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273A - 반사 방지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반사 방지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273A
KR20090092273A KR1020097009948A KR20097009948A KR20090092273A KR 20090092273 A KR20090092273 A KR 20090092273A KR 1020097009948 A KR1020097009948 A KR 1020097009948A KR 20097009948 A KR20097009948 A KR 20097009948A KR 20090092273 A KR20090092273 A KR 20090092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index layer
high refractive
mas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모츠 모리모토
미치히사 도미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2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02B1/116Multilayers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ng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층 구성이 단순하고, 가시광 투과율이 높고, 가시광 반사율이 낮고, 내지문부착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체 및 시인성이 양호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기체 (10) 와 반사 방지막 (20) 을 가지며, 반사 방지막 (20) 은, 기체 (10)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주석, 갈륨 및 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는 제 1 고굴절률층 (22) 과, 은 및 팔라듐을 함유하고, 팔라듐의 함유량이 금속층 (100 질량%) 중 3∼20 질량% 인 금속층 (24) 과, 주석, 갈륨 및 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는 제 2 고굴절률층 (26) 과, 저굴절률층 (28) 을 갖는 반사 방지체 (1); 및 반사 방지체 (1) 가 디스플레이 본체의 시인측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Description

반사 방지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ANTI-REFLECTION PRODUCT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반사 방지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본체의 시인측에 반사 방지체를 형성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그 반사 방지체로는, 기체 (基體) 와 반사 방지막을 가지며, 그 반사 방지막이, 기체측으로부터 투명한 저굴절률 유전체층, 투명한 고굴절률 유전체층, 및 투명한 저굴절률 도전체층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그러나, 그 반사 방지체에 있어서는, 저반사가 되는 파장 범위를 넓게 하기 위해, 반사 방지막을 구성하는 층의 수를 늘릴 필요가 있고, 이것에 수반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층 구성이 단순한 반사 방지체로는, 기체와 반사 방지막을 가지며, 그 반사 방지막이, 기체측으로부터 광 흡수성층 및 실리카층을 갖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그러나, 그 반사 방지체에 있어서는 광 흡수성층을 가지므로, 가시광 투과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층 구성이 단순하고, 또한 가시광 투과율이 높은 반사 방지체로는, 기체와 반사 방지막을 가지며, 그 반사 방지막이, 기체측으로부터 고굴절률층, 은층, 배리어층 및 저굴절률층을 갖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3). 그러나, 그 반사 방지체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막에 부착된 지문을 장시간 방치하면, 반사 방지막에 지문 흔적이 남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168102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56964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324601호
도 1 은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예 5 의 반사 방지체의 반사 스펙트럼이다.
도 3 은 예 5 의 반사 방지체의 투과 스펙트럼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사 방지체
10 : 기체
20 : 반사 방지막
22 : 제 1 고굴절률층
24 : 금속층
26 : 제 2 고굴절률층
28 : 저굴절률층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반사 방지체>
도 1 은,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반사 방지체 (1) 는, 기체 (10) 와, 기체 (10) 상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 (20) 을 갖는다.
(기체)
기체 (10) 로는, 유리판, 플라스틱판,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막)
반사 방지막 (20) 은, 기체 (10)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고굴절률층 (22) 과, 금속층 (24) 과, 제 2 고굴절률층 (26) 과, 저굴절률층 (28) 을 갖는다.
(고굴절률층)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1.8∼2.5 이고, 1.9∼2.3 이 바람직하고, 1.9∼2.2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을 그 범위로 함으로써, 450㎚∼700㎚ 의 넓은 파장 영역에 있어서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굴절률은, 파장 550㎚ 의 광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은, 주석, 갈륨 및 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는 층이다.
이하, 인듐 및 주석을 산화물로서 함유하는 고굴절률층을 ITO 층이라고 한다. 또, 인듐, 주석 및 갈륨을 산화물로서 함유하는 층을 GIT 층이라고 한다. 또, 인듐 및 세륨을 산화물로서 함유하는 고굴절률층을 ICO 층이라고 한다. 또, 인듐 및 갈륨을 산화물로서 함유하는 고굴절률층을 GIO 층이라고 한다.
ITO 층 :
ITO 층에 있어서, 인듐 및 주석은, 산화인듐, 산화주석, 및 이들의 복합 산화물이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ITO 층에 있어서의 인듐 원자 및 주석 원자의 함유량은,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 ESCA (X 선 광 전자 분광법) 또는 러더퍼드 (Rutherford)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여 구해진다. 또, 그 층을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사용한 타깃과 거의 동일한 조성의 층이 형성되므로,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해도 된다.
