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806A - 크림프 플라이어 - Google Patents

크림프 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806A
KR20090098806A KR1020097011923A KR20097011923A KR20090098806A KR 20090098806 A KR20090098806 A KR 20090098806A KR 1020097011923 A KR1020097011923 A KR 1020097011923A KR 20097011923 A KR20097011923 A KR 20097011923A KR 20090098806 A KR20090098806 A KR 20090098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
tube
cable
pliers
di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베르토 에이. 페르난데즈 델오카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90098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3Apparatus for shaping or cutting osteosynthesis equipment by medical perso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2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bone cercl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1Apparatus for manipulating flexible wire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04Surgical forceps with two or more 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2Flexible wires, band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2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netration depth

Abstract

뼈 주위에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는 서로 회동되게 연결되고 제1 및 제2 핸들, 및 그 근위단이 제1 핸들의 원위단에 회동되게 연결된 제1 원위 부재를 구비하고, 제1 원위 부재는 그 근위단이 제2 핸들의 원위단에 회동되게 연결된 제2 근위 부재와 결합하여 제1 크림프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제2 원위 부재는 제2 크림프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깊이 표시부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원위 부재는 서로 회동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핸들이 서로를 향해 당겨질 때, 제1 및 제2 원위 부재들의 근위단들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여서, 그들 사이에 위치된 크림프를 압축하도록 서로를 향해 제1 및 제2 돌기들을 당긴다.
뼈, 케이블, 크림프, 플라이어

Description

크림프 플라이어{crimp pliers}
본 발명은 정형외과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뼈 주위의 수술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절 부위에 케이블을 동여 매고 크림프(crimp)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정 위치에 단단하게 조이는 뼈 원형결찰(bone cerclage)은 잘 알려진 기법이다. 페르난데스 델 오카(Fernadex Dell'Oca)에 의해 2005.8.2.자로 출원되고 2007.2.22.자로 공개(공개번호 제2007/70043377호)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1/194,642호에 개시된 와이어 통과기(passer)(이하, '642 출원'이라 함)는 골절된 뼈 주위에 작은 절개부를 통해 케이블을 삽입하여 감는 것을 허용하고 외상 및 불쾌감을 최소화한다. 642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그러나, 크림프를 변형시키기 위해 플라이어(예, 송어(Songer) 등의 플라이어, 미국 특허 번호 제4,966,600호)를 후퇴시키는 동작을 위해 필요한 공간은 이러한 절개부의 확장과 심각한 근육 외상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골절된 뼈 주위에 감겨진 케이블의 최소 침습적 크림핑(crimping)을 허용하여 시술과 관련된 시간 및 조직 손상을 감소시키는 뼈합성(osteosynthetic)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깊게 위치된 크림프에 최소 절개부를 통해 도달하는 두 개의 연결되고 대향된 집게부(jaw), 케이블의 중간 부분을 따라 플라이어(plier)의 도입을 안내하도록 고안된 두 개의 안내 하부 돌기부(guiding ventral protrusion), 골절된 뼈 부근에 깊게 위치된 크림프를 압착하기 위해 집게부가 크림프 위에 위치되었음을 수술자에게 표시하는 깊이 표시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핸들을 구비하는 한 쌍의 크림프 플라이어를 포함한다. 플라이어는 핸들이 서로 당겨져 원위의 하부 돌기들이 크림프를 닫아 변형시킬 수 있도록 이 지점에서 풀어지는 안전 장치(lock)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크림프에 연결되고 그 주위에 묶여진 케이블을 가진 골절된 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크림프 쪽으로 확장하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튜브를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크림프 플라이어가 뻗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크림프 위에 위치된 크림프 플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안전 장치가 풀린 크림프 플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크림프를 압착하는 작동 위치의 플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연결되지 않은 두 개의 분리된 부재들을 가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수술법에 따른 골절된 뼈 주위에 와이어를 통과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뼈 원형결찰(cerclage)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두 개의 부재들이 서로 연결되고, 뼈에 삽입된, 도 6의 뼈 원형결찰 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구가 신체로부터 제거되도록 해체된, 도 6의 뼈 원형결찰 도구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더욱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었다. 