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128A -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 - Google Patents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128A
KR20090102128A KR1020080027383A KR20080027383A KR20090102128A KR 20090102128 A KR20090102128 A KR 20090102128A KR 1020080027383 A KR1020080027383 A KR 1020080027383A KR 20080027383 A KR20080027383 A KR 20080027383A KR 20090102128 A KR20090102128 A KR 20090102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eenhouse
connector
fastened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060B1 (ko
Inventor
성훈경
Original Assignee
성훈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훈경 filed Critical 성훈경
Priority to KR1020080027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06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온실용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단면의 형상은 외형이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양측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면과 경사면의 연장선이 이등분 삼각형을 이루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 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평면과 양측 경사면의 외부에서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 홈과, 상기 본체의 수평면 및 경사면과 상기 체결 홈이 접하는 곳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기로 구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고, 본 발명에 의한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구조는 온실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과 신속하게 체결되는 온실용 프레임에 의해 온실의 지붕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온실의 지붕을 제작하는 온실용 프레임과 수직프레임들을 조합하여 온실을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FRAME FOR GREENHOUSE AND GREENHOUSE STRUCTURE}
본 발명은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실을 제작할 때 신속하게 온실의 지붕을 제작할 수 있게 제작된 온실용 프레임과, 상기 온실용 프레임을 사용하여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제작될 수 있는 온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채소, 과일 및 화초 등을 계절에 관계없이 재배하기 위해서는 온실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온실은 일조량이 풍부한 낮에는 태양광이 재배작물에게 조사될 수 있게 하는 한편, 동절기와 야간에는 재배작물의 주변의 따듯한 공기가 온실 외부의 차가운 공기와 열교환되어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재배작물이 원활하게 성장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온실은 통상 금속재질로 제작된 프레임을 가로와 세로로 연결하여 기본 구조물을 제작한 뒤 구조물의 외부를 투광성 합성수지 필름, 투광성 유리 및 투광성 합성수지 패널로 덮어 제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온실의 기본 구조물은 벽체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과 지붕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루프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투광성 합성수지 필름 또는 투광성 패널은 상기 수직 프레임과 루프 프레임의 외부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온실의 실시예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0344755호 '경질필름온실의 루프파이프 설치구조' 및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0364360호 '조립식 온실하우스'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들 종래기술에 의한 온실의 구조를 살펴보면, 지면에 수직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설치한 뒤 양측의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일정 높이의 루프 프레임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종래의 온실은 수직프레임과 수평 프레임 및 루프 프레임으로 원형관 또는 사각관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한편, 이들 프레임을 이웃하는 프레임과 연결할 때 이웃하는 관을 서로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결합시켰다.
이와 같이 이웃하는 프레임들을 나사로 체결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에 나사구멍을 형성시키는 작업을 같이 진행하면서 온실을 제작하여야만 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및 루프 프레임을 규격이 다른 프레임으로 사용하여 온실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프레임을 모두 구비해야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실 제작시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온실의 지붕을 제작할 수 있는 온실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온실용 프레임을 사용하여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는 온실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온실용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단면의 형상은 외형이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양측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면과 경사면의 연장선이 이등분 삼각형을 이루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 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평면과 양측 경사면의 외부에서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 홈과, 상기 본체의 수평면 및 경사면과 상기 체결 홈이 접하는 곳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기로 구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실용 프레임은 수평면을 중심으로 양측 경사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65°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온실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단면 외부면의 형상은 사각형이고, 단면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외부면에는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온실용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부와 동일한 체결부가 형성된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프로파일 또는 커넥터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및 프로파일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의 양측 상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온실용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수평면이 하부를 향하게 설치되고, 수직프레임과 체결되는 하측 루프 프레임; 양측 단부에 체결구가 구비되고, 일측의 체결구가 상기 양측의 하측 루프 프레임의 경사면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하측 루프 프레임과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양측의 하측 루프 프레임과 체결된 커넥터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체결구와 양측의 경사면이 체결되는 상측 루프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및 프로파일의 사이에는 체결부의 내부에 투광성 패널이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측 루프 프레임과 상기 상측 루프 프레임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는 커넥터의 상부에는 투광성 패널이 부착되기 용이하도록 패널 고정구가 체결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 