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681B1 -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 Google Patents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681B1
KR102626681B1 KR1020230073666A KR20230073666A KR102626681B1 KR 102626681 B1 KR102626681 B1 KR 102626681B1 KR 1020230073666 A KR1020230073666 A KR 1020230073666A KR 20230073666 A KR20230073666 A KR 20230073666A KR 102626681 B1 KR102626681 B1 KR 10262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roove
roof
fixed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애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맥스
Priority to KR1020230073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시스템이 적용되는 스마트팜 온실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지주의 선단을 종,횡으로 연결하는 가로바와 세로바로 구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세로바의 사이에는 루프바를 상향 배치하여 하향 경사진 복수 개의 루프아암을 통해 세로바와 루프바가 연결되게 한 온실골조에 대하여, 별도 구비의 하측장착구와 상측연결바를 통해 상기 루프아암의 하단 간 연결 및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고,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은 상측연결바에 구비된 상,하 탄력부재와 필름고정구 및 마감커버와 루프아암에 결합되는 고정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의 고유 특징인 자외선과 적외선을 차단하면서도 빛을 통과시켜 작물 생장에 적합한 최적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온실 구조체의 루프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루프아암 간의 결합 구조를 단순화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증대시켜 시공 편리성과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고, 루프 전체에 시공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에 대한 팽팽한 긴장 상태로의 시공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에 대한 유지 및 보수 혹은 교체가 용이하여 온실 구조체의 전체적인 관리 효율성 증진 및 사용 수명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Greenhouse structure for smart farm system with high functional fluororesin applied}
본 발명은 자동화 시스템이 적용되는 스마트팜 온실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지주의 상단을 연결하는 가로바와 세로바 및 경사상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루프바와 루프아암에 의한 골조 형태의 온실 구조체와, 온실 구조체의 루프 전체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긴장 상태로 시공함에 있어 상기 세로바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별도 구비의 상부연결바와 루프아암 간의 효율적이고 견고한 연결 설치는 물론 루프 전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의 빠르고 안정적인 장력 상태로의 고정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온실의 기존 형태는 비닐이나, 유리 혹은 플라스틱으로 된 사각형 형태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인력에 의존하여 온도와 습도 및 토양 수분 등을 제어하기 위한 간단한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수동적인 방식으로 작물을 관리하며 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이러한 온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구축 가능하지만 기상조건에 따라 환경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의 온실은 보다 고급화된 기술들이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최신 기술로는 체계적인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상 조건에 따른 온도, 습도, 일조량, 토양 수분 등을 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복합환경 제어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LED 조명을 활용해 광원을 제어하고, 물을 공급하고 수질을 관리하는 등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작물 관리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온실은 높은 초기 비용이 필요하지만 점차 자동화가 진행되면서 운영비가 줄어들고 생산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 온실과는 달리 LED 조명, CO2 농도 조절 등의 고급 기술을 이용해 자동화된 복합환경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팜 온실이 등장한 것으로, 이러한 스마트팜 온실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작물의 생장 환경을 최적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마트팜 온실의 구조는 일반적인 온실과 비슷하지만, IoT 센서, 제어 시스템, LED 조명 등의 추가 장비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장비들은 환경 요인을 감지하고 분석하여 작물의 최적 생장 조건을 제공하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작물의 생장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더욱 정확한 환경 제어와 작물 생산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팜 온실의 운용 형태는 대개 클라우드 기술을 이용한 원격 제어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를 통해 전 세계의 농부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온실 내부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조작할 수 있으며, 스마트팜 온실은 생산량과 품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들은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스마트팜을 가능케 하는 온실의 경우, 사방으로 연속하여 세워 설치되는 지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지주들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는 루프가 지주 선단에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의 루프는 압출부재를 절단 형성하여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분할 구획 형성한 상태에서 각각의 분할 구획 공간에 대응하는 크기의 투광필름 혹은 경질필름을 부착 혹은 고정 형성함으로써, 상기 투광필름에 의해 온실 내부 전체에 대한 충분하고 고른 상태의 채광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생장에 더욱 이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조도를 갖기 위한 전기적 에너지원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투광필름 혹은 경질필름에 대한 고정구조는 등록특허 제10-1799020호에 의해 개시된 바 있는 것으로, 체결나사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제1,2결속부재와 커버부재를 사용하여 경질필름을 팽팽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이므로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호 결합고정 또는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시간과 인력 및 관련비용을 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은 물론 제1,2결속부재와 커버부재 및 경질필름 등에 나사체결을 위한 구멍이 천공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고 내구성과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켜 주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온실의 경질필름 고정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와 같은 투광필름 혹은 경질필름에 대한 고정구조는 현장 적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는 체결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장 고소작업의 비중이 높아 작업자의 추락 등 안전사고 문제도 내재되어 있다.
