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265A - 오디오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디오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265A
KR20090100265A KR1020090022359A KR20090022359A KR20090100265A KR 20090100265 A KR20090100265 A KR 20090100265A KR 1020090022359 A KR1020090022359 A KR 1020090022359A KR 20090022359 A KR20090022359 A KR 20090022359A KR 20090100265 A KR20090100265 A KR 20090100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ler
communication
sub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에이 위간
크리스토퍼 엠 컬핀스키
저스틴 피 맥브라이드
토마스 제이 킬링
도시히로 와카마츠
Original Assignee
덴소 인터내셔날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소 인터내셔날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덴소 인터내셔날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0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커뮤니케이션 장치 및 차량 서브시스템에 제공되는 입력을 검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는 커뮤니케이션 장치로 하여금 서브시스템에 관한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Figure P1020090022359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커뮤니케이션 장치, 서브시스템, 컨트롤러, 작동정보

Description

오디오 지원 시스템{AUDIO HELP SYSTEM}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오디오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단락에서의 기재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며,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은 특정 구성요소 및 서브시스템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구성요소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와이퍼 시스템, 내부 라이트 시스템(light system), 외부 라이트 시스템, 도어(door) 시스템, 록킹(locking)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내온도조절(climate control) 시스템, 좌석조절 시스템, 조향 칼럼(steering column) 조절시스템, 오디오 시스템, 비디오 시스템, 미러 조절 시스템, 안전 시스템, 엔진출력 전달 시스템, 점화 시스템 및 차량의 가치, 안전 및/또는 편리함을 증대시키는 다른 많은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서브시스템(들)은 많은 특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와이 퍼 시스템은 여러 가지 와이핑 빈도 설정(frequency setting)을 가질 수 있으며, 및/또는 차량 앞유리에서의 검출된 강수(강설)량에 따라 와이핑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자동 수분검출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시스템(들)은 프로그램화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석 위치, 미러 위치, 라디오 전파주파수(radio station) 등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컴퓨터화된 메모리에 프로그램화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필요할 때 서브시스템으로 하여금 프로그램화된 시트 위치, 미러 위치, 라디오 전파주파수 등을 다시 불러들일(recall)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차량 서브시스템을 어떻게 작동시키는가를 익히는 것은 복잡하고, 헷갈리며, 포기하게 될 수 있다. 차량은 종종 차량 서브시스템의 다양한 특성을 기재한 해당 사용자 메뉴얼을 포함하고, 서브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조작 지시 및/또는 경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사용자 메뉴얼을 참고하는 것은 불편하고 시간이 소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을 갖는 차량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을 제안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커뮤니케이션 장치 및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입력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장치가 서브시스템에 대하여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장치 및 사용자가 입력을 제공하는 입력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이 제안된다. 상기 차량은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입력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장치가 서브시스템에 대하여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및 비디오 스크린을 갖는 커뮤니케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안된다. 또한, 상기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시스템은 와이퍼 시스템, 내부 라이트 시스템, 외부 라이트 시스템, 도어 시스템, 록킹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내온도조절 시스템, 좌석조절 시스템, 조향 칼럼 조절 시스템, 오디오 시스템, 비디오 시스템, 미러 조절 시스템, 안전 시스템, 엔진출력전달 시스템 또는 점화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브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을 제공하는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차량은 휴대 장치(portable device) 및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를 검출하는 리시버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은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것을 리시버 시스템이 검출할 때 활성(activate)되고,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밖에 있는 것을 리시버 시스템이 검출할 때 비활성되는(deactivate)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을 부가적으로 검출하고, 이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장치가 서브시스템에 대하여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응용가능한 부가적인 영역은 여기에서 제공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설명 및 특정 예들은 예시만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도면들은 예시만을 위한 것이며, 어떻든간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설명은 그 특징에 있어 단지 예시이며, 본 발명, 응용 또는 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 및 특징을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해 보면, 차량(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10)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subsystem)(12)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시스템(12)은 사용자(미도시)가 입력을 제공하는 입력 장치(14)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서, 상기 서브시스템(12)은 차량의 앞유리를 와이핑하기 위한 앞유리 와이퍼 시스템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입력 장치(14)의 하나 이상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와이핑 시스템에 대하여 앞유리 와이퍼를 턴온(turn on) 및 턴오프(turn off)하고, 와이핑 빈도(frequency)를 조절하며, 및/또는 수분 감응성을 조절(즉, 입력을 제공)한다. 