본 발명은 골절 치료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절된 뼈 주위에 최소 침습적으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케이블에 텐션을 유지하여 골절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골절된 뼈 주위에 감겨진 수술 케이블 위에 크림프를 최소 침습적으로 압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케이블(2)를 정 위치에 잠그고 골절된 뼈(1)의 부분들을 서로 필요한 공간적 관계로 유지시키기 위해 골절된 뼈(1) 주위에 감긴 케이블(2) 위에 크림프(3)를 압착하기 위한 크림프 플라이어(5)를 포함한다. 크림프 플라이어(5)는 한 쌍의 작동 핸들(13a)(13b), 대향된 집게부(jaws)(6a)(6b), 한 쌍의 원위의 크림프 결합 돌기부(crimp engaging protrusion)(8) 및 한 쌍의 근위 돌기부(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플라이어(5)는 잠금 메커니즘(10) 및 깊이 표시부(depth level)(11)를 더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욱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크림프 플 라이어(5)는 그곳을 통해 케이블(2)이 크림프(3) 쪽으로 확장하는 튜브(4)를 따라 근위 돌기부(9)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크림프(3)에 안내된다. 대향된 집게부(6a)(6b)가 크림프(3)에 도달하게 되면, 핸들(13a)(13b)은 서로를 향해 당겨져서 원위 돌기부(8)가 케이블(2)에 크림프(3)를 압착하도록 한다.
작동 핸들(13a)(13b)을 서로를 향해 당기게 되면 집게부(6a)(6b) 사이에 위치된 물건에 대향된 집게부(6a)(6b)가 서로를 향해 압축력을 가도록 작동 핸들(13a)(13b)과 대향된 집게부(6a)(6b)는 연결된다. 또한, 작동 핸들(13a)(13b)을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기면 대향된 집게부(6a)(6b)는 개방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 핸들(13a)(13b)은 회동점(15)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단(20)이 서로를 향해 움직이면, 그 원위단(21)은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된다. 핸들(13a)(13b)의 각각의 원위단(21)은 회동점(16)에서 상응하는 원위의 레버(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레버들(22)은 회동점(17)에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핸들(13a)(13b)의 원위단(21)은 레버(22)의 근위단이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길때, 집게부(6a)(6b)는 레버(22)의 원위단에서 서로를 향해 회전하게 된다. 핸들(13a)(13b)이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일 때, 이 과정은 반대로 되고, 레버(22)의 근위단은 서로를 향해 당겨져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6a)(6b)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킨다.
대향된 집게부(6a)(6b)의 원위 뾰족부(7)의 원위 돌기부(8)는 각각의 집게부(6a)(6b)로부터 하나의 돌기부가 확장하도록 대향된 집게부(6a)(6b)로부터 하부 로(ventrally) 확장한다. 원위 돌기부(8)는 대향된 집게부(6a)(6b)가 당겨져 닫혀질 때 원위 돌기부(8)가 크림프(3)를 압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근위 돌기부(9) 역시 크림프 플라이어(5)로부터 하부로 확장하여 원위 돌기부(8)에 근접되게 형성될 수 있다. 크림프 플라이어(5)를 안내하는 튜브(4)를 따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근위 돌기부(9)는 그들 사이에 튜브(4)를 안착시키는 크기와 형상이다. 크림프 플라이어(5)는 대향된 집게부(6a)(6b)의 원위 뾰족부(7) 및 결과적으로 원위 돌기부(8)가 크림프(3) 위에 위치되도록 안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 메커니즘(10)은 플라이어(5)가 크림프(3) 위의 위치로 움직일 때 다른 하나에 대한 핸들(13a)(13b)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작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록킹 메커니즘은 일단이 핸들(13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반면 타단이, 록킹 위치에서, 핸들(13b)의 슬롯(28) 안에 수납되는 은못(dowel)(26)을 포함하는 바아(bar)(24)를 포함한다. 따라서, 핸들(13b)과 결합될 때, 바아(24)는 집게부(6a)(6b)의 최대 분리에 상응하는 핸들(13a)(13b) 사이의 분리를 유지한다. 서로에 대한 핸들(13a)(13b)의 이동이 요구될 때(예, 크림프(3)가 원위 돌기부(8) 사이에 위치될 때), 록킹 메커니즘(10)은 슬롯(28)으로부터 은못(26)을 제거하기 위해 바아(24)를 회전시킴에 의해 해제된다. 이 지점에서 핸들(13a)(13b)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인다.
