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893A -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이 높은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 및 이를 이용한이소플라본 농축물 - Google Patents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이 높은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 및 이를 이용한이소플라본 농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893A
KR20090100893A KR1020080026404A KR20080026404A KR20090100893A KR 20090100893 A KR20090100893 A KR 20090100893A KR 1020080026404 A KR1020080026404 A KR 1020080026404A KR 20080026404 A KR20080026404 A KR 20080026404A KR 20090100893 A KR20090100893 A KR 20090100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s
isoflavone
glucosidase
galactosidase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415B1 (ko
Inventor
윤숭섭
양진오
김응률
정병문
김태진
윤계정
정건섭
홍성욱
Original Assignee
매일유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일유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일유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41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22Alpha-galactosidase (3.2.1.2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23Beta-galactosidase (3.2.1.23), i.e. exo-(1-->4)-beta-D-galactan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K-AP3, 기탁번호 KFCC 11409P)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은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비배당체 형태로 변화시키는 β-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의 활성 및 난소화성 올리고당인 스타키오스, 라피노스 등을 단당류로 분해하는 α-갈락토시다제(α-galactosidase)의 활성이 매우 높은 균주로서 본 발명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의 원료로서 활용가치가 뛰어나다.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α-갈락토시다제, β-글루코시다제

Description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이 높은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 및 이를 이용한 이소플라본 농축물{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K―AP3 having high activity of α―galactosidase and β―glucosidase and Isoflavon concentrate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 활성이 높은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K-AP3, 기탁번호 KFCC 11409P)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대두 및 대두 유래 식품소재의 기능성 성분들을 체내 이용성이 높은 형태로 변환시킴으로써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대두는 단백질 및 지방질 함량이 높은 농산물로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식용 유지자원일 뿐만 아니라, 식품 또는 각종 가공식품 원료의 하나이다. 영양이 풍부한 식품인 대두는 채식위주의 식단에서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과 지방의 중요한 공급원으로 우리들의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식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는 조상들의 지혜와 경험으로 우리 체질에 적합한 다양한 대두 발효식품들을 개발하여 고유한 식생활 문화를 이루어왔는데 대표적으로 된장, 간장, 청국장 등이 있고, 비발효식품으로는 두부, 두유 등이 있다.
최근에는 대두 내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국제적으로 대두 식품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바, 비 대두 문화권에 있는 서양인들의 대두 가공제품 및 대두 발효제품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두에는 이소플라본(isoflavone), 식이성 섬유(dietary fiber), 올리고당(oligosaccharide), 레시틴(lecithin), 사포닌(saponin), 식물성 스테롤(sterol)과 페놀(phenol) 화합물 등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대두 이소플라본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과 유사한 구조와 작용을 가지고 있어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이라 불린다. 또한, 이소플라본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폐경기 여성의 골다공증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활성에 의한 심혈관질환 억제와 항암 효과 등과 같은 이소플라본의 생리적 활성이 활발하게 보고되고 있다.
대두에 들어있는 주요 이소플라본인 다이진(daidzin), 제니스틴(genistin) 및 이들의 비배당체(aglycones)은 Walter에 의하여 처음 분리되었으며 Naim 등은 글리시테인(glycitein)을 분리하였었다. 그 후 Ohta 및 Kudou 등은 아세틸 유도체와 말로닐(malonyl) 유도체를 분리, 동정하였고 이소플라본은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제인(daidzein), 글리시테인(glycitein)의 3종의 아글리콘 및 각각에 3 종류의 배당체(glycosides, malonylglucosides, acetylglucosides)가 있어서 총 12종류의 이소플라본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대두에는 이소플라본이 건조중량 당 약 1.5~2.5%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이소플라본 글리코시드(glycoside)인 다이제인과 제니스틴이 60~70%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글루코시드 보다 생리활성이 다양한 비배당체 형태인 다이제인과 제니스테인 함량은 약 0.01~0.15%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두의 비배당체인 제니스테인의 생리활성 기능에 대해 보고된 연구 중에서 Wang. 등은 제니스테인이 유방암 세포의 에스트로겐(estrogen) 수용체에 17β-에스트라디올(17β-estradiol)이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고 유방암 세포의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다. Lamartiniere.등은 다이메틸벤즈-안트라신(dimethylbenz-anthracene, DMBA)으로 유도된 유방암이 제니스테인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보고하였는데, 특히 사춘기 이전 단계에서 제니스테인 투여가 유방암 예방에 효과적임을 관찰하였다. 또한, 전립선암은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 농도와 관련이 있는데, Evans. 등은 제니스테인이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으로부터 DHT로 전환하는 효소인 5-α-리덕타제(reductase)의 저해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 외에도 제니스테인은 방광암, 위암, 폐암, 간암 등에 대한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대두 중에 함유된 항산화성 물질로는 토코페롤(tocopherol)류와 페놀산, 이소플라본 등이 있는데 토코페롤류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는 반면,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은 β-글루코시다제의 작용에 의하여 비배당체 형태로 유리되면서 항산화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소플라본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시험관내에서 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효과가 알려져 있고, 생체내에서 혈장 아질산염 농도와 적혈구의 카탈라제 및 글루타치온 페록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의 섭취는 혈관질환 관련 요소 및 적혈구와 간의 항산화 효소계에 영향을 미친다.