상기 서브시스템(12)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어떠한 적절한 방식의 서브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14)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어떠한 적절한 방식의 입력 장치(예를 들면, 버튼, 노브(knob), 다이얼(dial), 터치 스크린 등)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10)은 도면 부호 16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커뮤니케이션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을 포함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커뮤니케이션 장치(18)를 포함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고, 오디오 스피커, 비디오 스크린, 오디오/비디오 결합 유닛과 같은 어떤 적절한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단독으로 전용되는 독립형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차량(10)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entertainment system)의 스피커 또는 비디오 스크린과 같은 별개의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그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터의 정보가 차량의 내측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차량(1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차량(10)의 외측 영역으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차량(10)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컨트롤러(controller)(20)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어떠한 적절한 방식의 컨트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20)는 회로, 중앙처리유닛(CPU), 프로세서, 프로그램화된 로직(logic), 컴퓨터화된 메모리(computerized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만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상기 컨트롤러(20)는 엔진제어유닛 등과 같은 차량(10)의 다른 시스템용 컨트롤러와 통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체로, 사용자(미도시)가 입력 장치(14)를 이용하여 입력을 제공할 경우, 상기 컨트롤러(20)는 입력 장치(14)에 의해 제공된 입력을 검출한다. 이어서 상기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서브시스템(12)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서브시스템(12)의 이용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 장치(14)의 이용으로 인하여 검출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이용되는 서브시스템(12)에 대한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응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이용되는 서브시스템(12)에 대한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서브시스템(12)을 프로그램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서브시스템(12)에 대한 경보 정보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서브시스템(12)에 대한 지원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받음으로써 편리하고 시간을 절약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20)는 버스(bus)(22)와 통신한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14)를 통해 입력을 제공할 경우, 상기 서브시스템(12)은 버스(22)에서 활성되고, 상기 컨트롤러(20)는 서브시스템(12)이 버스(22)에서 활성되고 있음을 검출한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서브시스템(12)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컨트롤러(20)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어떠한 적절한 형태로 입력 장치(14)에 의해 제공된 입력을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20)는 카운터(counter)(21)를 포함한다. 상기 카운터(21)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가 정보를 출력하는 횟수를 기록한다. 또한, 정보가 출력된 소정 횟수를 카운터(21)가 기록한 후, 상기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장치로부터 정보의 출력을 디세이블(disable)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시스템(12)이 소정 횟수 이용되었으면, 그 정보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터 더 이상 출력되지 않는다. 이는 소정 횟수의 이용 이후, 사용자는 서브시스템(12)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쉽게 익히고,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20)는 서브시스템(21)이 소정 횟수 이용되면 작동 지시 정보의 출력을 디세이블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처음 서브시스템(12)을 이용할 경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서브시스템(12)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카운터(21)는 그의 카운트를 하나씩 증가시킨다. 사용자가 서브시스템(12)을 두번째 이용할 경우,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8)은 서브시스템(12)에 대한 정보를 다시 출력하고, 상기 카운터(21)는 그의 카운트를 하나씩 증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이 소정 횟수(예를 들면, 3회) 반복된다. 상기 카운터(21)의 카운트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면, 상기 서브시스템(12)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 없이 사용자가 서브시스템(12)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러(20)는 정보의 출력을 디세이블(disable)한다. 그러므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사용자에게 차량(10)이 새로운 차량일 경우 서브시스템(12)에 대한 정보를 익히는데 이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차량(10)의 서브시스템(12)에 익숙해지면,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서브시스템(12)에 대한 정보를 더 이상 출력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도면 부호 23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스마트키(smart key)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10)에 통합된다.