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359A - 약액살포장치 - Google Patents

약액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359A
KR20090097359A KR1020080022445A KR20080022445A KR20090097359A KR 20090097359 A KR20090097359 A KR 20090097359A KR 1020080022445 A KR1020080022445 A KR 1020080022445A KR 20080022445 A KR20080022445 A KR 20080022445A KR 20090097359 A KR20090097359 A KR 20090097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unit
rotation
installation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식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이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석 filed Critical 이현석
Priority to KR102008002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7359A/ko
Publication of KR2009009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약액분사부가 설치되는 설치부를 전후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바람의 방향 등에 따라 분사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설치부가 후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약액분사부의 위치가 운전석 뒤쪽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분사된 약액을 전혀 흡입하지 않게 되는 약액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설치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약액분사부가 약액분사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설치부 양측에 설치되는 각 약액분사부의 상하 분사높이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분사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근거리에서도 분사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운행중에도 손쉽게 조절이 가능한 약액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액, 수레, 분사방향

Description

약액살포장치{LIQUID MEDICINE SPRINKLING APPARATUS }
본 발명은 노즐대의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약액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람의 방향에 따라 분사대의 위치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변경하여 맞바람에 의해 운전자가 약액을 흡입하는 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후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분사높이 또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약액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할 때 작물을 병충해로부터 보호하고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액체상태의 약품을 정기적으로 살포한다.
이러한 약액은 과다하게 살포될 경우 독성 때문에 오히려 작물에 않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약액살포장치를 통해 미립자형태로 살포된다.
이때 사용되는 약액살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최초에는 호스를 통해 노즐대가 설치되어 있는 약액통을 작업자가 등에 직접 멘 상태로 이동하면서 분사하는 배낭형 살포장치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가 약액통을 직접 짊어져야 하므로 약액통의 용량이 한정되어 수시로 약액을 채워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살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계속 약액을 직접 펌핑해야하므로 많은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노즐대를 하나만 사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살포량 또한 적어 많은 작업시간과 인원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바로 수레형 동력살포방식인데,
이는 수레에 약액통을 싣고 펌핑수단을 통해 약액통과 노즐대를 연결한 구조이다.
이렇게 약액통을 수레에 설치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용량이 큰 약액통을 사용할 수 있고 이동과정에서 펌핑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분사가 되므로 작업자는 수레를 운전하는 일 외에는 역할이 크게 축소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레 상에 여러개의 노즐대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살포면적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노즐대의 각도를 조절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수레형 살포장치도 제안되었는데, 그중 본 출원인에 의해 발명되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54094호 『노즐대 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한 약액 살포장치』와 타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특허 제 0409877호 『살포범위가 조절되는 이동용 살포장치』가 있다.
먼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종래 살포장치는 수레 전면 양측에 설치된 노즐대가 중앙에 설치된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분사노즐이 필요에 따라 전면 또는 측면을 향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사범위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약액의 분새방향이 전면과 양측면으로 한정됨에 따라 약액 살포과정에서 전면에서 후방을 향해 바람이 불 경우 분사된 약액이 운전자 쪽으로 이동하여 운전자가 약액을 흡입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수레전체를 360도 회전시켜 노즐대가 운전석 뒤쪽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수레를 끌고 이동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이동 중에 바람이 반대로 불 경우 다시 수레전체를 회전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렇게 수시로 수레전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약액이 충만된 상태에서는 약액무게에 의해 수레의 회전이 어려워 많은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이동로가 협소하여 수레의 회전자체가 불가능하여 약액살포작업을 중단해야만 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 외에 타 종래 살포장치는 약액탱크가 내장된 외함을 수레에 설치하고 상기 외함상에는 상하 및 회전이 가능한 약액분사부가 설치됨으로써, 약액분사부의 분사방향 전환을 통해 약액분사범위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약액분사부가 단순히 외형상 동일위치에서 회전되고 약액분사부바로 뒤쪽에 운전석이 위치된다.
따라서 만일 바람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불어 약액분사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할 경우 약액분사부의 분사구가 바로 운전석을 향하게 되므로 약액분사부자체 회전만으로는 사실상 후방분사가 불가능해 앞의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수레전체를 회전시켜야 할 수밖에 없다.
