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097A - 전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 - Google Patents

전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097A
KR20090096097A KR1020080021468A KR20080021468A KR20090096097A KR 20090096097 A KR20090096097 A KR 20090096097A KR 1020080021468 A KR1020080021468 A KR 1020080021468A KR 20080021468 A KR20080021468 A KR 20080021468A KR 20090096097 A KR20090096097 A KR 20090096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lectrode module
protective film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0728B1 (ko
Inventor
이원경
박대욱
히데오 노지마
장필수
노형수
이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1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728B1/ko
Priority to US12/153,818 priority patent/US8440064B2/en
Priority to EP08157483.2A priority patent/EP2098485B1/en
Priority to EP10190472.0A priority patent/EP2347999B1/en
Priority to CN200810125993XA priority patent/CN101525171B/zh
Publication of KR2009009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5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전체와 전극을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모듈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전원을 인가받는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 모듈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 및 상기 전극은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Electrode module and deioniz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이온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유체(액체 및 기체) 내의 이온 성분들을 제거하는 전기용량방식 탈이온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 특히 지하수에는 다량의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칼슘이나 마그네슘의 합계량을 수치화한 것을 경도라 하고, 그 수치가 높은 것을 경수, 상대적으로 수치가 낮은 것을 연수라 한다.
경수 즉, 경도가 높은 물을 세탁기 또는 식기 세척기 등에 사용하는 경우 세제와 반응하여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팀발생 유닛 또는 히팅 유닛에 경수를 사용하는 경우 스케일(scale)이 발생하여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며 노즐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에 경수를 사용하게 되면 세정력이 저하되고 물이 흐르는 유로상에 많은 양의 스케일이 축적되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온교환수지(Ion exchange resin)를 이용한 연수장치가 제안되었다.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연수장치는 물에 포함된 경수성분인 Ca2 +와 Mg2 +이온이 이온교환수지에 주입된 NaCl의 Na+과 교환되면서 물을 연수화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연수장치는 주기적으로 NaCl을 주입해야 하고, 물에 함유된 불순물로 인하여 이온교환수지 자체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수지의 재생 시 산이나 염기성 용액을 사용해야 하고, 대용량의 물을 처리하기 위해서 다량의 폴리머 수지와 화학약품을 사용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기용량방식 탈이온화(Capacitive Deionization, 이하 'CDI'라 한다)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CDI 기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성의(porous)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양극 전극(Positive electrode)에는 음이온이, 음극 전극(Negative electrode)에는 양이온이 전기적으로 흡착하여 물과 같은 유체 속에 용존하는 이온을 제거하는 간단한 원리에 기초한다. 이러한 CDI 기술은 전극에 이온의 흡착이 포화상태가 되면 전극의 극성을 반대로 바꾸어 주거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방법을 통해 흡착된 이온들을 분리(탈착)시킬 수 있어 전극의 재생이 간편하다. 또한 CDI 기술은 전극의 재생을 위해 이온교환수지법이나 역삼투압법과 같이 산이나 염기 등의 세척용액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2차적으로 발생하는 화학적 폐기물이 전혀 없고, 전극의 부식이나 오염이 거의 없어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도 2는 종래 CDI 장치의 단위 셀(cell)의 구조 및 전원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CDI 장치의 단위 셀(20)의 상부(도 2의 A 영역)는 전원부(30)의 양극과 연결되어 전극(14)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집전체(12)와 양극 전극(14)으로 구성되어 있고, 단위 셀(20)의 하부는 전원부(30)의 음극과 연결되는 집전체(12)와 음극 전극(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집전체(12)와 전극(14) 사이의 접합을 위해 전도성 바인더(전도성 양면 테이프, 18)가 이용된다. 이러한 단위 셀(20)의 상부와 하부 사이로 유체(액체 또는 기체)가 통과하면서 유체 내의 이온 성분들이 전극(14)에 흡착되어 연수 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종래 CDI 장치의 단위 셀(20)은 집전체(12)에 형성된 볼트 체결홀(12a)에 볼트가 채워짐으로 인해 전원부(30)에 연결된다.