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23)은 참조로서 여기에 전적으로 통합되는 2004.07.24 공개된 미국특허공개 제2004/0119628호 공보(Kumazaki 등) 및/또는 2006.03.30 공개된 미국특허공개 제2006/0066439호 공보(Keeling 등)에서 제안된 이들 시스템과 같은 어떤 적절한 방식의 스마트키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23)은 리시버(receiver)(24) 및 휴대 장치(portable device)(26)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장치(26)는 일반적인 키 대신에 사용자가 지니고 다닐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장치(26)는 리시버(24)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리시버(24)는 차량(10)의 소정 범위(파선(28)으로 나타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리시버(24)는 휴대 장치(26)가 차량(10) 가까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10)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내에 있는 것으로 상기 리시버(24)가 검출하는 경우, 스마트키 시스템(23)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차량(1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내에 있을 경우, 차량(10)의 도어락(미도시)은 자동으로 언락(unlock)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락은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내에 있고, 사용자가 도어 핸들 중 하나를 터치하는 경우에만 언락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내에 있을 경우, 사용자는 버튼(미도시)을 누름으로써(즉, 점화를 위한 키의 삽입 없이) 차량(10)의 엔진을 시동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23)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기능을 구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정 범위(28)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차량(10)에 대하여 어떠한 적절한 사이즈로 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내에 있음을 리시버(24)가 검출하는지 여부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의 동작을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0)는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내에 있는 경우 활성되는(즉, 통전되는) 중앙처리유닛(CPU)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20)의 CPU는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밖에 있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비활성(즉, 비통전)되어 에너지를 절약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내에 있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터의 정보만을 출력한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스마트키 시스템(23) 과 별개로 작동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차량(10)은 스마트키 시스템(23)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해 보면, 차량(10) 및 그의 복수의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열거된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은 단지 예시일뿐이고, 차량(10)은 소정 개수의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입력 장치(14a 내지 14o)를 포함한다. 각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의 입력 장치(14a 내지 14o)는 각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을 턴온하고,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의 동작을 조절하거나 각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에 관련하는 어떠한 다른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 입력 장치(12a 내지 12o)는 버튼, 스위치, 다이얼, 노브(knob), 레버(lever),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어떠한 적절한 방식의 입력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은 그의 제어를 위하여 동일한 입력 장치(14a 내지 14o)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차량(10)은 와이퍼 시스템(12a)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시스템(12a)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퍼 시스템(12a)은 다양한 빈도 설정(frequency setting)을 갖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퍼 시스템(12a)은 차량 앞유리에서 수분이 검출되는 경우 와이퍼가 앞유리를 자동으로 와이핑할 수 있도록 하는 수분검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퍼 시스템(12a)은 앞유리에서 검출된 수분의 양에 따라 와이퍼 시스템의 빈도를 자동 조절한다. 상기 입력 장치(14a)는 와이퍼를 턴온/턴오프(turn on/turn off)하고, 와이핑 빈도를 조절하고, 수분검출장치를 턴온/턴오프하며, 수분검출장치의 감응성을 조절하는 등을 위하여 이용된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14a)를 조작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와이퍼 시스템(12a)의 이용을 검출하고,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하여금 와이퍼 시스템(12a)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와이퍼 시스템(12a)의 특성을 설명하는 오디오 레코딩을 플레이하거나 미리녹화된 비디오를 플레이하고, 와이퍼 시스템(12a)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작동 방법 등을 설명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0)가 와이퍼 시스템(12a)의 이용을 검출하는 경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수분검출 시스템의 감응성을 변화시키고, 와이퍼 스위치의 내부링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오디오 메시지(동반되는 비디오와 함께 또는 비디오 없이)를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효과적인 이용을 위하여 와이퍼 시스템의 다른 특성 및/또는 제어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상기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카운터(21)는 그의 카운터를 하나씩 증가시킨다. 상기 카운터(21)는 와이퍼 시스템(12a)이 추가로 이용될 때마다 이어서 그의 카운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상기 정보를 추가로 출력한다. 상기 와이퍼 시스템(12a)이 소정 횟수 이용되면,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터의 정보의 출력을 디세이블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일 실시예에서, 차량(10)은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14b)를 갖는 내부 라이트시스템(interior light system)(12b)을 포함한다. 