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417A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417A
KR20090097417A KR1020080022538A KR20080022538A KR20090097417A KR 20090097417 A KR20090097417 A KR 20090097417A KR 1020080022538 A KR1020080022538 A KR 1020080022538A KR 20080022538 A KR20080022538 A KR 20080022538A KR 20090097417 A KR20090097417 A KR 20090097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tring
focus
input unit
scrol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8562B1 (ko
Inventor
라케쉬 고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2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5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이하 '파일'이라 한다)중 원하는 파일을 신속하게 찾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상기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고,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킨 파일을 포커싱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할 때,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한다.
포커스, 이동, 파일, 검색, 인덱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file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 중 원하는 파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휴대 단말기의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소개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이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대용량의 메모리부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 때문에 작게 제작되기 때문에, 화면의 크기가 작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저장된 디렉토리나 파일(이하 '파일'이라 한다)을 검색할 때, 화면에 5 내지 6개의 파일의 이름이 표시된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의 수가 많을수록 원하는 파일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파일을 찾게 되는데, 통상 방향키를 누를 때마다 포커스는 하나의 파 일 단위로 이동하기 때문에, 원하는 파일이 리스트의 아래쪽에 위치할 경우 찾는 많이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파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인덱스 엔진, 입력부 및 데코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덱스 엔진은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상기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켜 상기 파일을 포커싱한다. 특히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하여 포커싱한다.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은 표시 과정, 입력 과정 및 포커싱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 과정은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상기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입력 과정은 상기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킨 파일을 포커싱한다. 특히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하여 포커싱한다.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한 파일씩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 1 스크롤 입력부와,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포커성된 파일의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갖기 때문에 원하는 파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특히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누를 때마다 포커스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건너뛰기 때문에, 원하는 파일의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 그룹으로 포커스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눌러 찾고자 하는 파일이 속하는 파일 그룹을 한정하고, 한정된 그룹 내에서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눌러 원하는 파일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 검색 중 원하는 파일을 놓치고 지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휴대 단말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 입력부(20), 메모리부(30), 표시부(40), 인덱스 엔진(50; index engine) 및 데코레이터(60; decora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이동방송 수신기 등과 같이 개인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정보처리, 정보제공, 통신 등의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를 망라한다.
제어부(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특히 제어부(10)는 파일 검색을 제어한다.
입력부(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에 전달한다. 입력부(20)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휠키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메모리부(30)는 파일 또는 디텍토리에 음악(music), 소리(sound), 영상(image), 텍스트(text) 등을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을 저장한다. 메모리부(30)는 파일 리스트에서 신속한 파일 검색을 수행하는 파일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표시부(4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40)는 파일 검색 모드에서 파일들을 리스트 형태로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화면에 표시된 파일 중 하나에 포커스가 위치한다. 표시부(40)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표시장치와 입력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인덱스 엔진(50)은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인덱스 엔진(50)은 표시부(40)의 화면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정수의 파일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다. 즉 통상적으로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 명명된 이름을 가지며, 인덱스 엔진(50)은 파일 이름의 문자열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데코레이터(60)는 입력부(2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켜 파일을 포커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인덱스 엔진(50)과 데코레이터(60)가 제어부(10)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각각의 소자로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어부(10)가 인덱스 엔진(50) 또는 데코레이터(5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거나, 인덱스 엔진(50)과 데코레이터(60)가 하나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인덱스 엔진(50)은 파일들을 아래와 같은 규칙에 따라 리스트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먼저 파일의 이름은 문자, 숫자 또는 특수기호를 조합하여 N개(N은 자연수)의 자릿수를 가질 수 있다.
첫째, 동일 자리에 숫자, 문자, 특수기호가 위치하는 경우, 숫자, 문자 및 특수기호 순으로 파일을 표시한다.
둘째, 숫자, 문자 및 특수기호의 종류에 따라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경우, 해당 순위가 높을수록 리스트의 앞쪽에 위치시킨다. 예컨대, 파일 이름의 동일 자리에 알파벳이 모두 포함된 경우, 파일 이름을 알파벳 순으로 표시한다.
셋째, 파일의 이름에 사용할 수 있는 문자의 종류가 복수개이고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경우, 해당 순위가 높을수록 앞쪽에 위치시킨다. 예컨대, 파일 이름의 동일 자리에 알파벳과 한글이 위치한 경우, 알파벳을 갖는 파일 이름을 먼저 표시한다.