단위 셀(20)에 전원부(30)의 연결 시 이상적인 경우에는 전원부(30)의 공급전압(Vp)이 모두 양극 전극(14)과 음극 전극(14) 사이에 인가되어야 하지만(Vp=Vc), 실제적으로는 볼트 체결에 의한 접촉 임피던스 및 기생 임피던스의 영향으로 인해 손실 전압(Vloss)이 발생한다.
즉, 양극 전극(14)과 음극 전극(14) 사이에는 전원부(30)의 공급 전압(Vp)에서 손실 전압(Vloss)을 제외한 만큼의 전압만이 인가된다. 이 때, 손실 전압(Vloss)은 아래의 [수식 1] 및 [수식 2]에 의해 산출된다.
[수식 1]
손실 전압(Vloss)=단위 셀 내의 회로를 흐르는 전류(Ip)×단위 셀 내의 총 임피던스(Ztotal)
[수식 2]
단위 셀 내의 총 임피던스(Ztotal)=볼트 체결에 의한 접촉 임피던스(Z볼트)+집전체의 기생 임피던스(Z집전체)+전도성 바인더의 기생 임피던스(Z바인더)+전극의 기생 임피던스(Z전극)
특히, 단위 셀(20) 내의 총 임피던스(Ztotal) 중 전압 손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볼트 체결에 의한 접촉 임피던스인데 이러한 접촉 임피던스는 집전체(12)의 볼트 체결홀(12a)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의 형상이나, 볼트와 너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종래의 CDI 장치를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면 볼트의 조임 정도가 느슨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접촉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종래 CDI 장치의 스택(stack)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CDI 장치의 스택(stack) 구조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 구조는 도 3의 B 영역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14)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집전체(12)와 집전체(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전극(14)으로 이루어지며, 집전체(12)와 전극(14) 사이의 접합을 위해 전도성 바인더(전도성 양면 테이프, 18)가 이용되기도 한다(다만, 전도성 바 인더 자체의 임피던스로 인해 시스템의 전기적 효율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 CDI 장치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CDI 장치의 스택(stack) 구조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 구조 즉, 집전체와 전극이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 스택(stack) 구조의 조립 시 제조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집전체(12)로 흔히 사용되는 물질인 그라파이트(Graphite)의 경우 쉽게 부서지는 성질이 있어 스택 구조 형성 과정에서 흔히 제조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둘째, 집전체(12)와 전원부(30) 사이의 볼트 체결에 의한 접촉 임피던스로 인해 양극 전극(14)과 음극 전극(14) 사이에 충분한 전압이 형성되지 않아 탈이온 효율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 CDI 장치의 스택 구조를 보면 각 단위 셀(2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연결 단자(볼트 체결홀)가 많아 전원 인가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전체와 전극을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전체에 전원 연결부를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스택 구조의 간결화 및 접촉 임피던스를 저감할 수 있는 전극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전극 모듈 내의 집전체들이 하나의 집전체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 모듈을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일체로 일련되게 형성한 전극 모듈 및 일체로 형성된 전극 모듈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일련의 전극 모듈을 스택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전극 모듈 각각에 전원을 연결할 필요가 없는 탈이온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모듈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전원을 인가받는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 모듈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 및 상기 전극은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전체와 상기 전극 사이의 접합을 위한 전도성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집전체 및 상기 전극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 크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에는 상기 전극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hol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모듈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전원을 인가받는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 모듈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집전체, 상기 전극 및 상기 전원 연결부가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연결부는 납땜이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에는 상기 전극 및 상기 전원 연결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hol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모듈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전원을 인가받는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 모듈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 모듈 내의 집전체들이 하나의 집전체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극 모듈이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일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전체의 연결부는 구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전체와 상기 전극 사이의 접합을 위한 전도성 바인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전체는 구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로 연결된 집전체의 일측 단부에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이온화 