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39557A1 -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 Google Patents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39557A1
WO2022039557A1 PCT/KR2021/011130 KR2021011130W WO2022039557A1 WO 2022039557 A1 WO2022039557 A1 WO 2022039557A1 KR 2021011130 W KR2021011130 W KR 2021011130W WO 2022039557 A1 WO2022039557 A1 WO 20220395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cable
guide
fixing
frac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11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정택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0493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02772B1/ko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20395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395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4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2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bone cercl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90Guides therefor

Definitions

  • a fracture means a complete or incomplete loss of the continuity of a bone, epiphyseal plate, or articular surface.
  • fractures are caused by external forces and may be accompanied by damage to tissues or organs around the fracture site.
  • Fractures can be divided into limb fractures, vertebral fractures, and other fractur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racture, or simple fractures and comminuted fractur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fracture fragments.
  • the incision long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tube.
  • the fractured bone By guiding the fixing cable and the bending block to the fracture site through the long hole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tube, the fractured bone can be firmly fixed with a stronger fixing force,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reoperation due to wire breakage have
  • the fixed cable and banding block guided to the fracture site are easily separated from the guide tube through the incision hole, simplifying the fracture fixation process using the banding block and cable, and without the use of wires, causing injuries to the operator's hand and subsequent surgical site It can reduce the risk of contamination.
  •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inserting the fixed cable in the minimally invasive bone fixation cable guid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ed cable is inserted into a bend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side of the fixed cable is passed through one of the pair of through holes of the bending block to be fixed to the bending block,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ed cable wound closely around the fractured site of the bone is passed through the other side.
  • the bending block is pressed left and right, and the bending block is deformed by the pressing force, and as the pair of through-holes are deformed, the fixed cable is bent.
  • the biological tissue of the corresponding site corresponding to the fractured site of the femur is cut, and then the second body of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is incised. It is inserted through the femur and placed at the fracture site of the femur.
  • the first guide tube 120 is directed upward, and the first guide tube 120 is inserted above the fracture site through the incised biological tissue. 120) enters above the fractured site of the femur while minimizing the interference of living tissue so that it is positioned above the fractured site of the femur.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 pipe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 pipe 120 are mutually After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when one side of the fixed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second guide pipe 220 or the hollow of the first guide tube 120, the inserted fixed cable 10 is the second It is guided along the hollow of the guide tube 220 and the first guide tube 120, and is wound in a ' ⁇ ' shape along the fracture site of the femu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1손잡이부를 형성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골절된 뼈를 고정하는 고정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유도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1유도관 간의 경계인 중앙부에는 회전축을 구비한 제1몸체, 및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2손잡이부를 형성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골절된 뼈를 고정하는 고정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유도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2손잡이부와 제2유도관 간의 경계인 중앙부에는 상기 제1몸체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결합공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제1몸체에 교차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도관에는 길이를 따라 절개장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1유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된 고정케이블이 골절부위에 감겨 지면, 상기 고정케이블의 일측을 절개장공 방향으로 당겨 제1유도관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더욱 강한 고정력으로 골절된 뼈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와이어 단선에 따른 재수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골절부위로 안내된 고정케이블 및 밴딩블럭이 절개장공을 통해 유도관에서 이탈하는 것이 용이하여, 수술에 소용되는 시간 단축으로, 수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본 발명은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로 절개된 생체조직을 통해 골절된 뼈(예: 사골절, 나선골절된 장관상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생체조직의 간섭없이 뼈의 골절부위 둘레를 따라 고정케이블을 안내하는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은 뼈,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것을 의미한다. 대개의 경우 골절은 외부의 힘에 의해 발생되며 골절 부위 주변의 조직이나 장기의 손상이 동반될 수 도 있다. 골절은 발생되는 위치에 따라 사지골절, 척추골절 및 기타골절로 나누어지거나 골절편의 수에 따라서는 단순골절과 분쇄골절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골절이 발생한 부위의 주변에는 근육의 경직, 골편의 중복, 주위 연부 조직의 손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통증과 압통이 동반된다. 이러한 골절의 치료방법은 뼈의 손상정도, 골절 부위 및 골절에 수반한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세부적으로 정해진다.