물론 약액분사부의 길이를 늘려 분사구가 운전자의 키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도록 한다면 후방분사가 가능할 수도 있겠지만, 그만큼 약액분사위치가 높아지므로 비교적 키가 낮은 작물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한 운전자 마다 해당 키가 제각각이므로 약액분사부(300)의 높이 이상의 키를 갖는 작업자는 분사작업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두 종래기술은 수평상태에서의 약액분사 방향의 변경만 가능할 뿐 수직방향, 즉 분사위치의 상하조절을 불가능 하다.
따라서 비탈길 상에서의 분사나 작물의 높낮이 차가 큰 경우 원하는 약액분사효율을 얻기 힘들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먼저 바람의 방향에 따라 후방으로 분사방향을 바꾸고자 할 경우 수레의 회전 없이 단순히 설치대의 회전만을 통해 분사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되, 약액분사위치가 운전자의 뒤쪽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분사된 약액이 운전자에게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는 약액살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평상 에서의 분사방향전환뿐만 아니라 상하 분사높이조절 또한 가능하도록 하여 지면 상태나 작물의 종류에 따라 분사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약액살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 약액살포장치는,
약액탱크 및 약액의 펌핑수단으로 이루어진 약액공급부와,
상기 약액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약액이 분사되는 약액분사부와,
상기 약액분사부가 설치되는 설치부와,
약액공급부와 약액분사부 및 설치대가 설치된 상태로 이동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한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기본구성에서 상기 설치부는 이동수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타단부가 이동수단의 전 후측으로 위치변경되어 약액분사부가 운전자의 뒤쪽에 위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약액분사부의 전후 위치변경을 위한 전후회동 설치대와 더불어 약액분사부의 상하분사각도 조절을 위한 상하회동설치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액살포장치는,
먼저 바람의 방향에 따라 후방으로 분사방향을 바꾸고자 할 경우 수레의 회전 없이 단순히 전후회동설치대의 회전만을 통해 분사방향이 전환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손쉬운 방향전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전후회동설치대의 회동에 의해 약액분사부의 위치가 운전자 뒤쪽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분사된 약액이 운전자에게 흡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하회동설치대를 통해 약액의 상하 분사높이조절 또한 가능하도록 하여 지면 상태나 작물의 종류에 따라 분사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설명에 앞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운반수단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방향성을 정의한다. 먼저 조종핸들이 구비된 부분을 후방, 그 반대쪽을 전방이라 하고 각 전륜이 설치된 부분을 좌우측으로 정한다.
본 발명 약액살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 이동수단(100)과 약액공급부(200), 약액분사부(300), 설치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이동수단(100)은 일반적인 수레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도면과 같이 여러 프레임의 결합을 통해 기본 골격, 즉 수레본체(110)가 형성되고, 수레본체의 후측에는 구동모터와 같은 구동수단(120)이 설치되어 구동후륜(130)과 연결되고, 구동후륜(130)은 수직상으로 설치된 회전축(140)을 통해 조종핸들(150)과 연결된다.
그리고 조종핸들(150) 상에는 구동수단(120)의 구동여부 및 변속, 그리고 후술하는 약액펌프의 작동여부 등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박스(160)가 설치된다.
또한 수레본체(110) 양측에는 전륜(170)이 각각 설치되고 각 전륜(170) 사이에는 후술하는 약액공급부(300)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180)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이동수단(100)의 구동방식은 구동수단(120)을 구비시키지 않고 순수하게 인력만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3륜방식 외에도 주로 사용되는 지형등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바퀴의 수를 변형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수단으로 구동모터를 적용할 경우 일반 오토바이에서 사용되는 브레이크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더불어 핸드브레이크를 통해 전륜의 회전을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약액공급부(200)는 분사를 위한 약액의 저장 및 저장된 약액을 후술하는 약액분사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약액이 수용되는 약액탱크(210)와 약액탱크(210)내의 약액을 일정압력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펌핑수단(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약액탱크(210)는 사용하고자 하는 약액의 양에 따라 다양한 용량으로 제작되며 상기 이동수단(100)의 설치공간(180)내에 하나 또는 복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펌핑수단(220)은 약액탱크(210)와 배관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약액탱크(210)일측에 설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펌핑수단(220)과 약액탱크(210)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은 약액탱크로부터 약액이 토출되는 토출관과, 토출된 약액을 후술하는 각 분사노즐로 분배하는 분배관, 그리고 펌핑되고 남은 여액을 약액탱크로 다시 되돌리는 유턴관 등으로 구성된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펌핑수단(220)은 약액탱크(210)와 약액분사부(300)를 연결하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약액분사부(300)는 펌핑수단(220)을 통해 약액탱크(210)로부터 토출된 약액이 최종적으로 분사되는 부분으로, 노즐대(310)와 분사노즐(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대(310)는 단순 봉 형태로 후술하는 설치부(400)의 일단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각 노즐대(310) 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분사노즐(320)들이 결합되고 각 분사노즐(320)은 연결호스(HS)을 통해 각각 펌핑수단(22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노즐대(310)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고 