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225A -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225A
KR20060113225A KR1020050036483A KR20050036483A KR20060113225A KR 20060113225 A KR20060113225 A KR 20060113225A KR 1020050036483 A KR1020050036483 A KR 1020050036483A KR 20050036483 A KR20050036483 A KR 20050036483A KR 20060113225 A KR20060113225 A KR 20060113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search
screen
mobile terminal
n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넥스소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소프트(주) filed Critical 넥스소프트(주)
Priority to KR102005003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3225A/ko
Publication of KR2006011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패드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키패드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명칭을 검색하고 검색된 명칭들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명칭을 검색할 경우에 키패드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또는 알파벳을 이용하여 여러번의 키 조작없이도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명칭을 보다 신속하게 검색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휴대단말기, 자음, 알파벳, 초성, 검색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 방법 {Method for searching names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서 키패드 버튼을 이용하여 명칭을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휴대단말기에서 키패드를 이용하여 명칭을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서 키패드 버튼과 커서키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서 커서키를 이용하여 검색된 명칭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예이다.
도 6은 휴대단말기에서 키패드의 버튼을 이용하여 임의의 위치의 글자부터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예이다.
도 7은 휴대단말기의 키패든 버튼과 특수버튼을 눌러 임의의 글자를 함께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예이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명칭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키패드 버튼을 한 개만 선택했을 경우에도 해당 키패드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또는 알파벳이 포함된 명칭들을 모두 검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서 기능의 명칭이나 전화번호부의 이름등을 검색할 경우에는, 별도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해당 기능으로 진입을 하고 찾고자 하는 상세 명칭에 관해서 글자를 입력하여 검색하거나, 방향키로 화면에 제공되어있는 기능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검색하였었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명칭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검색할 필드를 먼저 선택한 뒤에 해당 필드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를 입력하여 검색을 함으로써, 여러번의 키 입력을 통해야만 검색을 할 수 있었다. 이는 신속을 요하는 기능 수행에 있어서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는데, 특히 휴대 상태에서 사용자 정보처리를 신속히 이루어야 하는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들, 그리고 메뉴 구조가 복잡한 진화된 단말기등의 경우에는 상기한 종래 방식에 따른 메뉴 선택이 사용자의 불편을 더욱 가증 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특정 기능 메뉴 선택시 여러 번 선택 입력을 수행하게 되면 신속성을 중요시하는 기능 수행에 있어서 결과적으로 기능 수행 시간을 늦추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보안하기 위해서 휴대단말기에서 메뉴, 전화번호부 등의 명칭을 검색할 경우에 특정 입력 문자, 즉, 한글의 초성 자음 또는 영어의 알파벳을 이용하여 명칭을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즉, 한글 자음 'ㄷ' 을 입력하면 명칭에 'ㄷ'이 포함된 모든 항목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키패드의 숫자는 12개로서 알파벳이나 한글 자모음의 수에 비해 그 수가 현저하게 적으므로, 하나의 키패드 버튼에는 다수의 알파벳과 한글 자모음이 할당되게 된다. 예를 들어, 키패드 '1'에 한글자음 'ㄱ', 'ㄴ', 'ㄷ'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한글 자음 'ㄷ'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한글 입력모드에서 키패드 '1'을 세번 눌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찾고자 하는 한글의 초성자음 또는 영어의 알파벳을 정확하게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키패드 버튼를 여러번 반복하여 눌러야 된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영문으로 바꿀 경우에는 영문 변환키를 별도로 누른 뒤에 키패드를 여러번 눌러 해당 명칭에 포함되어있는 글자를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번거롭고 신속성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특정 명칭을 검색하려 할 경우에, 키패드를 여러번 조작하지 않아도 하나의 키패드 버튼만 입력하면, 해당 키패드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다수의 자음 또는 알파벳이 포함된 명칭을 검색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단말기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패드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키패드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명칭을 검색하고, 검색된 명칭들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검색된 명칭의 