골절 치료방법은 일반적으로 비수술적 치료방법과 수술적 치료방법이 알려져 있다. 비수술적 치료방법으로는 골절이 되어 어긋나 있는 뼈를 바로 맞추는 도수 정복과 팔걸이나 목발을 이용하거나 석고부목 등을 이용하는 고정법이 있다. 또한, 수술적 치료방법으로는 골절부 상하에 핀을 삽입한 후 외부에서 석고 붕대 고정이나 금속기기를 이용하여 골절을 고절하는 외고정법과 골절 부위를 정복한 후 내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골절을 고정하는 내고정법이 있다.
상기의 수술적 치료방법 중 내고정법에 사용되는 내고정 기구로 골절치료용 와이어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골절 치료용 와이어로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기 위하여는 절개된 피부조직 사이로 골절치료용 와이어를 삽입하여 골절부위를 감싼 후 골절치료용 와이어를 골절 부위 묶어 고정시켜야 한다.
다만, 절개된 피부조직 사이로 골절치료용 와이어를 삽입하여 골절치료용 와이어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진 뼈의 골절 부위를 감싸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골절치료용 와이어로 뼈의 골절 부위를 감싸는 도중 주변 조직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로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1659604호(2016.09.19) "골절치료용 와이어 가이드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근래에는 밴딩블럭을 구비한 고정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는데, 종래의 와이어 가이드장치로는 상기한 밴딩블럭을 골절부위로 안내할 수 없다.
따라서 밴딩블록을 구비한 고정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와이어 가이드장치로 와이어를 골절부위로 삽입한 후, 이 와이어의 일측에 밴딩블럭을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의 인계로 다시 밴딩블럭 및 고정케이블을 골절부위로 삽입하는 과정을 시행하거나, 와이어 가이드 장치 내부로 플라스틱 튜브를 통과시킨 후, 플라이스틱 튜브를 삽입한 상태에서, 와이어 가이드장치를 제거한 뒤 케이블을 튜브 내로 다시 통과시키고 플라스틱 튜브를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골절부위를 포함하여 케이블로 골절부위를 안정화하는 과정이 상기와 같이 복잡하면 그과정에서 전위가 다시 발생할 수 있고, 수술시간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와이어를 활용한 방법은 수술자의 수부손상과 그로 인한 수술부위 감염 등의 문제도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유도관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절개장공을 통해 고정케이블 및 밴딩블럭을 골절부위로 안내함으로써, 더욱 강한 고정력으로 골절된 뼈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와이어 단선에 따른 재수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골절부위로 안내된 고정케이블 및 밴딩블럭이 절개장공을 통해 유도관에서 이탈하는 것이 용이하여, 수술에 소용되는 시간 단축으로, 수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는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1손잡이부를 형성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골절된 뼈를 고정하는 고정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유도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1유도관 간의 경계인 중앙부에는 회전축을 구비한 제1몸체, 및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2손잡이부를 형성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골절된 뼈를 고정하는 고정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유도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2손잡이부와 제2유도관 간의 경계인 중앙부에는 상기 제1몸체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결합공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제1몸체에 교차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도관에는 길이를 따라 절개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1유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된 고정케이블이 골절부위에 감겨 지면, 상기 고정케이블의 일측을 절개장공 방향으로 당겨 제1유도관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유도관 및 제2유도관 각각은 서로의 타측단이 맞닿도록, 서로의 타측단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절개장공은 상기 제1유도관의 내측방향으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공은 일측이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이 진입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유도관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절개장공을 통해 고정케이블 및 밴딩블럭을 골절부위로 안내함으로써, 더욱 강한 고정력으로 골절된 뼈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와이어 단선에 따른 재수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골절부위로 안내된 고정케이블 및 밴딩블럭이 절개장공을 통해 유도관에서 이탈하는 것이 용이하여, 밴딩블럭과 케이블을 이용한 골절 고정과정을 단순화 시키고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아 수술자의 수부손상 및 그에 따른 수술부위 오염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를 대퇴골 골절부위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에 고정케이블을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에 의해 고정케이블을 골절부위에 권선한 상태에서 고정케이블을 이탈시킨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밴딩블럭에 고정케이블을 끼워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뼈 골절부위에 고정케이블을 밴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는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1손잡이부를 형성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골절된 뼈를 고정하는 고정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유도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1유도관 간의 경계인 중앙부에는 회전축을 구비한 제1몸체와, 및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2손잡이부를 형성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골절된 뼈를 고정하는 고정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유도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2손잡이부와 제2유도관 간의 경계인 중앙부에는 상기 제1몸체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결합공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제1몸체에 교차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도관에는 길이를 따라 절개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1유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된 고정케이블이 골절부위에 감겨 지면, 상기 고정케이블의 일측을 절개장공 방향으로 당겨 제1유도관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최소로 절개된 생체조직을 통해 골절된 뼈(예: 사골절, 나선골절된 장관상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생체조직의 간섭없이 골절된 뼈의 둘레로 고정케이블을 안내하는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뼈의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고정케이블을 살펴보면, 상기 고정케이블은 뼈의 골절부위 둘레 따라 삽입된 후, 교정된 골절부위를 고정케이블로 묶어(밴딩)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케이블의 일측에는 밴딩블럭을 구비한다.
