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979A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979A
KR20090094979A KR1020080020014A KR20080020014A KR20090094979A KR 20090094979 A KR20090094979 A KR 20090094979A KR 1020080020014 A KR1020080020014 A KR 1020080020014A KR 20080020014 A KR20080020014 A KR 20080020014A KR 20090094979 A KR20090094979 A KR 20090094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antenna
feed
antenna device
ground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6223B1 (ko
Inventor
김주형
임태욱
박승모
김태성
성재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주)더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주)더팀즈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0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223B1/ko
Priority to US12/332,280 priority patent/US8022888B2/en
Priority to DE102008063198A priority patent/DE102008063198A1/de
Publication of KR2009009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H01Q21/10Collinear arrangements of substantially straight elongated conductiv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05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variable reactance for tuning the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방사체와, 상기 제1 방사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 방사체와 용량결합을 이루는 제2 방사체와, 상기 제1 방사체의 급전단에 연결되는 급전라인, 및 상기 급전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방사체의 급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사체에 공급되는 제1 급전 신호와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제2 급전신호를 상기 제2 방사체에 공급하는 위상 천이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안테나(antenna), 방사체(radiator), 위상천이(phase shift)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를 구성하는 두 개의 방사체에 각각 다른 위상의 신호를 급전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방사체가 하나의 안테나로 작동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무선 파장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장치이다.
이동통신 분야에서 안테나는 주변 환경에 따라 특성이 민감하게 변화하는 수동소자로서, 기지국, 중계기, 또는 무선통신 장치에 부착된 안테나 등의 외부에서 전파를 수신하거나 통신기기에서 발생한 전기적인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안테나는 각 단말기마다 정재파 매칭 같은 특성의 최적화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안테나의 대역폭이 좁을 경우 최적화하기 위한 실험이 많아지게 되는 반면, 대역폭이 넓은 경우 실험량이 줄어들게 되어 개발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종래의 방송수신용 안테나로는 외장형 안테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외장형 안테나의 경우 방송 수신용 주파수 대역의 λ/4 길이를 갖도록 하여 방송 수신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 사용자가 안테나의 정확한 길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하고자 하는 방송 수신 주파수 대역에서의 최적의 이득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칩 안테나의 경우에는 유전체 블럭 상에 급전부 및 접지부에 연결되는 방사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대역을 대상으로 급전 구조 및 방사체를 설계하였다. 이러한 칩 안테나를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세트 시킬때 안테나의 주파수 특성이 변화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튜닝작업이 불가피하였다. 이와 같은 튜닝 작업시 안테나 자체의 패턴 또는 유전체 블럭 자체에 대한 설계변경을 수반하므로 이에 따른 제조상 손실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넓은 대역폭을 가지며, 안테나가 세팅되는 기판상의 접지면의 조건이 변하더라도 일정한 방사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방사체와, 상기 제1 방사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 방사체와 용량결합을 이루는 제2 방사체와, 상기 제1 방사체의 급전단에 연결되는 급전라인, 및 상기 급전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방사체의 급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사체에 공급되는 제1 급전 신호와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제2 급전신호를 상기 제2 방사체에 공급하는 위상 천이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위상 천이기는, 상기 제1 급전신호와 제2 급전신호 사이에 180도의 위상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는, 서로 다른 전기적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도전라인, 및 상기 복수개의 도전라인 중 하나의 도전라인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도전라인은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해, λ/2의 전기적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선택부는, 스위칭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방사체는, 용량결합에 의해 하나의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는,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방사체는, 역F 형태의 방사체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급전라인에 임피던스 매칭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능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능동 소자는, 바렉터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가 세팅되는 기판상의 접지면의 조건이 변하더라도 일정한 방사특성을 나타내며, 넓은 대역의 주파수 신호에 대해 작동할 수 있는 안 테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제1 방사체(110), 제2 방사체(120), 급전라인(130), 및 위상 천이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사체(110)는, 급전단(111) 및 접지단(112)을 갖고, 상기 급전단(111)은 상기 급전라인(130)에 연결되며, 상기 접지단(112)은 기판(160)상에 형성되는 접지면(15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방사체로 역F 형태의 방사체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제1 방사체는 L 형태의 방사체 또는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사체(120)는, 상기 제1 방사체(11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방사체(110)와 용량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방사체는, 급전단(121) 및 접지단(122)을 갖고, 상기 급전단(121)은 상기 위상 천이기(140)에 연결되며, 상기 접지단(122)은 기판(160)상에 형성되는 접지면(1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사체(120)는, 상기 제1 방사체(1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방사체 로서 상기 제1 방사체(110)와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 방사체로 역F 형태의 방사체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제1 방사체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2 방사체는 L 형태의 방사체 또는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급전라인(130)은, 기판(16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160)에 형성되는 급전부(미도시)에서 상기 제1 방사체의 급전단(11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사체(110)로 급전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140)는, 상기 급전라인(1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방사체의 급전단(1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140)는 상기 급전라인(130)을 통해 상기 제1 방사체(110)로 급전되는 제1 급전신호와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제2 급전신호를 상기 제2 방사체(12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위상 천이기(140)는, 스트립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위상천이기를 구성하는 스트립 라인은 상기 급전라인으로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대해 λ/2의 전기적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제1 방사체로 입력되는 제1 급전신호와 제2 방사체로 입력되는 제2 급전신호의 위상차를 180도로 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에 의한 위상차는 주변환경 및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기판의 이면에는 접지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면(150)은, 상기 제1 방사체의 접지단(112) 및 제2 방사체의 접지단(122)에 연결될 수 있다.
