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842A -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842A
KR20090100842A KR1020080026316A KR20080026316A KR20090100842A KR 20090100842 A KR20090100842 A KR 20090100842A KR 1020080026316 A KR1020080026316 A KR 1020080026316A KR 20080026316 A KR20080026316 A KR 20080026316A KR 20090100842 A KR20090100842 A KR 20090100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resin layer
synthetic resi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231B1 (ko
Inventor
도시나루 가야하라
히로아끼 나까야마
야스히로 마쯔까와
히로시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0026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23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2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wood grain eff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층인 합성 수지층(백커층)과 장식 시트(화장 시트 중간체)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이며, 간편한 방법에 의해 얻어지고, 백커층과 장식 시트가 충분히 접착되어 있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간편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기재 시트의 표면에 1 또는 2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있는 화장 시트 중간체와, 상기 기재 시트의 이면에 적층된 두께 150 ㎛ 이상의 합성 수지층을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이며,
(1) 상기 기재 시트 및 상기 합성 수지층이 모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고,
(2) 상기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상기 화장 시트 중간체와 상기 합성 수지층을 열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얻어진다.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백커층, 폴리프로필렌 수지, 화장 시트, 열 라미네이트

Description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바닥재용 화장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및 2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두꺼운 합성 수지층(소위 백커층) 위에 장식 시트를 적층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백커층을 각종 피착재에 접착하여 바닥용 화장재가 된다. 또한, 백커층은 바닥재용 화장 시트에 경도, 강도 등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두꺼운 합성 수지층(보강층)이다.
종래, 백커층을 갖는 상기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드라이 라미네이션 등에 의해 장식 시트 이면에 백커층을 접착함으로써 제조되고 있지만, 이러한 제조 방법에서는 접착제의 배합이나 점도 조정 등의 작업에 시간이 소요되고, 접합 후 경화 반응을 기다리기 위해 양생(養生)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한 경우에는, 접착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접착면에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적층하는 시도가 있지만, 이 것은 생산 공정을 보다 장시간화한다.
따라서, 간편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백커층과 장식 시트가 충분히 접착되어 있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1374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8-1883호 공보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층인 합성 수지층(백커층)과 장식 시트(화장 시트 중간체)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이며, 간편한 방법에 의해 얻어지고, 백커층과 장식 시트가 충분히 접착되어 있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간편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장식 시트의 기재와 합성 수지층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시키고, 추가로 장식 시트와 합성 수지층을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접착시키는 경우에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기재 시트의 표면에 1 또는 2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있는 화장 시트 중간체와, 상기 기재 시트의 이면에 적층된 두께 150 ㎛ 이상의 합성 수지층을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이며,
(1) 상기 기재 시트 및 상기 합성 수지층이 모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고,
(2) 상기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상기 화장 시트 중간체와 상기 합성 수지층을 열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얻어지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2] 상기 [1]에 있어서, 화장 시트 중간체가 기재 시트 위에 무늬 모양층, 투명성 접착제층, 투명성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순서대로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3] 상기 [2]에 있어서, 기재 시트와 무늬 모양층 사이에 추가로 착색 은폐층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4] 상기 [2]에 있어서, 투명성 표면 보호층의 앞면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해당 기재 시트를 폭 5 ㎜, 길이 10 ㎜, 두께 0.06 ㎜의 형상으로 한 것을 시료로 하고, JIS K0129(TMA: 열 기계 분석)의 규정에 따라 상기 시료의 길이 방향으로 5 gf의 인장 하중을 가하면서 상기 시료의 온도를 5 ℃/분의 속도로 30 내지 180 ℃까지 추이시킨 경우, 상기 시료가 길이 방향으로 1.7 ㎜ 연신되었을 때의 온도가 140 ℃ 이하인 바닥재용 화장 시트.
[6] 기재 시트의 표면에 1 또는 2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있는 화장 시트 중간체와, 상기 기재 시트의 이면에 적층된 두께 150 ㎛ 이상의 합성 수지층을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이며,
(1) 상기 기재 시트 및 상기 합성 수지층이 모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고,
(2) 상기 화장 시트 중간체의 기재 시트와 상기 합성 수지층을 열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접착하는 제조 방법.
[7]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해당 기재 시트를 폭 5 ㎜, 길이 10 ㎜, 두께 0.06 ㎜의 형상으로 한 것을 시료로 하고, JIS K0129(TMA: 열 기계 분석)의 규정에 따라 상기 시료의 길이 방향으로 5 gf의 인장 하중을 가하면서 상기 시료의 온도를 5 ℃/분의 속도로 30 내지 180 ℃까지 추이시킨 경우, 상기 시료가 길이 방향으로 1.7 ㎜ 연신되었을 때의 온도가 140 ℃ 이하인 제조 방법.
