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169A -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 Google Patents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169A
KR20090102169A KR1020080027452A KR20080027452A KR20090102169A KR 20090102169 A KR20090102169 A KR 20090102169A KR 1020080027452 A KR1020080027452 A KR 1020080027452A KR 20080027452 A KR20080027452 A KR 20080027452A KR 20090102169 A KR20090102169 A KR 20090102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d
power
lighting device
led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569B1 (ko
Inventor
심현섭
Original Assignee
심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현섭 filed Critical 심현섭
Priority to KR102008002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569B1/ko
Priority to JP2010548616A priority patent/JP2011513913A/ja
Priority to US12/919,391 priority patent/US20110006688A1/en
Priority to EP09713870A priority patent/EP2257128A4/en
Priority to PCT/KR2009/000930 priority patent/WO2009107991A2/ko
Publication of KR2009010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1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using a combination of separate elements interconnected by heat-conducting means, e.g. with heat pipes or thermally conductive bars between separate heat-sink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6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 F21V29/76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the planes containing the fins or blades having the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axi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하여 형광등이나 할로겐 등과 같은 조명등을 구성할 때, SMPS 등의 전용회로구성을 통하지 않고도 간소화된 정류회로와 LED 소자의 개수 조절에 의해 교류로 구동하는 엘이디 조명을 구현하고, 이 LED 조명이 실내, 외부의 밝기, 소음도 등에 따라 조명의 밝기가 자동 또는 수동방식에 의해 조절되도록 하여 적은 전력으로 장치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에너지 절약에 기여함과 동시에, 제작비용의 감소 및 제품 크기를 보다 소형화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하며, 과전압/과전류에 대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구동되도록 한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구성이 설치되는 베이스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다수의 LED 소자가 등기구의 형태로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의 LED 소자가 배치된 지점에 투과체가 결합되어 LED 소자에서 방출된 빛이 투과체를 투과하여 확산되는 발광몸체부와; 상기 발광몸체부의 베이스에 설치되며, 각각의 LED 소자와 전기,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LED 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구성부와; 상기 발광몸체부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설치되어 외부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회로구성부로 입력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LED lighting device using an interchange rural district}
본 발명은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하여 형광등이나 할로겐 등과 같은 조명등을 구성할 때, SMPS 등의 전용회로구성을 통하지 않고도 간소화된 정류회로와 LED 소자의 개수 조절에 의해 교류로 구동하는 엘이디 조명을 구현하고, 이 LED 조명이 실내, 외부의 밝기, 소음도 등에 따라 조명의 밝기가 자동 또는 수동방식에 의해 조절되도록 하여 적은 전력으로 장치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에너지 절약에 기여함과 동시에, 제작비용의 감소 및 제품 크기를 보다 소형화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하며, 과전압/과전류에 대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구동되도록 한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조명은 대표적으로 형광등 또는 할로겐 등이 천장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구현된다. 이와 같은, 형광등 또는 할로겐 등은 실내 등으로 보편적인 것에 반하여 소비전력이 크고, 주로 단색의 조명만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높은 소비전력 및 조명의 단조로움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형광등 또는 할로겐 등에 비해 낮은 소비전력으로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LED 조명등이 제작되어 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LED 조명등 장치는 방이나 사무실의 메인등, 탁상용 스텐드 등으로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더 발전된 형태로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타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명등 장치는 다수의 LED가 실장된 LED 모듈을 특정의 배열로 여러개 배치하고, 상기 LED 모듈을 공간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LED 모듈은 LED 소자가 적정 전압의 직류전류에 의해 구동하는 특성에 의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A/D 컨버터를 수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A/D 컨버터는 교류를 강압하기 위한 트랜스 코일을 갖는 변압기 회로를 수반하게 되며, 이러한 변압기 회로는 LED 모듈에서 상당한 크기로 배치되기 때문에 이를 적용한 제품이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LED가 채용되는 소형의 장치에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라 호칭되는 전원공급장치가 적용된다. 