장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탈이온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전극 모듈과 상기 복수의 전극 모듈 각각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전극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이온화 장치에 있어서,복수의 전극 모듈 내의 집전체들이 하나의 집전체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극 모듈이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일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로 연결된 집전체의 일측 단부에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상기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전극 모듈을 번갈아 적층함으로써 상기 2개의 전극 모듈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전극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전극 모듈의 일측 단부는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전극 모듈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원의 음극과 연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보호필름을 이용한 열압착 방식에 의해 집전체와 전극이 일체화된 전극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스택(stack) 구조의 조립 시 제조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집전체에 전원 연결부를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스택 구조를 간결하게 하고, 접촉 임피던스를 저감시켜 시스템의 전기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복수의 전극 모듈 내의 집전체들이 하나의 집전체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 모듈을 보호필름을 이용하여 일체로 일련되게 형성한 전극 모듈 및 일체로 형성된 전극 모듈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일련의 전극 모듈을 스택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전극 모듈 각각에 전원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전원 인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100)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집전체(120)와, 집전체(1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 받아 유체 내의 용존 이온을 흡착 및 탈착하는 전극(140)과, 집전체(120)와 전극(140)을 일체화하기 위해 집전체(120) 및 전극(140) 에 부착되는 보호필름(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집전체(120)와 전극(140)은 도 4a의 좌측에 도시한 순서대로 적층된 이후, 보호필름(160)을 이용한 열압착 방식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체화된 전극 모듈(100)은 탈이온화 장치의 스택(stack) 구조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 구조가 된다.
이 때, 보호필름(160)은 집전체(120) 및 전극(140)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 크게 마련되며, 이 보호필름(160)에는 전극(140)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hole, 160a)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 모듈(100)의 스택 구조 형성 시 보호필름(160)에 형성되어 있는 홀(160a)을 통해 유체가 전극(140)에 접촉하게 된다.
집전체(120)로는 부식성이 없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탄소 포일이나 그라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140)으로는 탄소 에어로젤, 탄소 나노튜브, 그라파이트 나노섬유, 활성탄소 전극, 활성탄, 금속 산화물 등 많은 기공을 가지고 있으면서 흡착 성능이 뛰어난 전도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필름(160)으로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필름이 사용되는데, 주로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이 사용된다.
도 4b에 도시한 전극 모듈(10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의 변형 실시예로서, 도 4a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100)의 구성 요소 이외에 금속의 부식 방지 및 집전체(120)와 전극(140) 사이의 접합을 위한 전도성 바인더(180)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전도성 바인더(180)로는 전도성 페이스트, 전도성 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한 전극 모듈(100)은 도 4a에 도시한 전극 모듈과는 달리 집전체(120)와 전극(140) 사이에 전도성 바인더(180)가 부착되어 있어, 수분(물)에 의한 집전체(12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집전체(120)의 재료로서 부식성이 없는 탄소 포일이나 그라파이트 포일 등의 전도체 이외에도 티타늄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 구리와 같이 연성이 좋은 금속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필름(160)을 이용한 열압착 방식으로 집전체(120)와 전극(140)을 일체화함으로써, 탈이온화 장치의 스택(stack) 구조 조립 시 제조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전극 모듈을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의 스택(stack)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100)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집전체(120)와, 집전체(120)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 집전체(120)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는 전원 연결부(120a)와, 집전체(1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유체 내의 용존 이온을 흡착 및 탈착하는 전극(140)과, 집전체(120)와 전극(140) 및 전원 연결부(120a)를 일체화하기 위해 집전체(120) 및 전극(140)에 부착되는 보호필름(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집전체(120)와 전원 연결부(120a) 및 전극(140)은 도 5a의 좌측에 도시한 순서대로 적층된 이후, 보호필름(160)을 이용한 열압착 방식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체화된 전극 모듈(100)은 탈이온화 장치의 스 택(stack) 구조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 구조가 된다.