폐경 후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에 따른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대체요법으로는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의 경구투여 또는 이를 함유한 식품의 섭취가 있는데, 다이제인과 제니스테인이 에스트로겐과 유사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세포내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ER)와 결합하여 에스트로겐 효과를 나타내며 부작용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약콩 추출물의 다이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함유량이 대두에 비해 높았고, MG-63 조골세포의 증식과 증식관련 인자인 IGF-I를 선택적으로 발현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인 제니스테인을 섭취한 경우와 배당체인 제니스틴을 섭취한 경우, 제니스테인의 소변 중 체내회수량이 제니스틴 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즉, 배당체가 비배당체로 전환되었을 때 이소플라본의 생체 이용성이 증가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β-글루코시다제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 함량 중 60%정도를 차지하고 있던 말로닐(malonyl)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이 3%로 감소하고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은 3%에서 56%로 증가하여 기능성이 강화된 식품 소재를 생산할 수 있는 방 안으로 활용이 보고된 적도 있다.
식물, 균류, 효모, 박테리아와 동물의 조직 등에 분포되어 있는 β-글루코시다제(β-D-glucoside glucohydrolase, EC 3.2.1.21)는 하나의 셀룰라아제 합성물(cellulase compound)로서, 셀루라아제를 최초에 엔도-글루카나제(endo-glucanase)가 절단하며, 그 다음 셀로바이오하이드라제(cellobiohydrase)가 작용하고 마지막에 β-글루코시다제가 작용하여 최종산물인 글루코스(glucose)를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미생물 기원의 β-글루코시다제에 관한 연구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서브스페시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casei subsp. rhamnosus), 비피도박테리아속균(Bifidobacterium sp.), 스포로트리큠 셀룰로필럼(Sporotrichum cellulophilum), 바실러스 섭틸리스(Bacillus subtilis),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니둘란스(Aspergillus nidulans), 트리코데마 리제이(Trichoderma reesei), 써모모노스포라 퓨스카(Thermomonospora fusca), 페니실리엄 페루큘로섬(Penicillium verruculosum), 허미콜라 그리제이 바. 써모이디아(Humicola grisea var. thermoidea) 등이 생산한 β- 글루코시다제가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가수분해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대두 중에는 생리활성 물질 이외에도 여러 가지 유해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두를 식품으로 가공 및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들 유해성분의 제거를 위한 전처리 과정이 요구되고 있는데, 대두 중에 존재하는 유해성분으로는 트립신 반응억제제(trypsin inhibitor),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적혈구 응집소 바이러스), 무기질의 흡수를 억제하는 피탄산(phytate) 및 장내에서의 가스발생인자(flatulence factor)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 가스발생인자인 올리고당 중 스타키오스(stachyose)와 라피노스(raffinose)는 대두에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 내에서는 소화기관 내에 α-갈락토시다제가 결핍되어 있어 이들 올리고당은 완전히 소화, 흡수되지 않고 장내에 있는 클로스트리듐속 세균(Clostridium sp.)과 박테로이드속 세균(Bacteroides sp.)에 의해 발효가 되어 물,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가스 형성(gas production)에 의한 복부 팽만감과 장의 고창(flatulence), 복통(cramping pains), 복명(borborygmus)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들어 여러 나라에서 대두를 비롯한 두류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제조하기에 앞서 가스 발생의 요인으로 알려진 스타키오스와 라피노스를 제거하는 방법의 개발에 많은 관심과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스타키오스, 라피노스와 같은 올리고당을 분해하는 효소인 α- 갈락토시다제(α-D-galactoside galactohydrolase, EC 3.2.1.22)는 동물, 식물, 미생물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갈락토오스 잔기를 함유한 갈락토만난(galactomannan) 다당류나 멜리비오스(melibiose, galactose-α-1,6-glucose), 라피노스, 스타키오스와 같은 올리고당에서 α-1,6 결합의 α- 갈락토제 잔기를 가수분해한다.