이와 같은 SMPS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직류전원의 높은 주파수로 변경하도록 하여 기존의 변압기 등에 비해 소형화/경량화된 컨버팅 회로를 구현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SMPS는 기존의 변압기 회로 등에 비해 소형화/경량화된 컨버팅 회로를 구현할 수 있는 반면, 대체로 220V의 교류전원을 12~24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킴에 따른 상당히 많은 전류용량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높은 전류용량의 SMPS는 상당시간 조명을 구동시켜야 하는 실내 조명등의 특성에 의해 심각한 높은 에너지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상기 높은 전류용량의 SMPS는 상당히 고가의 제품으로 단순히 조명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LED 모듈에 적용하기에는 LED 모듈의 제작비용을 대폭 상승시켜 조명 용도에는 그 적용이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상기 SMPS 모듈은 상당히 소형화, 경량화되었다고는 하나, 대체로 SMPS 모듈에 비해 더 소형화 제작되는 LED 모듈에 비해서는 상당히 큰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LED 모듈의 소형화/경량화에 한계를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SMPS가 적용된 LED 모듈을 채용하는 LED 조명등 장치 역시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LED 조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원의 입력이 보다 간소화된 회로에 의해 교류/직류를 컨버팅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실내, 외부의 밝기 또는 소음도 등에 따라 조명의 밝기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의 낭비요인을 최소화하며, 구성의 간소화에 따른 제작비용의 감소와 동시에 구성을 보다 소형화/경량화 할 수 있도록 하고, 과전압/과전류에 대한 회로상의 부하를 안정적으로 차단 및 조절할 수 있도록 한 LED 조명등 장치를 구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이 적용되어 건축물의 실내등으로 적용되기에 최적화되므로써, 일반 형광등 또는 할로겐 등의 소켓에 결합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한 LED 조명등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각 구성이 설치되는 베이스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다수의 LED 소자가 등기구의 형태로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의 LED 소자가 배치된 지점에 투과체가 결합되어 LED 소자에서 방출된 빛이 투과체를 투과하여 확산되는 발광몸체부와; 상기 발광몸체부의 베이스에 설치되며, 각각의 LED 소자와 전기,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LED 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구성부와; 상기 발광몸체부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설치되어 외부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회로구성부로 입력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로구성부는 장치의 구동원이 되는 교류전원을 외부에서 입력받는 전원부와; 상기 입력된 전원을 브릿지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을 공급받아 LED 소자를 구동하며, 입력된 전원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LED 소자와 저항이 직렬연결되어 목적하는 전압에 의해 LED 소자가 구동되도록 한 LED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회로구성부는 PWM 제어를 통해 전류의 입력량을 제어하여 LED 소자의 구동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디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밍부는 실내, 외부의 밝기나 소음도 등의 주변 환경요인에 따라 조명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는, 상기 디밍부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동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로구성부는 브릿지 정류회로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과, 브릿지 정류회로를 통과한 직류전압을 모니터링하여 LED 소자가 구동될 전류공급을 제한하는 입력전압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로구성부는 LED 소자에 분로저항을 연결하고, 이 분로저항에서 검출된 전압값을 증폭하여 LED 소자에 인가되는 과전류를 제어하는 출력전류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가 투과체가 결합된 측부에 LED 소자 및 회로구성부가 설치되는 PCB가 결합되고, 투과체가 결합된 면의 이면에 방열부가 형성되어 LED 소자 및 회로구성부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부를 통해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베이스는 LED 소자 및 회로구성부에서 발생된 열이 PCB를 통해 방열부로 전달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PCB와 방열부의 간격사이에 열전도 수지를 충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PCB가 내측에 결합되기 위해 양측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분리된 베이스는 PCB의 양측에 결합된 후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화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브릿지 정류회로와 연동하는 적정개수의 LED 소자가 배치된 간소화된 구성에 의해 입력전원이 교류에서 직류로 컨버팅될 수 있게 되고, 디밍부에 의해 실내, 외부의 밝기 또는 소음도 등에 대응하여 LED 조명의 밝기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되어, LED 조명등을 구동함에 따른 소비전력의 감소에 의해 에너지 낭비요인을 해결하여 경제적인 LED 조명등 장치가 구현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상기 간소화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제작비용의 감소 및 제품의 크기가 소형화되므로써 제품의 판매원가 절감에 따른 판매효율 촉진 및 소형화된 크기에 따른 제품의 적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과전압/과전류에 대한 회로상의 부하를 차단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LED 조명등의 안전하고 안정적인 사용 및 이에 따른 사용자의 제품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 조명등이 일반 형광등 또는 할로겐 등의 소켓에 결합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조명등 소켓의 교체 없이도 실내, 외의 조명으로 적용되므로써, LED 조명등을 보다 경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의 단자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 중 회로구성부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 중 디밍부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 중 입력전압 제어부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 중 출력전류 제어부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상기 구성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의 단자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는 발광몸체부(10), 회로구성부(20), 단자부(3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 발광몸체부(10)는 베이스(11)와, 투과체(12)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베이스(11)는 회로구성부(2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과체(12)는 회로구성부(20)의 PCB(S)에 같이 실장된 다수의 LED 소자(L)에서 방출된 빛이 투과되며 확산되어 조명을 구현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발광몸체부(10)는 베이스(10)의 적어도 어느 일면(도면 상 하면)에 다수의 LED 소자(L)가 등기구의 형태로 배치되어 결합된다. 