방사체에 연결되는 접지면에도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접지면도 안테나의 일부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면의 면적이 달라지면 안테나의 전체적인 방사특성도 달라지므로 이에 따라 안테나를 튜닝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겠다.
본 실시형태에서, 급전라인(130)을 따라 제1 방사체(110)로 급전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제1 방사체에서 일정 방향(①)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위상 천이기(140)는 상기 급전라인(130)의 신호와 180도 위상차가 나는 신호를 상기 제2 방사체(120)에 공급하므로, 상기 제2 방사체(120)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⑥)은 상기 제1 방사체(110)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①)과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사체(110)와 제2 방사체(12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나, 용량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방사체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 방사체는 하나의 전류경로를 제공하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방사체에서 형성된 전류경로에 의해 상기 기판의 이면에 형성된 접지면(150) 내에 전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방사체(110) 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접지면(150)에 형성되는 전류경로는 실선 화살표(②, ③, ④, ⑤)로 표시하였으며, 상기 제2 방사체(12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접지면(150)에 형성되는 전류경로는 점선 화살표(⑦, ⑧, ⑨, ⑩)로 표시하였다.
제1 안테나(11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접지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전류경로(②, ④)는, 각각 제2 안테나(12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접지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전류경로(⑦, ⑨)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상쇄될 수 있다.
방사체에 연결되는 접지면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접지부도 안테나의 일부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부의 면적이 달라지면 안테나의 방사특성도 달라지므로 이에 따라 안테나를 튜닝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은 안테나에서는, 접지면에 형성되는 전류경로의 일부(②와 ⑦, ④와 ⑨)가 서로 상쇄되므로 상기 접지면에 형성되는 전류경로 중 일부(③, ⑧)만이 전체 안테나의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데 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면의 면적이 변하더라도 안테나의 특성이 크게 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장치(200)는 제1 방사체(210), 제2 방사체(220), 급전라인(230), 및 위상 천이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사체(210)는, 급전단(211) 및 접지단(212)을 갖고, 상기 급전단(211)은 상기 급전라인(230)에 연결되며, 상기 접지단(212)은 기판(260)상에 형성되는 접지면(25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방사체로 역F 형태의 방사체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제1 방사체는 L 형태의 방사체 또는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사체(220)는, 상기 제1 방사체(21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방사체(210)와 용량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방사체는, 급전단(221) 및 접지단(222)을 갖고, 상기 급전단(221)은 상기 위상 천이기(240)에 연결되며, 상기 접지단(222)은 기판(260)상에 형성되는 접지면(2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사체(220)는, 상기 제1 방사체(2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방사체로서 상기 제1 방사체(210)와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 방사체로 역F 형태의 방사체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제1 방사체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2 방사체는 L 형태의 방사체 또는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급전라인(230)은, 기판(26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260)에 형성되는 급전부(미도시)에서 상기 제1 방사체의 급전단(21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사체(210)로 급전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240)는, 상기 급전라인(2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방사체의 급전단(2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240)는 상기 급전라인(230)을 통해 상기 제1 방사체(210)로 급전되는 제1 급전신호와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제2 급전신호를 상기 제2 방사체(22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위상 천이기(240)는, 스트립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를 구성하는 스트립 라인은 상기 급전라인으로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대해 λ/2의 전기적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제1 방사체로 입력되는 신호와 제2 방사체로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차를 180도로 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에 의한 위상차는 주변환경 및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위상 천이기(240)는 복수개의 도전라인(241, 242, 243) 및 스위칭 회로(2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도전라인(241, 242, 243)은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에 대해 λ/2의 전기적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도전라인의 일단은 상기 제2 방사체의 급전단(221)에 연결되고, 타단은 각각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244)는, 상기 복수개의 도전라인 중 하나의 개방된 일단을 상기 급전라인(230)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급전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도전라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각각의 도전라인의 개방된 일단에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전기적 길이를 갖는 도전라인을 복수개 사용하여 상기 위상천이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에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따라 위상천이기의 전기적 길이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테나 장치는 보다 넓 은 대역의 주파수 신호에 대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기판(260)의 이면에는 접지면(2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면(250)은, 상기 제1 방사체의 접지단(212) 및 제2 방사체의 접지단(222)에 연결될 수 있다.
