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653A - Ritp 유화중합법에 의한 저분자량의 비닐계 고분자입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Ritp 유화중합법에 의한 저분자량의 비닐계 고분자입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653A
KR20090094653A KR1020080019730A KR20080019730A KR20090094653A KR 20090094653 A KR20090094653 A KR 20090094653A KR 1020080019730 A KR1020080019730 A KR 1020080019730A KR 20080019730 A KR20080019730 A KR 20080019730A KR 20090094653 A KR20090094653 A KR 20090094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polymerization
weight
iodine
polymer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110B1 (ko
Inventor
최순자
이강석
오형근
반준형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11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2/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12/06Hydrocarbons
    • C08F1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28Oxygen or compounds releasing free oxyg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19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dimensions of th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02Low molecular weight, e.g. <100,000 D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중합법에 RITP(Reverse Iodine Transfer Polymerization) 방법을 접목시킨 방법 즉, RITP 유화중합법으로 암실 및 반응용매하에서, 비닐계 단량체; 설페이트계 및 아조비스계 중합개시제; 아이오딘을 함유한 화합물의 사슬 이동제; 및 퍼옥사이드계 촉매를 사용하여, 종래에 비해 중합반응 속도는 빠르고, 낮은 질량평균분자량으로 제어가 가능하여 특히 합성토너의 제조 중 유화/응집에 사용되는 고분자로 적용이 유용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화중합, RITP법, 분자량 조절, 비닐계 고분자 입자

Description

RITP 유화중합법에 의한 저분자량의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low Molecular Weight of VinylPolymer by Reverse Iodine Transfer Polymerization-Emulsion Polymerization}
본 발명은 유화중합법에 RITP(Reverse Iodine Transfer Polymerization) 방법을 접목시킨 방법 즉, RITP 유화중합법으로 암실 및 반응용매하에서, 비닐계 단량체; 설페이트계 및 아조비스계 중합개시제; 아이오딘을 함유한 화합물의 사슬 이동제; 및 퍼옥사이드계 촉매를 사용하여, 종래에 비해 중합반응 속도는 빠르고, 낮은 질량평균분자량으로 제어가 가능하여 특히 합성토너의 제조 중 유화/응집에 사용되는 고분자로 적용이 유용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너는 전자 사진 현상 및 정전기적 프린터, 복사기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최근 컴퓨터를 이용한 문서작성 등이 일반화됨에 따라 프린터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토너의 사용량 역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토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분쇄 또는 중합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인 분쇄 공정에 의한 토너의 제조는 수지와 안료를 함께 넣고 용융-혼합 또는 압출한 후 분쇄하고 분급하여 토너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공정에 의해 제조된 토너 입자는 입자의 크기 분포가 넓고, 입자의 모양이 구형이 아닌 매우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하전성이나 흐름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합법에 의한 구형의 토너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중합법에 의한 방법으로는 현탁 중합법과 유화 중합법이 알려져 있는데, 현탁 중합법에 의해 토너를 제조하는 방법은 미국특허 제6,337,169호와 제2005-0042535호, 국제특허공개 제2004/020505호 및 국내특허공개 제2005-0098662호에 개시되어 있다. 현탁중합에 의해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단량체를 기계적 교반에 의하여 분산시킨 후, 지용성 개시제를 사용하여 단량체 방울을 중합하는 것으로, 평균직경이 1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고분자 입자가 제조된다[미국특허 제4,017,670호, 제4,071,670호, 제4,085,169호, 및 제4,129,706호].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고분자 입자가 균일한 직경을 갖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현탁중합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크기의 고분자 입자를 제조한 후, 분급장치를 이용하여 입자를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일본특허공개 제90-261728호]. 그러나 이러한 분리방법을 사용할 경우 공정이 복잡하고 분급장치에 대한 비용이 과다 소요될 뿐 아니라 생산성도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요구되는 고품질 이미지 측면에서, 안정한 고분자 입자로 제조된 토 너가 요구된다. 특히, 유화/응집 공정에서 입자 크기 분포가 좁으며, 바람직한 입자크기를 갖는 토너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유화/응집 공정에 적합한 고분자 입자는 질량평균분자량이 약 35,000 ∼ 100,000이며, 유리 전이 온도는 약 54 ∼ 65 ℃이고, 입자의 크기가 약 50 ∼ 500 나노미터인 서브 마이크론의 비가교 결합 고분자 입자를 사용한다. 이러한 입자는 유화중합에 의하여 얻어지는데, 유화중합은 서브 마이크론 크기의 입자크기 분포도가 매우 좁은 입자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제조된 고분자의 질량평균분자량이 크게는 1,000,000 이상, 적게는 500,000 이상이며 분자량 분포도가 4이상인 고분자 입자가 제조된다.
