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016B1 -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016B1
KR102636016B1 KR1020230073665A KR20230073665A KR102636016B1 KR 102636016 B1 KR102636016 B1 KR 102636016B1 KR 1020230073665 A KR1020230073665 A KR 1020230073665A KR 20230073665 A KR20230073665 A KR 20230073665A KR 102636016 B1 KR102636016 B1 KR 102636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lm
elastic member
ventila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애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맥스
Priority to KR102023007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시스템이 적용되는 스마트팜 온실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지주의 선단을 종,횡으로 연결하는 가로바와 세로바로 구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세로바의 사이에는 루프바를 상향 배치하여 하향 경사진 복수 개의 루프아암을 통해 세로바와 루프바가 연결되게 한 온실골조에 대하여, 세로바와 루프바 및 루프아암을 포함하여 온실골조의 상부 전체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고정 형성함으로써 온실구조체가 완성되도록 하되, 온실구조체의 루프에는 일정 간격으로 개방된 환기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환기부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갖는 환기프레임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며 환기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Ventilation device of greenhouse structure for smart farm system}
본 발명은 자동화 시스템이 적용되는 스마트팜 온실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온실 구조체의 루프에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환기부를 설치하여 인력이 개입하지 않고도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팜 온실 구조체의 자동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환기부를 개폐하는 프레임틀체 및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에 대한 조립 효율성 및 내구성 향상은 물론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의 긴밀한 수밀 상태 및 긴장 상태로의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온실의 기존 형태는 비닐이나, 유리 혹은 플라스틱으로 된 사각형 형태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인력에 의존하여 온도와 습도 및 토양 수분 등을 제어하기 위한 간단한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수동적인 방식으로 작물을 관리하며 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이러한 온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구축 가능하지만 기상조건에 따라 환경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의 온실은 보다 고급화된 기술들이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최신 기술로는 체계적인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상 조건에 따른 온도, 습도, 일조량, 토양 수분 등을 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복합환경 제어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LED 조명을 활용해 광원을 제어하고, 물을 공급하고 수질을 관리하는 등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작물 관리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온실은 높은 초기 비용이 필요하지만 점차 자동화가 진행되면서 운영비가 줄어들고 생산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 온실과는 달리 LED 조명, CO2 농도 조절 등의 고급 기술을 이용해 자동화된 복합환경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팜 온실이 등장한 것으로, 이러한 스마트팜 온실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작물의 생장 환경을 최적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마트팜 온실의 구조는 일반적인 온실과 비슷하지만, IoT 센서, 제어 시스템, LED 조명 등의 추가 장비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장비들은 환경 요인을 감지하고 분석하여 작물의 최적 생장 조건을 제공하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작물의 생장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더욱 정확한 환경 제어와 작물 생산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팜 온실의 운용 형태는 대개 클라우드 기술을 이용한 원격 제어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를 통해 전 세계의 농부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온실 내부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조작할 수 있으며, 스마트팜 온실은 생산량과 품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들은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스마트팜을 가능케 하는 온실의 경우, 사방으로 연속하여 세워 설치되는 지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지주들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는 루프가 지주 선단에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의 루프는 압출부재를 절단 형성하여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분할 구획 형성한 상태에서 각각의 분할 구획 공간에 대응하는 크기의 투광필름 혹은 경질필름을 부착 혹은 고정 형성함으로써, 상기 투광필름에 의해 온실 내부 전체에 대한 충분하고 고른 상태의 채광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생장에 더욱 이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조도를 갖기 위한 전기적 에너지원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투광필름 혹은 경질필름에 대한 고정구조는 등록특허 제10-1799020호에 의해 개시된 바 있는 것으로, 체결나사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제1,2결속부재와 커버부재를 사용하여 경질필름을 팽팽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이므로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호 결합고정 또는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시간과 인력 및 관련비용을 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은 물론 제1,2결속부재와 커버부재 및 경질필름 등에 나사체결을 위한 구멍이 천공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고 내구성과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켜 주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온실의 경질필름 고정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와 같은 투광필름 혹은 경질필름에 대한 고정구조는 현장 적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는 체결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장 고소작업의 비중이 높아 작업자의 추락 등 안전사고 문제도 내재되어 있다.