[8] 상기 [1]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에서의 합성 수지층의 이면과 피착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용 화장재.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기재 시트 및 백커층이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는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강고하게 접착된다. 이 때문에,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비해 간편한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진다. 특히 접착제의 도포나 프라이머층의 형성 등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위성이 높다.
이하,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닥재용 화장 시트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기재 시트의 표면에 1 또는 2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있는 화장 시트 중간체와, 상기 기재 시트의 이면에 적층된 두께 150 ㎛ 이상의 합성 수지층(백커층)을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이며,
(1) 상기 기재 시트 및 상기 합성 수지층이 모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고,
(2) 상기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상기 화장 시트 중간체와 상기 합성 수지층을 열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기재 시트 및 백커층이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는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강고하게 접착된다. 이 때문에,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비해 간편한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진다.
(합성 수지층)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기재 시트의 이면에 두께 150 ㎛ 이상의 합성 수지층(소위 백커층)을 갖는다.
백커층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중합체 뿐만 아니라,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결정부를 갖고,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외에 에틸렌, 부텐-1, 4-메틸펜텐-1, 헥센-1 또는 옥텐-1의 공단량체를 15 몰%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도 들 수 있다.
백커층은, 2층 이상의 적층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층을 2층 이상 적층한 것일 수도 있다.
백커층의 두께는 150 ㎛ 이상일 수 있으며, 250 내지 400 ㎛ 정도가 바람직하다.
백커층은, 예를 들면 용융 수지의 압출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동시 압출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백커층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동시 압출 제막에는, 예를 들면 멀티 매니폴드 타입이나 피드 블록 타입의 T 다이를 사용할 수 있다.
(화장 시트 중간체)
화장 시트 중간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는 기재 시트의 표면에 1 또는 2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있다.
화장 시트 중간체로서는, 예를 들면 기재 시트 위에 적어도 무늬 모양층, 접착제층, 투명성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갖고, 투명성 표면 보호층이 최외측 표면층인 층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들 수 있다. 화장 시트의 최외측 표면층에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요철 모양이 부여될 수도 있다.
각 층의 형성 방법은 한정적이지 않으며, 예를 들면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실크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전사 인쇄 등의 인쇄; 분무, 롤러, 브러시 등의 도포; 시트상물 등의 적층 등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으로부터, 각 층의 특성, 원료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합하여 선택할 수 있다.
각 층의 두께는 한정적이지 않으며, 최종 제품의 용도,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0.1 내지 500 ㎛ 정도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시 양태를 대표예로서 각 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재 시트>>
기재 시트는, 그 표면(앞면)에 무늬 모양층 등이 차례로 적층된다.
기재 시트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한다. 폴리프로 필렌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중합체 뿐만 아니라,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결정부를 갖고,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외에 에틸렌, 부텐-1, 4-메틸펜텐-1, 헥센-1 또는 옥텐-1의 공단량체를 15 몰%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도 들 수 있다.
기재 시트는, 10 내지 60 중량% 정도(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 정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재 시트와 합성 수지층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기재 시트는, 해당 기재 시트를 폭 5 ㎜, 길이(=척간 거리) 10 ㎜, 두께 0.06 ㎜의 형상으로 한 것을 시료로 하고, JIS K0129(TMA: 열 기계 분석)의 규정에 따라 상기 시료의 길이 방향으로 5 gf의 인장 하중을 가하면서 상기 시료의 온도를 5 ℃/분의 속도로 30 내지 180 ℃까지 추이(30 ℃를 시점으로 하여 상기 속도로 180 ℃까지 승온)시킨 경우, 상기 시료가 길이 방향으로 1.7 ㎜ 연신되었을 때의 온도가 1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130 내지 140 ℃가 보다 바람직하고, 하한값은 120 ℃ 정도이다. 상기 온도가 140 ℃를 초과하면, 오히려 열 라미네이트 특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열 기계 분석에 사용하는 시료는, 110 ℃ 정도의 온도에서 충분히 열 건조시킨 것을 사용한다. 상기 JIS는 일본 공업 규격(Japanese Industrial Standards)을 의미한다.
상기 온도 특성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특히 기재 시트와 백커층의 접착 강도 를 높일 수 있다.