ITO 층에 있어서의 인듐 원자의 함유량은, ITO 층 (100 질량%) 중 33∼75 질량% 가 바람직하고, 33∼68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41∼58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내지문부착성을 얻을 수 있다.
ITO 층에 있어서의 주석 원자의 함유량은, ITO 층 (100 질량%) 중 7∼48 질량% [3.2∼21.1 원자%] 가 바람직하고, 14∼48 질량% [6.5∼21.1 원자%] 가 보다 바람직하고, 23∼40 질량% [10.4∼17.8 원자%]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 ] 안의 값은, 주석 원자의 함유량을 원자수 기준의 값으로 환산한 것이다. 주석 원자의 함유량을 7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내지문부착성을 얻을 수 있고, 14 질량% 이상, 나아가서는 23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내지문부착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주석 원자의 함유량이 48 질량% 이하인 것에 의해, 균질한 막질의 ITO 층을 안정적으로 성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바람직하다. ITO 층에 있어서는, 층 중의 주석 원자의 함유량이 내지문부착성의 효과와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우수한 내지문부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ITO 층에는,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인듐 및 주석을 제외한 다른 금속이 산화물로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갈륨,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금속의 원자의 함유량은, ITO 층에 함유되는 전체 금속 원자 (100 질량%) 중 1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GIT 층 :
GIT 층에 있어서, 인듐, 주석 및 갈륨은,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갈륨 및 이들의 복합 산화물이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GIT 층에 있어서의 인듐 원자, 주석 원자 및 갈륨 원자의 함유량은,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 ESCA 또는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여 구해진다. 또, 그 층을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사용한 타깃과 거의 동일한 조성의 층이 형성되므로,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해도 된다.
GIT 층에 있어서의 인듐 원자의 함유량은, GIT 층 (100 질량%) 중 2∼12 질량% 가 바람직하고, 2∼9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GIT 층에 있어서의 주석 원자의 함유량은, GIT 층 (100 질량%) 중 63∼77 질량% 가 바람직하고, 67∼76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주석 원자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균질한 막질의 GIT 층을 안정적으로 성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GIT 층에 있어서의 갈륨 원자의 함유량은, GIT 층 (100 질량%) 중 1∼4 질량% 가 바람직하고, 1∼3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갈륨 원자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균질한 막질의 GIT 층을 안정적으로 성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GIT 층에는,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인듐, 주석 및 갈륨을 제외한 다른 금속이 산화물로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티탄, 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소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금속의 원자의 함유량은, GIT 층에 함유되는 전체 금속 원자 (100 질량%) 중 1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ICO 층 :
ICO 층에 있어서, 인듐 및 세륨은, 산화인듐, 산화세륨, 및 이들의 복합 산화물이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ICO 층에 있어서의 인듐 원자 및 세륨 원자의 함유량은,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 ESCA 또는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여 구해진다. 또, 그 층을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사용한 타깃과 거의 동일한 조성의 층이 형성되므로,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해도 된다.
ICO 층에 있어서의 인듐 원자의 함유량은, ICO 층 (100 질량%) 중 29∼75 질량% 가 바람직하고, 29∼67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38∼57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ICO 층에 있어서의 세륨 원자의 함유량은, ICO 층 (100 질량%) 중 8∼52.1 질량% [3.2∼21.1 원자%] 가 바람직하고, 16∼52.1 질량% [6.5∼21.1 원자%] 가 보다 바람직하고, 26∼44 질량% [10.4∼17.8 원자%]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 ] 안의 값은, 세륨 원자의 함유량을 원자수 기준의 값으로 환산한 것이다. 세륨 원자의 함유량을 8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내지문부착성을 얻을 수 있고, 16 질량% 이상, 나아가서는 26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내지문부착성을 얻을 수 있다. ICO 층에 있어서는, 층 중의 세륨 원자의 함유량이 내지문부착성의 효과와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ITO 층에 있어서의 주석 원자의 작용과 동일한 것으로 생각되고, ITO 층에 있어서의 주석 원자의 원자수 기준에서의 함유량과 동일한 양의 세륨 원자가 ICO 층 중에 함유됨으로써, ITO 층의 경우와 동일한 우수한 내지문부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세륨 원자의 함유량을 52.1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스퍼터 레이트가 높아도 기체의 온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체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 스퍼터링시의 기체의 열에 의한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ICO 층에는,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인듐 및 세륨을 제외한 다른 금속이 산화물로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티탄, 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소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금속의 원자의 함유량은, ICO 층에 함유되는 전체 금속 원자 (100 질량%) 중 1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GIO 층 :
GIO 층에 있어서, 갈륨 및 인듐은, 산화갈륨, 산화인듐, 및 이들의 복합 산화물이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GIO 층에 있어서의 인듐 원자 및 갈륨 원자의 함유량은,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 ESCA 또는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여 구해진다. 또, 그 층을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사용한 타깃과 거의 동일한 조성의 층이 형성되므로,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해도 된다.