또한, 기존의 스마트팜용 온실 구조체는 전통적인 과거의 설치 구조 및 설치 방법이 현재까지 유효하게 적용되어 오고 있는 것으로, 지주와 가로대 및 세로대를 포함하여 종,횡으로 연결되는 무수히 많은 지지아암을 이용하여 견고한 구조체를 설치한 후, 이러한 구조체에 투광이 가능한 경질필름을 씌워 고정시킴으로써 채광이 우수한 형태로의 온실을 구축하고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스마트팜용 온실 구조체는 시공에 많은 시간과 장비 및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비경제성을 갖고 있는 것이고, 상호 연결부 및 체결부와 고정부 등은 강풍이나 많은 눈과 같은 자연재해에 취약한 단점을 그대로 갖고 있어 장력 저하, 누수로 인한 피해 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경질필름 등은 장력에 대하여 변형이 큰 재료이며, 적설하중, 풍하중에 대하여 대변형이 발생하고, 하중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형상 변화를 일으킨다. 경질필름 등이 적용된 구조체는 압축이나 휨에 대해서는 저항할 수 없는 경질필름 등의 지붕 전체에 균일한 인장상태를 도입하여 전체강성을 유지함으로써 안정화되고, 태풍, 폭설, 폭우 등 외부하중에 견디게 하는 구조물이다. 이에 경질필름 등에 도입된 장력은 신율변화 특성으로 인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응력완화로 강풍에 필름이 펄럭이는 현상(플로터링)이나 눈이나 비로 인해 필름면에 빗물이 고이는 현상(폰딩)을 유발시켜 필름을 파단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즉, 경질필름 등은 우수한 채광성을 보장하는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 내구성이 떨어지고 불필요하게 과도한 신축성을 갖고 있어 설치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채광성이 떨어지므로 온실 효과의 감소로 인해 실내 온도 유지를 위한 에너지 사용량이 점진적으로 증대하는 폐단을 갖고 있어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것이고, 지붕 전체에 균일하게 장력을 초기에 도입하지 못하고 점차 늘어지거나 처짐이 발생하므로 역시 주기적인 점검과 긴장 상태의 유지 보수를 위한 상당한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주와 가로바 및 세로바와 지지아암 등을 연결 및 고정하는 각각의 체결부는 체결나사를 통한 현장 시공 방법으로 인해 누수 피해가 발생되고 또한, 바람이나 강우 혹은 강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점차 상호 연결 및 체결력이 약화 또는 상실되면서 온실 구조체를 구성하는 골조 전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호 체결부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규모의 확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각각의 구성품에 대한 크기와 길이 및 두께와 강도가 과도하게 증대될 수 밖에 없어 골조를 포함한 구조체 및 시설물에 대한 시공이 더욱 어렵고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며, 그로 인해 오히려 시공성과 경제성은 현저히 떨어지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799020 (2017.11.13.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지주의 선단을 종,횡으로 연결하는 가로바와 세로바로 구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세로바의 사이에는 루프바를 상향 배치하여 하향 경사진 복수 개의 루프아암을 통해 세로바와 루프바가 연결되게 한 온실골조에 대하여, 세로바와 루프바 및 루프아암을 포함하여 온실골조의 상부 전체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고정 형성함으로써 온실구조체가 완성되도록 하되, 온실구조체의 루프에는 일정 간격으로 개방된 환기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환기부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갖는 환기프레임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며 환기부를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스템 제어를 통해 자동 개폐되는 환기부에 의해 온실 구조체의 내부 온도 및 습도에 대한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통해 작물 및 식물 전체에 고른 채광 효과가 이루어져 성장 및 생장에 매우 이로운 것이며, 루프를 포함한 온실골조 및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포함한 온실 구조체 전체에 대한 시공성 향상 및 구조적 안정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지주의 선단을 가로바와 세로바에 의해 종,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고, 서로 이웃하는 세로바의 사이에는 상향 이격된 루프바를 배치하여 별도 구비의 루프아암을 통해 세로바와 루프바가 경사상으로 연결 고정된 온실골조를 형성하며, 상기 온실골조의 세로바와 루프바 및 루프아암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루프 전체에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밀착 고정하여 구성하되,
상기 세로바와 루프바의 사이에는 서로 이웃하는 루프아암을 연결 구획하는 창틀바를 간헐적으로 고정 형성하고, 이들 루프바와 창틀바의 사이에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제거된 관통의 환기구를 형성하며, 상기 환기구 상에는 환기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별도 구비의 환기창을 밀착 거치한 것으로, 상기의 환기창은 전기한 루프바와 힌지 결합되는 상단바와 함께 사각 틀체를 형성하기 위한 측부바와 하단바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바 및 측부바와 하단바 상에는 또 다른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밀착 고정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환기프레임에 의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의 고유 특징인 높은 광선 투과율을 통해 작물 생장에 적합한 최적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시스템 제어를 통한 환기프레임의 자동 개폐를 통해 온실 내부의 온도와 습도 등을 간편하게 조절하면서도 작물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자연광을 확보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고, 구동모터 및 링크에 의해 개폐되는 환기장치는 전원의 인가를 통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어 인위적인 힘의 개입이 없이도 온실 내부의 환기를 신속하게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온실 내부의 공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교환하고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작물의 광합성을 개선시키는 것은 물론 질병 예방 등에도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상부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하부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정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루프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루프 중 환기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루프 발췌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루프의 환기부 개방 상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환기창 하단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루프의 환기부 선단측 확대 분리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환기창 하단측 설치대 결합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설치대 연결부 상세 분리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환기부 틀체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환기부 틀체의 상단바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환기부 틀체의 상단바 결합 상태 전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환기부 틀체의 상단바 분리 상태 전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환기부 틀체의 측하단바 