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564B1 -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564B1
KR101505564B1 KR1020120022906A KR20120022906A KR101505564B1 KR 101505564 B1 KR101505564 B1 KR 101505564B1 KR 1020120022906 A KR1020120022906 A KR 1020120022906A KR 20120022906 A KR20120022906 A KR 20120022906A KR 101505564 B1 KR101505564 B1 KR 101505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vinyl
curved
bracket
cov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851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2002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5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cover)블럭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외측 가장자리에다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로 씌움으로 조립되도록 설치하는 비닐하우스의 내측공간에 대한 보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비추는 햇볕이나 기온의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실내온도을 작업하기 용이한 온도로 보온시켜 주도록 결합되는 커버블럭과 아울러 상기 커버블럭에 의한 실내의 보온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변두리 지역 또는 하천 등의 저지대 등에서는, 원예 등의 경작을 위하면서 계절에 관계없이 영농을 위하는 비닐하우스 등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시공 현장을 위한 일실시예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측구간을 만곡되는 볼록부(28)가 연속적으로 일정 간격으로인 간격으로 구성되는 골재(11)의 외측면을 비닐(12)로 감싸줌으로서 경작지를 위한 실내공간이 형성되는 비닐하우스(10)와,
상기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의 양측으로 경사지는 비닐에다 씌워주도록, 연속 반복적인 다수개로 구비시켜 주도록 결합되는 만곡프레임(21)의 양측 단부(22)의 고정대(26)와,
상기 양측 단부(22) 구간에는 고정끈(29)으로 당겨서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고정대(26)를 비닐체(24)로 외삽으로 씌움으로서 내측공간(27)을 형성시켜 주는 커버블럭(20)의 고정대(26)를 서로 엮어서 결속시켜 주는 고정고리(32)로, 비닐하우스(10)의 외측면으로 고정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커버블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6)를 일측이 고정구(63)이 관통되면서 타측에는 힌지(40)와 걸림척(56)이 돌출시켜 주는 만곡받침대(58)와, 상기 만곡받침대(58)에 결합된 힌지(40)와, 상기 힌지(40)에 고정된 결속관(51)으로 결합되는 고정받침대(58)으로 곡형받침대(60)와, 상기 곡형받침대(60)의 양측 단부의 고정구(63)에다 관통으로 결합되는 고정관(62)를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곡형받침대(60)의 양측으로 고정구(63)가 형성되는 고정받침대(58)를 구비시켜 주되, 상기 고정구(63)에 고정끈(57)으로 연결시켜 주고,
상기 비닐체(24)의 일측 구간(a)으로 흡열대(65)를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비닐체(24)의 일측 구간(a)으로 태양광발전판(25)를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고정관(62)에는 흡입구(68)가 형성된 유공관(70)의 구비로, 상기 내측공간(27)의 보온된 공기를 배출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Omitted}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cover)블럭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외측 가장자리에다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로 씌움으로 조립되도록 설치하는 비닐하우스의 내측공간에 대한 보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비추는 햇볕이나 기온의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실내온도을 작업하기 용이한 온도로 보온시켜 주도록 결합되는 커버블럭과 아울러 상기 커버블럭에 의한 실내의 보온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변두리 지역 또는 하천 등의 저지대 등에서는, 원예 등의 경작을 위하면서 계절에 관계없이 영농을 위하는 비닐하우스나 작업장을 위하는 건축물 등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비닐하우스용 비닐의 재질은 반투명 또는 거의 투명한 합성수지제 얇은 필름을 사용함으로, 이는 계절의 온도변화 또는 기후의 변화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실내 공간에 대한 보온을 위하도록, 외측 가장자리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발전장치의 표면에 대한 가열된 온도로 인하여 발전효율의 저하와 아울러 내구성의 저하로 연결이 되는 것으로서, 보다 더 실용적인 보온블럭에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혹한기에 내리는 폭설에 대한 피해가 발생을 함으로서, 상기 설명되는 골재의 지지력이 미약함으로 무너져 내리는 피해가 발생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되는 원예용 비닐하우스나 작업장용 건축물이나 창고 등의 설치는 주로 기온이 계절에 따라 부적합한 작물을 재배하되, 식생활에서 필요한 채소류 등을 주로 재배하게 되는 데, 이는 경제성 등을 위하여, 소정의 면적을 확보하여 주는 영농지에다 상기 비닐하우스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지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골재는 대부분 비닐하우스의 지지강도를 보강시켜 줌과 아울러 경량화로 제공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양측의 단부로 관통되는 내측구를 구비하는 즉, 파이프 구조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는 비닐하우스용 비닐의 외측면 구간에다 별도의 비닐체로 덮어주되, 상기 비닐체로 덮어줌으로서 형성되는 이격된 구간에는 관통구가 구비된 호오스를 소정의 간격으로 지그재그 형의 교호상으로 구비시켜 줌과 동시에, 가열된 공기를 분사시켜 줌으로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냉온을 차단하도록 제공되었다.