본 발명은 유화중합방법을 통하여 종래에 비해 질량평균분자량이 35,000 ∼ 120,000 의 범위로 제어가 가능하며, 평균입경이 130 ∼ 220 ㎚ 범위인 균일한 구형을 갖는 비닐계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신규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화중합방법에 사슬이동제로 아이오딘을 사용하는 RITP(Reverse Iodine Transfer Polymerization)을 접목시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암실 및 반응용매하에서,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설페이트계 및 아조비스계 중합개시제; 아이오딘을 함유한 화합물의 사슬 이동제; 및 퍼옥사이드계 촉매를 혼합하여, 60 ∼ 90 ℃ 온도에서 5 ∼ 10 시간동안 100 ∼ 300 rpm의 교반속도로 유화중합하는 비닐계 고분자의 제조방법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질량평균분자량을 35,000 ∼ 120,000의 범위에서 쉽게 조절할 수 있고, 고분자 입자의 직경이 130 ∼ 220 나노미터인 서브 마이크론 크기로 안정한 구형의 비닐계 고분자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입자의 분자량 범위 및 고분자 입자의 직경은 합성토너의 유화/응집공정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합성토너에 사용되는 고분자의 요구되는 질량평균분자량과 입자의 크기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중합 방법이다.
본 발명은 유화중합법에 RITP(Reverse Iodine Transfer Polymerization) 방법을 접목시킨 방법인 RITP 유화중합법을 이용하여 분자량 분포도가 좁고 서브 마이크론 크기의 비닐계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제조된 비닐계 고분자 입자는 질량평균분자량이 35,000 ∼ 120,000 범위를 유지하고, 평균 입자 크기가 130 ∼ 220 나노미터인 구의 형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아이오딘을 함유한 화합물을 사슬 이동제로 사용하여 수용성 개시 제가 라디칼을 형성하여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가 개시된 후 아이오딘이 라디칼과 반응하여 지속적인 가역 반응에 의하여 고분자의 분자량이 조절되는 원리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조건의 유화중합 시 아이오딘의 사용량, 유화제 또는 유화제의 종류, 촉매의 성분 및 사용량, 수용성 개시제의 종류 및 사용량 등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고분자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도를 갖는 서브 마이크론 크기의 다양한 고분자 입자를 얻을 수 있음이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양의 촉매와 유화제를 반응용매에 주입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수용성 중합 개시제와 아이오딘을 이용한 유화중합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암실 및 반응용매하에서,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설페이트계 및 아조비스계 중합개시제; 아이오딘을 함유한 화합물의 사슬 이동제; 및 퍼옥사이드계 촉매를 유화중합을 수행하는 바, 이러한 성분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는 일반적인 분산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 등에서 사용되는 라디칼 개시가 가능한 모든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시안계 비닐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디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디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렌; 디비닐벤젠; 에틸비닐벤젠; 알파메틸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비닐피리딘; 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 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는, 반응용매에 대하여 2 ∼ 4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5 ∼ 30 중량% 범위로 사용되는 바, 상기 사용량이 2 중량% 미만이면 반응 효율이 저하되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간의 응집이 발생하여 구형의 입자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중합개시제는 자유라디칼로 해리된 상태에서 이온성 작용기 내지 친수성 말단기를 포함하여 고분자 중합반응을 개시시킴과 동시에 생성되는 고분자 입자간의 엉김을 정전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페이트계 및 아조비스계 중합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암모늄퍼설페이트; 포타슘퍼설페이트; 소듐퍼설페이트; 암모늄바이설페이트; 소듐바이설페이트; 1,1-아조비스(1-메틸부티로나이트릴-3-소듐설포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산)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포타슘퍼설페이트, 암모늄퍼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개시제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로 사용되는 바, 상기 사용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중합반응의 속도가 현 격히 감소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체촉진반응(auto-acceleration)으로 인하여 겔화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중합개시제는 사슬이동제 1 중량에 대하여 0.5 ∼ 5.0 중량비 범위로 사용한다.