분리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환기부 틀체의 측하단바 결합 상태 전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환기부 틀체의 측하단 분리 상태 전체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상부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하부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정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루프부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대한 루프부 중 환기구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지주(100)(100')의 선단을 가로바(200)(200')와 세로바(300)(300')에 의해 종,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고, 서로 이웃하는 세로바(300)(300')의 사이에는 상향 이격된 루프바(400)를 배치하여 별도 구비의 루프아암(500)(500')을 통해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가 경사상으로 연결 고정하여 된 온실골조(F)가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온실골조(F)의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 및 루프아암(500)(500')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루프 전체에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밀착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수직지주(100)(100')는 금속재 강관을 이용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온실 구조체의 규모에 따라 평면상 종,횡 방향으로 등간격을 갖고 세워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존의 온실 구조체에 비하여 루프 하중이 경감되는 구조가 적용된 본 발명의 온실 구조체는 수직지주(100)(100') 간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질 수 있어 내부 가용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강재 사용량의 감소와 더불어 시공기간의 단축 등 다양한 장점을 연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수직지주(100)(100')의 선단을 평면상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기 연결하는 가로바(200)(200')와 세로바(300)(300')는 수직지주(100)(10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온실 구조체에 대한 하중 지지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루프 전체에 대한 하중을 분산 및 지탱하는 동시에 바람이나 강우 혹은 강설에 대하여 온실 구조체의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어, 본 발명 온실 구조체의 루프를 구성하는 루프바(400)는, 세로바(300)(300')의 중간부로부터 상향 이격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고, 이러한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고정되는 루프아암(500)(500')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루프바(400)와 루프아암(500)(500')에 의해 본 발명의 온실 구조체는 반복의 경사면을 갖는 지붕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루프 전체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우수한 채광성과 루프 마감재로서의 뛰어난 내구성을 연출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전기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은 일반적인 산란 필름과는 달리 광을 산란시키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박막필름인 것으로, 불소 원자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박막에서 광을 산란시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고, 불소 원자는 매우 작기 때문에 광을 산란시키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은 태양광 전지, LED 및 LC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고,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은 투과율이 높고 반사율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태양광 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데에도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은 태양광 전지에서 발생하는 빛의 일부를 반사시키지 않고 투과시킴으로써, 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LED 및 LCD 디스플레이 등에서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되어 더 밝고 선명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본 발명에서와 같은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에 적용하는 경우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 자체가 갖고 있는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작물의 전체 및 뿌리 부근까지 고르게 채광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물의 생장에 매우 효과적인 것이고, 고유 특성이 장기간 변하지 않는 우수한 내구성을 갖고 있어 온실의 유지 및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작용 및 효과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온실 구조체에 있어 상기와 같은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의 사이에는 서로 이웃하는 루프아암(500)(500')을 연결 구획하는 창틀바(700)(700')를 간헐적으로 고정 형성하고, 이들 루프바(400)와 창틀바(700)(700')의 사이에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이 제거된 관통의 환기구(H)(H')를 형성하며, 상기 환기구(H)(H') 상에는 환기구(H)(H')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별도 구비의 환기창(W)을 밀착 거치한 것으로, 상기의 환기창(W)은 전기한 루프바(400)와 힌지 결합되는 상단바(800)와 함께 사각 틀체를 형성하기 위한 측부바(900)와 하단바(1000)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바(800) 및 측부바(900)와 하단바(1000) 상에는 또 다른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전체에 밀착 고정하여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환기창(W)을 이용하여 환기구(H)(H')를 빠르고 간편하게 개폐함에 따라 온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제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환기창(W) 역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이 밀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환기창(W)이 하강하여 환기구(H)(H')를 밀폐하고 있더라도 온실 구조체의 루프 전체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물 및 식물의 생장에 이로운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환기창(W)의 경우,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온실골조(F)를 가로질러 수직지주(100)(100') 또는 가로바(200)(200')나 세로바(300)(300')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설치대(1100) 상에 장착된 구동모터(1101)의 작동을 통해 개폐되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101)의 회전나사축(1102)에는 슬라이더(1103)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1103)에는 환기창(W)의 하단바(1000)와 힌지 결합된 개폐로드(1104)를 힌지 결합 형성하여, 상기 구동모터(1101)의 정역 회전에 의한 슬라이더(1103)의 이동 및 개폐로드(1104)의 회동으로 상기의 환기창(W)의 회전 및 환기구(F1)(F1')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전기한 