미생물 기원의 α-갈락토시다제에 관한 연구는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니둘란스(Aspergillus nidulans),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 아스퍼질러스 피큠(Aspergillus ficuum), 아스퍼질러스 타마리(Aspergillus tamarii), 트리코데마 리제이(Trichoderma reesei), 페니실리움 심플리시시멈(Penicillium simplicissimum),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aromyces cerevisiae),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 모티에렐라 비나세아(Mortierella vinacea),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비피도박테리움 안구래툼(Bifidobacterium angulatum),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스로퓨라러옵시스 브레비콜리스(Scopulariopsis brevicaul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데스(Leuconostoc mensenteroides), 바실러스 스테아로써모필러스(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에서 생산하는 α-갈락코시다제 효소와 그 유전자의 특성이 밝혀져 보고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그 유용성이 입증된 α- 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 효소의 활성이 높은 미생물 발명이 식품업계 및 약학업계 등에서 요구되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산업계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로본의 함유량이 높고 난소화성 올리고당의 함유량이 적은 식품 또는 의약품 등을 산업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이 높은 균주를 찾는 것이 선행문제임을 인식하여 이를 찾고자 연구한 끝에 α- 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 활성이 높은 새로운 균주를 분리하는 방안을 안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균주인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K-AP3, 기탁번호 KFCC 11409P)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두 또는 대두배아를 상기 청구항 1의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로 발효시켜 얻어진 이소플라본 농축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는 β-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이 높아서 식품, 특히 대두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다이 진, 제니스틴)을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다이제인, 제니스테인)으로 전환율이 매우 높은 효과가 있으며, 또한 α- 갈락토시다제 활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장내 가스발생인자인 스타키오스, 라피노스 등의 올리고당의 분해효과가 뛰어나므로, 대두 및 대두 유래 물질을 원료로 한 건강기능성 식품소재, 대두 또는 배아를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로 발효시킨 대두분말 또는 배아분말을 제조하여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소재, 의약품 및 대두발효식품 등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최근 웰빙문화 확산과 함께 기능이 향상된 건강식품 및 약품 등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식품업계, 제약업계 등에서는 기존의 건강식품 및 약품 등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분위기 하에서 본 발명자들이 부단히 연구한 결과, β-글루코시다제 및 α- 갈락토시다제의 활성이 높아서 가장 대표적인 웰빙식품인 대두식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K-AP3, 기탁번호 KFCC 11409P)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인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하겠다.
일반적으로 류코노스톡 균주는 카탈라제(catalase)음성 그람양성 구균으로서, 사람과 동물의 대장과 점막 등에 상재균으로 존재하며 우유, 낙농제품과 다양 한 발효음식을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사람에게 유용한 세균으로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류코노스톡 균주는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시트리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팔락스(Leuconostoc fallax), 류코노스톡 아르젠티눔(Leuconostoc argentinum), 류코노스톡 카르노숨(Leuconostoc carnosum), 류코노스톡 겔리둠(Leuconostoc gelidum)의 8균종이 속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류코노스톡 균주들은 같은 균종 내에서도 생화학 성상이 다양한 이질적인 균종들이 존재하므로 그 분류 및 동정이 어려운바, 정확한 동정을 위해서는 각 균종에 특이적인 PCR을 시행하거나 분리균주의 16S 또는 23S rDNA 염기서열 또는 세포벽 성분을 분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끊임없는 연구를 통하여 상기 어려움을 극복하였고, 일반적으로 류코노스톡 균주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유제품, 김치, 포유류의 배변, 청국장으로부터 미생물을 배양, 동정, 선발, 분리 및 β-글루코시다제와 α- 갈락코시다제 활성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균주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두 또는 대두배아를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로 발효시킨 비배당체(aglycone)가 풍부하고 난소화성 올리고당이 감소된 이소플라본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로 42 ~ 48 시간 발효시킨 이소플라본 농축물은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을 0.7 ~ 0.8 중량%로 많은 양을 함유하 고 있으며, 이는 도 5의 (C)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로 42 ~ 48 시간 발효시킨 이소플라본 농축물은 상기 이소플라본 농축물은 스타키오제(stachyose) 4 중량% 이하로 함유하게 되며, 라피노제(raffinose) 2 중량% 이하로 함유하게 되며, 도 4의 (C)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일반 대두배아에 대비하여 40% 이상 감소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을 통하여 대두 또는 대두배아에 존재하는 난소화성 올리고당인 스타키오제(stachyose) 및 라피노제(raffinose) 함량을 일반 배아 대비 약 50% 감소시킬 수 있으며, 대두 또는 대두배아에 존재하는 배당체 이소플라본을 높은 전환율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시키는 바,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의 함유량을 20%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로 발효시킨 이소플라본 농축물은 그 용도에 따라 용액 또는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농축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대두 또는 대두배아와 물을 1: 7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멸균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멸균 처리된 혼합물에 청구항 1의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를 접종, 발효시키는 단계; 를 거쳐서 이소플라본 농축물을 제조하는데, 여기 서,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를 1 x 105 ~ 1 x 107 CFU/g 정도로 접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효는 상온에서 24 ~ 60 시간 ,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48 시간 정도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는 하기의 방법에 따라서 선발하였다. 그러나 하기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일례이며,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배지제조방법
(1)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배아는 분쇄 후 가수하여(배아:물=1:8 weight/volume, w/v) 10%의 고형분으로 제조한 후에 사용하였다.
