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152A - 낚시찌 - Google Patents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152A
KR20090095152A KR1020080020304A KR20080020304A KR20090095152A KR 20090095152 A KR20090095152 A KR 20090095152A KR 1020080020304 A KR1020080020304 A KR 1020080020304A KR 20080020304 A KR20080020304 A KR 20080020304A KR 20090095152 A KR20090095152 A KR 20090095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central axis
fixed
fish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9305B1 (ko
Inventor
이흥규
김옥기
Original Assignee
이흥규
김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규, 김옥기 filed Critical 이흥규
Priority to KR102008002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3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체로서 작용하는 부구와; 하단이 상기 부구의 상단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연결고정되는 찌톱을 포함하며, 상기 찌톱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에 상기 지지대의 상단이 끼워져 상기 지지대와 연결고정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리브를 통해 상기 중심축에 연결고정되는 원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에 의하면, 부구 및 찌톱의 구조를 개선하여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먼 거리에서도 찌톱의 움직임을 통한 물고기의 입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낚시찌, 부구, 찌톱, 입질, 반응성, 식별성

Description

낚시찌{FISHING FLOAT}
본 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구 및 찌톱의 구조를 개선하여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먼 거리에서도 찌톱의 움직임을 통한 물고기의 입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식별성을 향상시킨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낚시도구를 구비해야 하는바, 이러한 낚시도구는 다루기 편리하고 기능성이 우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보다 우수한 소재를 바탕으로 한 가볍고 성능이 뛰어난 각종 낚시도구들이 제공되고 있어서 낚시 애호인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한편, 각종 낚시도구 중에서 기술적으로 개선해야 할 여러 관심분야가 많지만, 그 중 빼놓을 수 없는 연구대상 분야가 바로 낚시찌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물면 곧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낚싯줄에 매달아 수면 위로 부상시켜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먹이(떡밥)가 매달린 낚싯바늘과 낚싯줄을 수직상태로 유지시켜 물고기의 먹이활동이 이루어지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챔질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면 위에 적당한 높이로 부상하여 물고기의 입질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반응성은 물론, 투척되어 사용자의 시야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그 식별성이 좋아야 한다.
이러한 낚시찌는 낚싯줄의 끝단에 매달린 봉돌 및 낚싯바늘의 무게와 상관관계를 갖는데, 낚시찌의 부력이 클수록 봉돌의 무게를 무겁게 하여 무중력상태를 유지하여야 물고기의 입질시 반응성이 좋아진다.
일반적인 낚시찌의 구조는 수중에 잠기는 부분으로서 부력체로 작용하는 부구와, 상기 부구의 상단에 연결되어 수면 위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찌톱으로 구성된다.
한편, 찌톱을 통한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먼 거리에서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에 초점을 맞출 경우, 즉 낚시찌의 식별성을 강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갖는 찌톱의 외형이 굵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찌톱의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부력 역시 커져 봉돌의 무게를 증가시켜야 하고, 결과적으로 낚시채비(낚시찌, 봉돌, 낚싯바늘 등)의 전체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어신감지의 생명이라 할 수 있는 민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낚시찌 및 봉돌이 달린 낚싯줄 상호간의 민첩성뿐만 아니라 봉돌의 무게 및 부피의 증가로 인하여 입질시 고기가 빨리 이질감을 느끼게 되며, 낚시찌의 상승(부상)시 급격한 봉돌 무게 증가로 고기가 더욱 이질감을 느끼게 되어 먹이를 뱉어 버리게 되고, 부상 작용이 느려지게 되기 때문에 입질에 대한 반응성이 떨어져 사용자가 챔질 타이밍을 놓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찌톱의 외형을 가늘게 하는 경우, 전술한 낚시채비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켜 민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시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찌톱이 가늘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 사용자가 상기 찌톱의 움직임을 통해 물고기의 입질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없는 식별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구 및 찌톱의 구조를 개선하여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먼 거리에서도 찌톱의 움직임을 통한 물고기의 입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식별성을 향상시킨 낚시찌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는 부력체로서 작용하는 부구와; 하단이 상기 부구의 상단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연결고정되는 찌톱을 포함하며, 상기 찌톱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에 상기 지지대의 상단이 끼워져 상기 지지대와 연결고 정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리브를 통해 상기 중심축에 연결고정되는 원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구는 상부가 반구체 형상이고, 상기 상부와 연결되는 하부는 아래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깔때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구는 하부가 반구체 형상이고, 상기 하부와 연결되는 상부는 위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역 깔때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구에는 상기 부구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수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에 의하면, 부구 및 찌톱의 구조를 개선하여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먼 거리에서도 찌톱의 움직임을 통한 물고기의 입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100) 는 크게 부구(110), 지지대(120) 및 찌톱(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구(110)는 부력체로서 낚시찌(100)가 수중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하며, 그 하단에 낚싯줄이 연결된다. 상기 부구(110)의 형상은 상부의 경우, 반구체 형상이고, 상기 상부와 연결되는 하부는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깔때기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낚시찌(100)가 수중으로 입수되거나 수면으로 부상하는 과정에서 물과의 표면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반응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을 통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100)의 부구(110)는 후술할 다른 실시예(100')의 부구(110')와 달리 그 중앙부의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긴 특징을 가지며, 댐 인근부나 호수 중심부와 같이 수심이 깊은 물에서 낚시를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상기 부구(110)의 상단에는 상기 찌톱(130)을 지지하는 지지대(120)가 삽입고정된다.
상기 지지대(120)의 상단에 연결고정되는 찌톱(130)은 중심축(131)과, 상기 중심축(131)의 외측에 연결되는 원통(1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축(131)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통공(132)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대(120)의 상단이 상기 통공(132)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중심축(131)의 상단부에는 밤 낚시를 하는 경우와 같이 찌톱(130)의 움직임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케미라이트(발광체)를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케미라이트는 상기 중심축(131)의 상단부에까지 형성된 통공(132)에 끼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원통(135)은 상기 중심축(13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리브(134)를 통해 상기 중심축(131)에 연결고정된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리브(134)는 3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또는 4개 및 그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상기 찌톱(130)의 경우, 상기 중심축(131)과 원통(135) 사이에 공간부(137)가 형성되기 때문에, 찌톱(130)의 무게나 찌톱(130) 자체에 의한 부력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원통(135)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굵기가 굵은 원기둥 형상의 종래 찌톱이 갖는 문제, 즉 무게 및 부력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봉돌 무게 증가로 인해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반응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사용상에 있어서 같은 크기에 비해 종래 찌톱의 경우 급격하게 변화하는 봉돌 무게로 고기가 이질감을 빨리 느끼게 되는데, 본 발명은 그 정도를 늦출 수 있고, 외형상으로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파악하게 되는 부분인 찌톱(130) 전체의 부피를 크게 할 수 있어, 먼 거리에서도 어느 방향에서나 찌톱(130)의 움직임을 통한 물고기의 입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100')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지지대(120) 및 찌톱(130)을 포함하며, 그 작용 및 효과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 각각과 관련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갖는 부구(110')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부구(110')는 그 형상이 전술한 실시 예와 반대로 하부가 반구체 형상이고, 상기 하부와 연결되는 상부는 위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역 깔때기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낚시찌의 상승시 물의 저항을 적게 받도록 하여 보다 신속히 상승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부구(110')는 그 중앙부의 직경이 전술한 실시예의 부구(110) 보다 크고, 그 길이는 작으며, 상기 부구(110')에 상기 부구(110')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수통공(112)을 형성하여 상기 수통공(112)을 통해 물이 소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통 크기에 비해 부력은 작도록 한 효과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수면위로 상승시 찌톱(130)의 무게나 바람 등의 영향으로 옆으로 넘어지는 시간을 늦추고, 흔들림을 적게하여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고, 이는 바다나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 유리하다.
또한, 낚시찌(100')가 수중으로 입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부구(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통공(112)을 통해 물이 소통되어 몸통 크기에 비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입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먹이(떡밥)의 흘림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입수중 잡어 등으로부터 야기되는 먹이 유실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낚시찌(100')가 수면으로 부상하는 경우에도 상기 수통공(112)을 통해 물이 소통되어 보다 신속히 부상할 수 있기 때문에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반응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10' : 부구 112 : 수통공
120 : 지지대 130 : 찌톱
131 : 중심축 132 : 통공
134 : 연결리브 135 : 원통