깊이 표시부(11)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어(5)의 작동 핸들(13a)(13b)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나, 플라이어(5)는 깊이 표시부 및 록킹 메커니즘(10)의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모두 없이 형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 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깊이 표시부(11)는 작동 핸들(13a)(13b)의 어느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13a)에만 부착된 샤프트를 구비하므로 작동 핸들(13a)(13b)은 깊이 표시부(11)로부터 간섭 받지 않고 여전히 서로 당겨질 수 있다. 깊이 표시부(11)는 원위 돌기부(8)의 원위 뾰족부(7)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에 위치된 원위적으로 맞대어 면하는 표면(11a)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케이블(2)은 골절된 뼈(1) 주위에 감긴다. 케이블(2)은 그 어떤 알려진 기법을 사용하여 뼈(1) 주위에 감겨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케이블(2)은, 인용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합체되는,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델 오카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7/0043377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최소 침습적 와이어 통과 수단을 사용하여 뼈(1) 주위에 감겨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결찰 도구는 두 개의 부재들을 구비하고, 각각 핸들, 중앙부 및 J 형상 튜브를 구비한다. 두 개의 부재의 중앙부가 단단하게 서로 결속될 때, 두 개의 J 형상 튜브는 연속된 튜브가 형성되어 그곳을 통해 와이어, 케이블, 밴드 또는 봉합사(suture)가 공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케이블 통과기(passer)(116)는 두 개의 부재들(101)(102)을 구비하고, 각각은 케이블 통과기(116)가 파지될 수 있는 핸들(103)(104)을 포함하고, 핸들(103)(104)이 서로 당겨져 닫혀질 때 부재들(101)(102)을 결합시키게 된다. 부재(101)는 그 중앙부(105)에 있는 버튼(107)을 포함하는 반면, 부재(102)는 그 중앙부(106)에 노치(108)를 포함한다. 부재 들(101)(102)이 서로 당겨질 때, J 형상 튜브(109)(110)는 연속된 튜브를 형성하여 그곳을 통해 와이어(111), 케이블, 밴드 또는 봉합사가 공급될 수 있다.
사용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들(101)(102)은 작은 피부 절개부(115)를 통해, 피부(114)를 최소한도로 침범하고 근육(113) 밑에 있는, 뼈(112)에 근접되게 연속적으로 삽입된다. 두 개의 부재들(101)(102)이 삽입된 후, 버튼(107)이 노치(108) 속으로 삽입될 때까지 핸들(103)(104)을 당김에 의해 그들은 단단하게 당겨진다. 그 후, 와이어(111)는 두 개의 J 형상 튜브(109)(110)에 의해 형성된 연속된 튜브를 통해 공급되어, 뼈(112)를 둘러싸게 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구(16)는 해체되어 제거되고, 와이어(111)는 뼈(112) 주위에 감겨진 위치에 남게 된다.
대체적으로 일단에 볼(ball)을 가지고 타단은 자유로운 케이블(2)이 사용된다. 케이블(2)의 자유단은 나란히 있는 내강(lumens)을 가진 크림프(3)의 제1의 내강 속으로 삽입되고 케이블(2)의 자유단은 볼 끝단이 크림프(3)의 끝단에 안착될 때까지 크림프(3)를 통해 당겨진다. 그 후, 케이블(2)의 자유단은 뼈(1) 주위를 통과하여, 절개부를 통해 밖으로 당겨져서 개구(3a)를 통해 크림프(3)의 제2의 내강 속으로 삽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프(3)는 그것이 뼈(1)에 도달할 때까지 케이블(2) 아래로 미끄러지고 케이블(2)의 자유단은 튜브(4)의 원위단이 개구(3a)에 인접한 크림프(3)에 접촉할 때까지 케이블(2) 위에서 미끄러지는 튜브(4)를 통과한다. 튜브(4)의 원위단은 크림프(3)의 근위단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이므로 그것은 꼭 맞게 일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튜브(4)의 원위단 및 크림프(3)의 근 위면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부 표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정렬된다. 케이블(2)이 크림프(3)와 튜브(4)를 통과한 후,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골절된 뼈(1)의 조각들이 서로 필요한 공간적 관계로 유지하도록 필요한 텐션이 얻어질 때까지 텐션 장치는 튜브(4)로부터 확장하는 케이블(2)의 끝단에 부착되어 인장된다.