방사체에 연결되는 접지면에도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접지면도 안테나의 일부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면의 면적이 달라지면 안테나의 전체적인 방사특성도 달라지므로 이에 따라 안테나를 튜닝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겠다.
본 실시형태에서, 급전라인(230)을 따라 제1 방사체(210)로 급전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제1 방사체에서 일정 방향(①)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위상 천이기(240)는 상기 급전라인(230)의 신호와 180도 위상차가 나는 신호를 상기 제2 방사체(220)에 공급하므로, 상기 제2 방사체(220)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⑥)은 상기 제1 방사체(210)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①)과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사체(210)와 제2 방사체(22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나, 용량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방사체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 방사체는 하나의 전류경로를 제공하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방사체에서 형성된 전류경로에 의해 상기 기판의 이면에 형성된 접지면(250) 내에 전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방사체(21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접지면(250)에 형성되는 전류경로는 실선 화살표(②, ③, ④, ⑤)로 표시하였으며, 상기 제2 방사체(22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접지면(250)에 형성되는 전류경로는 점선 화살표(⑦, ⑧, ⑨, ⑩)로 표시하였다.
제1 안테나(21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접지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전류경로(②, ④)는, 각각 제2 안테나(22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접지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전류경로(⑦, ⑨)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상쇄될 수 있다.
방사체에 연결되는 접지면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접지부도 안테나의 일부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부의 면적이 달라지면 안테나의 방사특성도 달라지므로 이에 따라 안테나를 튜닝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은 안테나에서는, 접지면에 형성되는 전류경로의 일부(②와 ⑦, ④와 ⑨)가 서로 상쇄되므로 상기 접지면에 형성되는 전류경로 중 일부(③, ⑧)만이 전체 안테나의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데 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면의 면적이 변하더라도 안테나의 특성이 크게 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장치(300)는, 제1 방사체(310), 제2 방사체(320), 급전라인(330), 위상 천이기(340), 및 임피던스 매칭소자(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사체(310)는, 급전단(311) 및 접지단(312)을 갖고, 상기 급전단(311)은 상기 급전라인(330)에 연결되며, 상기 접지단(312)은 기판(360)상에 형성되는 접지면(35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방사체로 역F 형태의 방사체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제1 방사체는 L 형태의 방사체 또는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사체(320)는, 상기 제1 방사체(31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방사체(310)와 용량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방사체는, 급전단(321) 및 접지단(322)을 갖고, 상기 급전단(321)는 상기 위상 천이기(340)에 연결되며, 상기 접지단(322)은 기판(360)상에 형성되는 접지면(3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사체(320)는, 상기 제1 방사체(3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방사체로서 상기 제1 방사체(310)와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 방사체로 역F 형태의 방사체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제1 방사체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2 방사체는 L 형태의 방사체 또는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급전라인(330)은, 기판(36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360)에 형성되는 급전부(미도시)에서 상기 제1 방사체의 급전단(31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사체(310)로 급전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340)는, 상기 급전라인(3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방사체의 급전단(3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340)는 상기 급전라인(330)을 통해 상기 제1 방사체(310)로 급전되는 제1 급전신호와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제2 급전신호를 상기 제2 방사체(32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위상 천이기(340)는, 스트립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를 구성하는 스트립 라인은 상기 급전라인으로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대해 λ/2의 전기적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제1 방사체로 입력되는 제1 급전신호와 제2 방사체로 입력되는 제2 급전신호의 위상차를 180도로 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기에 의한 위상차는 주변환경 및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위상 천이기는(340) 서로 다른 전기적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도전라인 및 스위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도전라인은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에 대해 λ/2의 전기적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회로에 의해 하나의 도전라인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급전라인에는 임피던스 매칭부(3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370)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가 넓은 대역폭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해서 인덕턴스 성분이나 캐패시턴스 성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인덕턴스 성분 또는 캐패시턴스 성분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능동 소자 또는 수동소자로 형성하거나 능동소자와 수동소자를 모두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370)는 능동소자인 바렉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렉터 다이오드는 바이어스 인가시 캐패시턴스 값이 변화되므로 입력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이면에는 접지면(3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면(350)은, 상기 제1 방사체의 접지단(312) 및 제2 방사체의 접지단(322)에 연결될 수 있다.