이 때, 등기구의 형태로 도면에서는 형광등기구의 형태를 제시한 것으로, 다수의 LED 소자(L)가 길이방향을 갖는 PCB(S)에 일렬로 배열되어 실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베이스(10)는 길이방향을 갖는 빔(beam)형태의 구성이다. 이 베이스(10)는 상기 PCB(S)가 결합된 면, 즉, 후술할 투과체(12)가 결합된 면의 이면에 LED 소자(L) 및 회로구성부(20)의 전자, 전기소자에서 방출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부(13)가 형성된다. 특히, 이와 같은 방열부(1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10)는 방열효율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방열부(13)는 방열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방열핀이 돌출형성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LED 소자(L) 및 회로구성부(20)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넓은 면적을 통해 방열부(13)로 전달하기 위해 PCB(S)와 방열부(13)의 간격사이에 열전도 수지(14)를 충진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열전도 수지는 열전도율이 높은 에폭시, 실리콘 등이 충진되며, 이와 같은 수지는 베이스(10)의 외면에서 전달되는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도 병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PCB(S)가 내측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양측으로 분리된 구성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PCB(S)는 베이스(10)의 내측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부재(15)를 베이스(10)에 체결하여 일체화된 베이스(10) 구성이 구현된다.
상기 투과체(12)는 PC, PMMA, ABS, PS 등의 아크릴 또는 기타 광투과가 가능한 수지와 광확산제를 혼합하여 LED 소자(L)에서 방출된 빛이 투과되며 확산되어 보다 넓은 구간에 걸쳐 조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상기 투과체(12)는 도면에서 흡사 형광등 또는 할로겐 램프와 같이 둥근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10)의 양측면에 양단이 지지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투과체(12)는 LED 소자(L)의 외부에 감싸지도록 배치되어 LED 소자(L)의 빛이 전체 구간에 걸쳐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구성부(20)는 발광몸체부(10)의 베이스(10)에 결합된 PCB(S) 상에 여러 전기, 전자소자가 실장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회로구성부(20)는 각각의 LED 소자(L)와 전기,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LED 소자(L)를 발광시키기 위한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단자부(30)는 발광몸체부(10)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설치된 전원입력 구성이다. 이와 같은 단자부(30)는 도면상 발광몸체부(10)가 형광등의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발광몸체부(10)의 양단부에 설치된 흡사 형광등 단자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단자부(30)는 일반적으로 설치된 건축물의 형광등 또는 할로겐 램프 등의 소켓에 별도의 공사나 소켓 변형 없이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 장치를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의 회로구성부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 중 회로구성부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 중 디밍부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 중 입력전압 제어부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등 장치 중 출력전류 제어부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구성부(20)는 전원부(40), 정류부(50), LED 구동부(6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전원부(40)는 장치의 구동원이 되는 교류전원을 외부에서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외부의 교류전원은 본 실시예에서 한국표준으로 사용되는 220V의 전원이며 이에 따라 후술할 LED 구동부(60)의 LED 소자(L) 개수가 지정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전원부(40)는 특정한 상황시 외부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퓨즈(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한 상황은 합선 등의 불의의 요인에 의해 외부에서 정격을 초과하는 과도한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상황등을 의미한다.
상기 정류부(50)는 입력된 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 회로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다이오드 회로는 브릿지 정류회로(51)가 적용된다.
상기 LED 구동부(60)는 전술한 220V의 전원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LED 소자(L)와 저항(61)이 직렬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LED 구동부(60)는 정류부(50)에서 정류된 전원을 공급받아 LED 소자(L)를 목적하는 전압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의 교류 전압이 220V로 입력되고 LED 소자(L)의 구동전압이 3.2V일 때, 상기 LED 소자(L)는 60개를 배치하여 192V의 전압이 LED 소자(L)에 나누어져 인가되도록 하고, 나머지 8V의 전압이 저항에 걸리도록 하면 안정적인 회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LED 구동부(60)를 더 증설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LED 소자(L)와 저항(61)의 직렬연결된 구성을 1조로 하여 다수조가 병렬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회로구성부(20)는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디밍부(70), 입력전압 제어부(80), 출력전류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밍부(70)는 PWM(펄스폭 변조) 제어를 통해 전류의 입력량을 제어하여 LED 소자(L)의 구동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디밍부(70)는 적외선 인터페이스 회로를 회로구성부(20)에 연결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밍부(70)는 도 4에서와 같이 센서부(71)를 갖추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센서부(71)는 실내, 외부의 밝기나 소음도 등의 주변 환경요인에 따라 조명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광량센서 또는 음량센서 등이 적용된다.