수가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수의 명칭만을 표시하며, 표시되지 아니한 다른 명칭들을 표시하도록 하는 수단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검색된 명칭 중에서 현재 표시되지 아니한 다른 명칭들을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은 명칭의 첫번째 문자에 대해서만 수행하거나 임의의 위치에 있는 문자에 대해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색을 마치고, 검색된 결과가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키패드 버튼이 다시 눌려지면 검색된 명칭 중에서 눌려진 키패드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명칭을 다시 검색하여 검색된 명칭들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문자에는 한글 자음과 영문 알파벳, 한글 모음, 숫자 및 모든 문자를 나타내는 특수 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은 한글 자음에 대해서는 각 명칭의 초성만을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패드 버튼이 순차적으로 눌려진 경우에, 상기 검색은 눌려진 각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에 의해 버튼이 눌려진 순서대로 형성되는 문자열이 포함된 명칭을 검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된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명칭을 선택하면 선택된 명칭에 대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며, 검색된 명칭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때에는 각 명칭 앞에 숫자를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키패드 버튼을 소정의 시간 이상 누르면 해당 키패드 버튼의 숫자에 대응되는 명칭에 대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색된 명칭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때 그중의 하나의 명칭에 해당 명칭이 선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선택표시를 하고, 사용자가 커서 이동 수단을 누르면 해당 커서 이동 수단에 대응되는 방향에 있는 명칭으로 상기 선택표시를 이동시키고, 사용자가 기능 수행 수단을 누르면 상기 선택표시가 되어 있는 명칭에 대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선택표시는 선택된 명칭을 반전시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명칭은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름이며, 상기 정해진 동작은 선택된 명칭에 대해서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것이거나 상기 정해진 동작은 선택된 명칭에 대해서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명칭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용가능한 기능의 명칭이며, 상기 정해진 동작은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거나 상기 명칭은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의 명칭이며, 상기 정해진 동작은 선택된 파일을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검색을 하기 이전에 검색할 필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검색은 선택된 필드에 대해서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누른 키패드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는 별도의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일예로서 휴대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과 이동교환국 및 단문메시지 센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변조기(Modulator)와 송신 증폭기를 포함한 송신기와 수신 증폭기와 복조기(Demodulator)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가지는 RF 송수신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수신부는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며, 중간 주파수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키며, 이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03)에서 분석되고 처리된다. 또한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송신부는 제어부(103)에서 생성된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시켜 증폭시키며, 최종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듀플렉서를 거쳐 안테나로 방사된다.
표시부(109)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휴대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문자 메시지 등을 출력한다.
입력부(106)는 키패드(Key pad)와 다수의 기능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키패드에는 한글 자모음, 영문 알파벳, 숫자 등의 다수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다.
오디오 변환부(118)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거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12)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ROM) 및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부(103)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하며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어하여 이동 통신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어부(103)는 사용자로부터 키패드의 한 버튼이 입력되면, 해당 키패드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또는 알파벳이 포함된 명칭을 검색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검색화면에서 키패드 '1'을 누른 경우에, 해당 키패드에 자음 ㄱ,ㄲ,ㅋ, 영문 알파벳 a,b,c가 할당되어 있다면, 전화번호부 이름에 자음 ㄱ,ㄲ,ㅋ, 영문 알파벳 a,b,c 중의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항목을 검색해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전화번호부 이름에서 첫번째 글자에 대해서만 검색을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03)는 눌려진 버튼에 포함되어있는 자음과 알파벳과 일치하는 글자는 별도의 색으로 표시하여 주거나 명암을 달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항목을 검색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서 키패드 버튼을 이용하여 기능이나 전화번호부의 이름, 파일명 등을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휴대단말기에서 키패드를 이용하여 이들 명칭을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예이다.