방사체에 연결되는 접지면에도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접지면도 안테나의 일부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면의 면적이 달라지면 안테나의 전체적인 방사특성도 달라지므로 이에 따라 안테나를 튜닝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겠다.
본 실시형태에서, 급전라인(330)을 따라 제1 방사체(310)로 급전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제1 방사체에서 일정 방향(①)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위상 천이기(340)는 상기 급전라인(330)의 신호와 180도 위상차가 나는 신호를 상기 제2 방사체(320)에 공급하므로, 상기 제2 방사체(320)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⑥)은 상기 제1 방사체(310)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①)과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사체(310)와 제2 방사체(32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나, 용량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방사체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 방사체는 하나의 전류경로를 제공하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방사체에서 형성된 전류경로에 의해 상기 기판의 이면에 형성된 접지면(350) 내에 전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방사체(31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접지면(350)에 형성되는 전류경로는 실선 화살표(②, ③, ④, ⑤)로 표시하였으며, 상기 제2 방사체(32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접지면(350)에 형성되는 전류경로는 점선 화살표(⑦, ⑧, ⑨, ⑩)로 표시하였다.
제1 안테나(31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접지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전류경로(②, ④)는, 각각 제2 안테나(32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접지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전류경로(⑦, ⑨)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상쇄될 수 있다.
방사체에 연결되는 접지면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접지부도 안테나의 일부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부의 면적이 달라지면 안테나의 방사특성도 달라지므로 이에 따라 안테나를 튜닝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은 안테나에서는, 접지면에 형성되는 전류경로의 일부(②와 ⑦, ④와 ⑨)가 서로 상쇄되므로 상기 접지면에 형성되는 전류경로 중 일부(③, ⑧)만이 전체 안테나의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데 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면의 면적이 변하더라도 안테나의 특성이 크게 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 제1 방사체 120 : 제2 방사체
130 : 급전라인 140 : 위상 천이기
150 : 접지면 160 : 기판
370 : 임피던스 매칭부

Claims (11)

  1.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1 방사체와 용량결합을 이루는 제2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의 급전단에 연결되는 급전라인; 및
    상기 급전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방사체의 급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사체에 공급되는 제1 급전 신호와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제2 급전신호를 상기 제2 방사체에 공급하는 위상 천이기
    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천이기는,
    상기 제1 급전신호와 제2 급전신호 사이에 180도의 위상차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천이기는,
    서로 다른 전기적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도전라인; 및
    상기 복수개의 도전라인 중 하나의 도전라인을 선택하는 선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전라인은,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해 λ/2의 전기적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스위칭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사체는,
    용량결합에 의해 하나의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사체는,
    역F 형태의 방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라인에 연결되는 임피던스 매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능동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소자는,
    바렉터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080020014A 2008-03-04 2008-03-04 안테나 장치 KR100956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014A KR100956223B1 (ko) 2008-03-04 2008-03-04 안테나 장치
US12/332,280 US8022888B2 (en) 2008-03-04 2008-12-10 Antenna device
DE102008063198A DE102008063198A1 (de) 2008-03-04 2008-12-29 Antennen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014A KR100956223B1 (ko) 2008-03-04 2008-03-04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979A true KR20090094979A (ko) 2009-09-09
KR100956223B1 KR100956223B1 (ko) 2010-05-04

Family

ID=4105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014A KR100956223B1 (ko) 2008-03-04 2008-03-04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22888B2 (ko)
KR (1) KR100956223B1 (ko)
DE (1) DE1020080631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02B1 (ko) * 2012-01-06 2013-01-04 남창기 멀티모드 고주파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62518U (en) * 2009-02-09 2009-08-01 Wistron Corp Antenna structure
KR101740061B1 (ko) * 2010-04-09 2017-05-25 라디나 주식회사 캐패시터를 이용한 그라운드 방사체
KR101862870B1 (ko) * 2011-04-06 2018-07-05 라디나 주식회사 그라운드 방사 안테나
US9240627B2 (en) 2011-10-20 2016-01-19 Htc Corporation Handheld device and planar antenna thereof