노즐대 없이 각 분사노즐(320)을 직접 설치부(400) 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설치부(400)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약액분사부(30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더불어 약액분사부(300)의 분사방향을 전후 및 상하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설치부(400)는 다시 전후회동설치대(410)와 상하회동설치대(42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전후회동설치대(410)는 약액분사부(300)의 위치를 이동수단(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후회동을 위한 회동축(412)상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축(412)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조종핸들(150)의 메인회전축(140)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메인회전축(140)과 회동축(412)사이에는 베어링(B)이 구비되어 메인회전축(140)과 회동축(412)이 각각 별개로 회동가능하게 되며 일측에는 전후회동설치대(410)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전후회동설치대(410)는 [도 3]와 같이 다시 제1설치대(414)와 제2설치대(416), 제3설치대(418)의 결합을 통해 구성되는데, 상기 제1설치대(414)는 전후회동설치대(410)를 통해 약액분사부(300)의 위치가 운전석(D) 후방에 위치될 경우 전후회동설치대(410)와 운전자가 서로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회동축(412) 일측에 연결되되 타단부는 좌우측 중 어느 한쪽, 즉 이동수단(100)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설치대(414)의 길이(a)는 최소한 조종핸들(150)의 좌우폭 절반(b)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하여 후방분사를 위해 회동하였을 때 후술하는 제2설치대(416)가 운전자의 팔에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설치대(416)는 약액분사부(300)가 운전석으로부터 전후방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제1설치대(414) 끝부분에 결합되되, 제1설치대(414)와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타단부가 이동수단(100)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때 제2설치대(416)의 전체길이는 후방분사를 위해 회동하였을 때 끝부분이 운전석(D) 후방에 위치될 정도로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제3설치대(418)는 약액분사부(300)가 좌우 어느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는 제2설치대(416)의 끝부분에 결합되되, 제2설치대(416)와 직각, 즉 제1설치대(414)와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되고 제1설치대(414)와 거의 같은 길이를 갖도록 하여 후술하는 상하회동설치대(420)의 설치지점이 운전석(D)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3설치대(418)를 구비시키지 않고 약액분사부(300)가 제2설치대(416)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설치대(416)는 이동수단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되기 때문에 약액분사부(300)도 어느 한쪽으로 치우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대부분의 작물이 이동로의 양측에 위치되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상기와 같이 약액분사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이루어질 경우 반대쪽에 위치한 작물의 약액살포 효율은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이 제3설치대(418)를 통해 약액분사부(300)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후회동설치대(410) 중 제3설치대(418)에는 약액 분사부(300)의 상하 분사반경 조절을 위한 상하회동설치대(420)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상하회동설치대(420)는 [도 1]과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제3설치대(418)와의 결합 및 상하분사각도 조절을 위한 결합프레임(422)과 약액분사부(300)의 설치 및 상하 수직 분사높이조절을 위한 수평프레임(423) 및 수직프레임(425)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프레임(422)은 막대 형태로 제3프레임(418) 상에 종방향으로 위치되되, 힌지축(H)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프레임(422) 전면 상하지점에는 제1수평프레임(423)과 제2수평프레임(424)이 각각 힌지축(H)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2수평프레임(423)(424)의 각 단부는 제1,2수직프레임(425)(426)을 통해 연결되되, 각 연결지점도 힌지결합을 통해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각 제1,2수직프레임(425)(426)의 측면에는 노즐대(310)의 설치를 위한 장착대(427)가 구비되고 장착대(427) 중 노즐대(310)가 결합되는 부분 또한 힌지결합을 통해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각 노즐대(310)가 도면과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횡방향으로 누워있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수평프레임(423)의 일측과 결합프레임(422)이 슬라이딩프레임(428)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프레임(428)을 통해 각 수평프레임(423)(424) 및 수직프레임(425)(426)이 각각 결합프레임(422)과 별개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만일 약액분사부의 상하분사반경 조절이 필요가 없을 경우 상기 상하회동설치대(420)를 구비시키지 않고 약액분사부(300)를 제3설치대(418) 나 제2설치대(416) 상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하회동설치대(420) 중 결합프레임(422)의 회동을 운전석에서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제어수단(500)이 더 부가되는데,
상기 회동제어수단(50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봉(510)과 전달편(530) 및 연결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봉(510)은 다시 제1회전봉(512)과 제2회전봉(514)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제1회전봉(512)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로 회동축(412)상에 돌출 설치된 고정블럭(516)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도 6]의 확대도와 같이 고정블럭(516) 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된다.