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명칭을 검색하기 위하여, 하나의 키패드 버튼을 누르면(단계 203), 해당 키패드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또는 알파벳이 포함되어있는 기능명, 전화번호 이름, 파일명 등의 명칭을 검색한다(단계 206). 이때 사용자가 검색할 필드를 미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를 검색하는 경우에 도 3에서와 같이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이름이라는 필드를 선택하면(300), 이름이라는 해당 필드 안에서만 특정 명칭을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Winter River'라는 명칭을 검색한다고 가정한다면 사용자는 먼저 9번 버튼을 입력하게 되고(화면 303a) 9번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ㅈ', 'ㅊ' 와 알파벳 'W', 'Z', 'Y'가 포함되어있는 명칭들을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하여 준다(화면 303b). 즉 'ㅈ'이 포함된 '정길동'과 'ㅊ'이 포함된 '최경태'와 'ㅈ'이 포함된 '주진태'와 영어 알파벳 'W'가 포함된 'Winter River'를 화면에 표시하여준다(화면 303b). 이때 검색은 각 명칭의 첫번째 문자에 대해서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분하지 않고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눌려진 버튼에 포함되어있는 자음과 알파벳과 일치하는 글자는 별도의 색으로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또는 한글 자모음이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자모음이 포함된 글자를 별도의 방법으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ㅎ'이 할당되어 있는 버튼이 눌려져서 '홍길동'이 검색된 경우에 '홍길동'과 같이 'ㅎ'이 포함된 글자 자체를 별도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검색된 명칭의 개수가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개수를 초과하는 경 우에는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명칭만을 우선적으로 한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되지 않은 다른 명칭을 표시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이 수단을 선택함으로써 현재 표시되지 아니한 다른 명칭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명칭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경우에는 각 명칭 앞에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키패드 버튼을 소정의 시간 이상 누르면(단계 212의 '예') 해당 키패드 버튼에 할당된 숫자에 대응하는 명칭에 대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221). 예를 들어, 도 3의 화면 303b에서 키패드 버튼 '3'을 길게 누르면 '주진태'라는 항목이 선택되게 된다.
한편, 도 3의 303b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계속해서 검색을 실행하기 위하여, 키패드 버튼을 다시 입력하게 되면(단계 215의 '예'), 현재 표시되어있는 기능의 명칭 중에서 해당 키패드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또는 알파벳이 포함된 명칭을 검색하게 되며(단계 218),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최종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의 명칭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고 해당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또는 알파벳이 포함된 기능들이 검색되어 '정길동', '최경태', '주진태', 'Winter River'가 화면에 표시되었다고 가정한다(단계 303b).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의 4번 버튼을 누르게 되면(화면 306a) 4번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인 'ㄱ', 'ㅋ'과 알파벳 'G', 'H', 'I'가 글자에 포함되어있는 기능을 현재 표시된 상기 4가지의 기능 중에서 검색하게 된다. 즉 '정길동', '최경태', '주진태', 'Winter River' 중에서 'ㄱ' 이 포함된 '정 길동', '최경태'와 알파벳의 'I'가 포함된 'Winter River'가 검색되어 화면에 표시된다(화면 306b). 이때 검색대상은 문자의 두번째 글자가 된다. 즉, 첫번째 글자는 이미 검색을 한 상태로 되어있으므로 그 다음에 오는 가장 첫번째 문자인 명칭의 두번째 글자에 대해서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가 곧이어 6번 버튼을 누르게 되면(화면 309a) 명칭의 세번째 글자에 대해서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즉, 6번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인 'ㄷ', 'ㅌ'과 알파벳 'M', 'N', 'O' 가 글자에 포함되어있는 기능을 현재 표시된 3가지 명칭의 세번째 글자를 검색하게 되고, 'ㄷ'이 포함된 '정길동'과, 'N'가 포함된 'Winter River'가 화면에 표시된다(화면 309b).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8번 버튼을 누르게 되면(화면 312a) 8번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한글 자음인 'ㅅ', 'ㅎ'과 알파벳 'T', 'U', 'V'가 글자에 포함되어있는 명칭을 현재 표시된 2가지의 명칭 중에서 검색하게 되고 'T'가 포함된 'Winter River'를 최종적으로 화면에 표시하여 보여준다(화면 312b). 이때 검색은 각 기능의 명칭의 네번째 글자에 대해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서 키패드 버튼과 커서키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서 커서키를 이용하여 검색된 명칭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예이다.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키패드 버튼을 누르면(단계 403), 해당 키패드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또는 알파벳이 명칭의 문자에 포함된 명칭을 검색한다(단계 406). 이때도 역시 사용자는 필드를 먼저 선택한 후에 검색하는 것이 가 능하다.