KR101372140B1 (ko) * 2013-01-25 2014-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CN104466354B (zh) * 2013-09-18 2019-06-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TWI617088B (zh) * 2016-05-23 2018-03-01 宏碁股份有限公司 具有金屬邊框半環圈天線元件的通訊裝置
US10998622B2 (en) 2016-07-21 202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367505B1 (en) * 2017-02-27 2019-06-26 ProAnt AB Antenna arrangement and a device comprising such an antenna arrangement
CN108321495B (zh) * 2018-01-22 2020-05-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组件、天线装置及电子设备
US20190326673A1 (en) * 2018-04-19 2019-10-24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Secretary Of The Navy Dual Small Antennas with Feed Points Fed Out of Phase
KR102215275B1 (ko) * 2019-08-20 2021-02-15 (주)밀리웨이브 밀리미터파 대역 무선통신을 위한 다이폴 안테나 어레이
JP7167956B2 (ja) * 2020-03-25 2022-11-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アンテナ受信装置及び電子時計
CN111987431B (zh) * 2020-09-04 2023-04-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结构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14993U1 (ko) 1988-01-04 1989-03-02 Oppermann, Richard, 7762 Ludwigshafen, De
DE10106379A1 (de) 2001-02-12 2002-09-12 Paschke Ger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belvergusses sowie danach hergestellter Verguß
DE10163793A1 (de) * 2001-02-23 2002-09-05 Heinz Lindenmeier Flachantenne für die mobile Satellitenkommunikation
US6900773B2 (en) * 2002-11-18 2005-05-31 Ethertronics, Inc. Active configurable capacitively loaded magnetic diploe
US7164387B2 (en) * 2003-05-12 2007-01-16 Hrl Laboratories, Llc Compact tunable antenna
US6903687B1 (en) * 2003-05-29 2005-06-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Feed structure for antennas
US7292124B2 (en) * 2004-02-03 2007-11-06 Ntt Docomo, Inc. Variable resonator and variable phase shifter
WO2005086281A1 (en) * 2004-02-25 2005-09-15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Antenna array
KR100630331B1 (ko) 2004-06-11 2006-10-02 (주)더블유엘호스트 수지급전 분배패널을 사용한 안테나 장치
KR100641636B1 (ko) * 2004-12-08 2006-1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편파 안테나 및 rfid 리더기
EP1835562A4 (en) * 2004-12-08 2008-12-03 Panasonic Corp ADAPTIVE ANTENNA APPARATUS
US7427955B2 (en) * 2004-12-08 2008-09-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ual polarization antenna and RFID reader employing the same
US7274338B2 (en) * 2005-10-12 2007-09-25 Kyocera Corporation Meander line capacitively-loaded magnetic dipole antenna
KR100606453B1 (ko) 2006-01-05 2006-08-01 (주)뮤트로닉스 역에프안테나를 이용한 이중편파 안테나
KR20080020014A (ko) 2006-08-30 2008-03-05 김혜란 대나무를 이용한 주류용기
JP4807705B2 (ja) * 2007-01-12 2011-11-02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低姿勢型アンテナ構造体
US7688275B2 (en) * 2007-04-20 2010-03-30 Skycross, Inc. Multimode antenna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02B1 (ko) * 2012-01-06 2013-01-04 남창기 멀티모드 고주파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63198A1 (de) 2010-01-14
US8022888B2 (en) 2011-09-20
US20090224996A1 (en) 2009-09-10
KR100956223B1 (ko) 201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223B1 (ko) 안테나 장치
US7760150B2 (en) Antenna assembly and wireless unit employing it
US6337668B1 (en) Antenna apparatus
US7170456B2 (en) Dielectric chip antenna structure
US20100214189A1 (en) Antenna, radiating pattern switching method theref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WI536665B (zh) 調頻天線
US8537054B2 (en) Antenna with multiple resonating conditions
US20050237251A1 (en) Antenna arrangement and module including the arrangement
CN106129613B (zh) 可调辐射场型的天线结构
JP2006174095A (ja) 偏波切り替えアンテナ装置
US10622716B1 (en) Balanced antenna
JP2013051644A (ja) アンテナ装置とこのアンテナ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TW201717481A (zh) 多頻段天線
CN110797658B (zh) 通过在接地面上增加电容器来减少两个天线间相互耦合的设备和方法
US20100289713A1 (en) Slot antenna
JPWO2005069439A1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及び携帯型の通信機器
WO2011163139A1 (en) Wideband printed circuit board-printed antenna for radio frequency front end circuit
US20110193757A1 (en) Ground radiator using capacitor
US20160164177A1 (en) Wideband Antenna
KR102510098B1 (ko) 이동 통신 단말용 안테나 장치
US7839344B2 (en) Wideband multifunction antenna operating in the HF range, particularly for naval installations
KR100603596B1 (ko) 평면형 역 에프 안테나
WO2016186091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790587B2 (en) Multiband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5018628B2 (ja) デュアルバンド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