넷째, 자릿수가 작을수록 리스트의 앞쪽에 위치시킨다. 예컨대, 파일 이름이 "ABC"와 "AB"가 있는 경우, "AB"를 "ABC"보다는 먼저 표시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 A2, AB, AZ, B21,B212, B22, B24, BA, C5, CD…"의 파일 이름을 갖는 파일들을 인덱스 엔진(50)이 리스트로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A1, A2, AB, AZ, B21, B212, B22, B24, BA, C5, CD…"의 순서를 갖는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파일의 이름은 영문자와 숫자로 구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특히 입력부(20)는 신속한 파일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및 선택 버튼(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양쪽의 방향성을 갖는 사용자의 스크롤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에 전 달한다. 양쪽의 방향성은 상하 스크롤, 좌우 스크롤,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스크롤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및 선택 버튼(29)은 사용자의 누름이나 터치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에 전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20)에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및 선택 버튼(29)을 포함하는 개시하였지만, 문자숫자키나 볼륨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및 선택 버튼(29)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휴대 단말기에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a)는 앞면의 위쪽에 표시부(40a)가 배치되고, 표시부(40a) 아래에 입력부(20a)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링 타입으로,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안쪽에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스크롤을 입력받는다.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중심에 선택 버튼(29)이 위치한다. 그리고 문자열 확장 버튼(25)과 문자열 축소 버튼(27)은 제 1 스크롤 입력부(21)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 1 예에서는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아래의 양쪽에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바타입으 로, 일측의 장변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터치 패드로 구현된다. 본 예시도에서는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가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도 3에서는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고, 도 4에서는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다.
그리고 문자열 확장 버튼(25), 선택 버튼(29) 및 문자열 축소 버튼(27)은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 사이에 위치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문자열 확장 버튼(25), 선택 버튼(29) 및 문자열 축소 버튼(27)은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d)는 앞면의 위쪽에 표시부(40d)가 배치되고, 표시부(40d) 아래에 입력부(20d)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바타입으로, 일측의 단변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롤(roll) 형태의 휠키이다. 본 예시도에서는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가 동일선상에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다.
문자열 확장 버튼(25), 선택 버튼(29) 및 문자열 축소 버튼(27)은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 아래에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위쪽에 배치되거나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를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e)는 슬라이딩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제 1 본체(70)와 제 2 본체(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본체(70)는 앞면의 위쪽에 표시부(40e)가 배치되고, 표시부(40e) 아래에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2, 23)가 배치된다. 제 2 본체(80)는 앞면에 문자숫자키(22)가 배치된다. 문자숫자키(20)는 제 2 본체(80)에 대한 제 1 본체(7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링 타입으로,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안쪽에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는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스크롤을 입력받는다.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중심에 선택 버튼(29)이 위치한다.
그리고 문자열 확장 버튼(25)과 문자열 축소 버튼(27)은 별도의 키로 구현되지 않고, 두 개의 문자숫자키(22)에 매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번"키에 문자열 확장 버튼(25)이 매핑되고, "3번"키에 문자열 축소 버튼(27)이 매핑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도 5 및 도 6에서는 휴대 단말기(100a, 100d, 100e)로 바 타입 및 슬라이딩 타입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는 플립, 폴더, 스윙 등 다양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27) 및 선택 버튼(29)을 포함하는 개시하였지만, 문자숫자키나 볼륨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또는 선택 버튼(29)의 조작에 따라 데코레이터(60)는 아래와 같이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스크롤 입력부(2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포커스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데코레이터(60)는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하여 포커싱한다. 이때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데코레이터(21)는 포커스를 현재 포커싱된 파일을 기준으로 바로 위 또는 아래의 파일로 이동시킨다.
데코레이터(60)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한다.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데코레이터(60)는 포커스를 현재 포커싱된 파일을 기준으로 위 또는 아래의 파일로 이동시킨다. 특히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에 따라 포커스는 이웃하는 파일로 이동하는 데 반하며,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에 따라 포커스는 현재의 포커싱된 파일을 기준으로 복수의 파일을 건너뛴 위치의 파일로 이동할 수 있다.