또한, 기존의 스마트팜용 온실 구조체는 전통적인 과거의 설치 구조 및 설치 방법이 현재까지 유효하게 적용되어 오고 있는 것으로, 지주와 가로대 및 세로대를 포함하여 종,횡으로 연결되는 무수히 많은 지지아암을 이용하여 견고한 구조체를 설치한 후, 이러한 구조체에 투광이 가능한 경질필름을 씌워 고정시킴으로써 채광이 우수한 형태로의 온실을 구축하고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스마트팜용 온실 구조체는 시공에 많은 시간과 장비 및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비경제성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호 연결부 및 체결부와 고정부 등은 강풍이나 많은 눈과 같은 자연재해에 취약한 단점을 그대로 갖고 있어 장력 저하, 누수로 인한 피해 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경질필름 등은 장력에 대하여 변형이 큰 재료이며, 적설하중, 풍하중에 대하여 대변형이 발생하고, 하중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형상 변화를 일으킨다. 경질필름 등이 적용된 구조체는 압축이나 휨에 대해서는 저항할 수 없는 경질필름 등의 지붕 전체에 균일한 인장상태를 도입하여 전체강성을 유지함으로써 안정화되고, 태풍, 폭설, 폭우 등 외부하중에 견디게 하는 구조물이다. 이에 경질필름 등에 도입된 장력은 신율변화 특성으로 인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응력완화로 강풍에 필름이 펄럭이는 현상(플로터링)이나 눈이나 비로 인해 필름면에 빗물이 고이는 현상(폰딩)을 유발시켜 필름을 파단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즉, 경질필름 등은 우수한 채광성을 보장하는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 내구성이 떨어지고 불필요하게 과도한 신축성을 갖고 있어 설치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채광성이 떨어지므로 온실 효과의 감소로 인해 실내 온도 유지를 위한 에너지 사용량이 점진적으로 증대하는 폐단을 갖고 있어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것이고, 지붕 전체에 균일하게 장력을 초기에 도입하지 못하고 점차 늘어지거나 처짐이 발생하므로 역시 주기적인 점검과 긴장 상태의 유지 보수를 위한 상당한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주와 가로바 및 세로바와 지지아암 등을 연결 및 고정하는 각각의 체결부는 체결나사를 통한 현장 시공 방법으로 인해 누수 피해가 발생하고 또한, 바람이나 강우 혹은 강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점차 상호 연결 및 체결력이 약화 또는 상실되면서 온실 구조체를 구성하는 골조 전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호 체결부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규모의 확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각각의 구성품에 대한 크기와 길이 및 두께와 강도가 과도하게 증대될 수 밖에 없어 골조를 포함한 구조체 및 시설물에 대한 시공이 더욱 어렵고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며, 그로 인해 오히려 시공성과 경제성은 현저히 떨어지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799020 (2017.11.13.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지주의 선단을 종,횡으로 연결하는 가로바와 세로바로 구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세로바의 사이에는 루프바를 상향 배치하여 하향 경사진 복수 개의 루프아암을 통해 세로바와 루프바가 연결되게 한 온실골조에 대하여, 별도 구비의 하측장착구와 상측연결바를 통해 상기 루프아암의 하단 간 연결 및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고,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은 상측연결바에 구비된 상,하 탄력부재와 필름고정구 및 마감커버와 루프아암에 결합되는 가압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온실 구조체의 루프 부분을 빠르고 견고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루프아암 간의 연결 고정구조를 단순화하여 시공 편리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며,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에 대한 고정 과정에서의 신속함과 용이함 및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팽팽한 긴장 상태로 빠르고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지주의 선단을 가로바와 세로바에 의해 종,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고, 서로 이웃하는 세로바의 사이에는 상향 이격된 루프바를 배치하여 별도 구비의 루프아암을 통해 세로바와 루프바가 경사상으로 연결 고정된 온실골조를 형성하며, 상기 온실골조의 세로바와 루프바 및 루프아암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루프 전체에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밀착 고정하여 구성하되,
상기 가로바의 상부에는 수직지주의 상부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는 받침블록을 고정 설치하여 이들 수직지주의 상부 및 받침블록의 상부에 세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별도 구비의 하측장착구 및 상측연결바를 순차 결합 형성하고, 상측연결바의 양측부에는 루프바와 연결되는 루프아암의 하단이 각기 연결 고정되게 하며, 상기의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은 전기한 상측연결바와 루프바 및 루프아암 상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의 고유 특징인 높은 광선 투과율을 통해 작물 생장에 적합한 최적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온실 구조체의 루프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루프아암 간의 결합 구조를 단순화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증대시켜 시공 편리성과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고, 루프 전체에 시공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에 대한 균등한 장력 도입을 통한 팽팽한 긴장 상태로의 시공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에 대한 유지 및 보수 혹은 교체가 용이하여 온실 구조체의 전체적인 관리 효율성 증진 및 사용 수명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상부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하부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정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루프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세로바와 루프아암 간 연결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세로바와 루프아암 간 연결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세로바와 루프아암 간 연결부 정면 결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세로바와 루프아암 간 연결부 정면 분리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상부연결구와 루프아암 간 결합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상측연결바와 루프아암 간 요부 확대 결합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상측연결바와 