기재 시트는 착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착색재(안료 또는 염료)를 첨가하여 착색할 수 있다. 착색재로서는,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카본 블랙, 산화철 등의 무기 안료,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의 유기 안료 이외에 각종 염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공지 또는 시판되는 것으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착색재의 첨가량도 원하는 색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기재 시트를 착색하는 경우에는 기재 시트를 3층 구성으로 하고, 중간층에 착색제를 함유시키는 양태로 함으로써, 기재 시트와 백커층을 열 라미네이트할 때의 접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오염 방지에도 기여한다.
기재 시트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광택 제거제, 발포제, 난연제, 윤활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기재 시트의 두께는 최종 제품의 용도, 사용 방법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50 내지 250 ㎛가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는, 필요에 따라 무늬층을 형성하는 잉크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표면(앞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의 방법ㆍ 조건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잇다.
<<무늬 모양층(무늬층)>>
무늬층은, 화장 시트에 원하는 무늬(의장)를 부여하는 것이고, 무늬의 종류 등은 한정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나뭇결 모양, 돌결 모양, 모래결 모양, 타일 부 착 모양, 벽돌 적층 모양, 옷감의 결 모양, 피교(皮絞) 모양, 기하학 도형, 문자, 기호, 추상 모양 등을 들 수 있다.
무늬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공지된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를 결착재 수지와 함께 용제(또는 분산매) 중에 용해(또는 분산)하여 얻어지는 잉크를 이용한 인쇄법에 의해, 기재 시트 표면에 형성하면 된다.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티탄백, 아연화, 벤가라, 감청, 카드뮴 레드 등의 무기 안료; 아조 안료, 레이크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디옥사진 안료 등의 유기 안료; 알루미늄 분말, 청동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안료;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염화비스무트 등의 진주 광택 안료; 형광 안료; 야광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착색제에는, 실리카 등의 충전제, 유기 비드 등의 체질 안료, 중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결착재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친수성 처리된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이외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부타디엔, 폴리염화비닐,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로진 유도체,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의 알코올 부가물,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도 병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산계 수지, 폴리에틸렌옥시드계 수지, 폴리 N-비닐 피롤리돈계 수지,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수용성 폴리아미드계 수지, 수용성 아미노계 수지, 수용성 페놀계 수지, 그 이외의 수용성 합성 수지; 폴리뉴클레오티드, 폴리펩티드, 다당류 등의 수용성 천연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우레탄-폴리아크릴계 수지 변성 또는 혼합 수지, 그 이외의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착재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무늬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인쇄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정전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이 있다. 또한, 기재 시트와 무늬층 사이에 완전 전면 착색층(착색 은폐층이라고도 함)을 추가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롤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팅법, 립 코팅법, 콤마 코팅법, 키스 코팅법, 플로우 코팅법, 딥 코팅법 등의 각종 코팅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외에도, 예를 들면 핸드 드로잉법, 먹물 흘림법, 사진법, 전사법, 레이저빔 묘화법, 전자빔 묘화법, 금속 등의 부분 증착법, 에칭법 등을 이용하거나, 다른 형성 방법과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무늬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도공시의 층 두께는 1 내지 15 ㎛ 정도, 건조 후의 층 두께는 0.1 내지 10 ㎛ 정도이다. 착색 은폐층의 건조 후의 막 두께로서도 0.1 내지 10 ㎛ 정도가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접착제층은, 무늬층과 투명성 수지층 사이에 존재한다. 접착제층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는, 무늬층 또는 투명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성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경화 타입 이외에 핫 멜트 타입, 전리 방사선 경화 타입, 자외선 경화 타입 등의 접착제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열 압착할 수 있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열 압착에 의해 무늬층과 투명성 수지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은 무늬층을 인식할 수 있는 한, 투명할 수도 있고, 반투명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탈지 처리, 표면 조면화 처리 등의 공지된 접착 용이화 처리를 접착면에 실시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투명성 수지층, 사용하는 접착제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0.1 내지 30 ㎛ 정도일 수 있다.