데코레이터(60)는 문자열 확장 버튼(25)의 누름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의 길이를 확장한다. 데코레이터(60)는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문자열 전체 중에 하나로 확장할 수 있다. 이때 검색 문자열의 확장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기준으로 다음자리부터 순차적으로 설정된 확장갯수 만큼 확장이 이루어진다. 문자열 확장 버튼의 누름에 따라 검색 문자열이 확장되면, 데코레이터(60)는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축소를 위한 입력 예컨대, 문자열 축소 버튼(27)을 누를 때까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유지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검색 문자열을 확장하고 축소하는 문자열 확장 버튼(25)과 문자열 축소 버튼(27)을 각각 하나씩 구비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예컨대, 문자숫자키의 숫자와 검색 문자열 수를 매핑시켜 문자열 확장 및 축소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1번"키를 누르면 데코레이터는 첫 번째 자리의 문자열을 검색하고, "2번"키를 누르면 데코레이터는 두 번째 자리까지의 문자열을 확장하여 검색하고, "3번"키를 누르면 데코레이터는 세 번째 자리까지의 문자열을 확장하여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1번"키가 문자열 축소 버튼에 대응되고, "2번"키 및 "3번"키가 문자열 확장 버튼에 대응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방식으로 문자숫자키에 문자열 확장 및 축소 버튼을 매핑시킬 수 있다.
데코레이터(60)는 문자열 축소 버튼(27)의 누름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의 길이를 축소한다. 이때 데코레이터(60)는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기준 검색 문자열 중에 하나로 축소한다. 이때 검색 문자열의 축소는 축소전 검색 문자열을 기준으로 마지막자리부터 순차적으로 설정된 축소갯수 만큼 축소가 이루어진다. 기준 검색 문자열은 파일 이름의 첫 번째 자리의 문자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준 검색 문자열수는 하나이다. 검색 문자열의 길이 축소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며, 하나인 경우에는 수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데코레이터(60)는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또는 문자열 축소 버튼(27)의 복합적인 조작에 따라서 파일 검색을 위한 포커스 이동을 수행한다. 이때 문자열 확장 버튼(25)과 문자열 축소 버튼(27)의 누름에 따라 검색 문자열의 수에 변동이 있다하더라도,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기능은 검색 문자열의 수와 무관하게 수행된다.
먼저 데코레이터(60)는 문자열 확장 버튼(25)의 누름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의 길이를 확장한다. 이어서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데코레이터(60)는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한다.
문자열 확장 버튼(25)을 누른 후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에 따른 선택 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면, 데코레이터(60)는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중에서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확장된 검색 문자열 다음의 문자열을 기준으로 다음 순위의 문자열을 갖는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이때 데코레이터(60)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내에서 수행한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를 스크롤하여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순위의 파일(이하 '경계 파일'이라 함)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포커싱된 경계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제 2 스크롤 입력부(23)를 다시 스크롤하면, 데코레이터(60)는 경계 파일에 위치한 포커스를 다른 파일로 이동시키지 않는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데코레이터(60)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 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내에서 수행한다. 하지만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를 스크롤하여 포커스가 경계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포커싱된 경계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다시 스크롤하면, 데코레이터(60)는 경계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데코레이터(60)는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문자열 확장 버튼(25)의 선택 이전으로 축소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선택 버튼(29)의 누름에 따른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포커싱된 파일을 실행한다. 예컨대 포커싱된 파일이 디렉토리인 경우, 제어부(10)는 디렉토리에 포함된 파일들을 리스트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포커싱된 파일이 음악 파일인 경우, 음악 재생기를 통하여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포커싱된 파일이 영상 파일인 경우, 영상 뷰어를 통하여 영상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포커싱된 파일이 텍스트 파일인 경우, 텍스트 뷰어를 통하여 텍스트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파일 검색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을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71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부(20)를 통하여 파일 표시를 요청하면, S73과정에서 인덱스 엔진(50)은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30)에 저장된 파일들을 문자열 순서에 따라 리스트로 표시한다. 즉 인덱스 엔진(50)은 파일에 명명된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파일의 이름을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며, 파일들은 리스 트로 표시한다. 인덱스 엔진(50)은 표시부(40)의 화면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정수의 파일을 표시하며, 통상 최상위의 파일부터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반대로 인덱스 엔진(50)은 파일들을 최하위의 파일부터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화면에 처음 리스트가 표시될 때, 인덱스 엔진(50)은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파일에 포커스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후술되겠지만 입력부(2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데코레이터(60)는 포커스를 다른 파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S75과정에서 제어부(10)는 입력부(20)를 통하여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20)는 제 1 스크롤 입력부(21), 제 2 스크롤 입력부(23), 문자열 확장 버튼(25), 문자열 축소 버튼(27)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S75과정의 판단 결과 선택 신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 S77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켜 다른 파일을 포커싱한다. 파일을 검색하기 위해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S77과정인 포커스 이동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S75과정의 판단 결과 선택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또는 S77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S78과정에서 제어부(10)는 선택 버튼(29)의 입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선택 버튼(29)의 입력은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을 찾은 후, 찾은 파일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S73과정에서 원하는 파일을 바로 찾을 수도 있고, S75과정 및 S77과정의 파일 검색 과정을 수행하여 원하는 파일을 찾을 수도 있다.