루프아암 간 요부 확대 분리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루프아암과 고기능 불소수지필름간 결합을 보인 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상측연결바에 대한 루프아암 고정수단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상측연결바에 대한 루프아암 고정수단을 보인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상부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하부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정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루프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세로바와 루프아암 간 연결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 세로바와 루프아암 간 연결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지주(100)(100')의 선단을 가로바(200)(200')와 세로바(300)(300')에 의해 종,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고, 서로 이웃하는 세로바(300)(300')의 사이에는 상향 이격된 루프바(400)를 배치하여 별도 구비의 루프아암(500)(500')을 통해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가 경사상으로 연결 고정하여 된 온실골조(F)가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온실골조(F)의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 및 루프아암(500)(500')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루프 부분 전체에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밀착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수직지주(100)(100')는 금속재 강관을 이용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온실 구조체의 규모에 따라 평면상 종,횡 방향으로 등간격을 갖고 세워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존의 온실 구조체에 비하여 루프 하중이 경감되는 구조가 적용된 본 발명의 온실 구조체는 수직지주(100)(100') 간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질 수 있어 내부 가용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강재 사용량의 감소와 더불어 시공기간의 단축 등 다양한 장점을 연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수직지주(100)(100')의 선단을 평면상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기 연결하는 가로바(200)(200')와 세로바(300)(300')는 수직지주(100)(10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온실 구조체에 대한 하중 지지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루프 전체에 대한 하중을 분산 및 지탱하는 동시에 바람이나 강우 혹은 강설에 대하여 온실 구조체의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어, 본 발명 온실 구조체의 루프를 구성하는 루프바(400)는, 세로바(300)(300')의 중간부로부터 상향 이격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고, 이러한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고정되는 루프아암(500)(500')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루프바(400)와 루프아암(500)(500')에 의해 본 발명의 온실 구조체는 반복의 경사면을 갖는 지붕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루프 전체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우수한 채광성과 루프 마감재로서의 뛰어난 내구성을 연출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전기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은 일반적인 산란 필름과는 달리 광을 산란시키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박막필름인 것으로, 불소 원자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박막에서 광을 산란시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고, 불소 원자는 매우 작기 때문에 광을 산란시키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은 태양광 전지, LED 및 LC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고,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은 투과율이 높고 반사율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태양광 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데에도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은 태양광 전지에서 발생하는 빛의 일부를 반사시키지 않고 투과시킴으로써, 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LED 및 LCD 디스플레이 등에서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되어 더 밝고 선명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본 발명에서와 같은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적용하는 경우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 자체가 갖고 있는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작물의 전체 및 뿌리 부근까지 고르게 채광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물의 생장에 매우 효과적인 것이고, 고유 특성이 장기간 변하지 않는 우수한 내구성을 갖고 있어 온실의 유지 및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작용 및 효과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가로바(200)(200')의 상부에는 수직지주(100)(100')의 상부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는 받침블록(210)을 고정 설치하여 이들 수직지주(100)(100')의 상부 및 받침블록(210)의 상부에 세로바(300)(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별도 구비의 하측장착구(220) 및 상측연결바(230)를 순차 결합 형성하고, 상측연결바(230)의 양측부에는 루프바(400)와 연결되는 루프아암(500)(500')의 하단이 각기 연결 고정되게 하며, 상기의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은 전기한 상측연결바(230)와 루프바(400) 및 루프아암(500)(500') 상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전기한 설명에서 세로바(300)(300')와 루프아암(500)(500')이 결합되는 것이라 기재한 바 있으나 보다 명확하게는 세로바(300)(300')와 루프아암(500)(500')은 상호 직접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 구비의 상측연결바(230)를 통해 루프아암(500)(500')의 하단이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의 상측연결바(230)는 세로바(300)(300')의 상부에 위치하거나 세로바(300)(300')의 사이에 