사슬 이동제는 제조될 고분자의 분자량, 분자량 분포 등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합 시 사용된 물질로 본 발명은 아이오딘을 함유한 화합물을 사슬 이동제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유기 아이오딘, 무기 아이오딘, 분자 아이오딘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아이오딘, 포타슘아이오디드, 소디움아이오디드, 리튬아이오디드, 브롬아이오디드, 아이오딘모노크로라이드, 마그네슘아이오디드, 포스포러스트리아이오디드, 및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아이오디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슬 이동제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에 대하여 0.01 ∼ 50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바, 이의 사용량에 따라 고분자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를 조절이 가능하다.
촉매는 중합 개시제가 자유라디칼로 해리되는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퍼옥사이드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하이드로메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또는 아세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촉매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의 0.001 ∼ 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05 ∼ 1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01 ∼ 0.5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바, 상기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반응속도가 너무 느려 입자가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고 너무 많으면 고분자 입자의 분자량을 조절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유화중합 및 분산중합 등에 서브 마이크론 크기의 입자를 생성시키며, 입자의 구형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유화제를 혼합 사용하는 바, 상기 유화제는 수용성으로 유화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다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유화제로 설페이트 및 설포네이트, 예를 들면, 나트륨도데실설페이트(SDS), 나트륨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나트륨도데실나프탈렌설페이트, 디알킬벤젠알킬설페이트 및 설포네이트; 아비트산; 헥사데칸설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유화제의 예로는 암모늄, 예를 들면, 디알킬벤젠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벤질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벤즈알코늄클로라이드, 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유화제로는 알코올, 산, 셀룰로오스 및 에테르,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메탈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디알킬페녹시폴리(에틸렌옥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나트륨도데실설페이트(SDS), 나트륨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나트륨도데실나프탈렌설페이트, 디알킬벤젠알킬설페이트 및 설포네이트; 아비트산; 헥사데칸설포네이트 중에서 1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나트륨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디알킬벤젠알킬설포네이트; 헥사데칸설포네이트 중에서 1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유화제는 반응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1 ∼ 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는 바,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입자의 균일도가 저하되고 입자의 응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자가 생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반응용매로는 유화중합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은 물을 사용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통상의 유화 중합반응에 사용되는 공지의 첨가제가 통상적인 용도와 방법으로 부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틸 알데히드;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 아세트알데히드 또는 머캅탄 등의 중합 조절제나 pH 조절제, 가교 결합제, 스케일 방지제, 염료 및 안료 등이 필요에 따라 부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화중합은 40 ∼ 100 ℃, 바람직하기로는 60 ∼ 90 ℃에서; 2 ∼ 24 시간, 바람직하기로는 5 ∼ 10 시간동안; 50 ∼ 500 rpm, 바람직하기로는 100 ∼ 300 rpm 교반속도로 암실에서 단일공정으로 수행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얻어진 비닐계 고분자 입자는 질량평균분자량이 35,000 ∼ 120,000이고, 평균입경이 130 ∼ 220 ㎚인 균일한 구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입자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기기를 검정할 때 사용되는 표준물질, 생화학에 서의 지지체, 생의학 분야, 나노 분야, 코팅, 잉크, 복사용 중합 토너 등의 정보산업분야, 미세 전자기기 등의 고부가가치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