또한 제1회전봉(512)의 일단부에는 조절핸들(520)이 구비되어 운전자가 조절핸들(520)을 통해 제1회전봉(512)을 회전시키면 고정블럭(516)과의 나사체결에 의해 제1회전봉(512)이 양측으로 전후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봉(512)의 타단부에는 이러한 제1회전봉(512)의 전후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기 위한 제1전달편(532)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제1전달편(532)의 타단부에는 제2설치대(416)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회전봉(514)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회전봉(514)은 [도 3]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양단부가 제2설치대(416)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제2설치대(416)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1전달 편(532)은 이러한 제2회전봉(514)을 통해 제1설치대(414) 상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2회전봉(514)은 나사산이 형성된 제1회전봉(512)과 달리 단순 봉형태로만 이루어진다. 물론 제2회전봉(514)을 제2설치대(416) 외부상에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나 외관상이나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설치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제2회전봉(514)의 타단부, 즉 제2설치대(416)의 타단부 상에는 상기 제1전달편(532)과 같은 형태의 제2전달편(534)이 설치된다. 이때 제2전달편(534)의 일단부에는 연결대(54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연결대(540)의 타단부는 상기 결합프레임(422)의 일측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회동제어수단(500)의 구조는 앞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구현이 가능한데, 예를들어 제1회전봉(512)과 제1전달편(532)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제2회전봉(514)을 회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이동수단(100)에는 전후회동설치대(410)를 지지하기 위한 제1,2지지대(192)(194)가 전후 회동 후 제2설치대(146)가 위치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2지지대(192)(194) 및 제2설치대(416) 상에는 각 지지대(192)(194)에 안착된 전후회동설치대(410)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조(196)가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3]와 같이 약액분사부(300)가 이동수단(100)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8] 및 [도 9]과 같이 바람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불어 운전자 뒤쪽에서의 약액분사가 필요할 경우, 운전자는 전후회동설치대(410)와 제1지지대(192)간 체결구조(196)를 해제한 후 제1설치대(414)일측을 밀게되면, 회동축(412)과 메인회전축(140)사이의 베어링(B)에 의해 메인회전축(140) 상에서 회동축(412)만 별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함께 각 전후회동설치대(410)를 비롯한 상하회동설치대(420) 및 약액분사부(300) 전체가 180도 회동하여 제2설치대(416)가 제2지지대(194)상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2설치대(416)를 제2지지대(194)에 체결고정시키고 다시 약액분사를 시작한다.
이때 제1설치대(414)에 의해 제2설치대(416)가 운전석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친 상태가 되므로 전후회동설치대(410)에 의해 운전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제2설치대(416)에 의해 운전석으로부터 약액분사부(300)까지 거리가 확보됨으로 약액 분사 시 약액이 운전자에게 흡입될 우려가 전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바람의 방향에 따라 단순히 전후회동설치대의 회동만을 통해 약액분사방향을 전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에 비해 손쉽게 분사방향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전후회동설치대의 회동 시 운전석을 비껴 위치되도록 하여 운전석 확보 및 운전자 뒤쪽에서 약액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운전자의 약액 흡입을 보다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그 후 분사과정에서 약액의 상하 분사각도 및 상하 수직 분사높이조절이 필요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운전자가 조절핸들(520)을 통해 제1회전봉(512)을 회전시키면 고정블럭(516)내에서의 나사체결에 의해 제1회전봉(512)이 회전과 동시에 제1전달편()쪽으로 전진한다.