세로바(300)(3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어, 상기의 세로바(300)(300')는 전체적인 구조체의 하부 틀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의 상측연결바(230)는 루프아암(500)(500')의 하단이 연결되는 루프 틀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받침블록(210)은 수직지주(100)(100')의 사이에 경사상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지주(100)(100') 상단 측부에 연결 고정되는 가로바(200)(200')의 상면에 받침블록(210)을 고정시킴으로써 수직지주(100)(100')의 상단면 및 받침블록(210)의 상단면이 동일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연속 반복적으로 경사상의 루프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의 하측장착구(220)는 받침블록(210) 상에 별도 구비의 상측연결바(230)를 빠르고 견고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의 상측연결바(230)는 반복하여 나열 설치되는 경사상의 루프아암(500)(500')을 역시 빠르고 효율적으로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세로바(300)(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측연결바(230)를 이용하여 상기 루프아암(500)(500')을 일정 간격으로 상측연결바(2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의 받침블록(210)은, 가로바(200)(200')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플랜지(211)와 하측장착구(220)가 안착 고정되는 상부플랜지(212)가 구비되고, 이들 하부플랜지(211)와 상부플랜지(212)를 관통하는 체결볼트에 의해 각기 가로바(200)(200')와 하측장착구(220) 간의 견고한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사각 관체로 된 가로바(200)(200')의 상면에 받침블록(210)의 하부플랜지(21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상호 견고한 조립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평평한 상부플랜지(212) 상에 하부장착구(220)의 저면을 밀착시킨 후 역시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이들 상호 간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하측장착구(220)는 각 수직기둥(100)(100')의 선단 및 각 받침블록(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평면상 전체 온실 구조체에 대하여 등간격을 갖고 분포된 고정 상태를 연출하게 될 것이므로, 세로바(300)(300')의 길이방향으로 하측장착구(220)에 상측연결바(230)를 안치 고정시켜 이들 상측연결바(230)가 세로바(300)(30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고정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하측장착구(220)는 하부 양측으로 수직기둥(100)(100') 선단 또는 받침블록(210)의 상부플랜지(212) 상에 밀착 고정되기 위한 체결플랜지(221)가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상광하협 형태를 갖는 탄지체결부(222)(222')를 형성함으로써, 이들 탄지체결부(222)(222')의 사이에 상광하협 형태로 된 하향의 수용곡면홈(223)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어, 하측장착구(220)의 상부에 안치 및 고정되는 상측연결바(230)는 하부에 상기의 하측장착구(220)에 형성된 수용곡면홈(223)과 대응하는 형태로 된 삽입곡면부(231)가 세로바(300)(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게 하고, 상측연결바(230)의 상부 양측에는 역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아암체결홈(232)(232')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전기한 탄지체결부(222)(222')의 외측으로부터 관통 삽입되는 체결볼트가 수용곡면홈(223) 내의 삽입곡면부(231)에 나사 결합되면서 하측장착구(220)와 상측연결바(230)의 체결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아암체결홈(232)(232') 내 삽입 고정되는 루프아암(500)(500')에 의해 상측연결바(230)와 루프아암(500)(500')의 상호 견고한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측연결바(230)의 삽입곡면부(231) 내측 하부 중앙에는 양측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하는 구조보강부(230a)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구조보강부(230a)에 의해 상측연결바(230)의 하부 두께가 보강됨에 따라 시스템 온실 구조체가 설치되는 지역의 바람이나 눈 등에 의한 하중 조건에 의한 구조검토를 거쳐 상기 구조보강부(230a)의 두께 혹은 형상 등을 다양하게 가변 적용시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구조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기한 바와 같은 하측장착구(220)의 탄지체결부(222)(222') 선단에는 내향 절곡의 걸림구(224)를 형성하고, 상측연결바(230)의 삽입곡면부(231) 양측 선단에는 걸림단부(233)를 형성하여, 하측장착구(220)의 수용곡면홈(223)에 상측연결바(230)의 삽입곡면부(231)를 안치 삽입시키면 탄지체결부(222)(222')의 걸림구(224)가 삽입곡면부(231)의 걸림단부(233)에 계지되면서 상호 간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걸림구(224)와 걸림단부(233) 간의 탄지 계지력에 의해 하측장착구(220)에 상측연결바(230)를 임시 고정시킨 후, 하측장착구(220)의 탄지체결부(222)(222') 외측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가 수용곡면홈(223) 내의 상측연결바(230)에 나사 체결되도록 조립함으로써 상기의 하측장착구(220)와 상측연결바(230)는 강력한 체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어, 도 6 내지 도 11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상측연결바(230)의 양측 아암체결홈(232)(232') 상부에는 각각 끼움고정홈(234)과 안치고정홈(235) 및 결합T홈(236)을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순차 형성하여, 끼움고정홈(234)에는 별도 구비된 상부탄력부재(240)의 하부 일측이 삽입 고정되게 하고, 안치고정홈(235)에는 별도 구비된 필름고정구(250)가 안치 고정되게 하며, 결합T홈(236)으로는 별도 구비된 하부탄력부재(260)가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부탄력부재(240)은 비교적 연질이면서 탄력성을 갖는 고무 혹은 실리콘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 상측에 밀착되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밀착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고, 하부탄력부재(260)의 경우 역시 연질이면서 탄력성을 갖는 고무 혹은 실리콘에 의해 만들어져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 저면에 밀착되면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에 대한 밀착 고정력의 증대 및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은 필름고정구(250)의 경우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에 결합되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이 