골절이 정복되고 케이블(2)이 필요한 텐션에 있게 되면, 크림프 플라이어(5)는 케이블(2)에 필요한 인장을 유지시키기 위해 크림프(3)를 케이블 위에 압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돌기부(8)는 개방된 상태의 집게부(6a)(6b)를 사용하여 튜브(4)의 반대면에 위치되고 근위단(9) 역시 튜브(4)와 결합한다. 그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프 플라이어(5)는 튜브(4)의 근위단(12)이 깊이 표시부(11)와 접촉할 때까지 튜브(4)를 따라 미끄러진다. 튜브(4)의 길이는, 근위단(12)이 깊이 표시부(11)의 근위면(11a)에 접촉할 때, 원위 돌기부(8)가 크림프(3)의 반대면에 위치되도록 선택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프 플라이어(5)가 적절하게 위치된 것이 판단된 후, 록킹 메커니즘(10)은 핸들(13a)(13b)이 서로를 향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풀려진다. 그 후, 사용자는 핸들(13a)(13b)을 잡아 당겨 집게부(6a)(6b)를 닫고 돌기부(8)를 서로를 향하도록 당겨서 크림프(3)를 케이블(2) 위에 압착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 표시부(11)와 록킹 메커니즘(10)은 작동 핸들(13a)의 어느 하나에만 부착되기 때문에, 깊이 표시부(11)와 록킹 메커니즘(10)은 작동 핸들(13a)(13b)의 당겨져 닫히는 것을 간섭하지 않는다. 크림프(3)가 압축되어 케이블(2) 위에 변형되면, 케이블(2)는 필요한 인장력을 유지하고 뼈의 골절된 조각들 을 필요한 공간적 관계로 유지시킨다. 그 후, 튜브(4) 및 개구(3a)로부터 확장하는 케이블(2)의 부분은 신체로부터 절단되어 제거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크림프 플라이어(5)는 절개부를 심각하게 확장할 필요없이 케이블(2)에 필요한 인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을 허용하여, 근육 외상 및 조직 손상을 경감시킨다.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구조 및 방법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들기만 하면 본 발명의 수정과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18)

  1. 뼈 주위에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서로 회동되게 연결된 제1 및 제2 핸들;
    상기 제1 핸들의 원위단(distal end)에 회동되게 연결된 근위단(proximal end), 원위단에서 하부 표면(ventral surface)으로부터 멀어지게 확장하는 제1 크림프 결합 돌기(crimp engaing protrusion)를 포함하는 제1 원위 부재(distal member);
    상기 제2 핸들의 원위단에 회동되게 연결된 근위단, 원위단에서 하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확장하는 제2 크림프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제2 원위 부재(distal member); 및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과 크림프로부터 근위적으로 확장하는 케이블의 부분 위로 확장하는 깊이 측정 튜브 사이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들이 상기 크림프의 반대면에 위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깊이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이 서로를 향해 당겨질 때, 상기 제1 및 제2 부재들의 근위단들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여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들을 서로를 향해 당겨서 그들 사이에 위치된 크림프를 압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원위 부재들이 서로 회동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될 때,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들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의 어느 하나에 회동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의 다른 하나에 풀려지게 연결된 바아(ba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크림핑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깊이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5. 골절된 뼈 주위를 통과하기 위한 유연성 케이블;
    상기 유연성 케이블의 제1 끝단에 연결할 수 있고, 그곳을 통해 확장하고, 상기 유연성 케이블의 제2 끝단을 미끄러지게 수납는 내강(lumen)을 포함하고, 크림프(crimp)가 유연성 케이블 주위에 변형될 때 상기 유연성 케이블이 상기 뼈 주위에 고정되도록 변형 가능하도록 된 크림프 부재(crimp member);
    상기 크림프 부재와 같은 형상의 원위단을 포함하고, 그곳을 관통하여 확장하는 내강(lumen)을 가지며, 상기 유연성 케이블의 상기 제2 끝단이 상기 내강을 통해 미끄러지도록 상기 내강이 상기 크림프의 내강과 연통하는 튜브; 및
    상기 튜브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크림프 플라이어(crimp plier)를 구비하고,
    상기 크림프 플라이어는:
    그 원위 뾰족부에서 하부 돌출 요소(ventrally protruding element)를 가진 대향된 집게부를 포함하는 크림핑 수단(crimping means);
    상기 크림핑 수단에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작동 핸들; 및