컨트롤러(20)가 내부 라이트시스템(12b)의 이용을 검출하면,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내부 라이트시스템(12b)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내부 라이트를 턴온하고 턴오프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라이트는 프로그램화될 수 있고, 엔진이 턴오프 된 이후 내부 라이트가 켜진 채 남아있는 시간의 길이는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내부 라이트시스템(12b)을 프로그램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21)를 이용하여 내부 라이트시스템(12b)에 대한 정보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8)가 출력하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10)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14c)를 갖는 외부 라이트시스템(12c)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라이트시스템(12c)의 이용이 검출되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외부 라이트시스템(12c)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차량(10)의 외부 라이트를 턴온/턴오프 하는 방법 및/또는 차량(10)의 외부 라이트를 프로그램하는 방법에 관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21)를 이용하여 외부 라이트시스템(12c)에 대한 정보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8)가 출력하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차량(10)은 도어 시스템(12d)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시스템(12d)은 스윙 도어, 슬라이딩 도어, 후방 게이트(gate) 등과 같은 어떤 적절한 방식의 도어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시스템(12d)은 윈도를 개폐하기 위한 리트랙터블 윈도(retractable window) 및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시스템(12d)은 도어 핸들, 버튼과 같은 입력 장치(14d) 및/또는 도어 시스템(12d)의 도어 및/또는 윈도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어떤 적절한 입력 장치(14d)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시스템(12d)의 이용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도어 시스템(12d)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정보 및 도어 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 시스템(12d)은 차량(10)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즉,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작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시스템(12d)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지를 상기 컨트롤러(20)가 검출하는 경우,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이동하는 도어가 떨어져 있음에 대한 경보 메시지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경보 메시지는 그 정보가 차량(10)의 외측 및 내측에서 듣거나 볼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21)를 이용하여 도어 시스템(21d)에 대한 정보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8)가 출력하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10)은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입력 장치(14e)를 갖는 록킹 시스템(12e)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 시스템(12e)은 차량(10)의 도어를 록킹 및 언록킹한다. 상기 록킹 시스템(12e)이 이용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20)는 록킹 시스템(12e)에 대한 정보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8)가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도어를 록킹 및 언록킹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 장치(26)가 차량(10)의 소정 범위(28) 내에 있음을 리시버(24)가 검출하는 경우,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차량(10)의 도어를 언록킹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내에서 검출되지 않고, 도어 핸들이 차량(10)의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이용된다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스마트키(FOB)가 검출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21)를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장치(18)가 록킹 시스템(12e)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차량(10)은 네비게이션 시스템(12f) 및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14f)를 포함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12f)은 요구되는 영역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고, 요구되는 위치 및 요구되는 위치로부터의 방향을 열거할 수 있으며, 차량(10)의 주위의 관심 영역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시스템(12f)의 이용이 검출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네비게이션 시스템(12f)을 이용하는 방법, 네비게이션 시스템(12f)의 다른 설정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시스템(12f)을 프로그램하는 방법과 같은 네비게이션 시스템(12f)에 관한 정보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하여금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 터(21)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21f)에 관한 정보를 커뮤니케이션 장치(18)가 출력하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10)은 실내온도 제어시스템(12g) 및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14g)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온도 제어시스템(12g)은 차량(10)의 내측 온도 조절, 윈도 성에제거 시스템의 작동 등에 유용하다. 상기 컨트롤러(20)가 실내온도 제어시스템(12g)의 이용을 검출하는 경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실내온도 제어시스템(12g)을 이용하는 방법, 실내온도 제어시스템(12g)을 프로그램하는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카운터(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정보가 출력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10)은 엔진출력 전달시스템(12h) 및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입력 장치(14h)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출력 전달시스템(12h)은 차량(10)의 엔진으로부터 차량(10)의 바퀴로의 출력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엔진출력 전달시스템(12h)은 네 개의 바퀴의 턴온/턴오프, 트랙션 콘트롤(traction control) 시스템의 턴온/턴오프 등을 할 수 있다. 입력 장치(14h)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이러한 이용을 검출하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하여금 엔진출력 전달시스템(12h)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엔진출력 전달시스템(12h)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엔진출력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소정의 운행 조건하에서 트랙션의 손실에 관한 경보, 차량(10)의 파워트래인(power train)에 손상에 대한 경보 등과 같이 엔진출력 전달시스템(12h)에 관한 경보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카운터(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가 출력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10)은 좌석조절 시스템(12i) 및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입력 장치(14i)를 포함한다. 