이로 인해 제1전달편(532)은 제2회전봉(514)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1전달편(532)의 회전에 의해 [도 11]과 같이 제2회전봉(514)이 제2설치대(416)내부에서 회전되며 제2회전봉(514)의 회전에 의해 [도 12]와 같이 제2전달편(534)도 동시에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회동되는 제2전달편(534)이 연결대(540)를 일측으로 밀게되고 이로 인해 상하회동설치대(420)의 결합프레임(422)이 제3설치대(418) 상에서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일측으로 기울여진 상태가 된다.
이로인해 제1,2수평프레임(423)(424) 및 제1,2수직프레임(425)(426)도 함께 회동하여, 결국 도면과 같이 한쪽의 약액분사부(300)는 분사각도(c)가 들어올려진 상태가 되고 다른 한쪽의 약액분사부(300)는 분사각도(c)가 내려간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하회동설치대 전체의 회동에 의해 좌우 분사각도가 바뀜에 따라 이동로 양측에 위치한 작물의 키가 다를 경우 상기 방법을 통해 적절한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높은 약액분사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과 같이 이동로가 비탈짐에 따라 이동수단(100)자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할 경우 상하회동설치대(420)를 비롯한 약액분사부(300)는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양측 작물에 고른 약액분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순히 각 약액분사부(300)의 수직 높이조절을 통해 분사위치조절을 하고자 할 경우 [도 14]와 같이 슬라이딩프레임(428)을 내리면 제1수평프레임(423)이 결합프레임(422)상에서 시소처럼 회동하여 일측은 하강하고 반대쪽은 상승한다.
이와 동시에 제1수직프레임(425)도 함께 수직 하강하여 제2수평프레임(424) 일단부를 누르게 되고 제2수평프레임(424)의 회동에 의해 제2수직프레임(426)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됨에 따라 양측 약액분사부(300)는 약액분사각도의 변화없이 단순히 상하 수직이동을 통해 분사높이가 변화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약액의 전후분사방향 변경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상하분사위치조절도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전후좌우상하 위치조절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기존에 비해 높은 분사효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전후회동설치대(410)가 전후 회동되는 기본구조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2,3설치대로 이루어진 앞의 전후회동설치대와는 달리, 단순히 하나의 설치대만으로 이루어진 전후회동설치대(410)가 회동축(412)으로부터 전방을 하도록 위치되되, 설치대(410) 상에 좌석(S)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16]과 같이 전후회동설치대(410)를 회동시켰을 때 설치대가 운전석(D)과 겹친 상태로 위치되기는 하지만 그 상태에서 운전자가 설치대(410) 상의 좌석(S)에 앉은 상태로 운전이 가능하므로, 결국 전후회동설치대(410)가 좌석(S)의 지지대 역할도 병행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전후회동설치대만의 회동을 통해 약액분사부가 전후측으로 위치변경될 수 있도록 하되 약액분사부가 운전자 뒤쪽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대 회동에 의한 운전석 확보 및 분사된 약액이 운전자에게 흡입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도 1 은 약액분사부가 전면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2 는 전후회동설치대의 회동구조를 나타낸 일부 확대단면도
도 3 은 설치부의 전체구조 및 설치부에 약액분사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상하회동설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상하회동설치대의 회동제어수단이 전후회동설치대 상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회동제어수단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회동제어수단 중 제2회동대가 전후회동설치대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회동설치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확대 단면도
도 8 은 전후회동대가 회동하여 상하회동설치대 및 약액분사부가 운전석 후방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는 상기 도8 상태를 입체화한 전체사시도
도 10 은 제1회전봉 및 제1전달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 은 제1전달편의 회동에 의해 제2회전봉 및 제2전달편이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 는 제2전달편의 회동에 의해 연결대가 작동되고 이로 인해 상하회동설치대가 회동되어 양측 약액분사부의 상하 분사각도가 조절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3 은 수레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하회동설치대는 수직상태를 유지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4 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양측 약액분사부의 분사위치가 상하 수직상에서 변경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5 는 전후회동설치대가 하나의 설치대로 구성되되, 후방으로 회동하였을 때 운전석 지점에 좌석이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수단 110 : 수레본체
200 : 약액공급수단 210 : 약액탱크
220 : 펌핑수단 300 : 약액분사수단
310 : 노즐대 320 : 분사노즐
400 : 설치부 410 : 전후회동설치대
412 : 회동축 414 : 제1설치대
416 : 제2설치대 418 : 제3설치대
420 : 상하회동설치대 422 : 결합프레임
423 : 제1수평프레임 424 : 제2수평프레임
425 :제1수직프레임 426 : 제2수직프레임
427 : 장착대 428 : 슬라이딩프레임
500 : 회동제어수단 510 : 회전봉
512 : 제1회전봉 514 : 제2회전봉
520 : 조절핸들 530 : 전달편
532 : 제1전달편 534 : 제2전달편
540 : 연결대

Claims (8)

  1. 약액탱크 및 상기 약액탱크 내 약액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핑수단으로 이루어진 약액공급부와,
    상기 약액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약액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약액분사부와와,