또한 상기 비닐의 외측 구간에 태양광발전판을 설치하여 줌과 아울러 외측 구간에는 호오스가 구비된 비닐체로 덮어 줌으로서, 혹서기에 비춰주는 태양의 가열에 의한 온도를 영농을 하는데 유용하기 사용하도록 제공을 위하는 발명이다.
즉 신재생에너지의 한 종류인 태양광 발전의 경우에서는 많은 발전량을 얻기 위하여서는, 이에 적절한 면적의 발전판을 설치하기 위하여서는 넓은 면적의 토지가 소요되고 있으나, 상기 태양광발전판의 경우에는, 공기 중의 분진이나 설해 또는 폭염에 의한 가열 등으로 장기간 사용하기에는 더 정교한 관리가 요구되는 것이다.
고로 겨울철의 혹한기에는 비치는 햇볕의 온기를 별도의 열저장시설로 저장을하여 주되,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 서서히 인출로 난방을 하여 주고,
또한 여름철의 혹서기에는 실내의 서늘하도록 온도를 낮춰주되, 별도의 저장시설에 대한 퇴비의 부숙온도 보강 및 건조 등으로 사용하도록 제공을 위한 발명이다. 따라서 본인의 선 발명 출원된(출원번호; 10-2012-0007616호) 비일하우스용 보온장치에 의하여 제공되었으나,. 상기 제공된 보온장치에 비교하여 시공현장에서의 더 경제적이면서 용이하게 설치가 되도록 제공을 위함이다.
영농지용 토지나 공휴지에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하는 비닐하우스 또는 작업장용 건축물의 외측 가장자리에다 태양광 발전 블럭을 서로 대칭적으로 안전한 공정으로 구축함과 동시에 상기 태양광발전판에 대한 보호커버와 아울러 보온을 위한 온기의 저장시설을 설치하여 주기 위함이다.
이는 보온을 위하도록 단면이 원통형의 비닐체의 내측공간에 맞추어서 힌지에 의하여 조립되면서 폭 구간으로 넓혀주면서 고정되도록 곡형받침대를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를 하여 주도록 제공함이다.
또한 건축물에서 경사지는 지붕의 면적에다 간단한 카버블럭의 양측 고정관으로 서로 조립 및 결합으로서 간단히 설치 및 정비가 용이하여 주도록 제공함이다.
