고, 제2 스위칭 소자(112)가 턴 온되어 전원 회로부(130)에 축적된 전하가 방전 회로부(120)를 통해 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부(110)는 제3 스위칭 소자(11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3 스위칭 소자(113)는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전원 공급부를 전원 회로부(130)에 연결하지 않고 플로팅되도록 한다. 제3 스위칭 소자(113)도 사용자 등의 외부 입력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동작 정지 시간을 감지하여 소정 시간 이상이면 자동으로 턴 온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소자들(111, 112, 113)은 접합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MOSFET 등 다양한 소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 회로부(130)는 촬상 소자, 셔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스터 컨버터, 버퍼 저장부, DSP에 전원을 공급하는 벅 컨버터, 등의 DC/DC 컨버터, 또는 제너 다이오드, 레귤레이터, 등의 정전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에서 상기 제어 회로부(110)를 조작부를 통해 제어함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한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의 전면에 광학부(10), 구체적으로 렌즈가 구비된다. 그리고 측면에 전원 온 버튼(21), 리셋 버튼(22), 및 전원 오프 버튼(23)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에 셔터 릴리즈 버튼(24)이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원 온 버튼(21)을 누르면 도 3에 도시된 제1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며, 리셋 버튼(22)을 누르면 제2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고, 전원 오프 버튼(23)을 누르면 구성부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제3 스위칭 소자가 턴 온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제3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리셋 버튼(22)을 누르면 제2 스위칭 소자를 턴 온하여 전원 회로부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제1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입력 전원을 조절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전원을 디지털 기기에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
    상기 전원 회로부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는 방전 회로부;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일 때, 상기 전원 회로부와 상기 방전 회로부를 연결하는 제어 회로부; 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회로부에 상기 입력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정상일 때, 상기 입력 전원부와 상기 전원 회로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전원 회로부를 플로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입력 전원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방전 회로부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은 플로팅하는 제3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상기 전원 회로부와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의 전원 장치.
  8. 입력 전원을 조절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회로부와, 상기 전원 회로부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는 방전 회로부와, 상기 디지털 기기의 시스템이 비정상일 때 상기 전원 회로부와 상기 방전 회로부를 연결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하는 전원부; 및
    상기 출력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입력 전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입력 전원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방전 회로부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일 단이 상기 전원 회로부와 연결되고 타 단은 플로팅하는 제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3 스위칭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
KR1020080027876A 2008-03-26 2008-03-26 전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 KR20090102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876A KR20090102430A (ko) 2008-03-26 2008-03-26 전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876A KR20090102430A (ko) 2008-03-26 2008-03-26 전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30A true KR20090102430A (ko) 2009-09-30

Family

ID=4135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876A KR20090102430A (ko) 2008-03-26 2008-03-26 전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24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3135B2 (ja) 電子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US7595835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an alien substance removing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78083A (ko) 카메라 구동 방법 및 장치
JP2013240267A (ja) 電源切換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50200335A1 (en) Apparatus
US11513309B2 (en) Lens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accessory
US944500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US1153342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 priority category for objection detection
KR101964380B1 (ko) 외부 장치의 종류를 인식하는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외부 장치
US20090185063A1 (en) Imaging apparatus
KR20090102430A (ko) 전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기기
US11405550B2 (en) Imaging device with battery prioritization
US20110064398A1 (en) Imaging apparatus
KR10143632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JP2017045086A (ja)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KR101624233B1 (ko) 카메라 모듈
KR101082049B1 (ko) 카메라 모듈
KR101086406B1 (ko) 간략화된 전원 입력 시퀀스를 수행하는 카메라
KR101416234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255206B1 (ko) 스트로보 충전 제어회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JP7345109B2 (ja) 撮像装置
JP5879509B2 (ja) 撮像装置
JP2019009571A (ja) ログ装置
JP2015075589A (ja)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JP202108304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