고정구는 커넥터와 체결되는 커넥터 체결부와 상기 커넥터 체결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패널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또는 패널 고정구에는 투광성 패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구조는 온실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과 신속하게 체결되는 온실용 프레임에 의해 온실의 지붕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온실의 지붕을 제작하는 온실용 프레임과 수직프레임들을 조합하여 온실을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온실용 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에는 온실을 구성하는 투광성 패널일 간단히 부착되므로 온실을 제작하는데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온실용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온실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온실의 지붕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1의 온실용 프레임이 연결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온실의 지붕을 구성하는 루프 프레임과 커넥터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커넥터의 일측 단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의 벽체가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프로파일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온실 구조의 벽체에 지붕이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루프 프레임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에 패널 고정구 및 지지구가 부착된 것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커넥터, 패널 고정구 및 지지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가 완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 온실용 프레임 2: 수평면
3: 경사면 10: 본체
20: 체결부 30: 연결바
50: 온실 51: 벽체
52: 벽체 100: 수직 프레임
200: 수평 프레임 300: 프로파일
330: 커넥터 400: 루프 프레임
410: 상측 루프 프레임 420: 상측 루프 프레임
500: 커넥터 520: 체결구
600: 패널 고정구 700: 지지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온실용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온실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온실의 지붕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1의 온실용 프레임이 연결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온실의 지붕을 구성하는 루프 프레임과 커넥터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커넥터의 일측 단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의 벽체가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프로파일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온실 구조의 벽체에 지붕이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루프 프레임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에 패널 고정구 및 지지구가 부착된 것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커넥터, 패널 고정구 및 지지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가 완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온실용 프레임(1)은 단면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온실용 프레임(1)의 단면은 평탄한 수평면(2)과 수평면(2)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으로 구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수평면(2)과 경사면(3) 등의 외부에 형성되는 체결부(2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의 단면의 형상은 내부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홀(11)이 형성되고, 외부는 수평면(2)과 수평면(2)을 기준으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양측의 경사면(3)을 가상의 연장선으로 연결했을 때 각 연장선들이 만나는 꼭지점이 이등분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를 단면의 형상이 이등분 삼각형이 되도록 제작하지 않고, 연장선상에서 이등분 삼각형을 형성하게 한 것은 양측 경사면(3)이 수평면(2)을 중심으로 일정 경사각(θa)을 이루게 하면서도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여 온실용 프레임(1)을 구성하는 재료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10)의 각 면(2,3)에 형성된 체결부(20)는 후술될 커넥터(330,500)가 체결되는 곳으로서,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10)의 수평면(2)과 경사면(3) 외측에 형성되며, 체결홈(21)과 고정돌기(22)로 구성된다.
체결부(20)의 체결홈(21)은 본체(10)의 수평면(2)과 양측 경사면(3)의 내부로 일정한 폭과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고정돌기(22)는 상기 체결홈(21)과 본체(10)의 수평면(2) 또는 양측 경사면(3)과 접하는 곳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22)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될 커넥터(330,500)가 체결될 때 커넥터(330,500)의 체결편(341,521)이 견고하게 체결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온실용 프레임(1)은 온실을 제작할 때 온실의 지붕(51)을 제작하는 루프 프레임(400)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온실의 지붕(51)을 일정 경사각(θb)으로 경사지게 제작할 수 있다. 즉, 온실용 프레임(1)은 지붕(51)의 상측 루프 프레임(401)과 하측 루프 프레임(402)로 제작되고, 이들 상측 루프 프레임(401)과 하측 루프 프레임(402)은 커넥터(500)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온실용 프레임(1)을 이용하여 온실의 지붕(51)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작하려는 온실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온실용 프레임(1)을 제작해야된다. 이때, 온실용 프레임(1)의 길이가 온실의 길이보다 짧을 때에는 여러 개의 온실용 프레임(1)을 연결하여 사용해야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온실용 프레임(1)을 연결하는 방법은 온실용 프레임(1)의 본체(1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11)과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일정 길이의 연결바(30)를 사용하게 되며, 연결바(30)를 연결하고자 하는 양측의 온실용 프레임(1)의 가이드 홀(11)에 삽입/고정하여 온실용 프레임(1)들이 연결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온실용 프레임(1)을 사용하여 온실의 지붕(51)을 만들기 위해서는 세 개의 루프 프레임(400)을 제작해야되며, 상기 루프 프레임(400) 중 두 개는 하측 루프 프레임(402)이 되고 한 개는 상측 루프 프레임(401)이 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하측 루프 프레임(402)과 상측 루프 프레임(401)으로 분리된 루프 프레임(400)은 서로 커넥터(50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500)는 사각기둥 형태의 중공형인 본체(510)와 상기 본체(51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측 루프 프레임(402)과 상측 루프 프레임(401)의 경사면(3)에 형성된 체결부(20)에 체결되는 체결구(52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520)는 커넥터(500)의 본체(510)의 양측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편(521)과 상기 체결편(52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523) 및 조절나사(524)로 구성되고, 체결편(521)의 측면에 형성된 핀홀(526)에 고정핀(530)이 체결되어 본체(510)에 고정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체결편(521)은 서로 대향되게 두 개가 제공되고, 각 체결편(521)에는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고리(522)가 구비된다. 탄성체(523)는 상기 양측의 체결편(521)이 양측으로 벌려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 삽입된 체결편(521)들의 단부에 체결된다.