    수술 케이블을 따라 장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크림핑 수단의 상기 하부 돌출 요소에 가깝게 형성된 하부 돌출 요소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텐션을 측정하기 위한 텐션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하부 돌출 요소는 상기 크림프 플라이어가 상기 튜브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상기 튜브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의 근위단에 블록 요소(block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요소는 상기 케이블에 필요한 텐션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플라이어는 깊이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튜브의 상기 블록 요소가 상기 깊이 표시부와 접촉할 때 상기 깊이 표시부는 상기 크림핑 수단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에 위치되고, 상기 크림핑 수단은 상기 크림프 부재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플라이어는 상기 작동 핸들을 록킹하기 위한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메커니즘은 해제가능한 래치(lat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크림프 부재와 연결하기 위해 그 제1 끝단에서 볼 메커 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골절된 뼈 주위로 유연성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유연성 케이블의 제1 끝단을 크림프 부재에 부착시켜 상기 유연성 케이블의 제2 끝단을 상기 크림프 부재의 내강(lumen) 및 튜브의 내강을 통해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튜브의 상기 내강이 상기 크림프 부재의 상기 내강과 연통되도록 상기 튜브는 상기 크림프 부재와 같은 형상이며;
    크림핑 수단이 상기 크림프 부재 위에 위치되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튜브를 따라 크림프 플라이어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골절된 뼈 주위에 고정되어 필요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상기 크림프 부재를 상기 케이블 위에 크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플라이어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는 상기 크림프 플라이어로부터 하부로 돌출하는 가이드 부재를 상기 튜브 위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를 따라 상기 크림프 플라이어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는 상기 튜브 의 근위단에 위치된 블록 요소가 상기 작동 핸들에 위치된 깊이 표시부와 접촉할 때까지 상기 크림프 플라이어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크림핑 수단이 상기 크림프 부재 위에 위치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핸들의 록킹 메커니즘을 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작동 핸들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부재로부터 상기 튜브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7011923A 2006-12-12 2007-12-05 크림프 플라이어 KR20090098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426106P 2006-12-12 2006-12-12
US60/874,261 2006-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806A true KR20090098806A (ko) 2009-09-17

Family

ID=3928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923A KR20090098806A (ko) 2006-12-12 2007-12-05 크림프 플라이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90306668A1 (ko)
EP (1) EP2117453B1 (ko)
JP (1) JP2010512227A (ko)
KR (1) KR20090098806A (ko)
CN (1) CN101610726A (ko)
AU (1) AU2007333240A1 (ko)
BR (1) BRPI0720034A2 (ko)
CA (1) CA2672123A1 (ko)
CO (1) CO6190593A2 (ko)
WO (1) WO2008073782A2 (ko)
ZA (1) ZA20090399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604B1 (ko) * 2015-06-22 2016-09-26 (주)티디엠 골절치료용 와이어 가이드장치
WO2022039557A1 (ko) * 2020-08-21 2022-02-2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KR20220023708A (ko) * 2020-08-21 2022-03-0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2878B2 (en) * 2005-08-02 2011-05-17 Synthes Usa, Llc Two members cerclage tool
EP2521497A4 (en) * 2010-01-08 2015-07-01 Neurosurj Res & Dev Llc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EMBOLISTIC PULES
JP6005765B2 (ja) * 2013-01-31 2016-10-12 株式会社シンテック かしめ工具
US10143506B2 (en) 2016-03-17 2018-12-04 Arthrex,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uture wrap cerclage