즉, 상기 센서부(71)는 건축물의 외부에 광량센서를 설치하여 주간 또는 실외의 태양광이 조사될 경우에는 조명이 소등되도록 하고, 야간 또는 실외의 태양광이 조사되지 않을 경우에는 조명이 점등되도록 하여 전력의 낭비요인을 해소하게 된다. 또는 건축물 내부에 사람의 출입에 의한 음량, 즉 소음도를 측정하여 조명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밍부(70)는 PWM 제어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7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전압 제어부(80)는 브릿지 정류회로(51)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과, 브릿지 정류회로(51)를 통과한 직류전압을 모니터링하여 LED 소자(L)가 구동될 전류공급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입력전압 제어부(80)는 예로써, 입력전압이 불안정하여 220V 보다 많은 전압이 입력될 경우, LED 소자(L)의 허용 전류보다 더 많은 전류가 인가될 수 있을 가능성 때문에 입력전압과 LED 소자(L)의 구동전류를 모니터링하여 PWM 제어를 통해 LED 소자(L)의 구동전류를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입력전압의 확인은 브릿지 정류회로(51)를 통해 입력된 전압은 비례적으로 강하되는 전압을 확인하여 A/D 컨버팅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출력전류 제어부(90)는 LED 소자(L)에 분로저항(91)을 연결하고, 이 분로저항(91)에서 검출된 전압값을 증폭하여 LED 소자(L)에 인가되는 과전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출력전류 제어부(90)는 분로저항(91)을 통해 검출된 미세 전압의 값을 증폭하여 측정한 후, 측정된 값을 판단하여 LED 소자(L)에 과전류가 인가될 경우 LED 소자(L)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실내공간의 조명으로 적용되어 실내, 외부의 밝기 또는 소음도 등에 의해 조명의 점등과 소등을 수행하거나, 실외의 가로등과 같은 각종 조명등으로 구현되어 주야간의 변화에 따라 점등과 소등이 수행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각 구성이 설치되는 베이스(10)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다수의 LED 소자(L)가 등기구의 형태로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10)의 LED 소자(L)가 배치된 지점에 투과체(12)가 결합되어 LED 소자(L)에서 방출된 빛이 투과체(12)를 투과하여 확산되는 발광몸체부(10)와;
    상기 발광몸체부(10)의 베이스(10)에 설치되며, 각각의 LED 소자(L)와 전기,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LED 소자(L)를 발광시키기 위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구성부(20)와;
    상기 발광몸체부(10)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설치되어 외부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회로구성부(20)로 입력하는 단자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LED 조명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구성부(20)는
    장치의 구동원이 되는 교류전원을 외부에서 입력받는 전원부(40)와;
    상기 입력된 전원을 브릿지 정류회로(51)에 의해 정류하는 정류부(50)와;
    상기 정류부(50)에서 정류된 전원을 공급받아 LED 소자(L)를 구동하며, 입력된 전원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LED 소자(L)와 저항(61)이 직렬연결되어 목적하는 전압에 의해 LED 소자(L)가 구동되도록 한 LED 구동부(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LED 조명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구성부(20)는
    PWM 제어를 통해 전류의 입력량을 제어하여 LED 소자(L)의 구동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디밍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LED 조명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부(70)는
    실내, 외부의 밝기나 소음도 등의 주변 환경요인에 따라 조명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부(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LED 조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부(70)는
    리모트 컨트롤러(72)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동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LED 조명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구성부(20)는
    브릿지 정류회로(51)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과, 브릿지 정류회로(51)를 통과한 직류전압을 모니터링하여 LED 소자(L)가 구동될 전류공급을 제한하는 입력전압 제어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LED 조명등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구성부(20)는
    LED 소자(L)에 분로저항(91)을 연결하고, 이 분로저항(91)에서 검출된 전압값을 증폭하여 LED 소자(L)에 인가되는 과전류를 제어하는 출력전류 제어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LED 조명등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투과체(12)가 결합된 측부에 LED 소자(L) 및 회로구성부(20)가 설치되는 PCB(S)가 결합되고, 투과체(12)가 결합된 면의 이면에 방열부(13)가 형성되어 LED 소자(L) 및 회로구성부(20)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부(13)를 통해 방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LED 조명등 장치.