상기 좌석조절 시스템(12i)은 차량(10)의 좌석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 장치(14i)가 조작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하여금 좌석조절 시스템(12i)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차량(10)의 좌석을 위치시키는 다양한 방식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좌석 및 헤드레스트(headrest)를 위치시키는 방법, 아이들 좌석의 적절한 이용 방법 등에 관한 경보 정보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좌석조절 시스템(12i)을 이용하여 컴퓨터화된 메모리에 좌석의 위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카운터(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가 출력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차량(10)은 조향 칼럼 조절시스템(12j) 및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입력 장치(14j)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 칼럼 조절시스템(12j)은 차량(10)의 조향 칼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조향 칼럼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입력 장치(14j)가 조작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조향 칼럼 조절시스템(12i)이 이용되었음을 검출하고,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하여금 조향 칼럼 조절시스템(12j)에 관한 정보를 출 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조향칼럼 조절시스템(12j)을 이용하여 조향 칼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조향칼럼 조절시스템(12j)을 이용하여 컴퓨터화된 메모리로 조향 칼럼의 위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카운터(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가 출력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오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2k) 및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입력 장치(14k)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2k)은 스피커,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및/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오디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2k)을 작동시키도록 입력 장치(14k)가 조작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하여금 오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2k)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오디오 엔터테인먼트를 턴온/턴오프하는 방법, 볼륨을 조절하는 방법, 오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2k)의 라디오에서의 전파주파수(station)를 프로그램하는 방법, CD의 트랙을 변경시키는 방법에 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오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2k)의 작동을 위한 다른 어떤 적절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카운터(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가 출력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차량(10)은 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2l) 및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입력 장치(14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2l)은 비디오 스크린, DVD 플레이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및/또는 다른 어떤 적절한 비디오 매체 플레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장치(14l)가 조작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하여금 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2l)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턴온/턴오프하는 방법, 볼륨을 조절하는 방법, 비디오를 빨리감기하는 방법 및/또는 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12l)의 작동의 어떤 다른 설명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카운터(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가 출력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입력 장치(14m)를 갖는 미러 조절 시스템(12m)을 포함한다. 상기 미러 조절 시스템(12m)은 차량(10)의 하나 이상의 미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액추에이터 및/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방식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장치(14m)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액추에이터는 미러 조절 시스템(12m)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입력 장치(14m)가 조작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하여금 미러 조절 시스템(12m)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입력 장치(14m)를 이용하여 미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미러 조절 시스템(12m)의 입력 장치(14m)를 이용하여 컴퓨터화된 메모리에 미러의 위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카운터(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가 출력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차량(10)은 안전 시스템(12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시스템(12n)은 에어백, 좌석벨트, 좌석 텐셔너(seat tensioner) 및/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안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시스템(12n)은 그 안전 시스템을 턴온/턴오프하기 위한 버튼과 같은 입력 장치(14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4n)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하여금 안전 시스템(12n)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안전 시스템의 목적, 입력 장치(14n)를 이용하여 안전 시스템을 턴온/턴오프하는 방법, 및/또는 안전 시스템(12n)의 이용 또는 미이용에 관한 경고를 설명한다. 또한, 카운터(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가 출력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10)은 점화 시스템(12o)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 시스템(12o)은 차량(10)의 엔진을 시동 및 정지시키는데 유용하다. 