냉각기가 달려있는 3구 둥근 플라스트 반응기 내부를 아르곤 가스로 퍼지 하면서 증류된 탈이온수 90 g과 수용성 유화제인 헥사데칸 설포네이트 0.3 g을 넣고 200 rpm으로 교반 가열하면서 마이셀을 형성하였다. 반응기 내부 온도가 85 ℃에 다다르면 스티렌 단량체 10 g과 아이오딘을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 ∼ 0.259 g으로 변화하여 반응기 내부에 넣었다. 반응 개시제로서 포타슘퍼설페이트(KPS)를 스티렌 단량체에 대하여 1 중량%가 되도록 탈이온수 10 g에 녹여서 반응기 내부에 주입하고, 촉매로서 하이드로퍼옥사이드 1 ml를 반응기 내부에 적하하며 반응기 내부를 빛이 없는 상태에서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때, 혼합물의 반응기를 85 ℃로 유지시키며 250 rpm으로 교반하면서 7시간동안 중합하여 폴리스티렌 입자를 얻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폴리스티렌 입자의 크기는 중합된 고분자를 원심 분리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입자 사진을 분석하고, 고분자의 질량평균분자량을 GPC로 분석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아이오딘 (g) KPS (g) 물 (g) 촉매 (ml) 생성물의 형태 전환율 (%) 직경 (nm) 질량평균 분자량
0.000 0.1 100 0 구형(균일) 88 180 826,058
0.021 0.1 100 1 구형(균일) 82 150 96,428
0.064 0.1 100 1 구형(균일) 87 180 86,609
0.129 0.1 100 1 구형(불균일) 87 200∼600 57,021
0.259 0.1 100 1 구형(불균일) 60 170∼700 35,508
상기 표 1의 분석 결과, 얻어진 폴리스티렌 중합체는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고 평균입경이 약 140 ∼ 150 ㎚인 서브 마이크론의 안정한 구형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아이오딘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아이오딘을 0.129 g으로 고정하고 포타슘퍼셀페이트의 양을 0.069 ∼ 0.622 g으로 변화하여 반응을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폴리스티렌 입자의 크기는 중합된 고분자를 원심 분리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입자 사진을 분석하고, 고분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GPC로 분석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KPS (g) 아이오딘 (g) 물 (g) 촉매 (ml) 생성물의 형태 전환율 (%) 직경 (nm) 질량평균 분자량
0.069 0.129 100 1 구형 82 220 72,170
0.138 0.129 100 1 구형 84 180 69,681
0.276 0.129 100 1 구형 92 150 60,860
0.553 0.129 100 1 구형 91 130 35,650
0.622 0.129 100 1 구형 99 150 30,635
상기 표 2의 분석 결과, 얻어진 폴리스티렌 중합체는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고 평균입경이 약 130 ∼ 220 ㎚인 서브 마이크론의 안정한 구형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아이오딘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포타슘퍼설페이트와 아이오딘의 혼합몰비가 4.5:1로 고정하고 그 합을 0.1 ∼ 1.75 g으로 변화하여 반응을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폴리스티렌 입자의 크기는 중합된 고분자를 원심 분리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입자 사진을 분석하고, 고분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GPC로 분석한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KPS (g) 아이오딘 (g) 물 (g) 촉매 (ml) 생성물의 형태 전환율 (%) 직경 (nm) 질량평균 분자량
0.668 0.014 100 1 구형 89 140 126,116
0.087 0.018 100 1 구형 81 180 100,221
0.122 0.026 100 1 구형 85 170 74,478
0.204 0.043 100 1 구형 88 150 60,426
0.622 0.129 100 1 구형 99 150 30,635
상기 표 3의 분석 결과 얻어진 폴리스티렌 중합체는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고 평균입경이 약 130 ∼ 220 나노미터인 서브 마이크론의 안정한 구형 입자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포타슘퍼설페이트와 아이오딘의 합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결론적으로, 개시제인 포타슘퍼설페이트의 혼합량을 고정하고 사슬 이동제인 아이오딘의 혼합량을 변화시킨 실시예 1; 상기 실시예 1을 기준으로 사슬 이동제인 아이오딘의 혼합량을 고정하고, 개시제인 포타슘퍼설페이트의 혼합량을 변화시킨 실시예 2; 포타슘퍼설페이트와 아이오딘의 혼합몰비가 4.5:1로 고정하고 그 합을 변화시킨 실시예 3에서 질량평균분자량이 35,000 ∼ 120,000이고, 고분자 입자의 직경이 130 ∼ 220 나노미터인 서브 마이크론의 안정한 구형의 폴리스티렌 입자가 제조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스티렌 입자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질량평균분자량이 96,428이고, 평균입경이 150 ㎚이다.