상측구간을 만곡되는 볼록부(28)가 연속적으로 일정 간격으로인 간격으로 구성되는 골재(11)의 외측면을 비닐(12)로 감싸줌으로서 경작지를 위한 실내공간이 형성되는 비닐하우스(10)와,
상기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의 양측으로 경사지는 비닐에다 씌워주도록, 연속 반복적인 다수개로 구비시켜 주도록 결합되는 만곡프레임(21)의 양측 단부(22)의 고정대(26)와,
상기 양측 단부(22) 구간에는 고정끈(29)으로 당겨서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고정대(26)를 비닐체(24)로 외삽으로 씌움으로서 내측공간(27)을 형성시켜 주는 커버블럭(20)의 고정대(26)를 서로 엮어서 결속시켜 주는 고정고리(32)로, 비닐하우스(10)의 외측면으로 고정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커버블럭에 있어서,
삭제
상기 고정대(26)를 일측이 고정구(63)이 관통되면서 타측에는 힌지(40)와 걸림척(56)이 돌출시켜 주는 만곡받침대(58)와, 상기 만곡받침대(58)에 결합된 힌지(40)와, 상기 힌지(40)에 고정된 결속관(51)으로 결합되는 고정받침대(58)으로 곡형받침대(60)와, 상기 곡형받침대(60)의 양측 단부의 고정구(63)에다 관통으로 결합되는 고정관(62)를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곡형받침대(60)의 양측으로 고정구(63)가 형성되는 고정받침대(58)를 구비시켜 주되, 상기 고정구(63)에 고정끈(57)으로 연결시켜 주고,
상기 비닐체(24)의 일측 구간(a)으로 흡열대(65)를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비닐체(24)의 일측 구간(a)으로 태양광발전판(25)를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고정관(62)에는 흡입구(68)가 형성된 유공관(70)의 구비로, 상기 내측공간(27)의 보온된 공기를 배출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등으로 설치되는 넓은 면적의 비닐 구간에 카버블럭에 의하여 가열되는 보온력을 실내공간의 온도를 보온상태로 조절을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공간을 태양광 발전 장치인 발전블럭에 대한 공냉으로 순환되는 냉각장치를 설치함으로서, 보온을 위한 발전력을 효과적으로 보온을 위하면서 경제성을 보강하고 내구성을 제고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영농 및 화훼단지, 조립식 간이창고 등으로 사용되는 넓은 면적에서의 햇볕의 조사량의 조절 및 폭설에 의한 파손의 피해 및 강풍에 대한 피래를 줄여주도록 구축하여서 장기적으로 경제성을 보강시켜 주기 위함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조립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비닐하우스에 결합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조립을 위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된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C-C선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대한 현장 사용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대한 현장 사용을 위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12는 도 12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D-D선 단면도
도 14는 도 10의 요부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대한 현장 사용을 위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조립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비닐하우스에 결합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조립을 위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C-C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현장 사용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대한 현장 사용을 위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2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서 D-D선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0의 요부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대한 현장 사용을 위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고로 본 발명의 요부인 골재(11)와 비닐(12)으로 구비되는 비닐하우스(10)의 실내공간에 대하여 효과적인 실용성 및 경제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현장 시공을 위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볼록부(28)으로 형성되는 상측구간에서 만곡으로 구성시켜서 비닐하우스(10)를 설치를 위하는 소정의 길이구간에다, 2이상의 골재(11)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로 형성되는 볼록부(28)의 외측면 구간을 비닐(12)로 감싸줌으로서 경작지를 위한 실내공간이 형성되는 비닐하우스(10)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서 볼록부(28)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경사지는 비닐에다 조립으로 씌워주도록 제공을 위하여,
상기 비닐하우스(10)의 길이구간에 맞추어 만곡프레임(21)을 2 이상의 다수개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만곡프레임(21)의 양측 단부(22)를 각각 연결로 고정시켜 주도록 고정대(26)로 결합시켜 주고, 타측의 양측 단부(22) 구간에는 고정끈(29)을 당겨줌으로서 휘어진 상태의 볼록해진 만곡프레임(21)으로 고정시켜 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끈(29)과 만곡프레임(21)을, 본 발명의 목적인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에서 덮어주려는 길이에 맞추어 주도록, 상기 설명되는 고정끈(29)과 만곡프레임(21)을, 2 이상의 다수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주면서 2 이상의 다수개로 구비시켜 주는 구간에다 비닐체(24)을 외삽으로 구비시켜 주는 커버블럭(20)을 형성시켜 주도록 한다.