<<투명성 수지층>>
투명성 수지층은 투명한 한 착색될 수도 있고, 무늬층이 시인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반투명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이오노머, 폴리메틸펜텐,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체 규칙성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융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압출법에 의해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광택 제거제, 발포제, 난연제, 윤활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 라디칼 포착제, 연질 성분(예를 들면 고무) 등의 각종 첨가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10 내지 150 ㎛ 정도로 한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
투명성 수지층 위에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은 한정적이지 않지만, 수지 성분으로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는, 이들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에 의해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화장 시트의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오염성, 내찰상성, 내후성 등을 높이기 쉽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자외선, 전자선 등 의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중합 가교 반응 가능한 라디칼 중합성 이중 결합을 분자 중에 포함하는 예비 중합체(올리고머를 포함함) 및/또는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예비 중합체 또는 단량체는, 1종을 또는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화 반응은, 통상적으로 가교 경화 반응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비 중합체 또는 단량체로서는,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 에폭시기 등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 등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엔과 폴리티올의 조합에 의한 폴리엔/티올계의 예비 중합체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의미한다.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예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분자량으로서는, 통상적으로 250 내지 1000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단관능 단량체로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시드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 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예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등의 에폭시계 수지, 지방산계 비닐에테르, 방향족계 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계 수지의 예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티올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티오글리콜레이트 등의 폴리티올을 들 수 있다. 폴리엔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한 폴리우레탄의 양끝에 알릴알코올을 부가한 것을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전리 방사선으로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조성물) 중의 분자를 경화 반응시킬 수 있는 에너지를 갖는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가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자외선 또는 전자선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가시광선, X선, 이온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자외선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블랙 라이트,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통상적으로 190 내지 380 ㎚가 바람직하다.
전자선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콕크로프트 왈튼형, 반데그라프트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100 내지 1000 keV,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keV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를 조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주요 제제로서 OH기를 갖는 폴리올 성분(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에폭시폴리올 등)과, 경화제 성분인 이소시아네이트 성분(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은, 필요에 따라 가소제, 안정제, 충전제, 분산제, 염료, 안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은, 예를 들면 투명성 수지층 위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등의 공지된 도공법에 의해 도공한 후,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경우, 전자선 조사에 의해 수지 경화한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최종 제품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0.1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정도이다.
<<엠보싱 가공>>
화장 시트 중간체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 오목부에 잉크를 충전하는 와이핑 가공을 실시하고, 그 표면을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로 피복(오버 코팅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싱 가공은, 화장 시트에 나뭇결 모양 등의 원하는 텍스처를 부여하기 위 해 행한다. 예를 들면, 가열 드럼 위에서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가열 연화시킨 후, 적외선 복사 히터로 140 내지 170 ℃로 가열하고, 원하는 형태의 요철 모양을 갖는 엠보싱판으로 가압ㆍ부형하여, 냉각 고정함으로써 텍스처를 부여한다. 엠보싱 가공은, 공지된 매엽(枚葉) 또는 윤전(輪轉)식 엠보싱기로 행할 수 있다.
엠보싱 가공의 요철 모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뭇결 도관홈, 부조(浮造) 모양(부출(浮出)된 연륜의 요철 모양), 헤어 라인, 모랫결, 체크 무늬 등을 들 수 있다.
와이핑 가공은, 엠보싱 오목부에 닥터 블레이드로 표면을 긁으면서 잉크를 충전하는 가공이다. 와이핑 잉크로서는, 통상적으로 2액 경화형의 우레탄 수지를 결합제로 하는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와이핑 가공에서는, 특히 나뭇결 도관홈 요철에 대하여 행함으로써, 보다 실제의 나뭇결에 가까운 의장을 표현하여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 중에 다른 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용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분산제, 광 안정제, 윤기 조정제, 블록킹 방지제, 윤활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상기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특히 화장 시트 중간체의 기재 시트와 백커층을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제조한다. 기재 시트와 백커층은 모두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기 때문에,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다. 기재 시트 및 백커층의 설명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열 라미네이트의 조건은 양자가 접착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백커층을 150 내지 300 ℃ 정도(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80 ℃ 정도)로 가열하고, 여기에 화장 시트 중간체(기재 시트측)를 밀착시킴으로써 열 라미네이트한다.
또한, 백커층을 용융 압출에 의해 기재 시트 이면에 직접 제막하는 방법에 의해 열 라미네이트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용융 압출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2 내지 20 g/10분(230 ℃ 압출)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15 g/10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MFR은 JIS-K7210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바닥용 화장재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합성 수지층의 이면과 각종 피착재를 접합함으로써 바닥용 화장재로 할 수 있다. 피착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무기 비금속계, 금속계, 목질계, 플라스틱계 등의 재질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기 비금속계에서는, 예를 들면 초조(抄造) 시멘트, 압출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ALC(경량 기포 콘크리트), GRC(유리 섬유 강화 콘크리트), 펄프 시멘트, 목편 시멘트, 석면 시멘트, 규산칼슘, 석고, 석고 슬래그 등의 비도자기 요업계 재료, 토기, 도기, 자기, 석기, 유리, 법랑 등의 세라믹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금속계에서는, 예를 들면 철,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 재료(금속 강판)를 들 수 있다.