여기서 전원 연결부(120a)는 납땜이 가능한 물질(예: 구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호필름(160)에는 전극(140) 및 전원 연결부(120a)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160a, 160b)이 형성된다. 이 때, 전극(140)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홀(160a)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100)의 스택 구조 형성 시 유체가 전극(140)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전원 연결부(120a)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홀(160b)은 전원부(도 5b의 300)와 전원 연결부(120a) 간의 납땜 연결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에서 전원 연결부(120a)를 제외한 그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을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500a, 500b)와, 보호필름(160)을 이용한 열압착 방식으로 집전체(120)와 전극(140) 및 전원 연결부(120a)가 일체화된 복수의 전극 모듈(100)과, 전극 모듈(10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300) 및 엔드 플레이트(500a, 500b) 내에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 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스페이서(400)는 복수의 전극 모듈(100)의 적층 시 전극 모듈(100) 사이에 배치되어 전극 모듈(100) 각각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복수의 전극 모듈(100)은 스페이서(400)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500a, 500b) 사이에 배치되어 유로를 흐르는 유체 내의 용존 이온을 흡착 및 탈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전원부(300)는 적층된 복수의 전극 모듈(100) 내의 집전체(120)에 마련된 전원 연결부(120a)에 납땜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전극 모듈(100)에의 전원부(300) 연결 시 볼트 체결 방식이 아닌 남땜 연결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스택 구조를 간결화하고, 볼트 체결에 의한 접촉 임피던스를 저감하여 시스템의 전기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엔드 플레이트(500a, 500b)와 맞닿는 최상부 및 최하부의 전극 모듈(100)의 경우에는 집전체(120)의 상부 또는 하부의 어느 한 쪽에만 전극(140)을 배치한 후 보호필름(160)을 이용한 열압착 방식으로 전극 모듈(100)을 형성한다.
다만, 전원부(300)의 연결을 위해 외부로 돌출된 전극 모듈 부분(도 5b의 C 영역)의 집전체(120)를 납땜이 가능한 구리 등의 물질로 구성할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 연결부(120a) 없이 집전체(120) 위에 바로 납땜하여 전원부(300)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전극 모듈을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의 스택(stack)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집전체(120)가 연결부(120b)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하나의 집전체(130)와, 복수의 집전체(12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140)을 보호필 름(160)을 이용하여 열압착함으로써 일체로 일련되게 형성된다. 이 때, 집전체(120)의 연결부(120b)는 연성(휘어짐)이 좋은 전도체(예: 구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나로 연결된 집전체(130)의 일측 단부에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120a)가 마련되며, 보호필름(160)에 의해 열압착되어 집전체(130) 및 전극(140)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100)의 형성 시 금속의 부식 방지 및 집전체(120)와 전극(140) 사이의 접합을 위한 전도성 바인더를 사용할 경우에는 부식의 염려가 없으므로 별도의 연결부(120b) 없이 하나로 연결된 집전체(130) 전체를 연성이 좋은 구리 등의 물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을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500a, 500b)와, 복수의 집전체(120)가 연결부(120b)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하나의 집전체(130) 와 복수의 집전체(12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140) 및 전원 연결부(120a)가 보호필름(160)을 이용한 열압착 방식으로 일체화된 2개의 전극 모듈(100)과, 전극 모듈(10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300) 및 엔드 플레이트(500a, 500b) 내에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 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100) 내 집전체(120)의 연결부(12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성(휘어짐)이 좋은 구리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화된 2개의 전극 모듈(100) 각각을 S자 형 상으로 휘어지게 한 후, 스페이서(400)를 이용하여 2개의 전극 모듈(100)을 번갈아 적층함으로써 2개의 전극 모듈(100) 사이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2개의 전극 모듈(100) 중 어느 하나의 전극 모듈(100)의 일측 단부는 전원부(300)의 양극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전극 모듈(100)의 일측 단부는 전원부(300)의 음극과 연결된다.
이 때, 전원부(300)는 적층된 전극 모듈(100) 내의 집전체(120)에 마련된 전원 연결부(120a)에 납땜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일체로 일련되게 형성된 전극 모듈(100)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전원부(300)의 양극과 전원부(300)의 음극에 대해 각각 하나씩의 전원 연결만으로 탈이온화 장치로의 전원부(300)의 연결이 가능해져 전원 인가가 용이해 지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엔드 플레이트(500a, 500b)와 맞닿는 최상부 및 최하부의 전극 모듈(100) 부분은 집전체(120)의 상부 또는 하부의 어느 한 쪽에만 전극(140)을 배치한 후 보호필름(160)을 이용한 열압착 방식으로 일체화된 전극 모듈(100)을 형성한다(도 6a의 D 부분 및 도 6b 참조).