루프바(400)와 힌지 결합되는 상단바(800)를 갖는 환기창(W)은 구동모터(1101)의 작동 및 회전나사축(110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슬라이더(1103)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로드(1104)의 각도 변화에 따라 환기구(H)(H') 개폐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하단바(1000)의 내측면에는 별도 구비의 연결지지대(1110)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의 연결지지대(1110)의 일측으로는 개폐로드(1104)의 선단을 힌지 결합하기 위한 힌지축부(1111)가 하향 돌출 형성되게 구성한 것으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하단바(1000)는 내측면에 상기 연결지지대(1110)가 수용되게 하는 밀착수용홈(1007)과 밀착수용홈(1007)의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홈(1008) 및 밀착수용홈(1007)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T홈(1009)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연결지지대(1110)는 상기 끼움홈(1008)으로 삽입되게 하는 걸림돌부(1112)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T홈(1009)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한 T형돌조(1113)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단바(1000)의 내측면에 연결지지대(1110)를 결합 고정하기 위해서는 연결지지대(1110)의 걸림돌부(1112)를 밀착수용홈(1007) 하측의 끼움홈(1008)으로 삽입하고, 연결지지대(1110)의 후측면에 돌출 형성된 T형돌조(1113)는 상기의 T홈(1009)으로 가압 체결함으로써, 하단바(1000)에 대한 연결지지대(1110)의 빠르고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연결지지대(1110)의 더욱 견고한 결합 고정 상태를 위해 연결지지대(1110)를 관통하여 하단바(1000)의 측면에 나사 조립되는 체결볼트를 더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제어 시스템에 의해 설정된 온도 혹은 습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시스템은 상기의 구동모터(1101)에 자동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나사축(1102)이 회전되게 하고, 이에 회전나사축(1102)에 결합된 슬라이더(1103)의 이동 및 개폐로드(1104)의 회동으로 인해 개폐로드(1104)의 단부에 결합된 환기창(W)의 하단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환기창(W)의 상단바(800)는 루프바(400)와의 상호 힌지 결합부를 축점으로 하여 상향 회전됨으로써 상기의 환기구(F1)(F1')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9의 도시와 같이 루프바(400)의 선단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향개구홈(401)(401')을 형성하고, 환기창(W)의 상단바(800)에는 상기 하향개구홈(401)(401')으로 강제 압입 또는 측부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게 한 회전구체(801)가 단부에 형성된 회전대(80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하향개구홈(401)(401')으로 삽입된 회전구체(801)를 회전축부로 하여 상기의 환기창(W)이 루프바(400)로부터 회전하며 환기구(F1)(F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환기창(W)은 회전구체(801) 및 하향개구홈(401)(401')의 상호 원형 결합구조에 의해 이들 결합부를 회전축부로 하여 자연스럽게 회전 개폐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회전대(802)의 경우 루프바(400)와 상단바(800)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보상 및 루프바(400)와 상단바(800)가 직접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정의 절곡 형태를 갖고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팜 온실 구조체에 적용된 제어 시스템은 환기창(W)의 회전 각도에 대한 조절을 통해 온도 혹은 습도 조절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환기창(W)의 설치 위치 및 개수에 대한 가변 적용을 통해 온실 구조체의 규모 혹은 내부 면적에 따라 가장 최선의 환기 및 습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전기한 바와 같은 환기창(W)은 상단바(800)와 양 쪽의 측부바(900) 및 하단바(1000)의 결합에 의한 사각 틀체의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고, 이들 상단부(800)와 측부바(900) 및 하단바(1000)의 내부 공간에는 또 다른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이 긴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단바(800)는 루프바(400)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고 측부바(900)는 루프아암(500)(500') 상에 밀착 거치되는 것이며, 하단바(1000)는 별도 구비의 창틀바(700)(700') 상에 밀착 거치됨으로서 환기구(F1)(F1')에 대한 안정적인 밀폐 작용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기한 상단바(800)와 하단바(1000)의 가로 방향 길이를 길게 형성한 상태에서 측부바(900)를 등간격으로 상단바(800)와 하단바(100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큰 형태의 환기창(W)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러한 환기창(W)과 대응하는 규모의 환기구(F1)(F1')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온실 구조체 내의 온도 및 습도와 환기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서로 이웃하는 루프아암(500)(500')을 연결하는 형태로 고정되는 창틀바(700)(700')의 경우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루프아암(500)(500')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받침고정구(510)(510')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의 받침고정구(510)(510')는 루프아암(500)(500')의 내면에 밀착되게 한 아암플랜지(511)와, 창틀바(700)(700')의 측면에 밀착되게 한 수직플랜지(512) 및 창틀바(700)(700')의 저면에 밀착되게 한 수평플랜지(513)를 갖도록 절곡 형성하여, 아암플랜지(511) 및 수직플랜지(512)를 관통하여 나사 고정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루프아암(500)(500') 및 창틀바(700)(700')가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받침고정구(510)(510')는 창틀바(700)(700')를 보다 빠르고 쉽게 루프아암(500)(5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창틀바(700)(700')에 작용하는 환기창(W)의 하중을 창틀바(700)(700')와 함께 분산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받침고정구(510)(510')의 수평플랜지(513)를 통해 창틀바(700)(700') 자체의 중량 및 창틀바(700)(700')에 작용하는 환기창(W) 자체의 하중에 더하여 바람이나 비 또는 눈에 의한 가변 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와 받침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온실 구조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전기한 바와 같은 환기창(W)의 경우 도 12의 도시와 같이 루프바(400)와 힌지 결합되는 상단바(800)와, 루프아암(500)(500') 상에 밀착되는 측부바(900) 및 창틀바(700)(700')의 상부에 밀착되는 하단바(1000)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의 상호 끝단부에 대한 체결을 통해 사각틀체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고, 이들 사각틀체의 상부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긴장 상태로 밀착 고정함으로써 상기의 환기창(W)이 완성되는 것으로, 환기창(W)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에 해당되는 상단바(800)의 경우 도 13 내지 도 15의 도시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전기한 