(2) 미생물 분리배지는 대두(충북 괴산군 2005산)를 원료로 제조한 대두배지(soy medium)를 사용하였는데, 대두와 증류수를 1:4 w/v(weight/volume)를 121℃에서 15분간 열처리한 후, 여과망을 이용하여 대두를 제거하고 그 여과액의 pH를 3.5로 조절한 다음, 4℃에서 6 시간 정치하여 침전된 단백질을 여과종이(Whatman, Maidstone England)로 제거한 다음 그 여과액의 pH를 6.5로 재조정하여 제조하였다.
(3) 고체배지는 상기 제조된 분리배지에 1.5%(w/v) agar와 0.005%(w/v) 브로모크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 제조사 : Yakuri chemicals Co. 오사카, 일본)을 첨가하고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제조하였다.
2. 미생물 분리 및 배양방법
유제품, 김치, 돼지와 소의 장 내용물, 채소류, 버지널트랙트(virginal tract), 유아분변, 청국장에서 각각 시료 1g을 채취하여 멸균 생리식염수로 10-1 ~ 10-3까지 순차적으로 희석한 후 한천평판대두배지(soy plate agar)에 100㎕씩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한 후, 노란색을 띠는 집락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혐기성 미생물의 분리를 위해 anaerobic system Gaspack(BBL, Becton Dickinson, USA)을 이용한 혐기 배양기에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표준균주와 분리균주는 대두배지(soy medium)를 사용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계대배양하여 차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3. 조효소액의 제조
효소 생산용 액체배지에서 균주를 배양한 후에 원심분리(10,000× g, 5분)하여 회수한 상등액을 엑스트라셀룰러(extracellular)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균체를 회수하여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2회 수세한 후, 균체를 얼음상에서 초음파 세포 파쇄기(Sonosmasher, Ulsso Hitech Co., Korea)를 이용하여 5분간 초음파처리(sonication)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다시 원심분리(10,000×g, 5분)하여 회수한 상등액을 인트라셀룰러(intracellular)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4. 효소활성 측정방법
효소활성은 Yeo. 등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기질은 50mM 인산나트륨버퍼용액(sodium phosphate buffer, pH6.5)에 ρ-나이트로페닐-α-D-갈락토-피라노사이드(ρ-nitrophenyl-α-D-galacto-pyranoside, PNPG, Sigma Chemical Co.)와 ρ-나이트로페닐-β-D-갈락토-피라노사이드(ρ-nitrophenyl-β-D-gluco-pyranoside(PNPG, Sigma Chemical Co.)를 10mM이 되도록 각각 제조한 후, 100㎕의 기질용액에 조효소액을 각각 100㎕씩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0.5M Na2CO3 용액 100㎕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켜 유리된 ρ-나이트로페놀(ρ-nitrophenol, PNP, Sigma Chemical Co.)의 양을 400nm에서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효소활성 단위는 1분 동안에 1 μmole의 PNP를 유리시키는데 필요한 효소량을 1 유닛(unit)으로 정의하였다.
5. 선발미생물의 생육특성조사방법
상기 효소활성 측정 및 미생물 동정을 통하여 선발된 미생물의 생육특성조사를 하기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선발미생물의 생균수는 시료 1g을 취해 0.85% NaCl로 10진 희석한 후, 희석액 100㎕를 MRS agar(Difco, Sparks, MD, USA)에 도말하여 30℃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컬러니(colony) 수가 50 ~ 200 사이의 수가 되도록 계수하였다. pH는 pH 미터기(ATI Orion, Boston, MA, USA)로 측정하였고, 적 정산도(titratable acidity)는 0.1N NaOH 용액으로 적정하여 lactic acid 함량을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배양액 1ml에 증류수 4ml과 1%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50㎕를 넣은 후, 0.1N NaOH 용액으로 적정하며 적색을 띄는 종말점에서 소비된 NaOH의 양을 측정하여서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Figure 112008020684462-PAT00001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을 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리된 미생물로부터 균주의 1차 선발 및 1차 선발 균주로부터 2차 균주 선발
위에서 설명한 미생물 분리 및 배양방법에 의해서 유제품, 김치, 돼지와 소의 장 내용물, 채소류, 버지널 트랙트(virginal tract), 유아분변, 청국장에서 각각 시료 1g을 채취하여 멸균 생리식염수로 단계 희석을 하였다. 0.005%(w/v) 브로모크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 지시약이 첨가된 한천평판대두배지에 100㎕씩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산이 생성되어 노란색으로 변한 컬러니(colony)를 그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미생물 491주를 분리하였다. 이 중 통성혐 기성 균주는 422주이고 혐기성 균주는 69주이었다.