  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LED 소자(L) 및 회로구성부(20)에서 발생된 열이 PCB(S)를 통해 방열부(13)로 전달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PCB(S)와 방열부(13)의 간격사이에 열전도 수지(14)를 충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LED 조명등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PCB(S)가 내측에 결합되기 위해 양측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분리된 베이스(10)는 PCB(S)의 양측에 결합된 후 체결부재(15)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LED 조명등 장치.
KR1020080027452A 2008-02-26 2008-03-25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10096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52A KR100967569B1 (ko) 2008-03-25 2008-03-25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JP2010548616A JP2011513913A (ja) 2008-02-26 2009-02-26 Led照明燈装置
US12/919,391 US20110006688A1 (en) 2008-02-26 2009-02-26 Led lamp device
EP09713870A EP2257128A4 (en) 2008-02-26 2009-02-26 LED LAMP DEVICE
PCT/KR2009/000930 WO2009107991A2 (ko) 2008-02-26 2009-02-26 엘이디 조명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52A KR100967569B1 (ko) 2008-03-25 2008-03-25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69A true KR20090102169A (ko) 2009-09-30
KR100967569B1 KR100967569B1 (ko) 2010-07-05

Family

ID=4135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452A KR100967569B1 (ko) 2008-02-26 2008-03-25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56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171B1 (ko) * 2009-09-10 2011-0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류 제한 기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용 구동 장치
KR200461094Y1 (ko) * 2010-11-02 2012-06-21 전성용 발광소자의 조명시스템
WO2015065108A1 (ko) * 2013-11-01 2015-05-07 황효수 스마트 led 조명장치
KR20190090225A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아모센스 조명 장치
US11085608B2 (en) 2018-01-10 2021-08-10 Amosense Co., Ltd Lighting device
KR20220102404A (ko) * 2021-01-13 2022-07-20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램프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712A (ko) * 2011-09-17 2013-03-27 이상범 엘이디 절전 조명등.
KR101344447B1 (ko) * 2013-06-07 2013-12-23 새빛테크 주식회사 엘이디 구동칩 내장형 엘이디 조명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841A (ko) * 2002-03-27 2003-10-04 주식회사 라이팅콘트롤 조광장치
KR20070097679A (ko) * 2006-03-28 2007-10-05 박동홍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171B1 (ko) * 2009-09-10 2011-0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류 제한 기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용 구동 장치
KR200461094Y1 (ko) * 2010-11-02 2012-06-21 전성용 발광소자의 조명시스템
WO2015065108A1 (ko) * 2013-11-01 2015-05-07 황효수 스마트 led 조명장치
US11085608B2 (en) 2018-01-10 2021-08-10 Amosense Co., Ltd Lighting device
KR20190090225A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아모센스 조명 장치
KR20220102404A (ko) * 2021-01-13 2022-07-20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램프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569B1 (ko) 201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13913A (ja) Led照明燈装置
KR100967569B1 (ko)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TWI567325B (zh) 包含固態光發射器的發光裝置
JP5378595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US20150252970A1 (en) Led fixture with integrated driver circuitry
KR100759054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
JP4586098B1 (ja) 照明装置
JP5331581B2 (ja) 照明装置
EP2293653A2 (en) Ac-powered led lighting system
KR100820942B1 (ko) 엘이디 조명등
CN105423169A (zh) 固态照明装置
CN103502729A (zh) 发光二极管替代灯具
KR100973046B1 (ko) 배치상태의 연출이 가능한 교류전원 엘이디 조명등 장치
WO2010140480A1 (ja) 照明装置
WO2010140498A1 (ja) 照明装置
JP2011108597A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0977983B1 (ko) Led 조명등이 부설된 레이스 웨이
KR100990424B1 (ko) 빛 방출방향에 대한 각도 설정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40145B1 (ko) 소켓결합구성을 갖는 교류전원 엘이디 조명장치
KR100908733B1 (ko)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KR20100016676A (ko) 엘이디 형광등 조명장치
KR101222994B1 (ko)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모듈
KR100847872B1 (ko) 엘이디 조명등
JP2012253911A (ja) Ledランプ、電源モジュール、トランス回路
KR20100054911A (ko) 전원 안정화 기능을 갖는 교류전원 엘이디 조명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