상측연결바(230)의 상부 일측에 빠르고 쉽게 안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결합T홈(236)에 하부탄력부재(260)를 선행하여 고정한 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된 필름고정구(250)와 상부탄력부재(240)를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하고, 상기와 같은 상부탄력부재(240)의 상측에는 별도 구비의 마감커버(270)를 밀착시킨 후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가 마감커버(270)를 관통하여 상기의 끼움고정홈(234)으로 나사 결합되게 고정함으로써, 마감커버(270)의 밀착 가압력에 의해 상부탄력부재(240) 및 하부탄력부재(260)에 의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 상면 및 저면에 대한 수밀 상태로의 탄력지지 및 상측연결바(230)와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이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감커버(270)의 밀착 가압력에 의한 상부탄력부재(240) 및 하부탄력부재(260)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상면 및 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상호 간의 틈새없이 수밀 상태로의 탄력지지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 및 시공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기한 상부탄력부재(240)의 경우 저면 일측에 양측으로 상향걸림구(241)가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는 걸림고정부(242)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상부탄력부재(240)의 저면 타측으로는 경사상으로 반복하여 하향 돌출된 탄력밀착부(243)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걸림고정부(242)를 상측연결바(230)의 끼움고정홈(234)으로 가압하여 삽입하면 상기의 상향걸림구(241)가 압축 변형 형태로 끼움고정홈(234)으로 삽입되면서 소정의 상호 저항력을 유발할 것이므로 상측연결바(230)로부터 상부탄력부재(24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고, 상기의 탄력밀착부(243)는 부드러운 솔 또는 블레이드 형태로 돌출되어 있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상면에 대한 더욱 우수한 밀착성 확보는 물론 기밀과 수밀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때, 전기한 상부탄력부재(240)의 상부 일측에는 마감커버(270)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게 한 단부수용홈(244)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마감커버(270)의 끝단을 단부수용홈(244)에 삽입한 상태에서 마감커버(270)의 타측단에 대하여 체결볼트로 나사 고정하게 되면 마감커버(270)의 일단은 단부수용홈(244)에 삽입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체결볼트 하나만으로도 마감커버(270)의 빠르고 견고한 조립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미려한 외관을 연출하는 동시에 작업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안치고정홈(235)의 하부 일측에는 계지홈부(235a)를 형성하고, 안치고정홈(235)으로 삽입되는 필름고정구(25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계지홈부(235a)로 삽입되게 한 이탈방지턱(251)을 돌출 형성하며, 필름고정구(250)의 중앙에는 상측 개구 형태의 필름삽입홈(252)을 형성하여,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끝단이 권취 마감된 EPDM-Ring(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610)이 상기 필름삽입홈(252)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필름고정구(250)를 안치고정홈(235)에 삽입 계지시킴에 따라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장력이 필름고정구(250)에 작용하더라도 계지홈부(235a)와 이탈방지턱(251)의 상호 계지력에 의해 필름고정구(250)가 안치고정홈(235)으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할 것이므로 상호 결합 고정력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는 것이고, 해당의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교체 혹은 보수하여야 할 경우에는 안치고정홈(235)으로부터 필름고정구(25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시켜 간편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을 것이므로 결국 조립 시공성은 물론 보수 등의 유지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전기한 바와 같은 상측연결바(230)의 상부 일측에는 외향 돌출의 받침플랜지(237)를 더 돌출 형성하여 받침플랜지(237)를 통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상측연결바(230)의 선단 코너 부분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모서리를 제거한 것이고, 하부탄력부재(260)의 저면 일측에는 상측연결바(230)의 결합T홈(236)으로 삽입되게 한 결합돌부(261)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기 결합T홈(236)에 의해 고정된 하부탄력부재(260)가 상기 받침플랜지(237) 상에 밀착 거치되도록 한 하향 절곡의 경사유도부(262)를 더 형성함으로써, 전기한 받침플랜지(237)에 의한 넓은 면적으로의 하중 지지 및 탄력성을 갖는 하부탄력부재(260)의 경사유도부(262)를 통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하부에 대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받침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결합T홈(236)에 하부탄력부재(260)를 선행하여 고정한 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된 필름고정구(250)와 상부탄력부재(240)를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하고, 상기와 같은 상부탄력부재(240)의 상측에는 별도 구비의 마감커버(270)를 밀착시킨 후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가 마감커버(270)를 관통하여 상기의 끼움고정홈(234)으로 나사 결합되게 고정함으로써, 마감커버(270)의 밀착 가압력에 의해 상부탄력부재(240) 및 하부탄력부재(260)에 의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 상면 및 저면에 대한 수밀 상태로의 탄력지지 및 상측연결바(230)와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가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측연결바(230)에 대한 루프아암(500)(500')의 견고한 체결수단으로서 도 12 및 도 13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상측연결바(230)의 양측 아암체결홈(232)(232') 내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볼트끼움홈(232a)을 더 형성하고, 상기 아암체결홈(232)(232')의 내측에는 한 쌍의 지지편(281)(281')이 이격 상태로 돌출 형성된 별도 구비의 아암장착구(280)를 더 삽입 형성하여 상기 아암장착구(280)에 의해 루프아암(500)(500')이 상측연결바(23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는 것이다.