α-갈락토시다제(α-galactosidase)와 β-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를 생산하기 위한 액체배지(soy medium)에서 분리균주를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에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엑스트라셀룰러(extracellular)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고 균체를 음파 파쇄한 뒤 다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인트라셀룰러(intracellular)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α-갈락토시다제 효소 측정에는 10mM ρ-나이트로페닐-α-D-갈락토-피라노사이드(ρ-nitrophenyl-α-D-galacto-pyranoside)를 기질로 사용하였고, β-글루코시다제 효소 측정에는 10mM ρ-나이트로페닐-β-D-갈락토-피라노사이드(ρ-nitrophenyl-β-D-gluco-pyranoside)를 기질로 사용하여 엑스트라셀룰러 조효소액과 인트라셀룰러 조효소액을 각각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서,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가 PNPG를 분해하면 ρ-나이트로페놀(ρ-nitrophenol, PNP)이 분리되면서 노란색을 나타내므로 역가가 높을수록 진한 노란색을 나타낸다. 그 후에 0.5M Na2CO3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켜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통성혐기성 균주 422주와 혐기성 균주 69주의 효소활성은 ρ-나이트로페놀의 표준곡선에서 정량하였으며,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 효소활성이 높은 균주 192주를 1차 선발하였다.
상기 1차 선발된 균주 192주를 동일한 방법으로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 효소활성을 비교하여 균주 48주를 2차 선발하였다.
실시예 2
3차 균주의 선발
상기 2차 선발된 48주 중에서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 효소활성을 기준으로 하여 채소류에서 분리한 ① 89 균주, 버지널 트랙트(virginal tract)에서 분리한 ② V13-4 균주, 김치에서 분리한 ③ K-M1-4 균주와 ④ K-AP3 균주, 청국장에서 분리한 ⑤ CMB 16 균주 및 ⑥ S2C5 균주 7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상기 6종의 균주들을 그람 염색을 실시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모두 그람 양성균으로 관찰되었고 당이용성 검토를 통한 API CHL kit test를 실시하여 일차 동정을 수행하였으며, 보다 더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선발균주들의 16S ribosomal DNA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분리선발한 균주들은 바이셀라(Weissella) 속 (isolate 89, isolate V13-4, isolate K-M1-4), 류코노스톡 속 (isolate K-AP3), 엔테로코쿠스(Enterococcus) 속 (isolate CMB 16, isolate S2C5)의 균주들임을 확인하였다.
구 분 API kit(CHL 50) 16S rDNA sequencing
89 균주 Lactobacillus fermentum Weissella confusa
V13-4 균주 Lactobacillus coprophilus Weissella cibaria
K-M1-4 균주 Lactobacillus coprophilus Weissella cibaria
K-AP3 균주 Leuconostoc mensenteroides ssp. mensenteroides/dextranicum Leuconostoc pseudomensenteroides
BF-BW-31 균주 euconostoc mensenteroides ssp. mensenteroides/dextranicum Leuconostoc pseudomensenteroides
CMB 16 균주 Lac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
S2C5 균주 Lac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
실험예 1
3차 선발된 균주의 효소활성 실험 및 4차 균주의 선발
상기 실시예 2에서 분리된 3차 균주 7주를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 효소활성을 상기에서 설명한 효소활성실험 방법에 의해서 실험을 하였으며, 상기 균주들은 액체배지(soy liquid medium)에서 37℃, 24시간동안 배양시킨 것이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20684462-PAT00002
89 균주, K-M1-4 균주와 K-AP3 균주가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 활성도가 다른 균주들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는 바, 이하에서 상기 세 균주를 4차 균주로 선발하여 이들 균주들의 생육 및 특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2
4차 선발된 균주들의 생육 및 특성 실험
4차 선발된 균주들을 배아배지에서 30℃, 48시간동안 배양 및 발효시켜서 pH, 산도 및 생균수의 변화를 실험하였고, 그 결과는 도 1, 도 2, 도 3에 각각 나타내었다.
(1) pH 변화 실험결과인 도 1을 살펴보면, 발효초기의 pH는 약 6.3이지만 12시간 발효한 후에 K-AP3 균주 < K-M1-4 균주 < 89 균주의 순으로 pH는 높았다.
(2) 적정산도(titratable acidity, 이하 “TA"로 칭한다.)변화 실험결과인 도 2를 살펴보면, 12시간 발효한 후에는 K-M1-4 균주 89 균주 < K-AP3 균주 순으로 TA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생균수는 pH, 산도의 변화와 유사하게 12시간 발효까지 급격하게 증가하고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K-M1-4 균주와 K-AP3 균주가 12시간 발효한 후에 109의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예 2를 통하여 12 시간 발효 후에 pH, 적정산도 및 생균수 변화 실험한 결과를 통하여 평균 pH 4의 낮은 pH, 높은 적정산도 및 높은 생균수를 보인 K-AP3 균주가 전체적으로 생육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4차 선발된 균주들의 올리고당 분해능 확인 실험
당 분해실험은 동결건조 시료 0.5g에 증류수 4ml을 첨가하고 80℃항온수조에서 2시간 진탕한 후 에탄올 10ml을 첨가하여 80℃ 항온수조에서 30분간 시료내의 당을 추출하였다. 그 다음 10,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0.2㎛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표 3의 조건으로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System) 분석을 시행하였다.