바와 같은 환기창(W)의 상단바(800) 상부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끼움고정홈(803)과 안치고정홈(804)과 결합T홈(805)을 순차 형성하여, 상기의 끼움고정홈(803)에는 별도 구비된 상부탄력부재(810)의 하부 일측이 삽입 고정되게 하고, 안치고정홈(804)에는 별도 구비된 필름고정구(820)가 안치 고정되게 하며, 결합T홈(805)으로는 별도 구비된 하부탄력부재(830)가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부탄력부재(810)은 비교적 연질이면서 탄력성을 갖는 고무 혹은 실리콘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 상측에 밀착되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밀착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고, 하부탄력부재(830)의 경우 역시 연질이면서 탄력성을 갖는 고무 혹은 실리콘에 의해 만들어져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 저면에 밀착되면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에 대한 밀착 고정력의 증대 및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은 필름고정구(820)의 경우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에 결합되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이 상단바(800)에 빠르고 쉽게 안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한 바와 같은 상단바(800)의 상부에 하부탄력부재(830)를 선행하여 고정한 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된 필름고정구(820)와 상부탄력부재(810)를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하고, 상기와 같은 상부탄력부재(810)의 상측에는 별도 구비의 마감커버(840)를 밀착시킨 후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가 마감커버(840)를 관통하여 상기의 끼움고정홈(803)으로 나사 결합되게 하면 체결볼트의 나사 고정 작업만으로도 마감커버(840)에 의한 가압 밀착 작용으로 인해 상부탄력부재(810)와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갖는 필름고정구(820) 및 하부탄력부재(830)가 일시에 빠르고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감커버(840)의 밀착 가압력에 의한 상부탄력부재(810) 및 하부탄력부재(830)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상면 및 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상호 간의 틈새없이 수밀 상태로의 탄력지지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 및 시공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기한 상부탄력부재(810)의 경우 저면 일측에 양측으로 상향걸림구(811)가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는 걸림고정부(812)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상부탄력부재(810)의 저면 타측으로는 경사상으로 반복하여 하향 돌출된 탄력밀착부(813)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걸림고정부(812)를 상단바(800)의 끼움고정홈(803)으로 가압하여 삽입하면 상기의 상향걸림구(811)가 압축 변형 형태로 끼움고정홈(803)으로 삽입되면서 소정의 상호 저항력을 유발할 것이므로 상단바(800)로부터 상부탄력부재(81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고, 상기의 탄력밀착부(813)는 부드러운 솔 또는 블레이드 형태로 돌출되어 있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상면에 대한 더욱 우수한 밀착성 확보는 물론 기밀과 수밀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때, 전기한 상부탄력부재(810)의 상부 일측에는 마감커버(840)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게 한 단부수용홈(814)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마감커버(840)의 끝단을 단부수용홈(814)에 삽입한 상태에서 마감커버(840)의 타측단에 대하여 체결볼트로 나사 고정하게 되면 마감커버(840)의 일단은 단부수용홈(814)에 삽입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체결볼트 하나만으로도 마감커버(840)의 빠르고 견고한 조립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미려한 외관을 연출하는 동시에 작업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안치고정홈(804)의 하부 일측에는 계지홈부(804a)를 형성하고, 안치고정홈(804)으로 삽입되는 필름고정구(82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계지홈부(804a)로 삽입되게 한 이탈방지턱(821)을 돌출 형성하며, 필름고정구(820)의 중앙에는 상측 개구 형태의 필름삽입홈(822)을 형성하여,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끝단이 권취 마감된 EPDM-Ring(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610)이 상기 필름삽입홈(822)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필름고정구(820)를 안치고정홈(804)에 삽입 계지시킴에 따라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장력이 필름고정구(820)에 작용하더라도 계지홈부(804a)와 이탈방지턱(821)의 상호 계지력에 의해 필름고정구(820)가 안치고정홈(804)으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할 것이므로 상호 결합 고정력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는 것이고, 해당의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교체 혹은 보수하여야 할 경우에는 안치고정홈(804)으로부터 필름고정구(82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시켜 간편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을 것이므로 결국 조립 시공성은 물론 보수 등의 유지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전기한 바와 같은 상단바(800)의 상부 일측에는 외향 돌출의 받침플랜지(806)를 돌출 형성하여 받침플랜지(806)를 통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상단바(800)의 선단 코너 부분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모서리를 제거한 것이고, 하부탄력부재(830)의 저면 일측에는 상단바(800)의 결합T홈(805)으로 삽입되게 한 결합돌부(831)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기 결합T홈(805)에 의해 고정된 하부탄력부재(830)가 상기 받침플랜지(806) 상에 밀착 거치되도록 한 하향 절곡의 경사유도부(832)를 더 형성함으로써, 전기한 받침플랜지(806)에 의한 넓은 면적으로의 하중 지지 및 탄력성을 갖는 하부탄력부재(830)의 경사유도부(832)를 통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하부에 대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받침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환기창(W)을 구성하기 위한 측단바(900)와 하단바(1000는 동일 구성 및 형태로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서, 도 16 내지 도 18의 도시와 같이 이들의 상부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끼움고정홈(903)(1003)과 안치고정홈(904)(1004)과 결합T홈(905)(1005)을 순차 형성하여, 상기의 끼움고정홈(903)(1003)에는 별도 구비된 상부탄력부재(910)(1010)의 하부 일측이 삽입 고정되게 하고, 안치고정홈(904)(1004)에는 별도 구비된 필름고정구(920)(102)가 안치 고정되게 하며, 결합T홈(905)(1005)으로는 별도 구비된 하부탄력부재(930)(1030)가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부탄력부재(910)(1010)은 비교적 연질이면서 탄력성을 갖는 고무 혹은 실리콘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 상측에 밀착되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밀착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고, 하부탄력부재(930)(1030)의 경우 역시 연질이면서 탄력성을 갖는 고무 혹은 실리콘에 의해 