GIO 층에 있어서의 인듐 원자의 함유량은, GIO 층 (100 질량%) 중 33∼50 질량% 가 바람직하고, 37∼46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GIO 층에 있어서의 갈륨 원자의 함유량은, GIO 층 (100 질량%) 중 30∼45 질량% 가 바람직하고, 34∼41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GIO 층에는,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인듐 및 갈륨을 제외한 다른 금속이 산화물로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티탄, 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소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금속의 원자의 함유량은, GIO 층에 함유되는 전체 금속 원자 (100 질량%) 중 1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1 고굴절률층과 제 2 고굴절률층은, 재료 및 조성이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 1 고굴절률층과 제 2 고굴절률층은, 동일한 재료 또한 동일한 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고굴절률층과 제 2 고굴절률층이 동일한 재료 또한 동일한 조성이면,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의 제조시에 장치를 간략화할 수 있고, 또는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는, 제 1 고굴절률층 (22) 이 ITO 층인 경우, 20∼40㎚ 가 바람직하고, 25∼35㎚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범위로 함으로써, 450㎚∼700㎚ 의 넓은 파장 영역에 대해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는, 제 1 고굴절률층 (22) 이 GIT 층인 경우, 20∼40㎚ 가 바람직하고, 25∼35㎚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범위로 함으로써, 450㎚∼700㎚ 의 넓은 파장 영역에 대해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는, 제 1 고굴절률층 (22) 이 ICO 층인 경우, 15∼35㎚ 가 바람직하고, 20∼30㎚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범위로 함으로써, 450㎚∼700㎚ 의 넓은 파장 영역에 대해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는, 제 1 고굴절률층 (22) 이 GIO 층인 경우, 20∼40㎚ 가 바람직하고, 20∼30㎚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범위로 함으로써, 450㎚∼700㎚ 의 넓은 파장 영역에 대해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는, 제 2 고굴절률층 (26) 이 ITO 층인 경우, 12∼30㎚ 가 바람직하고, 15∼25㎚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범위로 함으로써, 450㎚∼700㎚ 의 넓은 파장 영역에 대해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는, 제 2 고굴절률층 (26) 이 GIT 층인 경우, 12∼30㎚ 가 바람직하고, 15∼25㎚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범위로 함으로써, 450㎚∼700㎚ 의 넓은 파장 영역에 대해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는, 제 2 고굴절률층 (26) 이 ICO 층인 경우, 8∼25㎚ 가 바람직하고, 10∼20㎚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범위로 함으로써, 450㎚∼700㎚ 의 넓은 파장 영역에 대해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는, 제 2 고굴절률층 (26) 이 GIO 층인 경우, 12∼30㎚ 가 바람직하고, 15∼25㎚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범위로 함으로써, 450㎚∼700㎚ 의 넓은 파장 영역에 대해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막두께는, 촉침식 표면 거침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성막된 부분과 성막되지 않은 부분을 연속적으로 주사하고, 높이의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구해진다.
(금속층)
금속층 (24) 은, 은 및 팔라듐을 함유하는 층이다.
은의 함유량은, 금속층 (24) (100 질량%) 중 80∼97 질량% 이고, 90∼97 질량% 가 바람직하고, 90∼9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은의 함유량이 상한 이하이면 우수한 내지문부착성이 얻어지고, 하한 이상이면 높은 가시광 투과율을 얻을 수 있다.
팔라듐의 함유량은, 금속층 (24) (100 질량%) 중 3∼20 질량% 이고, 3∼10 질량% 가 바람직하고, 5∼1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팔라듐의 함유량을 3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반사 방지체가 내지문부착성이 우수하다. 팔라듐의 함유량을 2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반사 방지체의 가시광 투과율이 높아진다.