HPLC Agilent 1100 series
컬럼(Column) Eclipse XDB-C18(4.6cm x 150mm, 3.6㎛)
가드컬럼(Guard column) Eclipse XDB-C18
Mobile phase (성 분) A: 0.1% 인산 B: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검출기(Detector) 255nm
유 속 0.8 ml/min
4차 선발된 균주인 89 균주, K-M1-4 균주 및 K-AP3 균주들을 비지배지 및 배아배지에 각각 1%(v/v) 접종시킨 후, 30℃에서 48시간까지 배양하면서 6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취하여 당 성분인 스타키오스(stachyose), 라피노스(raffinose), 수크로제(sucrose), 글루코제(glucose), 갈락토제(galactose), 프룩토제(frutose)의 함량 변화를 HPLC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보면 난소화성 올리고당인 스타키오스와 라피노스가 높은 비율로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89 균주와 K-M1-4 균주는 스타키오스와 라피노스를 거의 이용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K-AP3 균주는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스타키오스와 라피노스 함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4차 선발된 균주들의 이소플라본 비배당체(aglycone) 변환율 확인 실험
우선 액체배지(soy medium)에서 선발미생물을 37℃, 48시간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250ml) 취하여 원심분리(10,000 × g / 15 분)기로 분리시킨 후, 상등액을 취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분석은 동결건조 시료 0.5g에 70% 메탄올 20ml을 가하여 10분간 초음파처리(sonication)시키고 20분간 진탕하였다. 그 후에 10,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0.2㎛ 멤브레인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낸 조건으로 HPLC 분석을 시행하였고, 도 5에 이소플라본 함량 변화 실험결과를 나타내었다.
HPLC Agilent 1100 series
컬럼(Column) Sugar-Pak TM1, 6.5cm x 300mm (Waters, USA)
컬럼온도(Column temp.) 80℃
Mobile phase H2O
검출기(Detector) RID (Waters, USA)
유 속 0.5 ml/min
4차 선발균주에 따라 이소플라본 변화의 차이를 보였으나,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균주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배당체인 글리코시드(glycoside)가 감소하는 반면에 비배당체인 어글리콘(aglycone)이 점차 증가하는 경항을 나타내었다. 특히 K-AP3 균주의 경우, 비배당체인 어글리콘(aglycone)의 함량 변화량이 도 5의 결과와 같이 620 mg/100g에서 760 mg/100g으로 함량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2 내지 4의 균주들의 생육 및 특성 실험, 당 분해실험 및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 분석실험을 통하여 K-AP3 균주가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 효소에 대하여 우수한 활성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따라 K-AP3 균주를 최종 선발하여 동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5
K-AP3 균주의 동정
동정방법
동정방법은 그램(Gram)염색과 현미경 관찰을 통해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API 50 CHL kit(bioMerieux Co., France)으로 하기 표 5에 표시된 49개의 탄소원에 대한 이용성을 조사하고 이 결과를 API 50 CHL database V3.0 (http://apiweb.biomerieux.com)을 이용하여 잠정적으로 동정하였다. 보다 더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16S ribosomal DNA gene sequencing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선발미생물의 chromosomal DNA를 분리한 다음 16S rDNA sequencing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27F(5'-AGAGTTTGATCATGGCTCAG-3')와 1492R (5'-GGATACCTTGTTACGACTT-3') primer를 사용하여 94℃에서 1분간 디내쳐레이션(denaturation), 51℃에서 1분간 어닐링(annealing), 72℃에서 1분 30초 동안 중합(polymerization)을 시키는 조건에서 PCR (MinicyclerTM, MJ research Inc., Waltham, MA, USA)로 증폭시켰다. 증폭된 약 1400 bp의 fragment를 T 벡터(T vector, Invitrogen, Carlsbad, CA, USA)에 결합시킨 후 형질전환하였다. T 벡터 시퀀싱 프라이머(T vector sequencing primer)를 이용하여 염기서열 결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BLAST search (http://www.ncbi.nlm.nih.gov) program을 이용하여 GENBANK (NCBI, Bethesda, MD, USA)의 리보솜 DNA 유전자 시퀀싱(ribosomal DNA gene sequencing)과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효소활성이 가장 높은 K-AP3 균주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Gram 양성 구균이었으며 당이용성 검토를 위하여 API 50 CHL KIT TEST를 실시하여 동정한 결과,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ssp., 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데스/덱스트라니큠(mesenteroides/dextranicum)와 99.9 % 상동성을 보였으며, 이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보다 더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선발미생물의 16S 리보솜(ribosomal) DNA 분석을 실시하였다.