명칭이 검색되면, 검색된 명칭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단계 409). 이때, 검색된 명칭의 수가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명칭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시되지 아니한 다른 명칭들을 표시하도록 하는 수단을 사용자가 입력하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 현재 표시되지 않은 명칭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로부터 키패드 버튼이 다시 입력되면(단계 418의 '예'), 현재 표시된 기능중에서 해당 키패드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또는 알파벳이 포함되어있는 기능의 명칭을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421). 이때 검색된 명칭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경우에는 각 명칭 앞에 숫자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키패드 버튼을 소정의 시간 이상 누르면(단계 412) 해당 키패드 버튼의 숫자에 대응되는 명칭에 대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415).
이때 검색된 명칭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경우에, 그 중의 하나의 명칭에 해당 명칭이 선택되어있음을 나타내는 선택표시를 하여두고 사용자가 키패드 버튼을 입력하지 않고(단계 418의 '아니오') 커서 이동 수단을 누르면(단계 424의 '예'), 해당 커서 이동수단에 대응되는 방향에 있는 명칭으로 선택표시를 이동시킨다(단계 427). 사용자가 기능 수행 수단을 누르면 선택표시가 되어있는 명칭에 대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430). 선택표시는 선택된 명칭을 반전시켜 표시하거나, 명칭앞에 체크 표시를 하거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이름이라는 필드를 선택한 후에 9번이 라는 키패드 버튼을 선택하면(화면 503a), '이름' 이라는 필드 안에서 9번 키패드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ㅈ', 'ㅊ' 또는 알파벳 'W', 'Z', Y'가 기능의 명칭에 포함된 명칭을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화면 503b). 이때 화면에 표시할 때는 그 중의 하나의 명칭에 해당 명칭이 선택되어있음을 나타내는 선택 표시를 하여주고, 사용자가 커서 이동 수단을 눌러 상위, 또는 하위 방향으로 조정하여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한 뒤에(화면 506b) 미리 제공되어진 '확인' 버튼을 눌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화면 506b). 이때, 선택 표시는 선택된 명칭을 반전시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이름' 이라는 필드를 선택하였으므로 선택된 명칭에 대해서 저장되어있는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명칭의 첫번째 글자부터 순차적으로 검색을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명칭의 임의의 위치의 글자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휴대단말기에서 키패드의 버튼을 이용하여 임의의 위치의 글자부터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예이고, 도 7은 휴대단말기의 키패든 버튼과 특수버튼을 눌러 임의의 글자를 함께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예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첫글자부터 순차적으로 검색을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키패드의 9번 버튼과 4번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르게 되면 9번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한글 자음인 'ㅈ', 'ㅊ'과 알파벳 'W', 'X', 'Y'가 첫글자에 포함되어있는 명칭을 먼저 검색한 뒤에 검색된 리스트 중에서 4번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한글 자음인 'ㄱ', 'ㅋ', 과 알파벳 'G', 'H', 'I'가 두번째 글자에 포함되어있는 명칭을 검색하여 '정길동', 최경태', '주진태', 'Winter River'등이 검색되어 화면에 표시되었지만, 임의의 위치의 글자로부터 순차적으로 일치하는 내용으로 검색을 할 경우에는 각각의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및 알파벳이 첫 글자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 위치한 글자에 포함된 명칭을 검색하게 되어 더 많은 항목들을 검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먼저 9번 버튼을 누르게 되면(화면 606a), 9번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과 알파벳이 포함된 모든 명칭이 검색되어 화면에 표시되고(화면 603b), 사용자가 이어서 4번 버튼을 누르면(화면 606a) 검색되어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화면 603b) 중에서 9번 버튼에 할당된 자음과 알파벳 및 4번 버튼에 할당된 자음과 알파벳이 순차적으로 포함된 모든 명칭을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하여준다(화면 606b).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정확한 명칭을 모르고 명칭의 일부만을 알고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검색을 할 수 있다.