또한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는 비닐하우스(10)의 크기에 따른 볼록부(28)의 보온을 위하여, 상기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커버블럭(20)을 서로 중첩되도록 연속적으로 덮어주되, 서로 중첩된 커버블럭(20)의 양측의 고정대(26)를 서로 접합으로 고정되도록 고정고리(32)로 엮어서 결속시켜 줌으로서, 비닐하우스(10)의 외측면의 전체 구간을 서로 고정시켜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로 제공되는 만곡프레임(21)에 대한 현장시공을 위하는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상기 양측 단부에 고정대(26)이 형성된 만곡프레임(21)을 양측으로 분리시켜 주는 고정받침대(58)와 고정구(63)을 형성시켜 주되, 상기 분리된 만곡프레임(21)은 힌지(40)와 걸림척(56)이 돌출시켜 주는 만곡받침대(58)을 형성시켜 주되, 상기 만곡받침대(58)의 타측 단부에는 고정구(63)이 관통시켜 주도록 제공시켜 주는 곡형받침대(60)를 구비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설명되는 곡형받침대(60)에서 구비되는, 상기 힌지(40)에다 고정되는 결속관(51)과; 상기 고정구(63)에 고정되는 고정관(62)에다 연속 반복적으로 곡형받침대(60)을 고정을 한 다음, 상기 곡형받침대(60)을 비닐체(24)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줌으로서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즉 영농이나 창고(10) 등으로 구축시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닐하우스(10)의 대부분의 구조는, 중앙부가 볼록한 볼록부(28)가 만곡으로 볼록하여 주되, 양측 구간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주고 하측으로는 벽면형으로 구비된 골재(11)를 2이상의 다수개로 설치함으로서, 전체의 길이구간이 소정의 길이 구간으로 형성된 비닐하우스(10)로 제공되어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고로 지면에다 기소(30)로 매설되면서 돌출되면서 연속 반복적으로 2이상의 골재(11)을 다수개로 구축시켜 주되, 상기 연속적으로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면서 구축되는 골재(11)의 외측으로 비닐(12)을 외삽으로 고정시켜서 설치되는 비닐하우스(10)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되는 비닐하우스(10)에서 영농구간으로 제공되는 내측공간은 날씨의 변동에 따라 혹서기 또는 혹한기에의 기온의 변동이 심하므로, 이를 조절시켜 주기 위하여 보일러 또는 기타의 보온장치를 사용하여 줌으로서, 이에 따른 운영비의 과다로 귀결되는 것이다.
또한 혹서기에서의 태양광의 투사로 인하여 과열로 변화하는 실내공간에 대한 냉온을 위하여 상기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을 중심으로 경사면과 기둥부의 중간위치까지 별도의 차광제 등을 외삽으로 설치하여서 실내의 냉방을 위하여 주도록 제공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혹한기에는 보온을 위하여 별도의 직포나 비닐막 등을 외측부에 덮어서 실내온도의 손실을 차단시켜 주도록 제공시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 제공되는 본인의 선 발명에서는 혹한기에 불어주는 외풍이나, 혹서기에 비춰주는 태양광의 과열을 차단으로 보온을 유지하여 주기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설명되는 비닐하우스(10)의 돌출되는 볼록부(28)를 중심으로 양측의 폭 구간에 서로 연속으로 조립되는 커버블럭(20)을 제공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구간으로 형성되도록 만곡프레임(21)의 양측 단부(22)를 잡아당겨 줌으로서, 탄력적으로 만국된 상태로 고정되도록고정끈(29)으로 조여서 연결하여 주도록 제공시켜 준다.
삭제
또한 상기 만곡프레임(21)의 양측 단부(22) 사이를 연결되도록 엮어주는 고정끈(29)을 묶어주어서, 후술로 설명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10)의 비닐(12) 외측면에서, 보온용 카버블럭을 설치하려는 비닐하우스(10)의 길이구간에 맞추어서 만곡프레임(21)을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주도록, 상기 단부(22)를 관통으로 고정되는 고정대(26)를 조립으로 설치시켜 주면서 비닐체(24)로 감싸주는 카버블럭(20)을 형성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만곡프레임(21)은 만곡성으로 탄력이 형성되는 경질의 합성수지재이며, 상기 만곡프레임(21)의 양측단부를 엮은 상태로 서로 잡아당겨주는 고정끈(29)으로 만곡프레임(21)이 휘어진 즉 만곡으로 볼록한 구간을 구비시켜 준다.
