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128B1 - 영농지에 구축된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 - Google Patents

영농지에 구축된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128B1
KR102452128B1 KR1020200131521A KR20200131521A KR102452128B1 KR 102452128 B1 KR102452128 B1 KR 102452128B1 KR 1020200131521 A KR1020200131521 A KR 1020200131521A KR 20200131521 A KR20200131521 A KR 20200131521A KR 102452128 B1 KR102452128 B1 KR 10245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ng wind
photovoltaic panel
strong
farmland
sola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688A (ko
Inventor
민승기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병이 filed Critical 민승기
Publication of KR2021007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25Wind breakers, i.e. devices providing lateral protection of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Abstract

본 발명은 영농지에 구축된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과수원이나 비닐하우스, 벼재배 단지와 같은 농지에서, 태풍이나 냉해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태양광발전판의 저측단에 연계되는 강풍유도벽을 연결로서 농작물이나 시설물에 대한 강풍이나 냉해 피해 방지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에서 외부로 노출된 과수목이나 원예단지에서는, 기후변화로 더 강력해진 강풍으로 발생되는 피해는 농가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것이다.
고로 농지(70), 비닐하우스로 형성된 원예단지(65)와 같은 경작지의 가장자리에다 기둥(66)과 고정앵글(68)의 설치되면서 강풍유도용으로 구축되도록 좌우 길이방향이면서 이격간격(라) 유지로 설치되는 복수의 태양광발전장치(80)과, 상기 태양광발전장치(80)에는 경사지게 설치된 태양광발전판(83)와,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을 형성하는 발전소자인 모듈(86)의 하측에 연결빔(92)이 연장으로 확대된 구간에 형성되는 연결수단(69)이 구비되면서 이격간격(라) 구간을 연결함으로서, 강풍유도하도록 강풍유도판(91)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연결용 조립구(77)와,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의 하측단에서 연결로 강풍유도시켜서 이격간격(라)으로 더 확대하여 주는 제2강풍유도판(191)과, 상기 제2강풍유도판(191)의 양측에 돌출로 이격간격(라)을 연결하는 조립구(77)와, 상기 연결수단(69)과 조립구(77)를 조립으로 걸어줌으로서, 태양광발전판(83)의 하측단에 개구된 통과공간(가)과 이격간격(라)을 카버로서 농지(70)로 유입되는 강풍을 공중으로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영농지에 구축된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the sunlight constructed in the agricultural land, and the solar energy generating plate for the strong wind induction}
본 발명은 영농지에 구축된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후변화에 따른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강풍이나 폭염 등이 과수원이나 실내작업장, 논밭과 같은 단지와 같은 영농지에서 피해를 감소시켜서, 영농지의 태풍피해, 조명, 실온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태양광, 공기배출구를 겸용으로 제공으로 농작물이나 시설물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여 주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풍, 냉해 피해의 빈도가 높아지는 현상이며, 또한 기술의 발달로 태양광발전 모듈의 설치장소가 건축물, 영농지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로 다변화된 환경에 대응하는 신재생에너지 시설의 증가가 요구되는 현실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기술개발의 효과로 농지 또는 원예단지에 태양광발전 모듈을 설치하여서 신재생발전을 수행하여 주지만, 기후변화의 강도가 과도하는 경우, 구조적으로 보강되는 융합적인 구조의 제공으로 효과를 제공하여 주기 위함이며, 이에 대한 일예에는 태양광발전판의 설치로 영농지역에 별로 지장이 없도록 적용하는 발명이다.
이는 영농지에서 계절에 따라 강풍, 기온의 변화에 대한 냉해, 폭연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현실로서, 기술개발로 일기예보가 발달되면서 기온, 바람의 방향 및 풍력의 세기를 예보하는 시대에서는 무인 구동이 가능한 시대이다.
또한 강풍이 많은 지역에는 방풍림을 심어서 피해를 줄여주고 있으나, 방풍림 조성에는 장기간 필요하며, 신재생에너지는 무공해전력으로서, 설치장소의 부족으로 가능한 설치장소가 필요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영농단지와 같은 시설물에 인접으로서, 태풍피해에 대한 내구성 보강구조가 필요한 것이다.