상기 밴딩블럭은 골절부위를 묶인 고정케이블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를 이루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전, 후가 관통된 한 쌍의 관통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밴딩블럭의 한 쌍의 관통공 중 어느 한 편의 관통공에는 고정케이블의 일측을 관통시켜, 상기 밴딩블럭에 고정되도록 하고, 뼈의 골절부위에 밀접하게 감긴 고정케이블의 타측을 다른 한 편의 관통공에 관통시킨 후, 상기 밴딩블럭을 좌, 우를 가압하여, 그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밴딩블럭이 변형되면서 한 쌍의 관통공이 변형됨에 따라 고정케이블이 밴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는 상기한 고정케이블을 생체조직의 간섭없이 고정케이블을 대퇴골 둘레로 유도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가 사용되는 대상물을 장관상골 중 하나인 대퇴골에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뼈들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뼈(예: 팔, 다리를 구성하는 척골, 요골, 대퇴골, 경골 등)에 모두 사용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제1몸체(100)는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1손잡이부(110)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1손잡이부(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일측 방향을 향해 길게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대퇴골을 고정하는 고정케이블(10)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유도관(120)을 구비한다.
상기 제1유도관(120)은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관으로, 상기 제1손잡이부(110)와 마찬가지로 타측을 향해 길게 길이를 갖되, 상기 제1유도관(120)의 타측단이 제2몸체(200)의 제2유도관(220) 타측단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하여, 마치 후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유도관(120)은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대퇴골의 둘레에 인접하여 고정케이블(10)을 대퇴골의 둘레를 따라 안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절된 대퇴골을 지지하여 골절부위의 교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도관(120) 중공의 일측을 통해 삽입된 고정케이블(10)은 중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면서, 대퇴골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유도관(120)의 타측단과 맞닿는 상기 제2유도관(220)의 타측단을 향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도관(120)에는 길이를 따라 절개장공(121)을 형성하는데, 상기 절개장공(121)은 상기 제1유도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된 고정케이블(10)을 안내하면서 상기 고정케이블(10)이 상기 절개장공(121)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유도관(120)에서 외부로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개장공(121)은 상기 제1유도관(12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절개장공(121)의 절개 폭은 상기 고정케이블(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케이블(10)을 상기 제1유도관(120)의 내측방향으로 당기는 것으로 상기 고정케이블(10)이 상기 제1유도관(120)에서 외부로 이탈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손잡이부(110)와 제1유도관(120) 간의 경계인 중앙부에는 회전축(130)을 구비하는데, 상기 회전축(130)은 상기 제2몸체(200)의 결합공(230)과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00)와 교차 결합하는 상기 제2몸체(200)는 상기 제1몸체(100)와 마찬가지로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2손잡이부(210)를 형성하는데, 상기 제2손잡이부(2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일측방향을 향해 길게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대퇴골을 고정하는 고정케이블(10)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유도관(22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유도관(220)은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관으로, 상기 제2손잡이부(210)와 마찬가지로 타측을 향해 길게 길이를 갖되, 상기 제2유도관(220)의 타측단이 제1몸체(100)의 제1유도관(120) 타측단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하여, 마치 후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유도관(220)은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대퇴골의 둘레에 인접하여 고정케이블(10)을 대퇴골의 둘레를 따라 안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절된 대퇴골을 지지하여 골절부위의 교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유도관(120) 타측단과, 상기 제2몸체(200)의 제2유도관(220) 타측단이 서로 맞닿아 상기 제1유도관(120)의 중공과 제2유도관(120)의 중공이 서로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도관(120) 중공의 일측을 통해 삽입된 고정케이블(10)은 중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면서, 대퇴골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유도관(120)의 타측단과 맞닿은 상기 제2유도관(220)의 타측단을 통해 상기 제2유도관(220)의 중공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2유도관(220)의 중공을 따라 상기 제2유도관(220)의 일측단을 향해 안내되어, 상기 고정케이블(10)이 상기 제2유도관(220)에서 빠져나와, 상기 고정케이블(10)은 대퇴골의 둘레를 1회 묶은 '∝'형태로 안내된다.