또한 상기 카버블럭(20)의 폭 구간을 서로 연결로 결합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고리(32)로 상기 카버블럭(20)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고정대(26)를 서로 엮어서 고정으로 연결함으로서, 소정의 구간인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 구간을 덮어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덮어진 볼록부(28) 구간의 양측 가장자리 구간에는 로푸(31)로 연결된 기소(30)의 무게의 의하여 서로 당겨주도록 제공함으로서, 결속력을 보강함으로서, 강풍이나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결속력을 보강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만곡프레임(21)의 양측 단부(22) 사이의 구간에는 만곡으로 볼록시켜 주도록, 상기 양측 단부(22)의 고정끈(29)은 잡아당겨서 만곡프레임(21)이의 볼록된 구조로 형성됨으로서, 감싸진 비닐체가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제공시켜 줌이 바람직하는 것이다.
고로 상기 만국프레임(21)의 만곡부위에는 비닐체(24)의 씌움으로서 내측공간(27)이 형성되는 커버블럭(20)을 제공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설명되는 커버블럭(20)을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대형의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를 중심으로, 양측의 경사부와 직선부로 서로 접어서 덮어주는 다수의 카버블럭(20)을 설치하여 주는 과정에서, 커버블럭(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고정대(26)에다 별도의 고정고리(32)로 엮어줌으로서, 볼록부(28)의 전체면적으로 고정시켜 주도록 한다.
즉 상기 비닐하우스(10)의 경사진 면적에 따라 커버블럭(20)을 다수개로 연속 반복적으로 고정시켜 주도록 제공하여 주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고정고리(32)에 대한 고정대(26)의 고정은, 고정대(26)을 외삽으로 덮혀주는 비닐체(24)을 고정고리(32)로 관통으로 서로 엮어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닐하우스(10)에 구비되면서 만곡으로 골재(11)의 형상과 같이 굽혀주는 비닐(12)의 굽힘 구조와, 본 발명의 요부인 커버블럭(20)의 단부(22)사이를 연결되는 고정끈(29)은, 상기 비닐(12)과 같이 만곡으로 굽혀줌으로서, 고정대(26)가 비닐(12)을 지지하여 주는 골재(11)의 외측면에 밀착함으로서 고정시켜 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카버블럭(20)을 형성하는 상기 만곡프레임(21)의 양측 단부(22)와 상기 단부 사이를 연결로 고정시켜 주는 고정끈(29)에 대하여 시공현장에서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양측 단부(22)와 상기 단부 사이를 연결로 고정시켜 주는 고정끈(29)이 구비된 다수개의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주는 만곡프레임(21)의 단부(22)를 서로 관통으로 고정되는 고정대(26)를 용이하게 사용하여 주기 위하여, 단면이 원통형의 비닐체(24)의 내측공간에다 삽입하여 주는 공정이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이 매우 어려운 과제로 등장이 되는 것이다.
고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통형의 비닐체(24)의 내측공간에다 삽입하여 주는 공정에서 용이하게 삽입공정이 이루어 주도록 제공을 위한 만곡프레임(21)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5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히 설명을 하면, 단면이 양측 방향으로 만곡형으로 돌출되면서 양측 단부(22)가 형성되는 만곡프레임(21)의 구조를 서로 접어 주면서, 상기 단면이 원통형의 비닐체(24)의 내측공간에다 용이하게 삽입하여 주도록 제공을 위하여,
상기 고정대(26)를 일측이 고정구(63)이 관통되면서 타측에는 힌지(40)와 걸림척(56)이 돌출시켜 주는 만곡받침대(58)와, 상기 만곡받침대(58)의 일측의 단부에는 힌지(40)로 결합시켜 주되; 만곡받침대(58)의 타측의 단부(22)에는 고정대(26)가 관통되는 구간으로 형성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힌지(40)의 조립으로 양측 구간을 서로 좁혀주도록 제공을 위함이다. 또한 상기 힌지(40)의 일측 구간에다 고정으로 돌출되는 결속관(51)으로, 상기 고정받침대(58)가 만곡형으로 형성되는 발명이다.