조절나사(524)는 체결편(521) 중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525)에 결합되고, 타측의 체결편(521)에는 단부가 접하게 되며, 본체(510)에 형성된 조절공(511)에 삽입되는 렌치(900)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500)의 체결구(520)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조절나사(524)의 조작으로 가능하다. 즉, 렌치(900)를 이용하여 조절나사(524)를 조이면 양측의 체결편(521)의 거리가 좁혀지면서 체결편(521)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522)들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게 되고, 상기 좁아진 고리(522)는 온실용 프레임(1)의 체결부(20: 도 2 참조)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도 3,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양측의 거리가 좁아진 고리(522)를 온실용 프레임(1)의 체결부(20)에 삽입한 후, 조절나사(524)를 풀어주면 양측의 체결편(521)의 거리가 넓어지게 되고, 체결편(521)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522)의 거리가 넓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넓어지는 고리(522)는 점차 온실용 프레임(1)의 체결부(20)에 형성된 고정돌기(22)와 결합되게 된다. 이때 고정돌기(22)의 내측이 경사져 있으면 체결구(520)는 체결부(2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하측 루프 프레임(402)과 상측 루프 프레임(401)은 경사면(3)에 형성된 체결부(20)에 커넥터(500)가 연결되어 온실의 지붕(51)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지붕(51)은 중심의 상측 루프 프레임(401)으로부터 양측의 하측 루프 프레임(402)을 향해 일정한 경사각(θb)을 이루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온실의 지붕(51)을 경사지게 제작하는 것은 우천시에 우수가 지붕에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붕(51)의 경사각(θb)을 크게 하면, 동절기에도 지붕(51)에 눈이 쌓이는 것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즉, 강설량이 많을 때에도 온실의 지붕(510)에 눈이 쌓이는 것을 일부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눈의 무게에 의해 온실의 지붕(51)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붕(51)의 경사를 지나치게 크게 하면 온실을 제작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과 함께, 온실의 난방 효율이 떨어져 재배작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환경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온실은 지붕(51)의 경사각(θb)이 중앙 상부에서 양측 하부를 향해 130° ~ 160°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온실 지붕의 경사각이 130°미만일 경우에는 우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는 것은 물론, 동절기에 지붕(51)에 눈이 쌓일 확률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동절기 강설량이 많은 경우 온실이 눈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해 붕괴될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온실 지붕(51)의 경사각(θb)이 1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온실의 실내 높이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온실 내부에서 공기의 대류현상이 활발히 이루어져 지면의 따듯한 공기는 온실의 상부로 이동되고 온실 상부의 차가운 공기는 온실의 하부로 이동되어 재배식물이 원활하게 성장하지 못하거나 냉해를 입는 문제가 있다.
도 2a,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이유로 온실 지붕(51)의 경사각(θb)은 130° ~ 160°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실 지붕(51)의 경사각(θb)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측 루프 프레임(402)과 상측 루프 프레임(401)을 구성하는 온실용 프레임(1)의 양측 경사면(3)이 수평면(2)을 중심으로 일정한 경사각(θa)을 이루어야 되며, 이를 위해 온실용 프레임(1)의 경사면(3)의 경사각(θa)은 수평면(2)을 기준으로 65° ~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온실용 프레임(1)의 경사면(3)의 경사각(θa)을 설정한 것은, 하측 루프 프레임(402)과 상측 루프 프레임(401)이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3)들이 평행을 이루게 설치된 뒤 상기 경사면(3)들에 커넥터(500)가 연결되어 온실의 지붕(51)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루프 프레임(400)과 커넥터(500)에 의해 지붕(51)이 형성되는 온실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수직 프레임(100)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1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단면 외부의 형상은 사각형이고, 내부에는 가이드 홀(111)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외부면에는 상기 온실용 프레임(1)에 형성된 체결부(20)와 동일한 형상의 체결부(12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직 프레임(100)에는 직교하게 수평 프레임(200)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 프레임(200)은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프레임이며,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수직 프레임(100)과 연결되어 온실(50)의 벽체(52)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 프레임(200)과 수직 프레임(100)은 프로파일(300) 또는 커넥터(33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프로파일(300)은 상기 수직 프레임(100)과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310)와 상기 본체(31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311)에 삽입되는 커넥터(330)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파일(300)에 사용되는 커넥터(330)는 온실의 지붕(51)을 제작할 때 상측 루프 프레임(401)과 하측 루프 프레임(402)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커넥터(500)와 동일한 것이며, 상기 본체(310)의 길이에 맞게 제작된다.