S78과정의 판단 결과 선택 버튼(29)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부(10)는 사용자의 입력부(20)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S75과정 내지 S78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파일을 찾기 위해서 입력부(20)를 통하여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S75과정 내지 제78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S78과정의 판단 결과 선택 버튼(29)의 입력이 있는 경우, S79과정에서 제어부(10)는 포커싱된 파일을 실행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을 찾은 경우에 선택 버튼(29)을 눌러 포커싱된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S77과정의 포커스 이동 과정을 도 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81과정에서 제어부(10)는 어떤 입력부(20)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81과정의 판단 결과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통하여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S83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다음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이때 다음 파일은 현재 포커싱된 파일을 중심으로 상하에 위치하는 파일 중에 하나로서,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포커스는 위쪽 또는 아래쪽 중에 한곳으로 이동한다.
S81과정의 판단 결과 제 2 스크롤 입력부(23)를 통하여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S85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S81과정의 판단 결과 문자열 확장 버튼(25)을 통하여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경우, 데코레이터(20)는 S87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S871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검색 문자열을 확장한다.
이어서 S873과정에서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를 스크롤하면, S875과정에서 제어부(10)는 어떤 입력부(20)로부터 스크롤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875과정의 판단 결과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통하여 스크롤이 입력되면, S877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다음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한다. 이어서 S879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포커싱된 파일이 경계 파일을 벗어난 파일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879과정의 판단 결과 경계 파일을 벗어난 파일이 아닌 경우, S887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문자열 축소 버튼(27)의 입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879과정의 판단 결과 경계 파일을 벗어난 파일이거나 S887과정의 판단 결과 문자열 축소 버튼(27)이 입력된 경우, S889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설정된 문자열로 검색 문자열 축소한다.
한편 S875과정의 판단 결과 제 2 스크롤 입력부(23)를 통하여 스크롤이 입력되면, S881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이 경계 파일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881과정의 판단 결과 경계 파일이 아닌 경우, S883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다음 순위의 문자열을 갖는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S881과정의 판단 결과 경계 파일인 경우, S885과정에서 데코레이터(60)는 경 계 순위의 파일에 위치한 포커스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즉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21, 23)를 스크롤하여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포커싱된 경계 파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제 2 스크롤 입력부(23)를 다시 스크롤하면, 데코레이터(60)는 경계 파일에 위치한 포커스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데코레이터(60)는 S887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 검색 방법을 도 1, 도 10 내지 도 13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메모리부(30)에는 "A1, A2, AB, AZ, B21,B212, B22, B24, BA, C5, CD…"의 이름으로 명명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다. 제 1 스크롤 입력부(2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23)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포커스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지만, 본 화면 예시도에서는 포커스가 아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스크롤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먼저 S73과정에서 인덱스 엔진(5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 A2, AB, AZ, B21, B212, B22, B24, BA, C5, CD…"순으로 배열된 파일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파일의 이름은 영문자와 숫자로 구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실질적으로 화면에는 리스트 중 일부만이 표시된다. 화면에 리스트가 처음 표시될 때, 인덱스 엔진(50)은 리스트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파일인 "A1"에 포커스를 위치시킨다. 검색 문자열은 기준 검색 문자열인 첫 번째 자리이다.