따라서 상기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에 맞추어서 서로 접하여 주는 곡형받침대(60)와, 상기 곡형받침대(60)의 양측 단부의 고정구(63)에다 관통으로 결합되는 고정관(62)으로, 상기 비닐하우스(10)의 길이방향에다 연속 반복적으로 다수개의 곡형받침대(60)가 구비시켜 주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힌지(40)를 중심으로 서로 조립되는 양측의 고정받침대(58)를 서로 접어준 상태로 용이하게 원통형의 비닐체(24)의 내측공간(27)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즉 상기 곡형받침대(60)로 비닐체(24)의 내측공간에 삽입으로 형성되는 카버블럭(20)을, 본 발명의 목적인 비닐하우스(10)의 보온을 위하여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의 구간에서 연속 반복적으로 서로 순차적으로 접하면서 연결하여 주도록, 각각의 카버블럭(20)을 형성하여 주는 곡형받침대(60)의 양측 고정구(63)에 각각 관통으로 조립되는 고정관(62)이 서로 접하여 주도록 배열을 하여 주되, 상기 고정고리(32)로 고정시켜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형받침대(60)의 고정구(63)에 관통으로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비닐체(24)의 내측공간(28)에 삽입되는 곡형받침대(60)의 고정관(62)에다, 상기 설명되는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의 면적에 맞추어서, 연속적으로 고정고리(32)로 고정하여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곡형받침대(60)의 고정관(62)에다 고정고리(32)로 고정하여 주는 공정은, 서로 연결로 고정하려고 하는 고정고리(32)로 비닐체(24)을 관통으로 찢어주면서 서로 고정하려고 하는 고정관(62)을 서로 엮어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커버블럭(20)의 비닐체(24)에 대한 내측공간(28)을 형성하는 원둘레 구간과 곡형받침대(60)의 외측구간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균형을 맞추어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 구간을 카버블럭(20)에 가해지는 기소(30)의 결속력과 중량에 의하여 당기려는 인력으로 서로 균형을 맞춰주면서 안정적으로 곡형받침대(60)의 폭 구간을 유지하여 주기 위하여, 상기 곡형받침대(60)를 형성하는 고정받침대(58)를 조립으로 결합하는 힌지(40)의 일측으로 돌출시켜 주는 결속관(51)으로, 상기 고정받침대(58)의 일측에서 단속시켜 줌과 아울러, 상기 설명되는 기소(30)의 당겨주는 힘으로 안정적인 고정으로 조립되는 발명이다.
[ 실시예의 1]
상기 설명되는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 구간을 카버블럭(20)에 가해지는 기소(30)의 결속력의 보강을 위한 곡형받침대(60)의 폭 구간을 유지하여 주기 위하여, 상기 곡형받침대(60)를 형성하는 고정받침대(58)를 조립으로 결합하는 힌지(40)의 일측으로 돌출시켜 주는 결속관(51)에 대하여 보다 더 안정적으로 카버블럭(20)에 대한 보강구조를 제공을 위하는 일실시예에 대한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10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카버블럭(20)에 대한 곡형받침대(60)를 제공시켜 주는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서,
상기 곡형받침대(6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받침대(58)의 고정구(63)에 고정끈(57)으로 연결시켜 줌으로서, 상기 설명되는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 구간의 볼록한 구조에서 안정적인 카버블럭(20)에 균일한 폭을 형성하여 주어서 더 안정적인 보강구조를 제공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의 실내공간에 대한 날씨의 변화, 즉 혹한기나 혹서기에서 작업이나 작물의 성장에 적절한 보온을 위한 보온장치를 제공시켜 주기 위하는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상기 비닐체(24)의 일측 구간(a)인 외측 구간에다 햇볕의 차단이 보강되면서 흡열이 보강된 착색이 형성되는 흡열대(65)를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흡열대(65)에 대한 설명은, 비닐하우스(10)의 보온을 위하여 비닐체(24)의 볼록부(28)의 외측구간에 덮어줌으로서 보온을 위한 부직포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되는 카버블럭(20)의 단면 구조에서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구(63)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고정구(63) 구간 사이의 외측면으로 감싸주는 비닐체의 