또한 기후변화로 나타나는 태풍, 강풍, 냉해 등은 농작물 경작에 대한 피해가 점점 증가하는 현상이며, 또한 직사광을 영농공간에 반사로 제공하는, 즉 영농지에 대한 기온을 보강으로 피해방지에 대한 대책으로서, 이는 가능한 강풍이나 냉풍이 부는 바람 방향으로 복수의 태양광발전장치를 소정의 간격으로 태양광발전판(이하; 발전판이라 칭한다)을 구축이며, 이는 강풍이 경사지는 발전판으로 공중으로 유도로서, 농작물이나 시설물의 피해방지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발전판을 연속적으로 복수의 발전판을 좌우방향으로 구축으로, 강풍의 유도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발전판의 설치구조에서 지지기둥으로 형성되는 발전판의 통과구간(가)이나 복수로 설치된 발전판 사이의 이격간격(나)사이로 유입되는 강풍에 대한 대비가 요구되는 것이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지, 과수원, 원예단지 등에서 강풍이나 냉해의 피해가 예상되는 구간에다,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경사지는 태양광발전판를 연속적으로 설치로서, 불어주는 강풍을 공중으로 유도시켜 주는 발명은 본인의 선발명된 풍해방지겸용 태양광발전판(10-1014755호,1176418)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공중에 노출로 설치되는 태양광발전판은 기후변화와 태양광의 비침에 따라 태양광발전판의 표면온도가 여름철의 폭염기에는 영농에 과도할 정도로 폭염상태로 가열되는 것이다.
이는 폭염기에는 가축을 사육하는 경우, 사육공간이 폭염상태로 가열로서 열사병의 발생염려가 되며, 또한 추운겨울철이나 초봄의 환절기에는 꽃에 냉해가 발생함으로서, 착상이 불량하여 과수열매의 결실이 매우저조하는 것이다.
또한 논이나 밭과 같이 넓은 면적에서 곡물을 재배하는 경우, 본 발명의 태양광발전모듈의 적용으로서,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아울러 사욕공간에 태양광을 굴절로 비춰줌으로서, 농작물이나 가축의 성장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작물상장 보강으로 농가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하여 주기 위함이다.
또한 영농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영농시설물의 구조가 넓은 면적이면서 더 정교하게 반자동적으로 발전하는 상태이다.
고로 상기 고도의 영농시설에 대하여 자연재해에 대한 적절한 피해방지 대책의 요구되는 현실이다.
따라서 계절풍에 따른 강풍이 불어주는 경우, 소정의 이격간격으로 설치되는 태양광발전모듈의 경사도에 따라 공중으로 유도함으로서, 강풍에 의한 농작물이나 과수원에서 낙과하는 손실을 방지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이는 바람이 부는 방향의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북수의 발전판 사이의 이격간격이나 저측공간에 부는 강풍을 유도로서, 전체적으로 강풍을 비스듬한 태양광발전판에서 경사지는 공중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함이다.
여기서 발전판의 저측단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대를 구비시켜 주되, 돌출된 연결대의 고정구에서 행거 또는 힌지 등으로 조립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제1강풍유도벽을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을 지지하는 지지기둥 사이의 공간에다 롤링형으로 구동하는 방지벽 조립으로서, 지지기둥 사이로 유입되는 강풍을 태양광발전판으로 공중유도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히 농지 또는 원예단지에서 설치되는 광폭으로 형성되는 면적의 태양광발전판에 비치는 태양광의 일부를 유도시켜서 영농지에 비춰주면, 태양광발전판으로 가려지는 태양광을 우회로 만곡시켜 비춰줌으로서, 영농지에서 경작하는 농산물이나 가축에 대한 성장성을 보강시켜 주며, 또한 상기 태양광유도구는 폭념기에 영농지에 쌓이는 폭염의 공기를 배출로서, 영농지에 대한 환기를 촉진으로서, 공기 조절역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내작업장이나 비닐하우스 단지에서 강풍이나 폭염에 대한 피해를 방지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발전판의 저측단에는 지지기둥으로 고정시켜서 설치하되, 강풍이 부는 시간에 따라 원격조정 가능한 롤링형방풍막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방풍벽(강풍에 대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벽;이하 방풍벽이라 칭한다)에서 강풍에 대한 내구성이 보강하기 위함이며, 이는 폐비닐체로 압출된 비닐체의 인장력과 만곡성은 강풍에 대한 내구성을 제공하면서, 폐비닐체의 활용으로서 이는 경제성, 