금속층 (24) 에 있어서의 은 및 팔라듐의 함유량은,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 ESCA 또는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된다.
금속층 (24) 에는,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은 및 팔라듐을 제외한 다른 금속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금, 백금, 주석, 갈륨, 알루미늄, 이리듐, 로듐, 니켈, 철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층 (24) 의 막두께는 5∼10㎚ 가 바람직하고, 6∼8㎚ 가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10㎚ 이하로 함으로써, 450㎚∼700㎚ 의 넓은 파장 영역에 있어서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고, 5㎚ 이상으로 함으로써 플랫한 반사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저굴절률층)
저굴절률층 (28) 은 굴절률이 1.3∼1.6 인 층이다.
저굴절률층 (28) 의 재료로는, 실리카 (굴절률 1.46), 불화마그네슘 (굴절률 1.38), 불화칼륨 (굴절률 1.3∼1.4) 등을 들 수 있다.
저굴절률층 (28) 으로는,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점, 기계적 강도가 높은 점에서, 실리카를 함유하는 층 (이하, 실리카층이라고 한다) 이 바람직하다. 실리카층에 있어서의 규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의 함유량은, ESCA 또는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여 구해진 규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의 함유량으로서 나타낸다.
규소 원자의 함유량은, 실리카층 (100 질량%) 중 30∼60 질량% 가 바람직하고, 40∼5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산소 원자의 함유량은, 실리카층 (100 질량%) 중 40∼70 질량% 가 바람직하고, 50∼6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투과율을 얻을 수 있다.
실리카층에는,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금속이 산화물로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갈륨, 인듐, 알루미늄, 마그네슘, 주석 등을 들 수 있다.
또, 실리카층을 형성할 때 사용한 가스에서 유래되는 원자 등이 실리카층 중에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실리카층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가스로는, 아르곤, 질소, 헬륨, 네온 등을 들 수 있다. 그 가스에서 유래되는 원자의 함유량은, 실리카층 (100 질량%) 중 2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저굴절률층 (28) 의 막두께는 50∼70㎚ 가 바람직하고, 55∼65㎚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저굴절률층 (28) 의 막두께를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장파장 영역 (600㎚ 이상) 에 있어서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고, 70㎚ 이하로 함으로써 단파장측 (500㎚ 이하) 에 있어서 낮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각 층을 각각 소정의 광학적 막두께 (굴절률×물리적 막두께) 로 구성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광학 특성 (투과율, 반사율) 을 갖는 반사 방지체 (1) 를 얻을 수 있다.
각 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진공 증착법, 반응성 증착법, 이온 빔 어시스트 증착법, 스퍼터법, 이온 플레이트법 등의 물리 기상 석출법; 플라즈마 CVD 법 등의 화학 기상 석출법 등을 들 수 있다. 대면적이고 균일 막두께가 얻어지기 쉬운 이유에서 스퍼터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밖의 층)
반사 방지막 (20) 의 표면에는, 반사 방지막 (20) 을 보호하고, 오염 방지 성능을 높이기 위해 방오층(防汚層)을 형성해도 된다.
방오층으로는, 퍼플루오로실란, 플루오로카본 등을 함유하는 발유성 막이 바람직하다. 방오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증착법, 도포 건조법 등을 들 수 있다.
방오층의 막두께는 40㎚ 이하가 바람직하고, 5∼20㎚ 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체 (10) 와 반사 방지막 (20) 사이에는, 반사 방지체 (1) 에 원하는 경도를 부여하기 위해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도 된다.
하드 코트층으로는, 투명성이 있고, 기체 (10) 의 굴절률과 동등하거나, 또는 기체 (10) 의 굴절률에 대해 ±0.1 이내의 굴절률인 층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의 재료로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바 코트법, 독터 블레이드법, 리버스 롤 코트법, 그라비아 롤 코트법 등의 공지된 도포법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의 막두께는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금속층 (24) 과 제 2 고굴절률층 (26) 사이에는, 금속층 (24) 의 산화를 방지하고, 금속층 (24) 과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리어층을 형성해도 된다.
배리어층으로는, 각종 금속의 질화물, 질화실리콘 등의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배리어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증착법, 스퍼터법, CVD 법 등을 들 수 있다.