구간은 곡형받침대(60)로 받쳐주어서 형성된 볼록구간과, 내측면으로 감싸주는 비닐체의 구간은 고정구(63)사이의 직선 구간에 형성됨으로서, 이는 내,외측 구간 인 2중의 비닐체로 보온이 되는 구조로 제공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버블럭(20)의 내측이나 외측구간에다 햇볕의 차단과 아울러 흡열을 위하는 흡열대(65)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카버블럭(20)의 볼록구간에다 형성되도록, 태양광발전판(25)를 비닐체(24)에다 일체로 구비시켜서 제공함으로서, 넓은 면적의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 구간에서 보온과 아울러 햇볕에 의한 태양광발전을 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이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만곡형의 태양광발전을 위한 모률을 사용함으로서 더 효과적이면서 경제적인 보온 및 보냉을 위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미 도시된 태양광 발전을 위한 제어장치를 구비시켜서 사용하여 주도록 제공시켜 준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비닐체(24)의 구간은 비닐하우스(10)용 비닐(12)의 외부로 노출이 되도록 구비하여 줌으로서, 상기 카버블럭(20)의 내측공간(27)에 대한 기온의 변화는 실로 기후의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공간(27)에 대한 온도를 이용을 하여 주거나 순환으로 교환을 하여 준다면, 혹한기나 혹서기에 대한 비닐하우스(10)의 실내에 대한 보온 효과를 제공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고로 첨부된 도14 내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기 설명되는 카버블럭(20)에서 양측 단부에 조립으로 고정되는 고정대(26)를, 흡입구(68)이 천공된 유공관(70)으로 제공함으로서, 상기 카버블럭(20)의 실내공간(27)에 대한 공기의 순환공정이, 미도시된 순환펌프에 의하여, 냉각이나 보온을 위하는 공기를 공급과 배출을 하여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닐체(24)에다 흡열체 또는 단열체를 구비하여 주어서, 기후의 변화에 따른 실내공간(27)의 변화된 공기를 순환으로 보온을 하여 주도록 제공을 위하여,
상기 비닐체(24)를 흡열대(65)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고정관(62)을 흡입구(68)가 구비된 유공관(70)으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상기 내측공간(27)으로의 보온된 공기를 배출시켜 주는 발명으로서, 효과적이면서 경제적으로 비닐하우스의 실내 보온을 위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카버블럭(20)을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붕(17)을 구비하는 건축물(18)에다 사용하여 주어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하여 주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는 상기 지붕(17)의 볼록한 중심부인 용마루부위로 사용하는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건축물(15)에서 양측으로 경사진 지붕(17)에다 서로 대칭적으로 커버블럭(20)의 설치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10 : 비닐하우스 11 : 골재 12 : 비닐 15 : 건축물
17 : 지붕판 18 : 고정파이프 20 : 커버블럭 21 : 만곡프레임
22 : 단부 24 : 비닐체 25 : 태양광 발전판 26 : 고정대
27 : 내측공간 28 : 볼록부 29 : 고정끈 30 : 기소
32 : 고정고리 37 : 조립고리 38 : 요홈링크 51 : 결속관
52 : 결속구 56 : 걸림척 57 : 고정끈 58 : 만곡받침대
60 : 곡형받침대 62 : 고정관 63 : 고정구 65 : 흡열대
70 : 유공관

Claims (4)

  1. 상측구간을 만곡되는 볼록부(28)가 연속적으로 일정 간격으로인 간격으로 구성되는 골재(11)의 외측면을 비닐(12)로 감싸줌으로서 경작지를 위한 실내공간이 형성되는 비닐하우스(10)와,
    상기 비닐하우스(10)의 볼록부(28)의 양측으로 경사지는 비닐에다 씌워주도록, 연속 반복적인 다수개로 구비시켜 주도록 결합되는 만곡프레임(21)의 양측 단부(22)의 고정대(26)와,