상기 점화 시스템(12o)은 버튼 및/또는 회전가능한 키홀(keyhole)과 같은 입력 장치(14o)를 포함한다. 엔진을 시동하도록 상기 입력 장치(14o)가 조작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 하여금 점화 시스템(12o)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차량의 엔진을 시동 및/또는 정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내에 있음을 리시버(24)가 검출하는 경우,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점화 시스템(12o)과 관련하여 스마트키 시스템(23)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휴대 장치(26)가 검출되었 고, 차량을 시동하기 전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시기 바랍니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카운터(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가 출력되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커뮤니케이션 장치(18)가 정보를 출력하기 전에 복수의 입력 장치(14a 내지 14o)로부터의 입력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도어 핸들이 터치되었고, 탑승자가 차량(10) 내에 착석한 것을 탑승자 센서가 검출한 후,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터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내에 있음이 검출되고, 사용자가 차량(10)에 착석한 것을 컨트롤러(20)가 검출하면(예를 들면, 탑승자 센서 등을 통해),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차량을 시동하기 전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바랍니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뗌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의 액세서리(accessory)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타트 버튼을 한 번 누르는 것은 차량을 액세서리 모드로 위치시킬 수 있다. 다시 스타트 버튼을 누르는 것은 사용자가 엔진이 꺼진 차량의 모든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차량을 점화 모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스타트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는 것은 차량을 오프 모드(off mode)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조절가능하고, 프로그램화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터의 정보 출력의 볼륨, 및/또는 정보의 멈춤, 정보의 되감기, 정보의 빨리감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사용자는 언제든지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을 작동(enable)시키거나 디세이블(disable)시킬 수 있으며, 어떤 서브시스템(12)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으로부터 정보를 트리거(trigger)하는가를 프로그램할 수 있는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언제든지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으로부터의 정보를 작동시키고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브시스템(12)의 이용이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터의 정보의 출력을 얼마나 많이 트리거될 수 있는지를 프로그램화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0)는 정보 출력이 디세이블(disable)되기 전에 커뮤니케이션 장치(18)가 요구되는 횟수로 정보를 출력하도록 카운터(21)와 관련되어 프로그램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트롤러(20)는 모든 서브시스템(12)에 대하여 동시에 프로그램화될 수 있거나 컨트롤러(2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개별 서브시스템(12)에 대하여 이러한 형태로 프로그램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출력이 작동해제되기 전에 커뮤니케이션 장치(16)가 각 서브시스템(12)에 관한 정보를 5회 출력하도록 컨트롤러(20)를 프로그램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이 내부 라이트시스템(12b)에 관한 정보를 한 번만 출력하도록 컨트롤러(20)를 프로그램화할 수 있고, 사용자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이 네비게이션 시스템(12f)에 관한 정보를 6회 출력하도록 컨트롤러(20)를 프로그램화할 수 있다. 그러나 컨트롤러(20)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떠한 서브시스템(12)에 대하여 어떠한 요구되는 횟수로 정보의 출력을 프로그램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사용자-대화식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커 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터의 정보 출력과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에 의해 인식되는 명령을 사용자로 하여금 말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을 조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출력 이전에 사용자가 정보를 이해하는지 여부를 물을 수 있고, 사용자는 정보가 이해되었는지 여부를 열거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는 사용자가 이해하지 못하였으면 정보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차량(10) 외측의 외부 컴퓨터(예를 들면, 개인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외부 컴퓨터로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차량(10)의 외부에서도 편리하게 차량(10)의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에 관하여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해 보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을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방법은 휴대 장치(26)가 차량(10)의 소정 범위(28)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블록(50)에서 시작된다. 상기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외측에 있는 것을 검출되면, 상기 방법은 결정 블록(50)을 반복한다. 상기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내에 있는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방법은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의 CPU가 활성되는 단계 52에서 계속된다. 단계 50과 52의 결합은 휴대 장치(26)가 소정 범위(28) 외측에 있는 경우 CPU가 비활성되도록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차량(10)으로부터 떠나는 경우 전력은 절약될 수 있고, 사용자가 차량(10)으로 접근하는 경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의 CPU는 자동으로 활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어떠한 입력 장치(14a 내지 14o) 중 하나의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결정 블록 54에서 계속된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정 블록 54는 반복된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방법은 결정 블록 56에서 계속된다.