목질계에서는, 예를 들면 삼나무, 노송나무, 떡갈나무, 나왕, 티크 등을 포함하는 단판, 합판, 파티클 보드, 섬유판, 집성재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계에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ABS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단판 또는 합판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 수지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계 재료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산화티탄, 클레이 등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피착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플로어링 등으로의 설치를 고려하여 평판으로 할 수 있다.
피착재와 접합한 후에는, 예를 들면 최종 제품의 특성에 따라 재단, 테노너를 사용하여 은촉이음(rabbet) 가공, V자 형상의 줄무늬 홈 부여, 4변의 모따기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제조)
0.06 ㎜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기재 시트)을 준비하였다. 기재 시트 위에 무늬 모양층(2 ㎛)을 인쇄에 의해 형성하였다. 이어서, 무늬 모양층 위에 0.08 ㎜ 두께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투명성 수지층)을 우레탄계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였다. 투명성 접착제층의 두께는 3 ㎛였다. 이어서, 투명성 수지층 위에 전자선 경화형 투명성 표면 보호층(15 ㎛)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투명성 표면 보호층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화장 시트 중간체를 제조하였다. 엠보싱 가공에서는, 깊이 30 ㎛ 정도의 나뭇결 도관 모양을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260 ℃에서 용융한 수지(2종 3층)를 동시 압출 제막함으로써 백커층을 얻고, 여기에 화장 시트 중간체의 기재 시트측을 얹고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양자를 접착하였다. 백커층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30 ㎛(MFR: 6 g/10분)/호모 폴리프로필렌 190 ㎛(MFR: 2 g/10분)/호모 폴리프로필렌 30 ㎛(MFR: 6 g/10분)로부터 형성되는 적층체로 하였다.
(바닥용 화장재의 제조)
제조한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이면(백커층측)에 12 ㎜ 나왕 합판을 접착하여 바닥용 화장재를 제조하였다. 접착에는 우레탄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유탁액 접착제(9 g/척2 wet)를 이용하였다.
비교예 1
화장 시트 중간체와 백커층의 접착을 열 라미네이트가 아닌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닥용 화장재를 제조하였다. 백커층은, 미리 제조해 두고, 상온이 된 것을 사용하였다.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사용한 접착제는 2액성의 열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이고, 도포량은 약 2 g/㎡로 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바닥용 화장재의 기재 시트와 백커층의 층간 강도를 측정 및 평가하였다.
층간 강도는 JIS-K6854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바닥용 화장재의 화장 시트측에 25 ㎜ 폭의 칼자국을 내고, 상기 JIS의 규정에 따라 기재 시트와 백커층간에서 박리시킴으로써, 상태(常態) 강도와 습열 시험 후의 강도를 조사하였다. 습열 시험의 조건은 온도 80 ℃, 습도 90 %의 조건하에서 바닥용 화장재를 200 시간 동안 방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20614803-PAT00001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접착한 종래품보다, 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접착한 본 발명의 바닥용 화장재가 기재 시트와 백커층의 층간 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드라이 라미네이트품에서는 습열 시험에 의한 강도 저하가 현저하지만, 열 라미네이트품에서는 습열 시험 후에도 충분한 층간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참고예 1 내지 3
실시예 1에서, 기재 시트의 TMA 인장 특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경우의 기재 시트와 백커층의 층간 강도(상태 강도)를 측정 및 평가하였다. 상태 강도의 측정 방법은 상기와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기재 시트는, TMA 인장 특성이 138 ℃였다.
Figure 112008020614803-PAT00002
상기 TMA 인장 특성은, 기재 시트를 폭 5 ㎜, 길이 10 ㎜, 두께 0.06 ㎜의 형상으로 한 것을 시료로 하고, JIS K0129(TMA: 열 기계 분석)의 규정에 따라 상기 시료의 길이 방향으로 5 gf의 인장 하중을 가하면서 상기 시료의 온도를 5 ℃/분의 속도로 30 내지 180 ℃까지 추이시킨 경우, 상기 시료가 길이 방향으로 1.7 ㎜ 연신되었을 때의 온도이다. 또한, 시료는 110 ℃에서 충분히 열 건조한 후, 실온까지 냉각한 것을 사용하였다.