도 1은 전기용량방식 탈이온화(CDI) 기술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CDI 장치의 단위 셀(cell)의 구조 및 전원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CDI 장치의 스택(stack)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전극 모듈을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의 스택(stack)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극 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전극 모듈을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의 스택(stack)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전극 모듈 120 : 집전체
120a : 전원 연결부 120b : 연결부
140 : 전극 160 : 보호필름
180 : 전도성 바인더 300 : 전원부
400 : 스페이서 500a, 500b : 엔드 플레이트

Claims (16)

  1.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전원을 인가받는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 모듈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 및 상기 전극은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와 상기 전극 사이의 접합을 위한 전도성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집전체 및 상기 전극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 크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에는 상기 전극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hol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6.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전원을 인가받는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 모듈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집전체, 상기 전극 및 상기 전원 연결부가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납땜이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에는 상기 전극 및 상기 전원 연결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hol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9.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전원을 인가받는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 모듈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 모듈 내의 집전체들이 하나의 집전체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극 모듈이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일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의 연결부는 구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와 상기 전극 사이의 접합을 위한 전도성 바인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전체는 구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로 연결된 집전체의 일측 단부에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모듈
  13.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탈이온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전극 모듈과 상기 복수의 전극 모듈 각각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전극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이온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 모듈 내의 집전체들이 하나의 집전체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극 모듈이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일련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이온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로 연결된 집전체의 일측 단부에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가 마련되며, 상기 보호필름에 의해 열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이온화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상기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전극 모듈을 번갈아 적층함으로써 상기 2개의 전극 모듈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이온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극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전극 모듈의 일측 단부는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전극 모듈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이온화 장치
KR1020080021468A 2008-03-07 2008-03-07 전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 KR101290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68A KR101290728B1 (ko) 2008-03-07 2008-03-07 전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
US12/153,818 US8440064B2 (en) 2008-03-07 2008-05-23 Electrode module and deioniz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EP08157483.2A EP2098485B1 (en) 2008-03-07 2008-06-03 Electrode module and deioniz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EP10190472.0A EP2347999B1 (en) 2008-03-07 2008-06-03 Plurality of electrode modules and deioniz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CN200810125993XA CN101525171B (zh) 2008-03-07 2008-06-19 电极模块及使用该电极模块的去离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68A KR101290728B1 (ko) 2008-03-07 2008-03-07 전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097A true KR20090096097A (ko) 2009-09-10
KR101290728B1 KR101290728B1 (ko) 2013-07-26

Family

ID=4066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468A KR101290728B1 (ko) 2008-03-07 2008-03-07 전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40064B2 (ko)
EP (2) EP2098485B1 (ko)
KR (1) KR101290728B1 (ko)
CN (1) CN10152517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091A (ko) * 2016-08-05 2018-02-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KR20190052666A (ko) * 2019-05-08 2019-05-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시스템
KR20190068074A (ko) * 2017-12-08 2019-06-18 (주) 시온텍 냉각수 정화장치
US11377375B2 (en) 2016-08-05 2022-07-05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 modul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aving energy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3593A1 (en) * 2009-05-12 2010-11-24 Voltea B.V.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ions
NL2005799C2 (en) 2010-12-01 2012-06-05 Voltea Bv An apparatus for removal of ions comprising multiple stacks.
NL2005797C2 (en) * 2010-12-01 2012-06-05 Voltea Bv Method of producing an apparatus for removal of ions from water and an apparatus for removal of ions from water.