즉, 전기한 상측연결바(230)에 형성된 볼트끼움홈(232a)으로 별도 구비의 고정볼트(282)을 삽입하고 돌출의 고정볼트(282)에 아암장착구(280)를 관통 결합한 상태에서 별도 구비의 고정너트(283)를 느슨하게 임시 조립하면 상기의 아암장착구(280)는 상측연결바(230)의 아암체결홈(232)(23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상기의 아암장착구(280)를 연결하고자 하는 루프아암(500)(500')의 하단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루프아암(500)(500')의 하단이 아암장착구(280)의 지지편(281)(281')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의 고정너트(283)를 견고하게 조여 체결하면 상측연결바(230)에 대한 아암장착구(280)의 고정은 물론 루프아암(500)(500')의 하단이 서로 견고하게 조립 및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측연결바(230)에 대한 루프아암(500)(500')의 견고하고 신속한 연결 조립은 물론 상측연결바(2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루프아암(500)(500')의 고정 위치를 빠르고 편리하게 조정 및 재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 온실 구조체의 전체 규모 혹은 루프의 구조 설계에 따라 루프아암(500)(500') 간의 간격 조정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볼트끼움홈(232a)의 내면에는 상측연결바(230)의 내측을 향하여 관통 형성된 배수공(232b)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측연결바(230)의 외면이나 볼트끼움홈(232a)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수 또는 루프의 다양한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로수가 상기 배수공(232b)을 통해 상측연결바(230)의 내측으로 회수 및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더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일단은 루프바(4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측연결바(230) 상에 고정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경우 내부 혹은 사이 중간부의 경우 상기의 루프아암(500)(500') 상에 얹혀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기존과 같이 별도의 가압고정대 및 체결볼트에 의한 고정구조가 아니라 도 14의 도시와 같이 루프아암(500)(5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별도 구비의 가압고정구(510)에 의해 빠르고 신속하면서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에 소정의 장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루프아암(500)(500')은 상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끼움구(501)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아암(500)(500')의 상측에는 절개끼움구(501)를 이용하여 별도 구비의 가압고정구(51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와 같은 가압고정구(510)의 저면에는 절개끼움구(501)로 삽입되는 탄지구(511)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루프아암(500)(500') 상에 올려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은 가압고정구(510)의 탄지구(511)를 루프아암(500)(500')의 절개끼움구(501) 내측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절개끼움구(501)의 내측으로 함께 삽입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삽입 작용으로 인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은 팽팽하게 당겨지는 효과를 연출하게 될 것이고, 절개끼움구(501)에 대한 탄지구(511)의 상호 탄력 계지 상태로 인해 루프아암(500)(500')에 대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강력한 고정 상태가 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루프아암(500)(500')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 구비의 가압고정구(510)를 루프아암(500)(500')의 상부에서 단순 가압하여 상호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에 대한 장력 부여 및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견고한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 편리성이 매우 향상되는 것은 물론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에 대한 별도의 장력 부여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편리한 것이다. 또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의 가압고정구(510) 만을 인출 분리시켜 제거하게 되면 루프아암(500)(500')으로부터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이 손쉽게 분리될 수 있을 것이므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유지 및 관리 혹은 교체의 편리함이 매우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온실 구조체는 수직지주(100)(100') 및 가로바(200)(200')와 세로바(300)(300')로부터 온실 구조체의 루프를 형성하는 루프바(400)와 루프아암(500)(500')이 하측장착구(220)와 상측연결바(230)를 통해 빠르고 견고하게 조립 및 고정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온실 구조체의 루프 전체에 형성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고정이 매우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고정 과정에서 장력이 부여되어 처짐이나 펄럭임 등이 방지된 고품질의 온실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F : 온실골조
100,100' : 수직지주
200,200' : 가로바 210 : 받침블록