표 2의 결과로부터, TMA 인장 특성이 140 ℃ 이하인 기재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층간 강도의 발현에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기재 시트의 표면에 1 또는 2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있는 화장 시트 중간체와, 상기 기재 시트의 이면에 적층된 두께 150 ㎛ 이상의 합성 수지층을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이며,
    (1) 상기 기재 시트 및 상기 합성 수지층이 모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고,
    (2) 상기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상기 화장 시트 중간체와 상기 합성 수지층을 열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얻어지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화장 시트 중간체가 기재 시트 위에 무늬 모양층, 투명성 접착제층, 투명성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순서대로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기재 시트와 무늬 모양층 사이에 추가로 착색 은폐층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투명성 표면 보호층의 앞면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해당 기재 시트를 폭 5 ㎜, 길이 10 ㎜, 두께 0.06 ㎜의 형상으로 한 것을 시료로 하고, JIS K0129(TMA: 열 기계 분석)의 규정에 따라 상기 시료의 길이 방향으로 5 gf의 인장 하중을 가하면서 상기 시료의 온도를 5 ℃/분의 속도로 30 내지 180 ℃까지 추이시킨 경우, 상기 시료가 길이 방향으로 1.7 ㎜ 연신되었을 때의 온도가 140 ℃ 이하인 바닥재용 화장 시트.
  6. 기재 시트의 표면에 1 또는 2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있는 화장 시트 중간체와, 상기 기재 시트의 이면에 적층된 두께 150 ㎛ 이상의 합성 수지층을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이며,
    (1) 상기 기재 시트 및 상기 합성 수지층이 모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고,
    (2) 상기 화장 시트 중간체의 기재 시트와 상기 합성 수지층을 열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접착하는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해당 기재 시트를 폭 5 ㎜, 길이 10 ㎜, 두께 0.06 ㎜의 형상으로 한 것을 시료로 하고, JIS K0129(TMA: 열 기계 분석)의 규정에 따라 상기 시료의 길이 방향으로 5 gf의 인장 하중을 가하면서 상기 시료의 온도를 5 ℃/분의 속도로 30 내지 180 ℃까지 추이시킨 경우, 상기 시료가 길이 방향으로 1.7 ㎜ 연신되었을 때의 온도가 140 ℃ 이하인 제조 방법.
  8. 제1항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에서의 합성 수지층의 이면과 피착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용 화장재.
KR1020080026316A 2008-03-21 2008-03-21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3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316A KR101134231B1 (ko) 2008-03-21 2008-03-21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316A KR101134231B1 (ko) 2008-03-21 2008-03-21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842A true KR20090100842A (ko) 2009-09-24
KR101134231B1 KR101134231B1 (ko) 2012-04-09

Family

ID=4135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316A KR101134231B1 (ko) 2008-03-21 2008-03-21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86A1 (ko) * 2015-08-19 2017-02-23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용 표면처리 조성물 및 바닥재
KR20180126513A (ko) * 2016-03-24 2018-11-27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 시트 및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9541B2 (ja) 2001-07-25 2011-12-21 凸版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シート
JP4658749B2 (ja) * 2004-09-28 2011-03-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耐衝撃性及び耐スクラッチ性に優れた床材用化粧シート
JP2007077763A (ja) 2005-09-16 2007-03-29 Dainippon Printing Co Ltd 床材
JP5509516B2 (ja) 2006-03-31 2014-06-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材用化粧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86A1 (ko) * 2015-08-19 2017-02-23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용 표면처리 조성물 및 바닥재
KR20180126513A (ko) * 2016-03-24 2018-11-27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 시트 및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231B1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427B1 (ko) 내충격성 및 내긁힘성이 우수한 바닥재용 화장시트
CN114932729B (zh) 装饰片和使用了其的装饰材料
EP2308678B1 (en)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JP4945902B2 (ja) 化粧材
JP5429129B2 (ja) 耐衝撃性及び耐スクラッチ性に優れた床材用化粧シート
KR101170872B1 (ko) 화장 시트
JP5353605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691150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6191110B2 (ja) 化粧シート
JP5625295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5533937B2 (ja) 化粧シート
JP5176640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床用化粧材
JP5499430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81006B1 (ko)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134231B1 (ko)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5794364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CN101549578B (zh) 地板材料用装饰片材及其制造方法
JP4752094B2 (ja) 真空成形性を有する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5533982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748336B2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7119825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5146230B2 (ja) エンボス同調化粧シート
JP2011169100A (ja)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JP5354077B2 (ja) 親水性を有する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5120151B2 (ja) 親水性を有する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