US9010361B2 (en) 2011-10-27 2015-04-21 Pentair Residential Filtration, Llc Control valve assembly
US8961770B2 (en) 2011-10-27 2015-02-24 Pentair Residential Filtration, Llc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on of a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US9637397B2 (en) 2011-10-27 2017-05-02 Pentair Residential Filtration, Llc Ion removal using a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US9695070B2 (en) 2011-10-27 2017-07-04 Pentair Residential Filtration, Llc Regeneration of a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US8671985B2 (en) 2011-10-27 2014-03-18 Pentair Residential Filtration, Llc Control valve assembly
EP2865313B1 (en) 2011-12-13 2023-01-25 Ecolab USA Inc. Dishmachine
EP2772469A1 (de) * 2013-02-27 2014-09-03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Mikro-Lamellenelektrodenzelle sowie deren Verwendung
ITPD20130280A1 (it) * 2013-10-09 2015-04-10 Idropan Dell Orto Depuratori S R L Apparecchiatura per il trattamento di un fluido
KR101598589B1 (ko) 2014-10-28 2016-02-29 한국수자원공사 축전 탈이온화 장치
GB201603889D0 (en) 2016-03-07 2016-04-20 Fujifilm Mfg Europe Bv Capacitive deionisation
CN106517423B (zh) * 2016-08-30 2023-06-16 浙江大维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容去离子设备专用碳气凝胶电极及其制备方法
KR20180066665A (ko) *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1853757B1 (ko) * 2017-12-11 2018-05-02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공기 소독기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8674A (en) * 1966-02-28 1972-04-25 Standard Oil Co Ohio Process for demineralization of water
FR2271180B1 (ko) 1974-05-14 1980-12-26 Epap
CA2102695C (en) 1991-06-04 1998-04-07 Alfred E. Steck Gaskete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electrochemical fuel cells
CN1030158C (zh) * 1993-09-14 1995-10-25 山东大学 多层高压大容量陶瓷电容器及其包封方法和包封专用模具
US6309532B1 (en) * 1994-05-20 2001-10-3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capacitive deionization and electrochemical purification and regeneration of electrodes
US5425858A (en) * 1994-05-20 1995-06-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chemical purification, and regeneration of electrodes
JP3524274B2 (ja) * 1996-07-26 2004-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膜の両面に電極を配設した組立体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3928753B2 (ja) * 1996-08-06 2007-06-1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マルチチップ実装法、および接着剤付チップの製造方法
JPH10235362A (ja) 1997-02-25 1998-09-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極装置、それを用いた脱リン装置及び汚水処理装置
KR100267376B1 (ko) 1997-11-29 2000-10-16 김영남 전계 방출 표시기의 캐소드 구동장치
FR2775007B1 (fr) 1998-02-13 2000-04-28 Electricite De France Structure plane d'electrodes alternees d'une premiere et d'une seconde polarit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6198250B1 (en) 1998-04-02 2001-03-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imary battery having a built-in controller to extend battery run time
US5980718A (en) * 1998-05-04 1999-11-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ans for limiting and ameliorating electrode shorting
US6346187B1 (en) * 1999-01-21 2002-02-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lternating-polarity operation for complete regeneration of electrochemical deionization system
KR100362285B1 (ko) 2000-05-15 2002-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2차 전지용 전극판,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전극판을채용하고 있는 리튬 2차 전지
US6589405B2 (en) * 2000-05-15 2003-07-08 Oleh Weres Multilayer oxide coated valve metal electrode for water purification
WO2001090444A1 (en) 2000-05-22 2001-11-29 Abb Power T & D Company Inc. Integrated electrode for electrolytic capacitor applications
WO2003009920A1 (en) * 2001-07-25 2003-02-06 Biosource, Inc. Electrode array for use in electrochemical cells
DE60226732D1 (de) 2002-09-30 2008-07-03 Umicore Ag & Co Kg Mit Katalysator beschichtete Ionomer-Membran mit Schutzfilm und daraus hergestellte Membran-Elektroden-Anordnung
KR20040031958A (ko) * 2002-10-08 2004-04-14 (주)카마텍 합성수지 코팅체가 형성된 전기이중층 캐패시터
DK1579204T3 (da) 2002-10-30 2009-03-09 Lifescan Scotland Ltd Fremstilling af elektrokemiske sensorer ved anvendelse af en bevægelig flad skabelon