실용성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소정의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비닐체로 형성하여 주며, 이는 강풍에 대한 유연성을 위하여 내측공간에 유연성 굴곡 구조로 유연성 완충구조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는 강풍으로 요동치는 벽체에 흔들리는 요동성으로 내구성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농지(70), 비닐하우스로 형성된 원예단지(65)와 같은 경작지역(71)의 가장자리에다, 기후변화와 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작지의 폭염, 냉해피해를 감소시켜 주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증대시켜 주도록, 기둥(66)과 고정앵글(68)의 설치로서 저측에 경작지역(71)인 하측공간이 구비되면서 상측에 강풍유도용으로 경사지게 구축되는 태양광발전판(83)이, 좌우 길이방향이면서 이격간격(라) 유지하면서 기둥(66)과 빔(67)으로 경작지역(71)이 조성되는 복수의 태양광발전판(83)이 각각 경사지게 설치된 고정앵글(68)에 조립되는 태양광발전판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의 상측단에서 고정앵글(68)의 연장으로 설치되는 태양광 유입구(87)과, 상기 유입구(87)을 태양광발전판(83)의 배면공간인 경작지역(71)에 반사로 유도시켜 주기 위하여, 태양광유입공간(90)이 형성되도록 만곡으로 조립된 반사대(110)와,
상기 반사대(110)에서 반사로 굴절되는 태양광유입공간(90)에다, 태양광발전판(83)의 저면에 공정으로 돌출되는 맞추어서, 태양광굴절용 복수의 보조반사대(111)을 태양광발전판(83)의 저측면에 고정시켜 주어서, 태양광이 경작지역(71)에 비춰주고, 상기 복수의 보조반사대(111)에서 태양광발전판(83)의 저면에 가열공간(107)과 통과구(106)의 관통으로, 폭염기간에 경작지역(71)의 고온을 태양광유입공간(90)으로 엮류로 환기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을 형성하는 발전소자인 모듈(86)의 하측에 연결빔(92)이 연장으로 확대된 구간에 형성되는 연결수단(69)과, 상기 연결수단(69)에 연결되는 걸이구(73)가 구비되면서 이격간격(라) 구간에서 광풍유도를 보강하도록 강풍유도판(91)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연결용 조립구(77)와,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의 하측단에서 강풍유도시켜 주면서 이격간격(라)으로 더 확대(b)하여 주도록 연결되는 제2강풍유도판(191)과, 상기 제2강풍유도판(191)의 양측으로 돌출로 이격간격(라)의 이격간격을 조립하는 조립구(77)와, 상기 연결수단(69)과 조립구(77)를 조립으로 걸어주되 하측으로 고정대(79)에 밴드(82)로 고정으로서, 태양광발전판(83)의 하측단에 개구된 통과공간(가)과 이격간격(라)을 카버시켜 주는 제2강풍유도판(191)로; 농지(70)로 유입되는 강풍을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강풍유도판(91)을 모듈(86)이 구비된 제2태양광발전판(183)으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태양광발전판(83)과 지지기둥(166) 사이에 회전링구(168)가 조립된 하우징(170)으로 설치시켜 주되, 태양광발전판(83)의 상측단에 대칭구조로 완충간격(a)이 구비되는 연결수단(94)과, 상기 연결수단에 조립되는 강풍유도판(91)에 구비된 연결고리(96)의 조립으로, 계절에 따른 강풍의 유입방향 변경에 따라 교환사용하도록,상기 강풍유도판(91)에 제2태양광발전판(183)의 구비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83)과 지지기둥(166)의 상측단을 고정시켜 주는 회전드럼(178)과, 상기 제1회전드럼(178)은 태양광발전판(83)의 저측단에 구비로서 회전하는 강풍유도판(191)과, 상기 강풍유도판(191)의 구동을 위한 제1회전드럼(178)의 회전으로, 통과구간(가)에 유입되는 광풍을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의 저측 단부에 맞추어 설치되는 제1회전드럼(178)과, 상기 제1회전드럼(178)을 별도의 지지기둥(198)의 하측단에 설치하는 제2회전드럼(179)과,
상기 상,하측의 제1,2회전드럼(178)(179) 사이에는 롤링으로 감아주는 방지벽(192)을 감아서 강풍의 유입공간(다)을 차단이나 개방을 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삭제
본 발명은 방풍벽으로서, 과수원이나 논, 밭에서 강풍피해가 예상되는 구간에서, 영농지의 가장자리에 태양광발전판에 설치로 방풍피해방지를 위한 벽체를 제공함과 동시에 태양광을 영농공간에 유도와 아울러 공기의 환기를 제공함으로서, 강풍을 공중방향으로 유도하거나, 직사광선에 의한 피해방지를 제공시켜 주기 위함으로서,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강풍, 냉해를 방지로서, 영농에 대한 경제성을 보강시켜 주는 발명이다.