또한, 검색하고자 하는 명칭에 잘 기억나지 않는 애매한 글자가 일부 포함되어있을 경우에는, 모든 문자를 나타내는 특수버튼(와일드카드)을 함께 눌러 애매한 글자가 포함되어 있는 명칭도 함께 검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9번 버튼을 눌렀다면(화면 703a), 임의의 위치의 글자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경우에는 해당 버튼에 해당되는 자음 'ㅈ', 'ㅊ'과 알파벳 'W', 'X', 'Y'가 첫글자에 포함되어있는 명칭인 '정길동', '최경태', '주진태', 'Winter River', '최고대학교'가 기본적으로 검색되고, 첫 글자에는 포함되어있지 않았지만 임의의 부분에 해당 자음 또는 알파벳이 포함된 'Call Taxi'와 '대전기차역'도 추가적으로 함께 검색된다(화면 703b). 이때 사용자가 특수버튼인 *버튼을 입력한 뒤(단계 706) 6번 버튼을 누르면(화면 709a), 검색된 내용 중에서 6번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인 'ㄷ', 'ㅌ'과 알파벳 'M', 'N', 'O'가 9번 버튼에 할당된 문자의 다음 다음에 포함된 명칭이 표시된다(화면 709b). 즉, 9번 버튼에 할당된 문자, 모든 문자, 6번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로 이루어지는 문자열이 표시되게 된다.
즉, 9번 버튼을 먼저 누르면 해당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과 알파벳이 포함된 명칭인 '정길동', '주진태', '최경태', 'Winter River', '최고대학교', '대전 기차역' 등이 검색되고, 그 다음 글자는 상관없이 그 다음 다음 글자에 6번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명칭이 표시된다. 즉, 최종적으로 '정길동', '최경태', 'Winter River', '최고대학교', '대전 기차역'가 검색되고 이때 사용자가 처음 선택했던 6번 버튼에 할당되어있는 자음 및 알파벳에 해당되는 글자는 색을 반전시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길동'의 'ㄷ', '최경태'의 'ㅌ', '최고대학교'의 'ㄷ', '대전 기차역'의 'ㄷ', 'Winter River'의 'N'을 반전시켜 표시한다.