220 : 하측장착구 230 : 상측연결바
240 : 상부탄력부재 250 : 필름고정구
260 : 하부탄력부재 270 : 마감커버
280 : 아암장착구
300,300' : 세로바
400 : 루프바
500,500' : 루프아암 510 : 가압고정구
600 : 고기능 불소수지필름 610 : EPDM-Ring

Claims (11)

  1.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지주(100)(100')의 선단을 가로바(200)(200')와 세로바(300)(300')에 의해 종,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고, 서로 이웃하는 세로바(300)(300')의 사이에는 상향 이격된 루프바(400)를 배치하여 별도 구비의 루프아암(500)(500')을 통해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가 경사상으로 연결 고정된 온실골조(F)를 형성하며, 상기 온실골조(F)의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 및 루프아암(500)(500')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루프 전체에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밀착 고정하여 구성하되,
    상기 가로바(200)(200')의 상부에는 수직지주(100)(100')의 상부와 동일 높이를 형성하는 받침블록(210)을 고정 설치하여 이들 수직지주(100)(100')의 상부 및 받침블록(210)의 상부에 세로바(300)(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별도 구비의 하측장착구(220) 및 상측연결바(230)를 순차 결합 형성하고, 상측연결바(230)의 양측부에는 루프바(400)와 연결되는 루프아암(500)(500')의 하단이 각기 연결 고정되게 하며, 상기의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은 전기한 상측연결바(230)와 루프바(400) 및 루프아암(500)(500') 상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하측장착구(220)는 하부 양측으로 체결플랜지(221)가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탄지체결부(222)(222')를 형성하여 이들 탄지체결부(222)(222')의 사이에 하향의 수용곡면홈(223)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측연결바(230)는 하부에 상기의 수용곡면홈(223)과 대응하는 삽입곡면부(231)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게 하고 상부 양측에는 아암체결홈(232)(232')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탄지체결부(222)(222')의 외측으로부터 관통 삽입되는 체결볼트가 수용곡면홈(223) 내의 삽입곡면부(231)에 나사 결합되면서 하측장착구(220)와 상측연결바(230)의 체결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아암체결홈(232)(232') 내 삽입 고정되는 루프아암(500)(500')에 의해 상측연결바(230)와 루프아암(500)(500') 간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하측장착구(220)의 탄지체결부(222)(222') 선단에는 내향 절곡의 걸림구(224)를 형성하고, 상측연결바(230)의 삽입곡면부(231) 양측 선단에는 걸림단부(233)를 형성하여, 하측장착구(220)의 수용곡면홈(223)에 상측연결바(230)의 삽입곡면부(231)를 안치 삽입시키면 탄지체결부(222)(222')의 걸림구(224)가 삽입곡면부(231)의 걸림단부(233)에 계지되면서 상호 간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측연결바(230)의 양측 아암체결홈(232)(232') 상부에는 각각 끼움고정홈(234)과 안치고정홈(235) 및 결합T홈(236)을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순차 형성하여, 끼움고정홈(234)에는 별도 구비된 상부탄력부재(240)의 하부 일측이 삽입 고정되게 하고, 안치고정홈(235)에는 별도 구비된 필름고정구(250)가 안치 고정되게 하며, 결합T홈(236)으로는 별도 구비된 하부탄력부재(260)가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하되,
    결합T홈(236)에 하부탄력부재(260)를 선행하여 고정한 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된 필름고정구(250)와 상부탄력부재(240)를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하고, 상기와 같은 상부탄력부재(240)의 상측에는 별도 구비의 마감커버(270)를 밀착시킨 후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가 마감커버(270)를 관통하여 상기의 끼움고정홈(234)으로 나사 결합되게 고정함으로써, 마감커버(270)의 밀착 가압력에 의해 상부탄력부재(240) 및 하부탄력부재(260)에 의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 상면 및 저면에 대한 수밀 상태로의 탄력지지 및 상측연결바(230)와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부탄력부재(240)의 저면 일측에는 양측으로 상향걸림구(241)가 돌출 형성된 걸림고정부(242)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상부탄력부재(240)의 저면 타측으로는 경사상으로 반복하여 하향 돌출된 탄력밀착부(243)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부탄력부재(240)의 상부 일측에는 마감커버(270)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게 한 단부수용홈(244)을 형성하여, 마감커버(270)의 끝단이 단부수용홈(244)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감커버(270)의 타측단에 대한 체결볼트로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6. 제 3항에 있어서,
    안치고정홈(235)의 하부 일측에는 계지홈부(235a)를 형성하고, 안치고정홈(235)으로 삽입되는 필름고정구(25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계지홈부(235a)로 삽입되게 한 이탈방지턱(251)을 돌출 형성하며, 필름고정구(250)의 중앙에는 상측 개구 형태의 필름삽입홈(252)을 형성하여,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끝단이 권취 마감된 EPDM-Ring(610)이 상기 필름삽입홈(252)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필름고정구(250)를 안치고정홈(235)에 삽입 계지시킴에 따라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장력이 필름고정구(250)에 작용하더라도 계지홈부(235a)와 이탈방지턱(251)의 상호 계지력에 의해 필름고정구(250)가 안치고정홈(23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7. 제 3항에 있어서,