도1는 종래에 제공된 요부의 부분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4,5는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6은 도5에서 요부에 대한 일부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현장시공에 대한 요부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요부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
도9는 도8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10는 도9에서 사용상태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
도11는 도10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12는 도11에서 B-B선 단면도
도13,14는 도12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조립 공정도
기후변화에 따른 경작지의 폭염, 냉해피해를 감소시켜 주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증대시켜 주도록, 기둥(66)과 고정앵글(68)의 설치로서 저측에 경작지역(71)인 하측공간이 구비되면서 상측에 강풍유도용으로 경사지게 구축되는 태양광발전판(83)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넓은 면적의 경작지(70)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서, 신재생발전과 아울러 기후변화에 따른 영농환경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좌우 길이방향이면서 이격간격(라) 유지하면서 기둥(66)과 빔(67)으로 경작지역(71)이 조성되는 복수의 태양광발전판(83)이 각각 경사지게 설치된 고정앵글(68)에 조립되는 태양광발전판에다. 기후변화에 따른 친환경적인 영눙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의 상측단에서 고정앵글(68)의 연장으로 설치되는 태양광 유입구(87)과, 상기 유입구(87)을 태양광발전판(83)의 배면공간인 경작지역(71)에 반사로 유도시켜 주기 위하여, 태양광유입공간(90)이 형성되도록 만곡으로 조립된 반사대(110)와,
상기 반사대(110)에서 반사로 굴절되는 태양광유입공간(90)에다, 태양광발전판(83)의 저면에 공정으로 돌출되는 맞추어서, 태양광굴절용 복수의 보조반사대(111)을 태양광발전판(83)의 저측면에 고정시켜 주어서, 태양광이 경작지역(71)에 비춰주고, 상기 복수의 보조반사대(111)에서 태양광발전판(83)의 저면에 가열공간(107)과 통과구(106)의 관통으로, 폭염기간에 경작지역(71)의 고온을 환기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농지나 건축지역에서 강풍의 피해를 방지시켜 주기 위하여, 지지기둥의 설치로 지상에서 상향으로서 형성되는 간격, 즉 풍력의 통과구간(가)과, 복수의 태양광발전장치(80)를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완충간격인 이격간격(라)으로 통과되는 강풍을 효과적으로 공중으로 유입을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을 형성하는 발전소자인 모듈(86)의 하측에 연결빔(94)이 연장으로 확대된 구간에 형성되는 연결수단(69)과, 상기 연결수단(69)에 연결하도록 걸이구(73)가 구비되면서 이격간격(라) 구간을 연결로 광풍유도 보강하도록 강풍유도판(9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서 이격간결(라)으로 확장시켜 주도록 연결용 조립구(77)와,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의 하측단에서 연결로 강풍을 유도시켜 주면서 이격간격(라)으로 더 확대하여 주도록 연결되 제2강풍유도판(191)과, 상기 제2강풍유도판(191)의 양측으로 돌출로 이격간격(라)의 이격간격에 연결되도록 조립하 조립구(77)와, 상기 연결수단(69)과 조립구(77)를 조립으로 걸어주되 하측으로 고정대(79)에 밴드(82)로 고정으로서, 농지로 부는 강풍을 공중으로 유도시켜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태양광발전판(83)의 하측단에 개구된 통과공간(가)과 이격간격(라)을 카버시켜 주는 제2강풍유도판(191)으로 농지(70)로 유입되는 강풍을 공중으로 유도시켜 주어서, 농지(70)로 유입되는 강풍을 공중으로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강풍은 계절에 따라 서북풍, 동남풍으로 나누어 불어주며, 기술개발의 여파로 일기예보가 발달되면서 기온, 바람의 방향 및 풍력의 세기를 예보하는 시대가 열려있는 시대이다.