US10314628B2 (en) 2016-03-17 2019-06-11 Arthrex,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uture wrap cerclage
US10485599B2 (en) * 2016-12-06 2019-11-26 Matthew Songer Surgical cable passer instrument and methods
US20210346073A1 (en) * 2020-05-11 2021-11-11 Sambhu N. Choudhury Cable passer device
US11844511B2 (en) 2021-07-08 2023-12-19 Arthrex, Inc. Surgical system and method permitting percutaneous insertion of ancho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9149C1 (de) * 1983-05-26 1984-12-13 Franz 7202 Mühlheim Leibinger Anordnung zur gegenseitigen Lagefixierung von Knochenteilen und Werkzeug zum Befestigen dieser Anordnung
US4966600A (en) * 1989-01-26 1990-10-30 Songer Robert J Surgical securance method
US5536270A (en) * 1994-02-24 1996-07-16 Pioneer Laboratories, Inc. Cable system for bone securance
US6383200B1 (en) * 1999-12-21 2002-05-07 Securos, Inc. Tensioning device for cranial cruciate ligament stabilization
US6746449B2 (en) * 2001-09-12 2004-06-08 Spinal Concepts, Inc. Spinal rod translation instrument
US7625376B2 (en) * 2005-01-26 2009-12-01 Warsaw Orthopedic, Inc. Reducing instrument for spinal surgery
US9795431B2 (en) * 2006-04-21 2017-10-24 DePuy Synthes Products, Inc. Long-nosed crimp pliers for use in orthopedic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604B1 (ko) * 2015-06-22 2016-09-26 (주)티디엠 골절치료용 와이어 가이드장치
WO2022039557A1 (ko) * 2020-08-21 2022-02-2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KR20220023708A (ko) * 2020-08-21 2022-03-0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72123A1 (en) 2008-06-19
BRPI0720034A2 (pt) 2013-12-17
CN101610726A (zh) 2009-12-23
ZA200903991B (en) 2010-08-25
EP2117453B1 (en) 2012-10-24
US20090306668A1 (en) 2009-12-10
WO2008073782A3 (en) 2008-09-12
WO2008073782A2 (en) 2008-06-19
CO6190593A2 (es) 2010-08-19
EP2117453A2 (en) 2009-11-18
JP2010512227A (ja) 2010-04-22
AU2007333240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8806A (ko) 크림프 플라이어
JP7440594B2 (ja) 組織を牽引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関連する方法
EP2033583B1 (en) In-line suture passer
EP0893969B1 (en) Malleable clip applier
US8663250B2 (en) Suturing instrument with dual needles and method of passing suture
US7232445B2 (en) Apparatus for the endoluminal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JP3389269B2 (ja) 縫合装置
US7727246B2 (en) Methods for endoluminal treatment
EP0893970B1 (en) Grasping clip applier
US5368596A (en) Augmented awl for creating channels in human bone tissue
US20100121352A1 (en) Suturing instrument and method for passing multiple sutures
US20060293691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forming cerclage
CN106659509B (zh) 骨复位夹钳和板保持夹钳
KR101446103B1 (ko) 외과 수술용 긴-코 크림프 집게
JP2018057870A (ja) ノットを進め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0752831A1 (en) Apparatus for tensioning and crimping surgical wire
WO2006088452A2 (en) Surgical cable system
JP5415288B2 (ja) セットねじを備えた溝付きクリンプ
JP2020521595A (ja) 関節鏡下手術を受ける患者の軟組織のリトラクションのための装置
JP2023053329A (ja) 止血クリップの配備
US10485599B2 (en) Surgical cable passer instrument and methods
KR100944411B1 (ko) 복강경 수술용 봉합 기구, 이의 사용 방법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캐비넷
CN117835921A (zh) 带有可靠锁的内窥镜夹
KR20230163531A (ko) 오버 더 스코프 클립의 재배치 및 전개를 위한 인터페이스 메커니즘
US9968374B2 (en) Method and instruments for placement of flexible cannul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