만들어져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 저면에 밀착되면서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에 대한 밀착 고정력의 증대 및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은 필름고정구(920)(1020)의 경우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에 결합되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이 측단바(900) 및 하단바(1000)에 빠르고 쉽게 안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한 바와 같은 측단바(900) 또는 하단바(1000)의 상부에 하부탄력부재(930)(1030)를 선행하여 고정한 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된 필름고정구(920)(1020)와 상부탄력부재(910)(1010)를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하고, 상기와 같은 상부탄력부재(910)(1010)의 상측에는 별도 구비의 마감커버(940)(1040)를 밀착시킨 후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가 마감커버(940)(1040)를 관통하여 상기의 끼움고정홈(903)(1003)으로 나사 결합되게 하면 체결볼트의 나사 고정 작업만으로도 마감커버(940)(1040)에 의한 가압 밀착 작용으로 인해 상부탄력부재(910)(1010)와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갖는 필름고정구(920)(1020) 및 하부탄력부재(930)(1030)가 일시에 빠르고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감커버(940)(1040)의 밀착 가압력에 의한 상부탄력부재(910)(1010) 및 하부탄력부재(930)(1030)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상면 및 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상호 간의 틈새없이 수밀 상태로의 탄력지지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 및 시공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기한 상부탄력부재(910)(1010)의 경우 저면 일측에 양측으로 상향걸림구(911)(1011)가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는 걸림고정부(912)(1012)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상부탄력부재(910)(1010)의 저면 타측으로는 경사상으로 반복하여 하향 돌출된 탄력밀착부(913)(1013)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걸림고정부(912)(1012)를 측단바(900) 또는 하단바(1000)의 끼움고정홈(903)(1003)으로 가압하여 삽입하면 상기의 상향걸림구(911)(1011)가 압축 변형 형태로 끼움고정홈(903)(1003)으로 삽입되면서 소정의 상호 저항력을 유발할 것이므로 상단바(900) 또는 하단바(1000)로부터 상부탄력부재(910)(101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고, 상기의 탄력밀착부(913)(1013)는 부드러운 솔 또는 블레이드 형태로 돌출되어 있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상면에 대한 더욱 우수한 밀착성 확보는 물론 기밀과 수밀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때, 전기한 상부탄력부재(910)(1010)의 상부 일측에는 마감커버(940)(1040)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게 한 단부수용홈(914)(1014)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마감커버(940)(1040)의 끝단을 단부수용홈(914)(1014)에 삽입한 상태에서 마감커버(940)(1040)의 타측단에 대하여 체결볼트로 나사 고정하게 되면 마감커버(940)(1040)의 일단은 단부수용홈(914)(1014)에 삽입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체결볼트 하나만으로도 마감커버(940)(1040)의 빠르고 견고한 조립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미려한 외관을 연출하는 동시에 작업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은 안치고정홈(904)(1004)의 하부 일측에는 계지홈부(904a)(1004a)를 형성하고, 안치고정홈(904)(1004)으로 삽입되는 필름고정구(920)(102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계지홈부(904a)(1004a)로 삽입되게 한 이탈방지턱(921)(1021)을 돌출 형성하며, 필름고정구(920)(1020)의 중앙에는 상측 개구 형태의 필름삽입홈(922)(1022)을 형성하여,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끝단이 권취 마감된 EPDM-Ring(610)이 상기 필름삽입홈(922)(1022)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필름고정구(920)(1020)를 안치고정홈(904)(1004)에 삽입 계지시킴에 따라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장력이 필름고정구(920)(1020)에 작용하더라도 계지홈부(904a)(1004a)와 이탈방지턱(921)(1021)의 상호 계지력에 의해 필름고정구(920)(1020)가 안치고정홈(904)(1004)으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할 것이므로 상호 결합 고정력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는 것이고, 해당의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교체 혹은 보수하여야 할 경우에는 안치고정홈(904)(1004)으로부터 필름고정구(920)(102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시켜 간편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을 것이므로 결국 조립 시공성은 물론 보수 등의 유지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전기한 바와 같은 측단바(900) 및 하단바(1000)의 상부 일측에는 외향 돌출의 받침플랜지(906)(1006)를 돌출 형성하여 받침플랜지(906)(1006)를 통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측단바(900) 또는 하단바(1000)의 선단 코너 부분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모서리를 제거한 것이고, 하부탄력부재(930)(1030)의 저면 일측에는 측단바(900) 또는 하단바(1000)의 결합T홈(905)(1005)으로 삽입되게 한 결합돌부(931)(1031)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기 결합T홈(905)(1005)에 의해 고정된 하부탄력부재(930)(1030)가 상기 받침플랜지(906)(1006) 상에 밀착 거치되도록 한 하향 절곡의 경사유도부(932)(1032)를 더 형성함으로써, 전기한 받침플랜지(906)(1006)에 의한 넓은 면적으로의 하중 지지 및 탄력성을 갖는 하부탄력부재(930)(1030)의 경사유도부(932)(1032)를 통해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하부에 대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받침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전기한 측단바(900) 혹은 하단바(1000)는 상단바(800)와는 달리 측단바(900) 및 하단바(1000)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T형슬롯(906)(1006)을 더 형성하고, 상기의 T형슬롯(906)(1006)에는 별도 구비의 하단밀착부재(950)(1050)를 결합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하단밀착부재(950)(1050)는 상측에 상기 T형슬롯(906)(1006)으로 삽입 고정되는 체결돌부(951)(105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반복 형성된 경사돌기부(952)(1052)와 오목홈부(953)(1053) 및 하향곡면부(954)(1054)를 순차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의 경사돌기부(952)(1052)는 환기창(W)의 하강시 하단밀착부재(950)(1050)가 창틀바(700)(700')의 상면에 부드럽고 뛰어난 밀착성을 갖고 안치되도록 하여 이들 상호 간의 틈새로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의 오목홈부(953)(1053)는 환기창(W)의 무게로 인해 상기의 오목홈부(953)(1053)가 압축되면서 소정의 진공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상호 밀착 고정력의 증대를 통해 수밀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의 하향곡면부(954)(1054)는 환기창(W)의 외측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고 돌출 형성되어 환기창(W)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 등이 환기창(W)과 창틀바(700)(700')의 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차양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온실 구조체는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개폐 작동되는 환기창(W)을 구비함으로써 스마트팜 온실 구조체에 대한 내부 온도 및 습도 등의 제어가 매우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환기창을 포함하여 온실 구조체의 루프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은 뛰어난 내구성과 내오염성과 함께 우수한 채광 및 광산란성을 연출하므로 온실 구조체 내의 식물이나 작물 등의 생장에 매우 이로운 효과를 제공할 것이며, 온실 구조체 전체가 구성품 상호 간의 비교적 간단한 체결구조를 갖고 있는 동시에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에 대한 기밀 및 수밀 구조로의 결합구조와 더불어 뛰어난 구조적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F : 온실골조