상기 수평 프레임(200)과 수직 프레임(100)을 연결할 때 별도로 사용되는 커넥터(330)는 수직 프레임(100)과 수평 프레임(200)의 길이가 길거나 일측만이 이웃하는 프레임과 연결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평 프레임(200)과 수직 프레임(100)의 일측 가이드 홀(111,211)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온실(50)의 벽체(52)가 수평 프레임(200)과 수직 프레임(100)의 결합에 의해 완성되면 온실(50)의 지붕(51)을 설치하게 된다.
온실의 지붕(51)을 설치하는 순서는 먼저, 벽체(52)를 구성하는 양측의 수직 프레임(100)의 상단에 하측 루프 프레임(402)을 커넥터(330)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양측에 하측 루프 프레임(402)이 설치되면, 양측의 하측 루프 프레임(402)의 양측 단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사면(3)에 커넥터(500)의 일측 단부를 설치한다.
하측 루프 프레임(402)에 커넥터(500)가 설치되며, 커넥터(500)의 타측 단부에 상측 루프 프레임(401)의 양측 경사면(3)을 결합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하측 루프 프레임(402)과 상측 루프 프레임(401)에 커넥터(500)를 연결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이 완료된 뒤 온실(50)의 지붕(51)을 구성하는 커넥터(500)의 상부에는 투광성 패널(800)이 부착되기 용이하도록 패널 고정구(600)를 부착한다. 상기 패널 고정구(600)는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단면의 형상은 커넥터(500)와 체결되기 용이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된 커넥터 체결부(610)와 상기 커넥터 체결부(610)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양측으로 투광성 패널(800)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패널 고정부(6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패널 고정구(600)는 커넥터(500)와 나사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온실(50)의 벽체(52)와 지붕(51)의 기본 골격이 완성되면 온실의 외부에는 투광성 패널(800)이 설치된다.
온실(50)의 지붕(51)에 투광성 패널(52)을 설치하는 방법은 커넥터(500)의 상부에 설치된 패널 고정구(600)의 패널 고정부(620)에 투광성 패널(800)을 삽입한 뒤 외부의 이음부분을 실리콘과 같은 마감재를 사용하여 밀폐함으로 완료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500) 또는 패널 고정구(600)의 측면에는 투광성 패널(800)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구(70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구(700)는 커넥터(500) 또는 패널 고정구(600)의 측면에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온실의 벽체(52)에 투광성 패널(800)이 설치되는 방법은 수평 프레임(200)과 수직 프레임(1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220,120)의 체결홈(221,121)에 투광성 패널(800)을 삽입시킨 뒤 접촉면을 실리콘과 같은 마감재로 마감하여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단면의 형상은 외형이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양측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면과 경사면의 연장선이 이등분 삼각형을 이루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 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평면과 양측 경사면의 외부에서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 홈과, 상기 본체의 수평면 및 경사면과 상기 체결 홈이 접하는 곳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기로 구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용 프레임은 수평면을 중심으로 양측 경사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65°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프레임.