배리어층의 막두께는 5㎚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의 시감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이다. 1.5 이하인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등의 용도에 있어서 실용적인 시감 반사율로 할 수 있다. 시감 반사율은 낮으면 낮을수록 좋은데, 시감 반사율을 안정시켜 제조할 수 있는 관점에서 통상적으로 하한은 0.2 이다.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의 시감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70% 이상으로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등의 용도에 있어서 실용적인 시감 투과율로 할 수 있다. 시감 투과율은 높으면 높을수록 좋은데, 내지문부착성과의 밸런스에서 상한은 90%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는, 디스플레이 장치, 광학 소자, 창 등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본체의 화면; 건축물, 자동차 등의 창; 전시용 쇼케이스 등을 구성하는 유리, 플라스틱 등을 기체로 하여, 그 기체 상에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여 반사 방지체로 해도 된다. 또, 디스플레이 본체의 화면; 건축물, 자동차 등의 창; 전시용 쇼케이스 등을 구성하는 유리, 플라스틱 등의 표면에 반사 방지체를 부착해도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본체와, 그 디스플레이 본체의 시인측에 형성된 반사 방지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액정 표시 장치 (LCD),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 (ELD), 음극선관 표시 장치 (CRT),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 (FED) 등을 들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의 화면은, 통상적으로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본체의 화면에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를 직접 부착해도 되고, 디스플레이 본체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를 설치해도 된다.
또, 디스플레이 본체의 시인측에 새롭게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면판 (前面板) 을 설치하고, 이 전면판의 시인측 또는 디스플레이측에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를 직접 부착해도 된다. 또, 전면판의 시인측 또는 디스플레이측에, 전면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를 설치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에 있어서는, 기체 상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이, 기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고굴절률층, 금속층, 제 2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을 가지므로, 층 구성이 단순하고, 가시광 투과율이 높고, 가시광 반사율이 낮다. 또, 제 1 고굴절률층 및 제 2 고굴절률층이, 주석, 갈륨 및 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고, 또한 금속층이 은 및 팔라듐을 함유하고, 은의 함유량이 금속층 (100 질량%) 중 80∼97 질량% 이고, 팔라듐의 함유량이 금속층 (100 질량%) 중 3∼20 질량% 이므로, 내지문부착성이 우수하다.
또,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본체의 시인측에 가시광 투과율이 높고, 가시광 반사율이 낮고, 내지문부착성이 우수한 반사 방지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인성이 양호하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층 구성이 단순하고, 가시광 투과율이 높고, 가시광 반사율이 낮고, 내지문부착성 (耐指紋付着性) 이 우수한 반사 방지체 및 시인성이 양호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는, 기체와 반사 방지막을 가지며, 그 반사 방지막은, 상기 기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주석, 갈륨 및 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고, 굴절률이 1.8∼2.5 인 제 1 고굴절률층과, 은 및 팔라듐을 함유하고, 은의 함유량이 금속층 (100 질량%) 중 80∼97 질량% 이고, 팔라듐의 함유량이 금속층 (100 질량%) 중 3∼20 질량% 인 금속층과, 주석, 갈륨 및 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고, 굴절률이 1.8∼2.5 인 제 2 고굴절률층과, 굴절률이 1.3∼1.6 인 저굴절률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본체와, 그 디스플레이 본체의 시인측에 형성된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는, 층 구성이 단순하고, 가시광 투과율이 높고, 가시광 반사율이 낮고, 내지문부착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인성이 양호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고굴절률층에 있어서의 각 금속 원자의 함유량)
고굴절률층에 있어서의 각 금속 원자의 함유량은,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 ESCA 또는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여 구하였다.
ESCA 에 의한 측정은, 알박·파이사 제조, 장치명 : ESCA5500 을 이용하고, 이하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X 선원 : 단색화 Al,
X 선 : Kα 선,
검출기의 각도 : 시료면에 대해 45°.
러더퍼드 후방 산란 분광법에 의한 측정은, National Electrostatics Corporation 사 제조, 장치명 : Pelletron accelerator, 3UH 를 이용하고, 이하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빔 에너지 : 2300keV,
이온 종류 : He+,
산란각 : 170°, 100°,
빔 입사각 : 시료면의 법선에 대해 7°,
시료 전류 : 30㎁,
빔 조사량 : 40μC.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에 의한 측정은, 닛폰 전자사 제조, 장치명 : X 선 마이크로 애널라이저 JXA-8800RL 을 이용하고, 이하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가속 전압 : 7.0㎸,
조사 전류 : 0.01㎂,
분석 방법 : 정량 분석,
분석 범위 : Φ100㎛.