16S rDNA gene sequence의 결과는 서열목록 1에 나타내었으며, 이 염기서열을 BLASTN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자 생물학적 연관성을 나타내는 계통도를 얻었고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동정 결과에 따르면 선발미생물은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ATCC8293와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로 보였다. 따라서 선발미생물을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로 동정하고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K-AP3이라 명명하였다.(기탁번호 KFCC 11409P)
Figure 112008020684462-PAT00003
상기 표 5에 있어서, +는 양성반응, -는 음성반응을 나타낸다.
제조예
최종 선발된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되고, 난소화성 올리고당이 감소된 기능성 배아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발효기(300L)에 분쇄된 배아(22kg)와 물(176kg)을 넣고 121℃에서 10분 동안 멸균 처리하고 30℃로 냉각한 후에 선발균주를 1 x 106 CFU/g 수준으로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으며, 이 배양액을 동결건조시켜 제품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인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은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 효소의 활성이 매우 높은 바, 차후 의약품 제조, 발효식품과 같은 건강식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크게 기대된다.
도 1은 실험예 2의 4차 선발된 균주들의 pH 변화 실험 결과이다.
도 2는 실험예 2의 4차 선발된 균주들의 적정산도(TA)의 변화 실험결과이다.
도 3은 실험예 2의 4차 선발된 균주들의 생균수의 변화 실험결과이다.
도 4는 실험예 3의 배아배지에서의 당 분해실험결과이며, (A)는 89 균주, (B)는 K-M1-4 균주, (C)는 K-AP3 균주에 대한 실험결과이다.
도 5는 실험예 4의 배아배지에서의 이소플라본 함량 분석실험결과이며, (A)는 89 균주, (B)는 K-M1-4 균주, (C)는 K-AP3 균주에 대한 실험결과이다.
도 6은 실험예 5에 의해 동정된 K-AP3 균주의 염기서열을 BLASTN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자 생물학적 연관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110> MAEIL DAIRY INDUSTRY CO.,LTD. <120> 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K-AP3 having High activity of alpha-galactosidase and beta-glucosidase and Isoflavon concentrates using thereof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980 <212> DNA <213> 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K-AP3 <400> 1 tgcttagacg gctccttcct aaaaggttag gccaccggct ttgggcatta caaactccca 60 tggtgtgacg ggcggtgtgt acaagacccg ggaacgtatt caccgcggcg tgctgatccg 120 cgattactag cgattccgac ttcatgtagt cgagttgcag actacaatcc gaactgagac 180 gtactttaag agattagctc accctcgcgg gttggcaact cgttgtatac gccattgtag 240 cacgtgtgta gcccaggtca taaggggcat gatgatctga cgtcgtcccc gccttcctcc 300 ggtttgtcac cggcagtctc gctagagtgc ccatctgaat gctggcaact aacaataagg 360 gttgcgctcg ttgcgggact taacccaaca tctcacgaca cgagctgacg acgaccatgc 420 accacctgtc actttgtctc cgaagagaac acttctatct ctaaaagctt caaaggatgt 480 caagacctgg taaggttctt cgcgttgctt cgaattaaac cacatgctcc accgcttgtg 540 cgggtccccg tcaattcctt tgagtttcaa ccttgcggtc gtactcccca ggcggaacac 600 ttaatgcgtt agcttcggca ctaagaggcg gaaacctcct aacacctagt gttcatcgtt 660 tacggtgtgg actaccaggg tatctaatcc tgtttgctac ccacactttc gagcctcaac 720 gtcagttaca gtccagtaag ccgccttcgc cactggtgtt cttccatata tctacgcatt 780 ccaccgctac acatggagtt ccacttacct ctactgcact caagttaacc agtttccaat 840 gccattccgg agttgagctc cgggctttca catcagactt aatcaacgtc tgcgctcgct 900 tacgccaaat caagctggca tacgtatacg tgctggacga tttacgtcct tgaggtacgt 960 caactaaatc tccattagct 980

Claims (6)

  1.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이 높은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Leuconostoc pseudomesenteroides K-AP3, 기탁번호 KFCC 11409P).
  2. 대두 또는 대두배아를 상기 청구항 1의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으로 발효시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플라본 농축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농축물은 상기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으로 48시간 발효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을 0.7 ~ 0.8 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플라본 농축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농축물은 상기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으로 48시간 발효시, 스타키오스(stachyose) 4 ~ 6 중량% 및 라피노스(raffinose) 1 ~ 2 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플라본 농축물.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물은 용액 또는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플라본 농축물.