더불어 상기 제2손잡이부(110)와 제2유도관(220) 간의 경계인 중앙부에는 결합공(230)을 형성하는데, 상기 결합공(230)은 일측이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130)이 진입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몸체(200)는 개방부를 형성한 결합공(230)을 통해 상기 제1몸체(100)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1몸체(100)의 회전축(130)을 축으로 가위와 같이, 지레의 원리로 상기 제1유도관(120) 및 제2유도관(220)을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어,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유도관(120)과, 제2몸체(200)의 제2유도관(220)을 대퇴골 둘레를 따라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손잡이부(110) 또는 상기 제2몸체(200)의 제2손잡이부(210) 중 어느 한 손잡이에는 걸고리(300)를 구비하고, 다른 한 손잡이에는 상기 걸고리(300)가 안착되는 안착홈(310)을 형성하여,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유도관(120)과, 제2몸체(200)의 제2유도관(220)이 오므려져 서로의 끝단이 맞닿을 시, 사용자가 상기 걸고리(300)를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걸어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유도관(120)과, 제2몸체(200)의 제2유도관(220)이 맞닿은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를 이용하여 골절된 대퇴골에 고정케이블을 묶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퇴골 골절부위에 대응하는 해당 부위의 생체조직을 절개한 후,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 중 제2몸체를 절개된 생체조직을 통해 삽입하여 대퇴골 골절부위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2몸체(200)의 제2손잡이(210)를 위로 들어올려 제2유도관(220)을 아래로 향하게 하면서, 절개된 생체조직을 통해 골절부위의 아래로 삽입하여 상기 제2유도관(220)이 생체조직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대퇴골 골절부위의 아래로 진입하여 대퇴골의 골절부위를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손잡이(110)를 아래로 낮추면서 제1유도관(120)을 위로 향하게 하면서, 절개된 생체조직을 통해 골절부위의 위로 삽입하여 상기 제1유도관(120)이 생체조직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대퇴골 골절부위의 위로 진입하여 대퇴골의 골절부위 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몸체(200)의 결합공(230)과, 상기 제1몸체(100)의 회전축(130)을 이용하여 상기 제2몸체(200)와 제1몸체(100)를 서로 교차 결합한 후, 상기 제2손잡이부(210)와 제1손잡이부(11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유도관(120)과, 제2몸체(200)의 제2유도관(220)이 오므려져, 상기 제2유도관(220)의 타측단과 상기 제1유도관(120)의 타측단이 서로 맞닿아 대퇴골의 골절부위가 밀접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10, 210)의 후방에 걸고리(300)를 안착홈(310)에 안착시켜, 상기 제2유도관(220)의 타측단과 상기 제1유도관(120)의 타측단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유지시킨 후, 상기 제2유도관(220)의 중공 또는 제1유도관(120)의 중공으로 고정케이블(10)의 일측을 삽입하면, 삽입된 고정케이블(10)은 상기 제2유도관(220)과 제1유도관(120)의 중공을 따라 안내되어, 대퇴골의 골절부위 들레를 따라 '∝'형태로 권선 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고정케이블(10)의 권선이 완료되면, 상기 제1유도관(120)의 절개장공(121)을 통해 권선된 고정케이블(10)을 상기 제1유도관(120)의 내측방향인 절개장공(121)을 향해 당겨 이탈시키고, 상기 고정케이블(10)의 이탈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케이블(10)에 구비된 밴딩블럭(11)의 관통공에 고정케이블(10)의 일측단을 끼워, 대퇴골의 골절부위에 밀접하게 고정케이블(10)이 권선되도록 고정케이블(1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밴딩블럭(11)을 좌, 우를 가압하여, 그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밴딩블럭(11)이 변형되면서 한 쌍의 관통공이 변형됨에 따라 고정케이블(10)이 밴딩되며, 이후 여분의 고정케이블(10)을 절단하는 것으로, 대퇴골 골절부위의 밴딩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밴딩블럭(11)은 상기 제2유도관(220) 또는 제1유도관(120)에 형성된 절개장공(121, 221)의 안내로 대퇴골의 골절부위에 인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일측에 밴딩블럭을 구비한 고정케이블을 뼈의 골절부위 둘레로 유도하는 유도기에 있어서,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1손잡이부를 형성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골절된 뼈를 고정하는 고정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유도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1손잡이부와 제1유도관 간의 경계인 중앙부에는 회전축을 구비한 제1몸체; 및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2손잡이부를 형성하고, 대향진 타측에는 골절된 뼈를 고정하는 고정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유도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2손잡이부와 제2유도관 간의 경계인 중앙부에는 상기 제1몸체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결합공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제1몸체에 교차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도관에는 길이를 따라 절개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1유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된 고정케이블이 골절부위에 감겨 지면, 상기 고정케이블의 일측을 절개장공 방향으로 당겨 제1유도관에서 이탈되도록 한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관 및 제2유도관 각각은