S83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가 "A1"의 파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스크롤 입력부(21)가 스 크롤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A1"에 이웃하는 "A2"로 이동한다. 다시 제 1 스크롤 입력부(21)가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롤되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A2"에서 "B21"로 이동한다. 즉 제 1 스크롤 입력부(21)의 스크롤에 따라 포커스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이웃하는 파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S85과정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가 "AB"의 파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스크롤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AB"의 검색 문자열인 "A"의 다음 순위의 문자인 "B"가 처음 나타나는 "B21"로 이동한다. 다시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스크롤되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1"의 검색 문자열인 "B"의 다음 순위의 문자인 "C"가 처음 나타나는 "C5"로 이동한다. 이때 검색 문자열은 파일 이름의 첫 번째 자리의 문자열이다.
S877과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가 "B21"의 파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문자열 확장 버튼(25)을 누른 후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스크롤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1"에 이웃하는 "B212"로 이동한다. 다시 제 1 스크롤 입력부(21)가 스크롤되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12"에서 "B22"로 이동한다. 즉 문자열 확장 버튼(25)의 입력에 따라 검색 문자열이 확장되더라도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스크롤하면, 포커스는 현재 포커싱된 파일에서 이웃하는 파일로 이동한다.
S881과정 내지 S885과정을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가 "B21"의 파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문자열 확장 버튼(25)을 누른 후 제 2 스크롤 입력부(23)를 스크롤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1"에서 "B22"로 이동한다. 즉 문자열 확장 버튼(25)을 누르면, 데코레이터(60)는 검색 문자열을 두 번째 문자열까지 확장한다. 데코레이터(60)는 확장된 검색 문자열인 "B2"를 포함하는 파일들인 "B21, B212, B22 및 B24" 중에서 현재 포커싱된 파일의 확장된 검색 문자열인 "B2" 다음의 문자열인 "1"을 기준으로 다음 순위의 문자열 "2"를 갖는 파일인 "B22"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이때 데코레이터(60)는 "B21" 다음의 "B212"를 건너뛰어 "B22"를 포커싱하게 되는데, 이유는 "B212"의 세 번째 문자가 "B21"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다시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스크롤되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2"에서 "B24"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2 스크롤 입력부(23)가 스크롤되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는 "B24"에서 이동하지 않는다. 즉 포커스가 경계 파일인 "B24"를 포커싱하고 있고, "B24" 아래에는 확장된 검색 문자열인 "B2"을 갖는 파일이 없기 때문에, 데코레이터(60)는 포커스를 "B24"에서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10)는 경고음이나 팝업창을 통하여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에 도달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S879과정 및 S889과정을 도 13(C) 및 도 13(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3(C)의 "B24"에 포커스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스크롤 입력부(21)를 스크롤하면,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코레이터(60)는 포커스를 "B24"에서 "BA"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데코레이터(60)는 검색 문자열을 첫 번째 문자열로 축소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가 위치하는 파일 이름 전체를 포커싱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가 현재 실행중인 검색 문자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파일 이름 전체를 포커싱하는 색상과 검색 문자열을 포커싱하는 색상을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파일 이름 중 검색 문자열만을 포커싱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누르면,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갖는 파일들을 다른 파일 및 포커싱된 파일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갖는 파일들을 포커싱된 파일보다는 흐리고 다른 파일보다는 밝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 1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의 제 2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의 제 3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 4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 5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포커스 이동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문자열 확장 버튼의 누름에 따른 포커스 이동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의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0은 제 1 스크롤 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문자열 확장 버튼과 제 1 스크롤 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포커스의 이 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문자열 확장 버튼을 선택한 후,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포커스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제어부 20 : 입력부
21 : 제 1 스크롤 입력부 23 : 제 2 스크롤 입력부
25 : 문자열 확장 버튼 27 : 문자열 축소 버튼
29 : 선택 버튼 30 : 메모리부
40 : 표시부 50 : 인덱스 엔진
60 : 데코레이터 100 : 휴대 단말기

Claims (27)

  1.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상기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인덱스 엔진과;
    상기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켜 상기 파일을 포커싱하는 데코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하여 포커싱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문자열 확장 버튼과 문자열 축소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이 눌리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의 길이를 확장하고,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이 눌리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의 길이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이 눌리면, 삼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문자열 전체 중에 어느 하나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이 눌리면,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포커싱된 파일의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기준 검색 문자열 중에 어느 하나로 축소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포커싱된 파일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누른 후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면,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을 확장하고, 상기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중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의 확장된 검색 문자열 다음의 문자열을 기준으로 다음 순위의 문자열을 갖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스크롤에 따른 상기 포커스의 이동을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여 상기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순위의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다시 스크롤하면,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여 상기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순위의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를 다시 스크롤하면, 상기 