또한 태양광발전판에서 이동하는 햇볕의 조사에 맞추어서 태양광발전판을 회전하여서 발전효과를 보강시켜 주는 발명으로서, 지지기둥의 상측단에다 회전체가 결속된 하우징으로 회전구동하는 태양광발전판을 제공이며, 이는 햇볕의 비치는 각도에 따라 발전판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주는 발전장치는 햇볕이나 강풍의 부는 방향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과정에서 모듈에 대한 오염이나 충격에 의한 고장에 대한 내구성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계절에 의한 강풍이 부는 방향의 변화와, 태양의 이동에 따른 발전판의 효과를 보강시켜 주기 위한 발명으로서, 상기 강풍유도판(91)을 모듈(86)이 구비된 제2태양광발전판(183)으로 형성시켜 주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제공시켜 주고,
상기 태양광발전판(83)과 지지기둥(166) 사이에 회전링구(168)가 조립된 하우징(170)으로 설치시켜 주되, 태양광발전판(83)의 앵글(68)의 절곡으로 하향되는 완충간격(a)이 구비되는 연결수단(94)을, 태양광발전판(83)의 상측단에 대칭구조로 완충간격(a)이 구비되는 연결수단(94)을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에 강풍유도판(91)에 구비된 연결고리(96)로 조립시켜 줌으로서, 계절에 따른 강풍의 유입방향 변경에 따라 교환사용으로 강풍유도의 보강과 아울러 장기적인 내구성을 보강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강풍유도판(91)에서 신재생발전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2태양광발전판(183)의 구비로 제공되는 발명이다.
[일실시예의 1]
상기 광풍유도판(191)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모바일의 프로그램의 발달로 인하여, 무인상태에서 강풍에 대한 효과적으로 조절을 위한 발명으로서,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9 내지 도12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태양광발전판(83)과 지지기둥(166)의 상측단을 고정시켜 주는 회전드럼(178)과, 상기 제1회전드럼(178)은 태양광발전판(83)의 저측단에 구비로서 회전하는 강풍유도판(191)과, 상기 강풍유도판(191)의 구동을 위한 제1회전드럼(178)의 회전으로, 통과구간(가)에 유입되는 광풍을 공중방향으로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방풍벽(강풍에 대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벽;이하 방풍벽이라 칭한다)에서 강풍에 대한 내구성이 보강하기 위함이며, 이는 텐트지, 천막지, 폐비닐체로 압출된 비닐시트지는 인장력과 만곡성은 강풍에 대한 내구성을 제공하면서, 폐비닐체의 활용으로서 이는 경제성, 실용성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텐트지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 또한 비닐시트에는 강풍에 대한 유연성을 위하여 내측공간에 유연성 굴곡 구조로 유연성 완충구조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강풍으로 요동치는 벽체에 흔들리는 요동성으로 내구성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되는 원격조절 모바일의 이용으로, 롤링으로 감아주는 방지벽(192)의 구동에 따른 내구성을 보강시켜 주기 위한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13 내지 도14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의 저측 단부에 고정되는 지지기둥(198)에 맞추어 설치되는 제1회전드럼(178)과, 상기 제1회전드럼(178)을 지지기둥(198)의 하측단에 별도로 설치하는 제2회전드럼(179)과,
상기 상,하측의 제1,2회전드럼(178)(179) 사이에는 롤링으로 감아주는 방지벽(192)을 감아서 차단이나 개방을 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농지지역의 가장자리에, 태양광발전과 아울러 기후변화에 따른 강풍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농촌지역의 인력의 부족현상으로 모바일 등의 자동화기술을 접목으로, 구동함이 목적이며, 이는 좌우방향으로 구축된 태양광발전장치(80)에서 발전판발전판(83)의 통과구간(가)과, 복수의 태양광발전판(83) 사이사이의 이격구간(라)에서 효과적으로 강풍을 공중으로 유도로서, 강풍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는데 목적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65 : 원예단지 66 : 기둥 68 : 고정앵글 69 : 연결수단
70 : 농지 71 : 경작지역 72 : 시설물 73 : 걸이구 75 : 축사 76 : 지붕
77 : 조립구 79 : 고정대 80 : 태양광발전장치 81 : 행거 82 : 밴드
83 : 태양광발전판 85 : 풍력유도판 86 : 모듈 87 : 태양광유입구