또한, 특수키에 의하여 검색된 글자 또한 반전하여 다른 색 또는 다른 글자체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정길동'의 '길', '최경태'의 '경', '최고대학교'의 '고', '대전기차역'의 '기', 'Winter River'의 'I'를 다른 색 또는 다른 글자체로 표시한다. 이때, 특수키에 의해 검색될 수 있는 글자의 개수 및 특수버튼은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설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임의의 위치에 있는 글자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과정에서의 특수키를 이용하여 애매한 글자가 포함된 문자열을 검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3에서와 같이 첫 글자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과정에서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특수키를 이용하여, 애매한 글자가 포함된 문자열을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난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는 키패드에 할당된 문자로서 한글 자모음과 영문 알파벳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일본어 문자, 러시아어 문자, 아랍어 문자, 히브리어 문자 등의 다양한 문자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휴대단말기로서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PDA, 전자수첩, 휴대용 게임기, 일반전화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에서 기능명, 전화번호부 이름, 파일명 등의 명칭을 검색할 경우에 키패드를 누르면 해당 키패드에 할당되어있는 모든 자음 또는 알파벳 중의 어느 하나라도 포함하고 있는 명칭을 검색하므 로, 아주 적은 수의 키 조작만으로도 검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2)

  1. 키패드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키패드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명칭을 검색하는 제1단계;
    검색된 명칭들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2단계;
    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검색된 명칭의 수가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수의 명칭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표시되지 아니한 다른 명칭들을 표시하도록 하는 수단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검색된 명칭중에서 현재 표시되지 아니한 다른 명칭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은 명칭의 첫번째 문자에 대해서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은 명칭의 임의의 위치의 문자에 대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단계 이후에
    키패드 버튼이 다시 눌려지면 검색된 명칭 중에서 눌려진 키패드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명칭을 검색하는 제3-1단계와, 검색된 명칭들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3-2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제3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에는 한글 자음과 영문 알파벳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에는 한글 모음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에는 숫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에는 모든 문자를 나타내는 특수문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제1단계 또는 제3-1단계에서의 검색은 한글 자음에 대해서는 각 명칭의 초성만을 검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제3-1단계에서의 검색은, 키패드 버튼이 순차적으로 눌려진 경우에, 눌려진 각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에 의해 버튼이 눌려진 순서대로 형성되는 문자열이 포함된 명칭을 검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표시된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명칭을 선택하면 선택된 명칭에 대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 검색된 명칭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때 각 명칭 앞에 숫자를 표시하고,
    제4단계는 사용자가 키패드 버튼을 소정의 시간 이상 누르면 해당 키패드 버튼의 숫자에 대응되는 명칭에 대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 검색된 명칭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때 그중의 하나의 명칭에 해당 명칭이 선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선택표시를 하고,
    제4단계는
    사용자가 커서 이동 수단을 누르면 해당 커서 이동 수단에 대응되는 방향에 있는 명칭으로 상기 선택표시를 이동시키는 제4-1단계와,
    사용자가 기능 수행 수단을 누르면 상기 선택표시가 되어 있는 명칭에 대한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제4-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표시는 선택된 명칭을 반전시켜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은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름이며,
    상기 정해진 동작은 선택된 명칭에 대해서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은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름이며,
    상기 정해진 동작은 선택된 명칭에 대해서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용가능한 기능의 명칭이며,
    상기 정해진 동작은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20.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은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의 명칭이며,
    상기 정해진 동작은 선택된 파일을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기에서의 검색방법.
  2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단계 이전에 검색할 필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단계에서의 검색은 선택된 필드에 대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방법.
  2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 사용자가 누른 키패드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는 별도의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검색 방법.
KR1020050036483A 2005-04-30 2005-04-30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 방법 KR20060113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483A KR20060113225A (ko) 2005-04-30 2005-04-30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483A KR20060113225A (ko) 2005-04-30 2005-04-30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225A true KR20060113225A (ko) 2006-11-02

Family

ID=3765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483A KR20060113225A (ko) 2005-04-30 2005-04-30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32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980A (ko) * 2015-07-13 2021-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키패드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980A (ko) * 2015-07-13 2021-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키패드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224B2 (en) Touch screen keypad layout
US873017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redictive candidate selection based on character input
KR100790186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문자/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9980024709A (ko)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한개의 입력 데이터를 발견하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
JP2005006120A (ja) 操作機能の検索手段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該携帯電話機の操作機能の検索方法
US992808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application
KR1008834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특수문자 자동 완성 방법
JP2003108487A (ja) 通信端末
KR20060113225A (ko) 휴대단말기에서의 명칭 검색 방법
KR10058413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KR100640504B1 (ko) 휴대장치의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US923034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386944B1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WO2010035774A1 (ja) 電子機器
JP5385744B2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US905282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the same
WO200107557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feature access
WO2011037230A1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JP5352417B2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KR100288379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화번호부 검색 및 입력 방법
KR20010010539A (ko) 휴대폰에서 정보 검색방법
JP4986947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699936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2251252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その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文字表示方法
KR1007134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