F1,F1' : 환기구
W : 환기창
100,100' : 수직지주
200,200' : 가로바
300,300' : 세로바
400 : 루프바
500,500' : 루프아암 510,510' : 받침고정구
600,600' : 고기능 불소수지필름 610 : EPDM-Ring
700,700' : 창틀바
800 : 상단바 810 : 상부탄력부재
820 : 필름고정구 830 : 하부탄력부재
840 : 마감커버
900 : 측단바 910 : 상부탄력부재
920 : 필름고정구 930 : 하부탄력부재
940 : 마감커버 950 : 하단밀착부재
1000 : 하단바 1010 : 상부탄력부재
1020 : 필름고정구 1030 : 하부탄력부재
1040 : 마감커버 1050 : 하단밀착부재
1100 : 설치대 1110 : 연결지지대

Claims (16)

  1.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지주(100)(100')의 선단을 가로바(200)(200')와 세로바(300)(300')에 의해 종,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고, 서로 이웃하는 세로바(300)(300')의 사이에는 상향 이격된 루프바(400)를 배치하여 별도 구비의 루프아암(500)(500')을 통해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가 경사상으로 연결 고정된 온실골조(F)를 형성하며, 상기 온실골조(F)의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 및 루프아암(500)(500')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루프 전체에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밀착 고정하여 구성하되, 상기 세로바(300)(300')와 루프바(400)의 사이에는 서로 이웃하는 루프아암(500)(500')을 연결 구획하는 창틀바(700)(700')를 간헐적으로 고정 형성하고, 이들 루프바(400)와 창틀바(700)(700')의 사이에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이 제거된 관통의 환기구(H)(H')를 형성하며, 상기 환기구(H)(H') 상에는 환기구(H)(H')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별도 구비의 환기창(W)을 밀착 거치한 것으로, 상기의 환기창(W)은 전기한 루프바(400)와 힌지 결합되는 상단바(800)와 함께 사각 틀체를 형성하기 위한 측부바(900)와 하단바(1000)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바(800) 및 측부바(900)와 하단바(1000) 상에는 또 다른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을 밀착 고정하여 구성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단바(800)의 상부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끼움고정홈(803)과 안치고정홈(804)과 결합T홈(805)을 순차 형성하여, 끼움고정홈(803)에는 별도 구비된 상부탄력부재(810)의 하부 일측이 삽입 고정되게 하고, 안치고정홈(804)에는 별도 구비된 필름고정구(820)가 안치 고정되게 하며, 결합T홈(805)으로는 별도 구비된 하부탄력부재(830)가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하되, 상단바(800)의 상부에 하부탄력부재(830)를 선행하여 고정한 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된 필름고정구(820)와 상부탄력부재(810)를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하고, 상기와 같은 상부탄력부재(810)의 상측에는 별도 구비의 마감커버(840)를 밀착시킨 후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가 마감커버(840)를 관통하여 상기의 끼움고정홈(803)으로 나사 결합되게 고정함으로써, 마감커버(840)의 밀착 가압력에 의한 상부탄력부재(810) 및 하부탄력부재(830)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상면 및 저면에 대한 수밀 상태로의 탄력지지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탄력부재(810)의 저면 일측에는 양측으로 상향걸림구(811)가 돌출 형성된 걸림고정부(812)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상부탄력부재(810)의 저면 타측으로는 경사상으로 반복하여 하향 돌출된 탄력밀착부(813)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부탄력부재(810)의 상부 일측에는 마감커버(840)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게 한 단부수용홈(814)을 형성하여, 마감커버(840)의 끝단이 단부수용홈(814)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감커버(840)의 타측단에 대한 체결볼트로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안치고정홈(804)의 하부 일측에는 계지홈부(804a)를 형성하고, 안치고정홈(804)으로 삽입되는 필름고정구(82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계지홈부(804a)로 삽입되게 한 이탈방지턱(821)을 돌출 형성하며, 필름고정구(820)의 중앙에는 상측 개구 형태의 필름삽입홈(822)을 형성하여,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끝단이 권취 마감된 EPDM-Ring(610)이 상기 필름삽입홈(822)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필름고정구(820)를 안치고정홈(804)에 삽입 계지시킴에 따라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장력이 필름고정구(820)에 작용하더라도 계지홈부(804a)와 이탈방지턱(821)의 상호 계지력에 의해 필름고정구(820)가 안치고정홈(80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단바(800)의 상부 일측에는 외향 돌출의 받침플랜지(806)을 돌출 형성하고, 하부탄력부재(830)의 저면 일측에는 상단바(800)의 결합T홈(805)으로 삽입되게 한 결합돌부(831)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T홈(805)에 의해 고정된 하부탄력부재(830)가 상기 받침플랜지(806) 상에 밀착 거치되게 하되, 하부탄력부재(830)의 일측 끝단에는 하향 절곡된 경사유도부(832)를 더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측부바(900) 및 하단바(1000)의 상부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끼움고정홈(903)(1003)과 안치고정홈(904)(1004)과 결합T홈(905)(1005)을 순차 형성하여, 끼움고정홈(903)(1003)에는 별도 구비된 상부탄력부재(910)(1010)의 하부 일측이 삽입 고정되게 하고, 안치고정홈(904)(1004)에는 별도 구비된 필름고정구(920)(1020)가 안치 고정되게 하며, 결합T홈(905)(1005)으로는 별도 구비된 하부탄력부재(930)(1030)가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하되, 측단바(900) 및 하단바(1000)의 상부에 하부탄력부재(930)(1030)를 선행하여 고정한 후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된 필름고정구(920)(1020)와 상부탄력부재(910)(1010)를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하고, 상기와 같은 상부탄력부재(910)(1010)의 상측에는 별도 구비의 마감커버(940)(1040)를 밀착시킨 후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가 마감커버(940)(1040)를 관통하여 상기의 끼움고정홈(903)(1003)으로 나사 결합되게 고정함으로써, 마감커버(940)(1040)의 밀착 가압력에 의한 상부탄력부재(910)(1010) 및 하부탄력부재(930)(1030)는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상면 