(저굴절률층에 있어서의 규소 원자의 함유량)
저굴절률층에 있어서의 규소 원자의 함유량은, 상기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 ESCA 또는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여 구하였다.
(금속의 함유량)
금속층에 있어서의 각 금속 원자의 함유량은, 상기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 ESCA 또는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여 구하였다.
(시감 반사율)
반사 방지체 (1) 의 반사율을, 반사 방지막 (20) 측으로부터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UV-3150) 에 의해 측정하고, 그 반사율로부터 시감 반사율 (JIS Z 8701 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자극값 Y) 을 구하였다.
(시감 투과율)
반사 방지체 (1) 의 투과율을, 반사 방지막 (20) 측으로부터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UV-3150) 에 의해 측정하고, 그 투과율로부터 시감 투과율 (JIS Z 8701 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자극값 Y) 을 구하였다.
(내지문부착성)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준비하였다.
그 샘플의 제 2 고굴절률층 (26) 표면에 지문을 부착시키고, 온도 40℃, 습도 90% 의 환경하에 있어서 120 시간 방치한 후, 지문을 닦아내고, 외관을 관찰하였다.
지문을 부착시킨 지점에 변화가 보이지 않는 것을 ○, 지문을 부착시킨 지점에 변화가 보이는 것을 ×, 지문을 부착시킨 지점에 약간 변화가 보이지만, 실용상 문제는 없는 것을 △ 로 평가하였다.
[예 1 (비교예)]
아르곤 가스 95 체적% 및 산소 가스 5 체적% 의 혼합 가스를 도입하면서, 산화주석 및 산화인듐의 혼합 타깃 [산화주석:산화인듐=40:60 (질량비)] (스미토모 금속 광산사 제조, 상품명 : 40wt% ITO 타깃) 을 이용하여, 압력 0.43㎩, 주파수 50㎑, 전력 밀도 2.5W/㎠, 반전 펄스폭 2μ 초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실시하여, 기체 (10) 인 두께 100㎛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표면에, 막두께 32㎚, 굴절률 2.12 인 제 1 고굴절률층 (22) 을 형성하였다.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 (EPMA : Electron Probe Micro Analysis) 에 의해 측정한 결과, 제 1 고굴절률층 (22) 에 있어서, 전체 원자 합계 (100 원자%) 중 인듐은 21.5 원자%, 주석은 12.8 원자%, 산소는 65.7 원자% 이었다.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조성비를 질량% 로 환산하면, 인듐은 49.0 질량%, 주석은 30.1 질량%, 산소는 20.9 질량% 이었다.
아르곤 가스를 도입하면서, 순은 타깃 (타나카 귀금속 공업사 제조, 상품명 : Ag 타깃) 을 이용하여, 압력 0.44㎩, 주파수 50㎑, 전력 밀도 2.5W/㎠, 반전 펄스폭 10μ 초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실시하여,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표면에, 막두께 7㎚ 의 금속층 (24) 을 형성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면, 금속층 (24) (100 질량%) 중 은은 99.9 질량% 이상이다.
아르곤 가스 95 체적% 및 산소 가스 5 체적% 의 혼합 가스를 도입하면서, 산화인듐 및 산화주석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주석=60:40 (질량비)] (스미토모 금속 광산사 제조, 상품명 : 40wt% ITO 타깃) 을 이용하여, 압력 0.43㎩, 주파수 50㎑, 전력 밀도 2.5W/㎠, 반전 펄스폭 2μ 초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실시하여, 금속층 (24) 의 표면에 막두께 16㎚, 굴절률 2.12 인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였다. 전자 프로브 마이크로 애널라이저 (EPMA : Electron Probe Micro Analysis) 에 의해 측정하면,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은 제 1 고굴절률층 (22) 과 동일하다.