데코레이터는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고, 상기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의 선택 이전으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각각 터치 패드 또는 휠키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링 타입으로,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 안쪽에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버튼은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중심에 위치하며,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과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은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바타입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일측의 장변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 상기 선택 버튼 및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은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바타입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는 일측의 단변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 상기 선택 버튼 및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은 상기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복수의 문자숫자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과 상기 문자열 축소 버튼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문자숫자키에 매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숫자키의 숫자에 상기 검색 문자열 수가 매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 1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검색 문자열은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문자열로 명명된 파일들을 상기 문자열의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과정과;
    상기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제 1 및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는 입력 과정과;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시킨 파일을 포커싱하는 포커싱 과정;를 포함하며,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하여 포커싱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가 스크롤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포커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입력 과정에서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누르면,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문자열 전체 중에 하나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입력 과정에서 문자열 축소 버튼을 누러면, 검색 문자열을 하나, 일정 수 또는 기준 검색 문자열 중에 하나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입력 과정에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누른 후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을 확장하고, 이전에 설정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들 중에서 상기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다음 순위의 문자열의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입력 과정에서 상기 문자열 확장 버튼을 누른 후,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의 스크롤에 따른 상기 포커스의 이동을 상기 파일 그룹 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여 상기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순위의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다시 스크롤하면,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크롤 입력부를 스크롤하여 상기 포커스가 확장된 검색 문자열의 경계 순위의 파일을 포커싱한 상태에서, 상기 포커싱된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스크롤 입력부를 다시 스크롤하면, 상기 포커싱된 파일에 이웃하는 파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키고, 상기 확장된 검색 문자열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과정 이후에 선택 버튼으로 상기 포커싱된 파일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실행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파일 검색 방법.
KR20080022538A 2008-03-11 2008-03-1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 KR101478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2538A KR101478562B1 (ko) 2008-03-11 2008-03-1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2538A KR101478562B1 (ko) 2008-03-11 2008-03-1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417A true KR20090097417A (ko) 2009-09-16
KR101478562B1 KR101478562B1 (ko) 2015-01-02

Family

ID=4135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2538A KR101478562B1 (ko) 2008-03-11 2008-03-1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5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235A (ko) 2015-03-27 2016-10-07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하이패스를 이용하는 차량의 톨게이트 요금 결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6819A (en) * 1996-06-11 1998-07-28 Xerox Corporation One button searching of long lists
KR100767686B1 (ko) * 2006-03-30 2007-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휠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령 입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235A (ko) 2015-03-27 2016-10-07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하이패스를 이용하는 차량의 톨게이트 요금 결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562B1 (ko)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027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o organize and manipulate inform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via multi-touch gestures
JP6245788B2 (ja) 情報入力装置
US20060187212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20140123050A1 (en) Text input
US9703418B2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1174190A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KR100657520B1 (ko) 정보 단말 장치에서 파일 계층 구조의 탐색 방법
JP2007193465A (ja) 入力装置
JP2000278391A (ja) 背面手書き入力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CN101267471A (zh) 用于移动终端的空闲屏幕布置结构和空闲屏幕显示方法
JPWO2007086371A1 (ja) 文字入力装置
KR20110048063A (ko) 표시 기기 및 그 표시 방법
JP2005006120A (ja) 操作機能の検索手段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該携帯電話機の操作機能の検索方法
JP2007258893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相手選択発信方法
KR10147856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검색 방법
US20100281425A1 (en) Handling and displaying of large file collections
JP5697491B2 (ja) 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54892B2 (ja) 携帯通信機器及び通信機器
KR20060113225A (ko)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 방법
KR1006087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검색방법
JP5132273B2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と携帯端末
KR100745978B1 (ko) 문자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 및 입력 방법
KR100731022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스크롤기능 구현방법
JP2014021927A (ja)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369892B2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