88 : 풍력유도대 89 : 반사유도대 90 : 태양광유입공간
91 : 풍유도판 92 : 연결빔 94 : 연결수단 96 : 연결고리
98 : 환기공간 103 : 통과구 106 :통과구 107 : 가열공간
119 : 반사판 178 : 제2회전드럼 191 : 제2강풍유도판

Claims (6)

  1. 농지(70), 비닐하우스로 형성된 원예단지(65)와 같은 경작지역(71)의 가장자리에다, 기후변화와 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작지의 폭염, 냉해피해를 감소시켜 주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증대시켜 주도록, 기둥(66)과 고정앵글(68)의 설치로서 저측에 경작지역(71)인 하측공간이 구비되면서 상측에 강풍유도용으로 경사지게 구축되는 태양광발전판(83)이, 좌우 길이방향이면서 이격간격(라) 유지하면서 기둥(66)과 빔(67)으로 경작지역(71)이 조성되는 복수의 태양광발전판(83)이 각각 경사지게 설치된 고정앵글(68)에 조립되는 태양광발전판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의 상측단에서 고정앵글(68)의 연장으로 설치되는 태양광 유입구(87)과, 상기 유입구(87)을 태양광발전판(83)의 배면공간인 경작지역(71)에 반사로 유도시켜 주기 위하여, 태양광유입공간(90)이 형성되도록 만곡으로 조립된 반사대(110)와,
    상기 반사대(110)에서 반사로 굴절되는 태양광유입공간(90)에다, 태양광발전판(83)의 저면에 공정으로 돌출되는 맞추어서, 태양광굴절용 복수의 보조반사대(111)을 태양광발전판(83)의 저측면에 고정시켜 주어서, 태양광이 경작지역(71)에 비춰주고, 상기 복수의 보조반사대(111)에서 태양광발전판(83)의 저면에 가열공간(107)과 통과구(106)의 관통으로, 폭염기간에 경작지역(71)의 고온을 태양광유입공간(90)으로 엮류로 환기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영농지에 구축되는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을 형성하는 발전소자인 모듈(86)의 하측에 연결빔(92)이 연장으로 확대된 구간에 형성되는 연결수단(69)과, 상기 연결수단(69)에 연결되는 걸이구(73)가 구비되면서 이격간격(라) 구간에서 광풍유도를 보강하도록 강풍유도판(91)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연결용 조립구(77)와,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의 하측단에서 강풍유도시켜 주면서 이격간격(라)으로 더 확대(b)하여 주도록 연결되는 제2강풍유도판(191)과, 상기 제2강풍유도판(191)의 양측으로 돌출로 이격간격(라)의 이격간격을 조립하는 조립구(77)와, 상기 연결수단(69)과 조립구(77)를 조립으로 걸어주되 하측으로 고정대(79)에 밴드(82)로 고정으로서, 태양광발전판(83)의 하측단에 개구된 통과공간(가)과 이격간격(라)을 카버시켜 주는 제2강풍유도판(191)로; 농지(70)로 유입되는 강풍을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영농지에 구축되는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풍유도판(91)을 모듈(86)이 구비된 제2태양광발전판(183)으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태양광발전판(83)과 지지기둥(166) 사이에 회전링구(168)가 조립된 하우징(170)으로 설치시켜 주되, 태양광발전판(83)의 상측단에 대칭구조로 완충간격(a)이 구비되는 연결수단(94)과, 상기 연결수단에 조립되는 강풍유도판(91)에 구비된 연결고리(96)의 조립으로, 계절에 따른 강풍의 유입방향 변경에 따라 교환사용하도록, 상기 강풍유도판(91)에 제2태양광발전판(183)의 구비로 제공되는 영농지에 구축되는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83)과 지지기둥(166)의 상측단을 고정시켜 주는 제1회전드럼(178)과, 상기 제1회전드럼(178)은 태양광발전판(83)의 저측단에 구비로서 회전하는 강풍유도판(191)과, 상기 강풍유도판(191)의 구동을 위한 제1회전드럼(178)의 회전으로, 통과구간(가)에 유입되는 광풍을 유도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영농지에 구축되는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83)의 저측 단부에 맞추어 설치되는 제1회전드럼(178)과, 상기 제1회전드럼(178)을 별도의 지지기둥(198)의 하측단에 설치하는 제2회전드럼(179)과,
    상기 상,하측의 제1,2회전드럼(178)(179) 사이에는 롤링으로 감아주는 방지벽(192)을 감아서 강풍의 유입공간(다)을 차단이나 개방을 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영농지에 구축되는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
  6. 삭제
KR1020200131521A 2019-12-09 2020-10-13 영농지에 구축된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 KR102452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63003 2019-12-09