아르곤 가스 60 체적% 및 산소 가스 40 체적% 의 혼합 가스를 도입하면서, 붕소를 도프한 실리콘 타깃 (신쿠 야금사 제조, 상품명 : B 도프 실리콘 타깃) 을 이용하여, 압력 0.21㎩, 주파수 50㎑, 전력 밀도 3.7W/㎠, 반전 펄스폭 5μ 초의 조건에서 펄스 스퍼터링을 실시하여,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표면에 막두께 60㎚, 굴절률 1.46 인 저굴절률층 (28) 을 형성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저굴절률층 (28) 에 있어서, 전체 원자 합계 (100 원자%) 중 규소는 31.5 원자%, 산소는 68.2 원자%, 아르곤은 0.3 원자% 이었다. 상기 저굴절률층 (28) 의 조성비를 질량% 로 환산하면, 규소는 44.4 질량%, 산소는 55.0 질량%, 아르곤은 0.6 질량% 이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한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예 2 (비교예)]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팔라듐을 1.0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 공업사 제조, 상품명 : AgPd 1wt% 타깃)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면, 금속층 (24) (100 질량%) 중 은은 99 질량%, 팔라듐은 1 질량% 이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예 3 (비교예)]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팔라듐을 2.0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 공업사 제조, 상품명 : AgPd 2wt% 타깃)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면, 금속층 (24) (100 질량%) 중 은은 98 질량%, 팔라듐은 2 질량% 이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예 4]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팔라듐을 3.5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 공업사 제조, 상품명 : AgPd 3.5wt% 타깃)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28㎚,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8.5㎚,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15㎚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면, 금속층 (24) (100 질량%) 중 은은 96.5 질량%, 팔라듐은 3.5 질량% 이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예 5]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팔라듐을 5.0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 공업사 제조, 상품명 : AgPd 5wt% 타깃)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면, 금속층 (24) (100 질량%) 중 은은 95 질량%, 팔라듐은 5 질량% 이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예 6]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팔라듐을 10.0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 공업사 제조, 상품명 : AgPd 10wt% 타깃)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22㎚,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7.5㎚,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17㎚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면, 금속층 (24) (100 질량%) 중 은은 90 질량%, 팔라듐은 10 질량% 이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예 7]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팔라듐을 5.0 질량% 및 백금을 5.0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 공업사 제조, 상품명 : AgPd 5wt% Pt 5wt%)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29㎚,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8㎚,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22㎚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면, 금속층 (24) (100 질량%) 중 은은 90 질량%, 팔라듐은 5 질량%, 백금은 5 질량% 이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예 8 (비교예)]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주석을 10.0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 공업사 제조, 상품명 : AgSn 10wt% 타깃)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29㎚,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6.4㎚,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19㎚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면, 금속층 (24) (100 질량%) 중 은은 90 질량%, 주석은 10 질량% 이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예 9]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팔라듐을 3.0 질량% 및 금을 2.0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 공업사 제조, 상품명 : AgAu 2wt% Pd 3wt% 타깃)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31㎚,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9.5㎚,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19㎚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면, 금속층 (24) (100 질량%) 중 은은 95 질량%, 팔라듐은 3 질량%, 금은 2 질량% 이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예 10 (비교예)]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팔라듐을 2.0 질량% 및 금을 3.0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 공업사 제조, 상품명 : AgAu 3wt% Pd 2wt% 타깃)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29㎚,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9.5㎚,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19㎚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면, 금속층 (24) (100 질량%) 중 은은 95 질량%, 팔라듐은 2 질량%, 금은 3 질량% 이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예 11]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팔라듐을 3.0 질량%, 금을 2.0 질량% 및 구리를 1.0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 공업사 제조, 상품명 : AgAu 2wt% Pd 3wt% Cu 1wt% 타깃)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29㎚,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8.5㎚,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19㎚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에 의해 측정하면, 금속층 (24) (100 질량%) 중 은은 94 질량%, 팔라듐은 3 질량%, 금은 2 질량%, 구리는 1 질량% 이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예 12]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및 산화주석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주석=90:10 (질량비)] (스미토모 금속 광산사 제조, 상품명 : 10ITO 타깃)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1.96 이었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13]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및 산화주석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주석=80:20 (질량비)] (스미토모 금속 광산사 제조, 상품명 : 20ITO 타깃)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01 이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14]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및 산화주석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주석=70:30 (질량비)] (스미토모 금속 광산사 제조, 상품명 : 30ITO 타깃)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07 이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15]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및 산화주석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주석=50:50 (질량비)] (스미토모 금속 광산사 제조, 상품명 : 50ITO 타깃) 을 사용하고,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16㎚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17 이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16]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산화주석 