    상기 약액분사부가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약액공급부와 약액분사부가 설치된 상태로 이동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설치부는 일단부가 상기 이동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타단부가 이동수단의 전후측으로 위치 변경됨으로써 상기 약액분사부가 운전자의 뒤쪽에 위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살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운전대와 이동수단을 연결하는 기둥 상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인출되어 회동축과 함께 회동하며 일단부에 약액분사부가 설치되는 전후회동설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살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회동설치대는,
    일단부가 상기 회동축에 고정되며 이동수단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제1설치대와,
    일단부가 상기 제1설치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이동수단의 이동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타단부에는 약액분사부가 결합되는 제2설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살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회동설치대는,
    회동축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위치되되 후방으로 회동하였을 때 운전자가 위치하는 지점에 좌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살포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전후회동설치대의 단부에 결합되어 약액분사부의 상하분사각도를 조절하는 상하회동설치대를 더 포함하되, 약액분사부와 전후회동설치대는 상기 상하회 동설치대를 매개로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살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회동설치대는,
    상기 전후회동설치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 전면에 상하 간격을 두고 시소형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2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2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각 수평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며, 약액분사부가 설치되는 제1,2수직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살포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회동설치대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제어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살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수단은,
    상기 전후회동설치상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봉과,
    일단부가 상기 회동봉과 연결되어 회동봉에 의해 회동되는 전달편과,
    일단부가 상기 전달편과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하회동설치대의 결합프레임과 연결되는 되어 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살포장치.
KR1020080022445A 2008-03-11 2008-03-11 약액살포장치 KR20090097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45A KR20090097359A (ko) 2008-03-11 2008-03-11 약액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45A KR20090097359A (ko) 2008-03-11 2008-03-11 약액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359A true KR20090097359A (ko) 2009-09-16

Family

ID=4135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445A KR20090097359A (ko) 2008-03-11 2008-03-11 약액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73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998Y1 (ko) * 2020-12-28 2021-07-13 김남주 3륜 승용 방제기
CN113273561A (zh) * 2021-06-09 2021-08-20 浙江联韩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园林绿植喷洒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998Y1 (ko) * 2020-12-28 2021-07-13 김남주 3륜 승용 방제기
CN113273561A (zh) * 2021-06-09 2021-08-20 浙江联韩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园林绿植喷洒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3668B2 (en) Self propelled agricultural application machine
US7380730B2 (en) Tunnel sprayer for rows of plants
KR101469661B1 (ko) 약재 살포용 운반차
KR101626557B1 (ko) 약액살포장치
KR20110098431A (ko) 개량된 대차를 갖는 주행형 전동 분무장치
KR20110008530U (ko) 개량된 분무부를 갖는 주행형 전동 분무장치
KR20090097359A (ko) 약액살포장치
KR100365310B1 (ko) 트랙터장착용 농약살포 분무기 및 그 살포방법
CN211756093U (zh) 一种防疫用消毒喷洒装置
CN211267913U (zh) 一种喷白车
CN108552142B (zh) 一种自走式喷雾车
CN110720338A (zh) 一种喷白车
CN206213099U (zh) 一种果园施药机械
JP3236523B2 (ja) 防除用薬液散布装置
CN218499867U (zh) 大风量高风速的风送打药机
CN218851702U (zh) 一种园林景观苗圃喷药装置
CN110876368B (zh) 一种自走式多功能高效打药机
JPH06327326A (ja) 施肥装置付き田植機
KR102584951B1 (ko) 간이 살수 장치
CN215774716U (zh) 便于移动的农业喷雾装置
US20230309543A1 (en) Tracked vehicle and system for spraying
CN213153622U (zh) 一种用于立体化栽培的打药装置
JP7224252B2 (ja) ブームスプレーヤ
CN209403375U (zh) 一种园林园艺喷药装置
JP4041764B2 (ja) 乗用管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