결정 블록 56에서, 카운터(21)의 카운트가 소정 한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서브시스템(12)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었는지의 횟수에 근거하여 서브시스템(12)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운트 한계는 하나 이상의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에 대하여 다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운트 한계는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 중 어떤 것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함에 있어서는 무한대(즉, 한계가 없음)이다. 예를 들면, 도어 시스템(12d)의 도어가 개방 및/또는 폐쇄되는 경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터 항상 경보 정보는 출력되고, 및/또는 안정 장치(12n)가 턴온 및/또는 턴오프 되는 경우,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터 안전 정보 및 경보 정보는 항상 출력된다.
상기 결정 블록 56에서 상기 카운트가 소정 한계를 초과하면, 상기 방법은 종료된다. 그러나 결정 블록 56에서 상기 카운트가 한계를 초과하지 않으면, 단계 58이 이어진다. 단계 58에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뮤니케이션 장치(18)로부 터 출력된다.
전술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6)은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의 이용이 검출되면 서브시스템(12a 내지 12o)에 관한 정보를 편리하고 유용하게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차량(10)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만을 제안하고 설명하였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는 이러한 설명 및 참조되는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변형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갖는 차량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차량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Claims (20)

  1. 사용자가 입력을 제공하는 입력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을 구비하는 차량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으로서,
    커뮤니케이션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에 관한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을 프로그램하는 방법에 관한 작동 지시 정보인
    차량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휴대 장치 및 리시버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시버 시스템은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를 검출하고,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상기 리시버 시스템이 검출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로 하여금 상기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차량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내에 있음을 상기 리시버 시스템이 검출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자동으로 활성되고,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밖에 있음을 상기 리시버 시스템이 검출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자동으로 비활성되는
    차량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가 상기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하는 횟수를 기록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가 소정 횟수를 기록한 후,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로부터 작동 지시 정보의 출력을 디세이블하는
    차량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는 스피커 및 비디오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는 사용자-대화식 커뮤니케이션 장치인
    차량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에 관한 경보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차량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작동 지시 정보의 출력을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화 가능한 컨트롤러인
    차량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10. 커뮤니케이션 장치;
    사용자가 입력을 제공하는 입력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 및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에 관한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은
    와이퍼 시스템, 내부 라이트 시스템, 외부 라이트 시스템, 도어 시스템, 록킹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내온도조절 시스템, 좌석조절 시스템, 조향칼럼조절 시스템, 오디오 시스템, 비디오 시스템, 미러 조절 시스템, 안전 시스템, 엔 진출력전달 시스템 또는 점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차량.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을 프로그램하는 방법에 관한 작동 지시 정보인
    차량.
  13. 제10항에 있어서,
    휴대 장치 및 리시버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시버 시스템은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를 검출하고,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상기 리시버 시스템이 검출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로 하여금 상기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차량.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내에 있음을 상기 리시버 시스템이 검출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자동으로 활성되고,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밖에 있음을 상기 리시버 시스템이 검출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자동으로 비활성되는
    차량.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가 상기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하는 횟수를 기록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가 소정 횟수를 기록한 후,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로부터 작동 지시 정보의 출력을 디세이블하는
    차량.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는 스피커 및 비디오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는 사용자-대화식 커뮤니케이션 장치인
    차량.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에 관한 경보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차량.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장치는 상기 작동 지시 정보 및 상기 경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차량의 외부 영역으로 출력하는
    차량.