    상측연결바(230)의 상부 양측에는 외향 돌출의 받침플랜지(237)를 돌출 형성하고, 하부탄력부재(260)의 저면 일측에는 상측연결바(230)의 결합T홈(236)으로 삽입되게 한 결합돌부(261)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T홈(236)에 의해 고정된 하부탄력부재(260)가 상기 받침플랜지(237) 상에 밀착 거치되게 하되,
    하부탄력부재(260)의 일측 끝단에는 하향 절곡된 경사유도부(262)를 더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측연결바(230)의 양측 아암체결홈(232)(232') 내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볼트끼움홈(232a)을 더 형성하고, 상기 아암체결홈(232)(232')의 내측에는 한 쌍의 지지편(281)(281')이 이격 상태로 돌출 형성된 별도 구비의 아암장착구(280)를 더 삽입 형성하여 상기 아암장착구(280)에 의해 루프아암(500)(500')이 상측연결바(23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전기한 아암장착구(280)의 지지편(281)(281') 사이로 루프아암(500)(500')의 단부 양면이 밀착 삽입되게 하고, 아암장착구(280)는 볼트끼움홈(232a)으로 머리부가 삽입되어 아암장착구(280)에 관통 삽입되는 고정볼트(282) 및 고정볼트(282)에 결합되는 고정너트(283)에 의해 상측연결바(230)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30073666A 2023-06-08 2023-06-08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KR102626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666A KR102626681B1 (ko) 2023-06-08 2023-06-08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666A KR102626681B1 (ko) 2023-06-08 2023-06-08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681B1 true KR102626681B1 (ko) 2024-01-19

Family

ID=8971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3666A KR102626681B1 (ko) 2023-06-08 2023-06-08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6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4650A (ja) * 2003-12-26 2005-08-04 Asahi Glass Green Tekku Kk 樹脂フィルム被覆建造物
KR101799020B1 (ko) 2017-08-23 2017-11-17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온실의 경질필름 고정장치
KR102392549B1 (ko) * 2021-06-09 2022-04-28 류현민 개선된 거터조립체를 갖는 경량 온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4650A (ja) * 2003-12-26 2005-08-04 Asahi Glass Green Tekku Kk 樹脂フィルム被覆建造物
KR101799020B1 (ko) 2017-08-23 2017-11-17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온실의 경질필름 고정장치
KR102392549B1 (ko) * 2021-06-09 2022-04-28 류현민 개선된 거터조립체를 갖는 경량 온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319B1 (en) Solar panel securing assembly for sheet metal sloping roofs
US9413285B2 (en) Support member for mounting photovoltaic modules
US8869471B2 (en)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photovoltaic modules
KR101273292B1 (ko) 솔라 어레이 지지 방법 및 시스템
US10033328B2 (en) Support member for mounting photovoltaic modules and moun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030177706A1 (en) Mounting system for supporting objects
KR100947060B1 (ko)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
US10644644B2 (en) Support assembly for photovoltaic modules and mounting system using the same
US8356454B2 (en) Unitized overhead glazing systems
KR101599777B1 (ko) 조립식 골조와 에어 포켓형 멤브레인을 이용한 막 구조물
US11190127B2 (en) Support assembly for photovoltaic modules and mounting system using the same
CN100529289C (zh) 轻型木制天幕结构运动场馆
KR102626681B1 (ko)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KR102626686B1 (ko)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채용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CA2751963C (en) Solar panel securing assembly for sheet metal sloping roofs
KR200441732Y1 (ko) 태양광발전 모듈의 고정장치
CN104350977B (zh) 食用菌用光伏大棚
KR102636016B1 (ko)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US11689148B2 (en) Support assembly for photovoltaic modules and mounting system using the same
CN219939146U (zh) 一种南方山地酒用葡萄栽培避雨棚
CN208370454U (zh) 一种新型复材大棚
KR102453134B1 (ko) 플렉시블 cigs 태양전지를 활용한 시설하우스용 태양광 모듈
CN220000168U (zh) 一种农业大棚桁架
CN220978603U (zh) 一种温室大棚加强型天沟结构
CN210226372U (zh) 一种c型骨架组装式联栋温室大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