    상기 양측 단부(22) 구간에는 고정끈(29)으로 당겨서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고정대(26)를 비닐체(24)로 외삽으로 씌움으로서 내측공간(27)을 형성시켜 주는 커버블럭(20)의 고정대(26)를 서로 엮어서 결속시켜 주는 고정고리(32)로, 비닐하우스(10)의 외측면으로 고정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커버블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6)를 일측이 고정구(63)이 관통되면서 타측에는 힌지(40)와 걸림척(56)이 돌출시켜 주는 만곡받침대(58)와, 상기 만곡받침대(58)에 결합된 힌지(40)와, 상기 힌지(40)에 고정된 결속관(51)으로 결합되는 고정받침대(58)으로 곡형받침대(60)와, 상기 곡형받침대(60)의 양측 단부의 고정구(63)에다 관통으로 결합되는 고정관(62)를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형받침대(60)의 양측으로 고정구(63)가 형성되는 고정받침대(58)를 구비시켜 주되, 상기 고정구(63)에 고정끈(57)으로 연결시켜 주고,
    상기 비닐체(24)의 일측 구간(a)으로 흡열대(65)를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체(24)의 일측 구간(a)으로 태양광발전판(25)를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62)에는 흡입구(68)가 형성된 유공관(70)의 구비로, 상기 내측공간(27)의 보온된 공기를 배출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KR1020120022906A 2012-03-06 2012-03-06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KR101505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906A KR101505564B1 (ko) 2012-03-06 2012-03-06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906A KR101505564B1 (ko) 2012-03-06 2012-03-06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851A KR20130101851A (ko) 2013-09-16
KR101505564B1 true KR101505564B1 (ko) 2015-04-06

Family

ID=4945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906A KR101505564B1 (ko) 2012-03-06 2012-03-06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3870A (zh) * 2015-05-19 2015-08-05 窦观一 充分利用风、光、气能源的生态农业系统
KR101951252B1 (ko) * 2016-10-31 2019-02-22 강경원 보온기능을 갖는 돔하우스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6151U (ko) * 1985-03-04 1986-09-09
JPH029046U (ko) * 1988-07-02 1990-01-22
JP2007275050A (ja) * 2006-03-14 2007-10-25 Sekisui Film Kk 農業用ハウス及び農業用ハウスの被覆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6151U (ko) * 1985-03-04 1986-09-09
JPH029046U (ko) * 1988-07-02 1990-01-22
JP2007275050A (ja) * 2006-03-14 2007-10-25 Sekisui Film Kk 農業用ハウス及び農業用ハウスの被覆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851A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3537B2 (ja) 植物栽培ハウス
CN101455165B (zh) 一种栽培西红柿的太阳能光伏大棚
JP5660720B2 (ja) 寒冷地用の植物栽培ハウス
KR101478204B1 (ko) 태양열시스템을 이용한 유리온실
US11788736B2 (en) Solar air heater
US11566818B2 (en) Solar air heater
JP6062498B1 (ja) 農業栽培施設の温度調節装置
CN205378610U (zh) 内外保温型日光温室
KR101505564B1 (ko)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커버블럭
JPH11107547A (ja) 太陽熱利用の建物
JP5830211B2 (ja) 温室用栽培システム
JP2001037348A (ja) 温 室
KR20130001659A (ko)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태양광 발전판블럭
CN103563683A (zh) 密闭气块温室大棚
JP3547904B2 (ja) 農業ハウス用被覆材及び農業用ハウス
JP2011254734A (ja) 潜熱蓄熱パネル、それを用いた蓄熱壁、および温室
CN205431264U (zh) 太阳能植物工厂温室
KR20180134706A (ko) 태양열 이용 온실 시스템
CN210537762U (zh) 一种高抗寒的日光温室
KR20130085889A (ko) 비닐하우스 보온용 커버블럭
AU2018326672B2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KR20130001671A (ko) 비닐하우스 보온블럭용 고정장치
KR20140002330U (ko) 비닐하우스 보온용 커버블럭
KR20140004038U (ko) 비닐하우스 보온용 커버블럭
CN220292657U (zh) 一种保温墙及土地利用率高的温室大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