  20. 스피커 및 비디오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커뮤니케이션 장치;
    와이퍼 시스템, 내부 라이트 시스템, 외부 라이트 시스템, 도어 시스템, 록킹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내온도조절 시스템, 좌석조절 시스템, 조향칼럼조절 시스템, 오디오 시스템, 비디오 시스템, 미러 조절 시스템, 안전 시스템, 엔진출력전달 시스템 또는 점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사용자가입 력을 제공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
    휴대 장치;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를 검출하는 리시버 시스템; 및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상기 리시버 시스템이 검출하는 경우에 활성되고, 상기 휴대 장치가 차량의 소정 범위 밖에 있음을 상기 리시버 시스템이 검출하는 경우에 비활성되며,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해 제공된 입력을 검출하여 상기 커뮤니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시스템에 관한 작동 지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090022359A 2008-03-18 2009-03-16 오디오 지원 시스템 KR200901002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77,454 2008-03-18
US12/077,454 US20090240845A1 (en) 2008-03-18 2008-03-18 Audio help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265A true KR20090100265A (ko) 2009-09-23

Family

ID=4108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359A KR20090100265A (ko) 2008-03-18 2009-03-16 오디오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40845A1 (ko)
JP (1) JP2009220810A (ko)
KR (1) KR200901002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6813A1 (en) * 2011-05-12 2012-11-15 Murphy Morgan D Windshield moisture detector
JP5575167B2 (ja) * 2012-03-08 2014-08-2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携帯機
CN104379413B (zh) * 2012-05-22 2017-09-01 Trw汽车美国有限责任公司 无需用手开启门的方法和装置
DE102015213934B4 (de) * 2015-07-23 2020-03-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usschalten der Aktivierbarkeit einer Funktion mittels Funk für ein Fahrzeug
KR102029659B1 (ko) * 2018-05-16 2019-10-08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도어 언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1638A (en) * 1979-10-04 1981-05-09 Nissan Motor Co Ltd Sound information transfer system for car
US5973611A (en) * 1995-03-27 1999-10-26 Ut Automotive Dearborn, Inc. Hands-free remote entry system
US6009355A (en) * 1997-01-28 1999-12-28 American Calcar Inc. Multimedia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s
US6298305B1 (en) * 1998-07-15 2001-10-02 Visteon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oice guidance in a vehicle navigation system
US6243685B1 (en) * 1999-02-08 2001-06-05 Rick C. Bergman Voice operated interactive message display system for vehicles
JP3919210B2 (ja) * 2001-02-15 2007-05-2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音声入力案内方法及び装置
US6720868B2 (en) * 2001-05-31 2004-04-13 Omega Patents, L.L.C. Back-up warning system in a license plate holder and related method
US6735503B2 (en) * 2001-11-02 2004-05-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ated voice response to deliver remote vehicle diagnostic service
US6876298B2 (en) * 2003-03-14 2005-04-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dible warning for vehicle safety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20810A (ja) 2009-10-01
US20090240845A1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0400B2 (en) System for customizing settings and sounds for vehicle
US7831319B2 (en) Sensor based anticipatory lighting of controls
US200600067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in detection and automatic operation of power roof and power windows
US9440603B2 (en) Location sensitive learning interface
US20150353039A1 (en) Event Sensitive Learning Interface
US20120313768A1 (en) Bi-direc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teraction with vehicle systems
US10239489B2 (en) Vehicle access system with inadvertent actuation control
KR20090100265A (ko) 오디오 지원 시스템
US20060155547A1 (en) Voice activated lighting of control interfaces
US7339459B2 (en) Theft prevention system for an automobile having a power door
US9428126B2 (en) Time sensitive learning interface
US10864866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211669A1 (en) Automatic automotive user profile selection
US20080059024A1 (en) Automatic control apparatus
US20180170275A1 (en) Multiple temperature sensor car radio installation kit
JP6564280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の降車警告装置
US11919463B1 (en) Comprehensive us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2015096367A (ja) 車載装置作動制御システム
JP6560565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の降車検知装置
JPH07304358A (ja) オート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制御装置
EP4020850A1 (en) Remote controller, communication-environment sending device, and communication-environment check method
JP2766500B2 (ja) 車両用電装品制御装置
JP2017019464A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の降車検知装置
JP2022098791A (ja) 遠隔操作装置
JP2017013713A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の降車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