  6. 대두 또는 대두배아와 물을 1: 7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멸균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멸균 처리된 혼합물에 청구항 1의 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를 접종,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플라본 농축물의 제조방법.
KR1020080026404A 2008-03-21 2008-03-21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이 높은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 및 이를 이용한이소플라본 농축물 KR100978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404A KR100978415B1 (ko) 2008-03-21 2008-03-21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이 높은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 및 이를 이용한이소플라본 농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404A KR100978415B1 (ko) 2008-03-21 2008-03-21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이 높은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 및 이를 이용한이소플라본 농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893A true KR20090100893A (ko) 2009-09-24
KR100978415B1 KR100978415B1 (ko) 2010-08-26

Family

ID=4135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404A KR100978415B1 (ko) 2008-03-21 2008-03-21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이 높은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 및 이를 이용한이소플라본 농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4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829A (ko) * 2014-01-08 2015-07-1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소플라본 배당체로부터 이소플라본 아글리콘을 수득하는 방법
KR20180120933A (ko) * 2017-04-28 2018-11-07 (주) 노바렉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해 제조한 브로컬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대장염 예방, 치료 또는 개선 기능을 갖는 조성물
CN113558193A (zh) * 2021-06-24 2021-10-29 苏州大学 一种富含大豆异黄酮苷元的发酵饮料的制备方法
CN115181675A (zh) * 2022-05-06 2022-10-14 南京思农生物有机肥研究院有限公司 一种贵州木霉菌促生伴侣溜曲霉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43545A1 (en) * 2000-04-10 2001-10-10 Kraft Foods, Inc. Low-cost soy proteinaceous food ingredients
IL154393A (en) * 2000-08-18 2005-12-18 Central Soya Co Soy protein product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10428395B2 (en) 2005-10-11 2019-10-01 Probiotical S.P.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nallergic probiotic bacterial cultures and related u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829A (ko) * 2014-01-08 2015-07-1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소플라본 배당체로부터 이소플라본 아글리콘을 수득하는 방법
KR20180120933A (ko) * 2017-04-28 2018-11-07 (주) 노바렉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해 제조한 브로컬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대장염 예방, 치료 또는 개선 기능을 갖는 조성물
CN113558193A (zh) * 2021-06-24 2021-10-29 苏州大学 一种富含大豆异黄酮苷元的发酵饮料的制备方法
CN115181675A (zh) * 2022-05-06 2022-10-14 南京思农生物有机肥研究院有限公司 一种贵州木霉菌促生伴侣溜曲霉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415B1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667B1 (ko) 비배당체가 세포내에 축적되어 있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 제제
KR101108428B1 (ko) 인간의 모유에서 분리한 프로바이오틱 활성 및 체중 증가억제 효과를 갖는 유산균
Mazlan et al. Biotransformation of Momordica charantia fresh juice by Lactobacillus plantarum BET003 and its putative anti-diabetic potential
JPWO2005000042A1 (ja) エクオール産生乳酸菌含有組成物
KR101832387B1 (ko) 유산균을 이용한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산양삼 발효물의 제조방법
Hati et al. β-Glucosidase from almonds and yoghurt cultures in the biotransformation of isoflavones in soy milk
KR10196824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mi-1109 균주 및 이의 용도
JP4610525B2 (ja) エクオール産生乳酸菌含有組成物
KR100978415B1 (ko) α―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이 높은류코노스톡 슈도메센트로이데스 K―AP3 및 이를 이용한이소플라본 농축물
Afzaal et al. Nutritional health perspective of natto: A critical review
AU2017367332B2 (en) Aglycone production promoter
KR20130107940A (ko) 발효 홍삼 제조방법
KR20190018204A (ko) 위액산 내성과 담즙산 내성이 탁월하고 높은 가바 생산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wcp02 균주, 이를 이용한 생균제제 및 발효식품
KR101771488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nrr1207 균주, 이를 이용한 발효 인삼과 프로바이오틱스 생균제제 조성물
KR100613764B1 (ko) 칡으로부터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제조하는 방법
Hwang et al. Changes in phytoestroge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during fermentation of soybean-powder milks prepared from different soybean cultivars by Lactobacillus plantarum P1201
KR100485267B1 (ko) 이소플라본이 완전히 가수분해된 두유 발효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71953A (ko)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생산하는 신규한 미생물 및 이를함유하는 조성물
KR100930251B1 (ko)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능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KR102466825B1 (ko) 사포닌에 대해 생물전환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bla-9 균주, 이를 이용한 화합물 k의 함량이 증대된 발효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이에 따른 발효 홍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102549B1 (ko) 사포닌 생물전환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이를 이용한 발효 렌틸콩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1236B1 (ko) 대두 사포닌 분해능을 갖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대두 사포닌 분해용 조성물
Mollova et al. β-Galactosidase from strains isolated from breast milk and infant saliva: characterization and participation in absorption of different oligosacchar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