및 저면에 대한 수밀 상태로의 탄력지지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부탄력부재(910)(1010)의 저면 일측에는 양측으로 상향걸림구(911)(1011)가 돌출 형성된 걸림고정부(912)(1012)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상부탄력부재(910)(1010)의 저면 타측으로는 경사상으로 반복하여 하향 돌출된 탄력밀착부(913)(1013)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부탄력부재(910)(1010)의 상부 일측에는 마감커버(940)(1040)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게 한 단부수용홈(914)(1014)을 형성하여, 마감커버(940)(1040)의 끝단이 단부수용홈(914)(1014)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감커버(940)(1040)의 타측단에 대한 체결볼트로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안치고정홈(904)(1004)의 하부 일측에는 계지홈부(904a)(1004a)를 형성하고, 안치고정홈(904)(1004)으로 삽입되는 필름고정구(920)(102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계지홈부(904a)(1004a)로 삽입되게 한 이탈방지턱(921)(1021)을 돌출 형성하며, 필름고정구(920)(1020)의 중앙에는 상측 개구 형태의 필름삽입홈(922)(1022)을 형성하여,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끝단이 권취 마감된 EPDM-Ring(610)이 상기 필름삽입홈(922)(1022)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필름고정구(920)(1020)를 안치고정홈(904)(1004)에 삽입 계지시킴에 따라 고기능 불소수지필름(600')의 장력이 필름고정구(920)(1020)에 작용하더라도 계지홈부(904a)(1004a)와 이탈방지턱(921)(1021)의 상호 계지력에 의해 필름고정구(920)(1020)가 안치고정홈(904)(100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측단바(900) 및 하단바(1000)의 상부 일측에는 외향 돌출의 받침플랜지(906)(1006)을 돌출 형성하고, 하부탄력부재(930)(1030)의 저면 일측에는 측단바(900) 및 하단바(1000)의 결합T홈(905)(1005)으로 삽입되게 한 결합돌부(931)(1031)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T홈(905)(1005)에 의해 고정된 하부탄력부재(930)(1030)가 상기 받침플랜지(906)(1006) 상에 밀착 거치되게 하되, 하부탄력부재(930)(1030)의 일측 끝단에는 하향 절곡된 경사유도부(932)(1032)를 더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측단바(900) 및 하단바(1000)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T형슬롯(906)(1006)을 더 형성하고, 상기의 T형슬롯(906)(1006)에는 별도 구비의 하단밀착부재(950)(105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하단밀착부재(950)(1050)는 상측에 상기 T형슬롯(906)(1006)으로 삽입 고정되는 체결돌부(951)(105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반복 형성된 경사돌기부(952)(1052)와 오목홈부(953)(1053) 및 하향곡면부(954)(1054)를 순차 형성하여, 상기 환기창(W)에 의한 환기구(F1)(F1')의 밀폐시 하단밀착부재(950)(1050)가 창틀바(700)(700')의 상면에 밀착 계지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30073665A 2023-06-08 2023-06-08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KR102636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665A KR102636016B1 (ko) 2023-06-08 2023-06-08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665A KR102636016B1 (ko) 2023-06-08 2023-06-08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016B1 true KR102636016B1 (ko) 2024-02-14

Family

ID=8989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3665A KR102636016B1 (ko) 2023-06-08 2023-06-08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0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033A (ja) * 1994-03-08 1995-09-26 Toshiba Eng & Constr Co Ltd 温室用天窓
KR20050067089A (ko) * 2003-12-26 2005-06-30 아사히 가라스 그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수지필름 피복 건조물
JP3894500B2 (ja) * 2002-06-12 2007-03-22 大出 武久 温室における天窓の構造
KR101799020B1 (ko) 2017-08-23 2017-11-17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온실의 경질필름 고정장치
JP3239681U (ja) * 2022-07-14 2022-11-02 サンキンB&G株式会社 連棟型農業用温室の骨格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033A (ja) * 1994-03-08 1995-09-26 Toshiba Eng & Constr Co Ltd 温室用天窓
JP3894500B2 (ja) * 2002-06-12 2007-03-22 大出 武久 温室における天窓の構造
KR20050067089A (ko) * 2003-12-26 2005-06-30 아사히 가라스 그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수지필름 피복 건조물
KR101799020B1 (ko) 2017-08-23 2017-11-17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온실의 경질필름 고정장치
JP3239681U (ja) * 2022-07-14 2022-11-02 サンキンB&G株式会社 連棟型農業用温室の骨格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38528A1 (en) Louvered Panel Assembly
US8387319B1 (en) Solar panel securing assembly for sheet metal sloping roofs
KR100947060B1 (ko) 온실용 프레임 및 온실 구조
IL30801A (en) Rigid tensioned frame structures
CN102099930A (zh) 太阳能电池阵列支承方法和系统
KR102260055B1 (ko) 배수 기능이 구비된 천장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구조
US20030159364A1 (en) Light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s
CN105028030A (zh) 一种可调透光率的光伏发电温室
KR102636016B1 (ko)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의 환기장치
CN109729884A (zh) 一种青稞模拟气箱
KR102452128B1 (ko) 영농지에 구축된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
CA2751963C (en) Solar panel securing assembly for sheet metal sloping roofs
KR102626681B1 (ko)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이 적용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CN104350977B (zh) 食用菌用光伏大棚
KR102626686B1 (ko) 고기능 불소수지필름을 채용한 스마트팜 시스템용 온실 구조체
MX2013004168A (es) Invernadero de tipo compartimiento con rendimiento optimo.
Waaijenberg et al. The solar greenhouse: A highly insulated greenhouse design with an inflated roof system with PVDF or ETFE membranes
JP6842743B2 (ja) ソーラ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KR100762119B1 (ko) 차양장치용 슬랫
KR100575429B1 (ko) 골조고정구
RU2101918C1 (ru) Теплиц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тепличных культур и рассады
Roberts Glazing materials, structural design, and other factors affecting light transmission in greenhouses
CN206629582U (zh) 一种光伏巨型日光温室
CN220755775U (zh) 一种新型农业种植大棚
CN209788007U (zh) 一种玻璃连栋温室大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