KR100528967B1 (ko) 2002-12-18 2005-1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변 길이의 패킷 저장을 위한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US6830595B2 (en) * 2002-12-20 2004-12-14 Advanced Energy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composite electrode and current collectors
US20040129578A1 (en) * 2003-01-07 2004-07-08 Mclachlan David Electrostatic fl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DE10307106B3 (de) 2003-02-19 2004-10-07 Borgwarner Inc., Auburn Hills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Drehzahl des Antriebdrehteils einer Viskositätskupplung
KR100519337B1 (ko) 2003-03-03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뉴 배경화면 편집이 가능한 영상기기 및 그 메뉴배경화면 편집방법
KR100564774B1 (ko) 2003-03-24 2006-03-28 김찬 나노복합체 섬유, 그 제조방법 및 용도
US7094633B2 (en) 2003-06-23 2006-08-22 Sandisk Corporation Method for efficiently producing removable peripheral cards
US20050014056A1 (en) * 2003-07-14 2005-01-20 Umicore Ag & Co. Kg Membrane electrode unit for electrochemical equipment
WO2005006480A2 (de) * 2003-07-14 2005-01-20 Umicore Ag & Co. Kg Membran-elektroden-einheit für die wasserelektrolyse
KR100581232B1 (ko) * 2003-08-27 2006-05-17 (주)에스와이하이테크 도전성 접착제와 이를 이용하여 접합된 전극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05044738A1 (ja) 2003-11-11 2005-05-19 Honda Motor Co., Ltd. 電解槽及び電解水生成装置
US7570478B2 (en) 2003-11-28 2009-08-04 Zeon Corporation Binder f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JP4382557B2 (ja) * 2004-03-30 2009-12-1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KR101213828B1 (ko) 2005-12-30 2012-1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패널용 하이브리드 게이트 드라이버
JP4878881B2 (ja) * 2006-03-17 2012-02-15 日本ゴア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極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091A (ko) * 2016-08-05 2018-02-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US11377375B2 (en) 2016-08-05 2022-07-05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 modul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aving energy using the same
KR20190068074A (ko) * 2017-12-08 2019-06-18 (주) 시온텍 냉각수 정화장치
KR20190052666A (ko) * 2019-05-08 2019-05-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5171B (zh) 2012-12-05
EP2098485A2 (en) 2009-09-09
KR101290728B1 (ko) 2013-07-26
EP2098485A3 (en) 2009-10-21
US8440064B2 (en) 2013-05-14
EP2347999A2 (en) 2011-07-27
US20090223825A1 (en) 2009-09-10
EP2098485B1 (en) 2016-08-10
EP2347999B1 (en) 2018-09-19
EP2347999A3 (en) 2013-06-26
CN101525171A (zh)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728B1 (ko) 전극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이온화 장치
KR20100036495A (ko) 탈 이온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전극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6006493B2 (ja) スーパー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7704353B2 (en) Electrode assembly for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liquids with a low conductivity
KR20090093323A (ko) 탈이온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80198531A1 (en)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for water treatment
CN102249380B (zh) 一种高效液流式膜电容脱盐装置
US8882981B2 (en) Super-capacitor desalin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1201257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ions
JP5881086B2 (ja) イオン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3893740B2 (ja) 電解コンデンサ型脱塩装置および脱塩方法
JP2000091169A (ja) 通液型コンデ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体の処理方法
KR101732188B1 (ko) 탄소전극을 이용한 전기흡착식 수처리장치
JP5342468B2 (ja) 通液型キャパシタ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112678931A (zh) 一种电吸附除盐装置及除盐系统
KR102285131B1 (ko) Cdi 방식의 필터 모듈
WO2014141587A1 (ja) 電解水生成装置
JP2003200166A (ja) 通液型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脱塩装置の運転方法
KR101394112B1 (ko) 전기 흡착식 수처리 셀, 이를 이용한 전기 흡착식 수처리 장치 및 방법.
US7903388B2 (en) Electrical isolator for capacitive device
KR102137094B1 (ko) Cdi 방식의 필터
KR102135179B1 (ko) Cdi 방식의 필터 모듈
JP2019209297A (ja) 通液型キャパシタの運転方法
JP4721370B2 (ja) 電極構造
KR20130121581A (ko) 탈이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