    서로의 타측단이 맞닿도록, 서로의 타측단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한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장공은
    상기 제1유도관의 내측방향으로 형성한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일측이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이 진입하여 결합하는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PCT/KR2021/011130 2020-08-21 2021-08-20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WO202203955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451 2020-08-21
KR20200105451 2020-08-21
KR10-2021-0104936 2021-08-10
KR1020210104936A KR102602772B1 (ko) 2020-08-21 2021-08-10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9557A1 true WO2022039557A1 (ko) 2022-02-24

Family

ID=8032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1130 WO2022039557A1 (ko) 2020-08-21 2021-08-20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03955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4100A2 (en) * 2006-04-21 2007-11-01 Synthes (U.S.A.) Long-nosed crimp pliers for use in orthopedics
KR20090098806A (ko) * 2006-12-12 2009-09-17 신세스 게엠바하 크림프 플라이어
US20110190771A1 (en) * 2005-08-02 2011-08-04 Alberto Angel Fernandez Two Members Cerclage Tool
KR101659604B1 (ko) * 2015-06-22 2016-09-26 (주)티디엠 골절치료용 와이어 가이드장치
CN206239496U (zh) * 2016-08-31 2017-06-13 山东威高骨科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经皮环扎钛丝置入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0771A1 (en) * 2005-08-02 2011-08-04 Alberto Angel Fernandez Two Members Cerclage Tool
WO2007124100A2 (en) * 2006-04-21 2007-11-01 Synthes (U.S.A.) Long-nosed crimp pliers for use in orthopedics
KR20090098806A (ko) * 2006-12-12 2009-09-17 신세스 게엠바하 크림프 플라이어
KR101659604B1 (ko) * 2015-06-22 2016-09-26 (주)티디엠 골절치료용 와이어 가이드장치
CN206239496U (zh) * 2016-08-31 2017-06-13 山东威高骨科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经皮环扎钛丝置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645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female urinary incontinence
CA2363473C (en) Anoscope
US5464447A (en) Implantable defibrillator electrodes
JP3621110B2 (ja) 移植可能な固定手段
US20070043377A1 (en) Two members cerclage tool
BR9714740A (pt) Sistemas, métodos e instrumentos para cirurgia por penetração minimizada
AU20012930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female urinary incontinence
WO2002026108A3 (en) Surgical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a sling in the treatment of female urinary incontinence
JP2006502820A (ja) 補綴メッシュアンカー装置
WO2010053300A2 (ko)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WO2007109759A2 (en) Femal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IL201803A (en) Transdermal implants
WO2019182215A1 (ko) 개폐가능한 척추 내시경 장치
WO2018208037A1 (ko)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WO2022039557A1 (ko)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CN104799930B (zh) 连枷胸治疗装置
CN210521109U (zh) 一种新型皮肤创面修复牵引器
KR20220023708A (ko) 최소 침습 뼈 고정케이블 유도기
EP0517435A1 (en) Intramedullary osteosynthetic device
Emami et al. A safer pin position for external fixation of distal radial fractures
CN210019457U (zh) 一种单侧双通道内镜技术辅助椎间融合器置入套管拉钩
CN220213056U (zh) 一种骨科微创钢丝引导器
RU22351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инородных тел мягких тканей под ультразвуковым контролем
CN215306609U (zh) 骨科克氏针万向导向器
CN212679242U (zh) 一种骨科微创钢丝引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586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586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