  3.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단면 외부면의 형상은 사각형이고, 단면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외부면에는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온실용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부와 동일한 체결부가 형성된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프로파일 또는 커넥터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및 프로파일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의 양측 상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온실용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수평면이 하부를 향하게 설치되고, 수직프레임과 체결되는 하측 루프 프레임;
    양측 단부에 체결구가 구비되고, 일측의 체결구가 상기 양측의 하측 루프 프레임의 경사면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하측 루프 프레임과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양측의 하측 루프 프레임과 체결된 커넥터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체결구와 양측의 경사면이 체결되는 상측 루프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및 프로파일의 사이에는 체결부의 내부에 투광성 패널이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구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루프 프레임과 상기 상측 루프 프레임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는 커넥터의 상부에는 투광성 패널이 부착되기 용이하도록 패널 고정구가 체결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고정구는 커넥터와 체결되는 커넥터 체결부와,
    상기 커넥터 체결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패널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또는 패널 고정구에는 투광성 패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
KR1020080027383A 2008-03-25 2008-03-25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 KR10094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383A KR100947060B1 (ko) 2008-03-25 2008-03-25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383A KR100947060B1 (ko) 2008-03-25 2008-03-25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28A true KR20090102128A (ko) 2009-09-30
KR100947060B1 KR100947060B1 (ko) 2010-03-10

Family

ID=4135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383A KR100947060B1 (ko) 2008-03-25 2008-03-25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06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065B1 (ko) * 2014-10-23 2015-03-30 그린스타 주식회사 조립형 알루미늄제 비닐하우스
KR20170004415U (ko) *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탄탄아이엔지 유리온실용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1864648B1 (ko) * 2016-12-28 2018-06-07 장명관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조립식 벽체
KR101950505B1 (ko) * 2018-11-27 2019-02-20 이경재 자동관수 및 무인방제 장치용 프레임
KR20190023135A (ko) * 2017-08-28 2019-03-08 김지태 재배 하우스용 플라스틱 패널 연결구
KR102009408B1 (ko) * 2019-02-19 2019-10-21 김학선 온실용 거터 및 이를 포함한 온실
KR102097271B1 (ko) * 2019-02-27 2020-04-06 송종운 조립식 패널구조
KR20200073437A (ko) * 2018-12-14 2020-06-24 김명덕 조립식 온실 하우스
US10774524B2 (en) 2018-12-17 2020-09-15 Jong Woon Song Assemblable panel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662B1 (ko) * 2017-04-28 2019-08-28 배문숙 강도를 높이고 시공이 용이한 철골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59Y1 (ko) * 1997-10-10 1999-12-01 김상성 온실용 골조의 조립구조
KR200212782Y1 (ko) * 1998-11-12 2001-02-15 대한민국 유리온실용처마마감재구조
KR100507743B1 (ko) * 2003-08-01 2005-08-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KR200344755Y1 (ko) 2003-11-04 2004-03-11 주식회사 그린하우징 경질필름온실의 루프파이프 설치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065B1 (ko) * 2014-10-23 2015-03-30 그린스타 주식회사 조립형 알루미늄제 비닐하우스
KR20170004415U (ko) *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탄탄아이엔지 유리온실용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1864648B1 (ko) * 2016-12-28 2018-06-07 장명관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조립식 벽체
KR20190023135A (ko) * 2017-08-28 2019-03-08 김지태 재배 하우스용 플라스틱 패널 연결구
KR101950505B1 (ko) * 2018-11-27 2019-02-20 이경재 자동관수 및 무인방제 장치용 프레임
KR20200073437A (ko) * 2018-12-14 2020-06-24 김명덕 조립식 온실 하우스
US10774524B2 (en) 2018-12-17 2020-09-15 Jong Woon Song Assemblable panel structure
KR102009408B1 (ko) * 2019-02-19 2019-10-21 김학선 온실용 거터 및 이를 포함한 온실
KR102097271B1 (ko) * 2019-02-27 2020-04-06 송종운 조립식 패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060B1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060B1 (ko)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
CN102281753B (zh) 组合式培养箱和组合式景管架构系统
US8640402B1 (en) Building roof fascia, coping and/or solar panel connector arrangement
US20030159364A1 (en) Light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s
JP5601702B2 (ja) 植物栽培ハウス
CN200985646Y (zh) 一种开有天窗的轻型构件棚、房
US8881449B2 (en) Bay-type greenhouse with optimal performance
CN201850709U (zh) 廊型绿色节能屋顶
KR101429100B1 (ko) 지붕용 보드 결합 구조체
KR200439059Y1 (ko) 갤러리 창호
KR20180133758A (ko)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지주와 프레임의 연결 구조
KR100575429B1 (ko) 골조고정구
TWI693326B (zh) 導光隔熱排風屋頂
KR101505564B1 (ko)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KR100976578B1 (ko) 온실의 루프 구조
KR102636016B1 (ko)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CN103883046A (zh) 断桥隔热自然通风独立单元式幕墙系统
JP3137761U (ja) 栽培ハウス
KR200236967Y1 (ko) 이중구조의 조립식 비닐하우스
KR102034653B1 (ko) 조립식 철재를 이용한 온실
CN203716365U (zh) 断桥隔热自然通风独立单元式幕墙系统
KR102626681B1 (ko)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KR101330076B1 (ko) 무볼트 방식 지붕용 채광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83525Y1 (ko) 골조고정구
KR200372615Y1 (ko) 비닐하우스 프레임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