Claims (4)

  1. 부력체로서 작용하는 부구;
    하단이 상기 부구의 상단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연결고정되는 찌톱을 포함하며,
    상기 찌톱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에 상기 지지대의 상단이 끼워져 상기 지지대와 연결고정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리브를 통해 상기 중심축에 연결고정되는 원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상부가 반구체 형상이고, 상기 상부와 연결되는 하부는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깔때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하부가 반구체 형상이고, 상기 하부와 연결되는 상부는 위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역 깔때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에는 상기 부구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수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KR1020080020304A 2008-03-05 2008-03-05 낚시찌 KR100979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304A KR100979305B1 (ko) 2008-03-05 2008-03-05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304A KR100979305B1 (ko) 2008-03-05 2008-03-05 낚시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152A true KR20090095152A (ko) 2009-09-09
KR100979305B1 KR100979305B1 (ko) 2010-08-31

Family

ID=4129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304A KR100979305B1 (ko) 2008-03-05 2008-03-05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790Y1 (ko) 2021-01-30 2023-04-26 이재홍 유동체가 내장된 낚시찌
KR20240034541A (ko) 2022-09-07 2024-03-14 황의용 낚시찌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7877U (ko) * 1979-04-28 1980-11-13
JPH0375502U (ko) * 1989-11-27 1991-07-29
KR200306620Y1 (ko) 2002-12-23 2003-03-12 문성인 낚시찌
KR200310792Y1 (ko) * 2003-01-28 2003-04-16 임재경 민물낚시용 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305B1 (ko) 201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901B1 (ko) 사계절 낚시용 편대
KR100979305B1 (ko) 낚시찌
KR101226391B1 (ko)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CN208739940U (zh) 一种带浮力球的浮漂
CN209914829U (zh) 一种刺刀形折叠活动鱼钩
KR200370603Y1 (ko) 막대형 구멍찌
KR101009511B1 (ko)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KR100540136B1 (ko) 민물낚시용 찌
CN105145507A (zh) 弓式智能感应抓鱼器
CN213603913U (zh) 浮漂渔具
CN220308169U (zh) 一种新型浮漂
KR101476655B1 (ko) 낚시용 찌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KR200217442Y1 (ko) 낚시 찌
CN211558533U (zh) 一种新型打窝器
CN106561588A (zh) 两爪多功能全自动钓鱼永不脱钩鱼钩
CN211672040U (zh) 一种提高钓鱼命中率的新型子线多钩多向钓笼装置
KR200381287Y1 (ko) 속이 비어있는 낚시용 막대찌
KR200335923Y1 (ko) 낚시찌용 표시구
KR20180024087A (ko) 낚시찌
KR100375352B1 (ko) 낚시용 찌
KR200272988Y1 (ko) 찌 속에서 부상하는 낚시찌
KR200302108Y1 (ko)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
KR200355953Y1 (ko) 민물낚시용 찌
SU1200871A1 (ru) Блес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