KR1020190163003 2019-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688A KR20210072688A (ko) 2021-06-17
KR102452128B1 true KR102452128B1 (ko) 2022-10-07

Family

ID=7660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521A KR102452128B1 (ko) 2019-12-09 2020-10-13 영농지에 구축된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141B1 (ko) 2023-05-23 2024-03-14 (주)에스코 근적외선 흡수 염료를 이용한 농작물의 냉해 및 동해 방지를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256B1 (ko) 2021-11-30 2022-11-21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수직형 영농 태양광발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755B1 (ko) 2008-08-07 2011-02-17 민승기 풍해방지 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JP2013175520A (ja) 2012-02-23 2013-09-05 Senko Denki Co Ltd 太陽光発電装置
JP2017029120A (ja) 2015-08-06 2017-02-09 ファームランド株式会社 太陽光パネル付土耕栽培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741A (ko) * 2000-04-25 2001-11-08 원인호 인호식 전천후 복합에너지 생산장치
KR101924635B1 (ko) * 2013-11-13 2019-02-22 민승기 태양광 유도대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판용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755B1 (ko) 2008-08-07 2011-02-17 민승기 풍해방지 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JP2013175520A (ja) 2012-02-23 2013-09-05 Senko Denki Co Ltd 太陽光発電装置
JP2017029120A (ja) 2015-08-06 2017-02-09 ファームランド株式会社 太陽光パネル付土耕栽培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141B1 (ko) 2023-05-23 2024-03-14 (주)에스코 근적외선 흡수 염료를 이용한 농작물의 냉해 및 동해 방지를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688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o et al. Energy sustainable greenhouse crop cultivation using photovoltaic technologies
JP5683733B2 (ja) 農場兼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2452128B1 (ko) 영농지에 구축된 태양광, 강풍유도용 태양광발전판
CN206791172U (zh) 一种可分区调整遮光的太阳能大棚
JP2020534805A (ja) 農業施設に設置可能な太陽光発電プラント
CN104885784A (zh) 利用智能阳光温室实现全年吊袋栽培黑木耳的工艺
CN201733671U (zh) 一种球形温室大棚
WO2020250261A1 (en) Greenhouse with photovoltaic system
CN101322464A (zh) 太阳能多用有机农畜品高产大田温室
JP2008253241A (ja) 自動回転式多段型水耕栽培装置
KR102114528B1 (ko) 조림수에서 공기정화용 에너지 포집장치
JP3199175U (ja) ソーラーパネルを備えた栽培ハウス
KR20190039482A (ko)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가 구비된 축사용 시설물
Montero et al. Advances in greenhouse design
CN109275456A (zh) 一种光伏日光温室系统
CN101530043A (zh) 太阳能有机农产品禽畜品高产多用大型温室
KR102085248B1 (ko) 내 재해형 고단열 비닐하우스
JP2020184987A (ja) ソーラ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CN209676966U (zh) 一种可调倾角的光伏结构
TWM584414U (zh) 移動式太陽能板支架
TW202041820A (zh) 移動式太陽能板支架
CN219248687U (zh) 大棚土壤跨季度储供热系统及太阳能光热储能供热温室
US11980146B2 (en) Agricultural photovoltaic structure with controlled cooling
US20230318523A1 (en) Electrical energy production plant that can be installed on structures and/or agricultural grounds
KR102279501B1 (ko) 반사경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