Claims (10)

  1. 암실 및 반응용매하에서,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설페이트계 및 아조비스계 중합개시제; 아이오딘(I2)을 함유한 화합물의 사슬 이동제; 및 퍼옥사이드계 촉매를 혼합하고,
    40 ∼ 100 ℃ 온도에서 2 ∼ 24 시간동안 50 ∼ 500 rpm의 교반속도로 유화중합하여 질량평균분자량이 35,000 ∼ 120,000인 저분자량의 비닐계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ITP 유화중합에 의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암모늄퍼설페이트, 포타슘퍼설페이트, 소듐퍼설페이트, 암모늄바이설페이트, 소듐바이설페이트, 1,1-아조비스(1-메틸부티로나이트릴-3-소듐설포네이트) 및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산)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 이동제는 아이오딘, 포타슘아이오디드, 소디움아이오디드, 리튬아이오디드, 브롬아이오디드, 아이오딘모노크로라이드, 마그네슘 아이오디드, 포스포러스트리아이오디드, 및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아이오디드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하이드로메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아세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사슬이동제 1 중량에 대하여 0.5 ∼ 5.0 중량비 범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 이동제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에 대하여 0.01 ∼ 50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에 대하여 0.001 ∼ 5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는 반응용매에 대하여 2 ∼ 40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 1 항에서 있어서, 상기 비닐계 고분자 입자는 평균입경이 130 ∼ 220 ㎚인 균일한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80019730A 2008-03-03 2008-03-03 Ritp 유화중합법에 의한 저분자량의 비닐계 고분자입자의 제조방법 KR100983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30A KR100983110B1 (ko) 2008-03-03 2008-03-03 Ritp 유화중합법에 의한 저분자량의 비닐계 고분자입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730A KR100983110B1 (ko) 2008-03-03 2008-03-03 Ritp 유화중합법에 의한 저분자량의 비닐계 고분자입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653A true KR20090094653A (ko) 2009-09-08
KR100983110B1 KR100983110B1 (ko) 2010-09-17

Family

ID=4129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730A KR100983110B1 (ko) 2008-03-03 2008-03-03 Ritp 유화중합법에 의한 저분자량의 비닐계 고분자입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1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999B1 (ko) * 2011-08-03 2015-04-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Ritp 중합법과 용액 재결정법을 이용한 안정화된 단분산 구형 고분자 입자의 제조 방법
KR20170062792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N113272334A (zh) * 2019-02-11 2021-08-17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碘转移聚合方法和其组合物
CN113557249A (zh) * 2019-02-11 2021-10-26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反向碘转移聚合方法和由其获得的组合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999B1 (ko) * 2011-08-03 2015-04-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Ritp 중합법과 용액 재결정법을 이용한 안정화된 단분산 구형 고분자 입자의 제조 방법
KR20170062792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N113272334A (zh) * 2019-02-11 2021-08-17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碘转移聚合方法和其组合物
CN113557249A (zh) * 2019-02-11 2021-10-26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反向碘转移聚合方法和由其获得的组合物
CN113272334B (zh) * 2019-02-11 2023-11-03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碘转移聚合方法和其组合物
CN113557249B (zh) * 2019-02-11 2023-11-03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反向碘转移聚合方法和由其获得的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110B1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0221B2 (ja) ラテックスポリマーを調製する方法
JP4819484B2 (ja) トナー製造法
US5455315A (en)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es and toners thereof
JP3923502B2 (ja) 微粒子トナーの製造方法
US6455219B1 (en)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making silica-containing latex for toners
KR100983110B1 (ko) Ritp 유화중합법에 의한 저분자량의 비닐계 고분자입자의 제조방법
JP2005062887A (ja) トナー製造プロセス
KR100751598B1 (ko) 무유화 유화중합으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비닐계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KR20110010581A (ko) 중합 토너의 제조 방법
KR20050076328A (ko) 결정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아-쉘 고분자 라텍스 및 그의제조 방법
JP2007121665A (ja) 正帯電性カプセル化無機微粒子、正帯電性カプセル化無機微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トナー
JP2008231306A (ja) 着色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37105A (ja) 単分散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
JP2573287B2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JP2007121663A (ja) 負帯電性カプセル化シリカ、負帯電性カプセル化シリカの製造方法、およびトナー
JP3768200B2 (ja) トナー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5041934A (ja) 有機ナノ粒子分散体、これを用いた塗料及びナノコンポジット、並びに有機ナノ粒子分散体の製造方法
JP4580156B2 (ja) 分散体
JP3556000B2 (ja) 樹脂粒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2573296B2 (ja) 電子写真用トナーの製造方法
KR20120110886A (ko) Ritp 및 무유화 유화중합법을 통한 고분자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학 중합 토너의 제조 방법
KR100926347B1 (ko) 알칼리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한 부정형 중합 토너의 제조방법
JP2748147B2 (ja) 重合カラート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3006862B2 (ja) 電子写真用ト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37032A (ko) 중합형 전자사진용 건식 토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