및 산화갈륨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주석:산화갈륨=5:91:4 (질량비)] (아사히 유리 세라믹스사 제조, 상품명 : GIT 타깃) 을 사용하고,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8㎚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07 이었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17]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산화주석 및 산화갈륨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주석:산화갈륨=10:87:3 (질량비)] (아사히 유리 세라믹스사 제조, 시작품)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6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0 이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18]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산화주석 및 산화갈륨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주석:산화갈륨=5:93:2 (질량비)] (아사히 유리 세라믹스사 제조, 시작품)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6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0 이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19]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갈륨 및 산화티탄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주석:산화갈륨:산화티탄=5:90:4:1 (질량비)] (아사히 유리 세라믹사 제조, 시작품)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6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0 이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20]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산화주석 및 산화갈륨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주석:산화갈륨=2.5:96.5:2 (질량비)] (아사히 유리 세라믹스사 제조, 시작품)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6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0 이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21]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및 산화세륨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세륨=80:20 (질량비)] (스미토모 금속 광산사 제조, 상품명 : 20ICO)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25㎚,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10㎚,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16㎚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27 이었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22]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및 산화갈륨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갈륨=50:50 (질량비)] (스미토모 금속 광산사 제조, 상품명 : GIO)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32㎚,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7㎚,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14㎚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00 이었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예 23 (비교예)]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아연 및 산화알루미늄의 혼합 타깃 [산화아연:산화알루미늄=95:5 (질량비)] (아사히 유리 세라믹사 제조, 상품명 : 5AZO 타깃)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35㎚,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6㎚ 로 한 것 이외에는, 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1.97 이었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3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예 24 (비교예)]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혼합 타깃 [산화아연:산화티탄=90:10 (질량비)] (아사히 유리 세라믹사 제조, 상품명 : 10SZO 타깃)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23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02 이었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3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예 25 (비교예)]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혼합 타깃 [산화아연:산화티탄=85:15 (질량비)] (아사히 유리 세라믹사 제조, 상품명 : 15SZO 타깃)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23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하였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2.07 이었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된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3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예 26 (비교예)]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구리를 0.3 질량% 및 금을 2.7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사 제조, 상품명 : AgAu 2.7wt% Cu 0.3% 타깃)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27㎚,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9㎚,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20㎚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한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1.96 이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되는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4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한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한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예 27 (비교예)]
금속층 (24)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구리를 0.3 질량% 및 금을 2.7 질량% 도프한 은 합금 타깃 (타나카 귀금속사 제조, 상품명 : AgAu 2.7wt% Cu 0.3% 타깃)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형성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 산화인듐 및 산화세륨의 혼합 타깃 [산화인듐:산화세륨=90:10 (질량비)] (스미토모 금속 광산사 제조, 상품명 : 10ICO) 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22) 의 막두께를 27㎚, 금속층 (24) 의 막두께를 9㎚,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막두께를 20㎚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 방지체 (1) 를 제조한다.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굴절률은 1.96 이다. 사용한 타깃의 조성으로부터 산출되는 제 1 고굴절률층 (22)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의 조성을 표 4 에 나타낸다.
그 반사 방지체 (1) 에 대해,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측정한다. 또, 기체 (10) 상에, 제 1 고굴절률층 (22), 금속층 (24) 및 제 2 고굴절률층 (26) 을 형성하고,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을 별도 제조하고, 그 샘플에 대해 내지문부착성을 평가한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예 5 의 반사 방지체는, 시감 반사율이 낮고, 시감 투과율이 높고, 내지문부착성이 우수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00∼700㎚ 의 파장 범위에서의 반사율은 1% 이하였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80∼780㎚ 의 파장 범위에서의 투과율은 80% 이상이었다.
예 6 의 반사 방지체는, 시감 반사율이 낮고, 내지문부착성이 우수했다. 약간 시감 투과율이 낮았지만, 실용상 문제는 없었다.
예 4 의 반사 방지체는, 시감 반사율이 낮고, 시감 투과율이 높았다. 약간 내지문부착성이 떨어졌지만, 실용상 문제는 없었다.
예 1∼3 의 반사 방지체는, 시감 반사율이 낮고, 시감 투과율이 높았지만, 내지문부착성이 떨어졌다.
예 5, 및 예 12∼15 는, 금속층의 재질로서 팔라듐을 5 질량% 함유하는 은 합금을 사용하고, 제 1 고굴절률층 및 제 2 고굴절률층으로서 주석 원자의 함유량이 7.9∼39.4 질량% 사이인 5 종류의 ITO 층을 적용한 예이다. 이들 주석 원자의 함유량에 있어서, 광학 특성 및 내지문부착성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 나타났다.
예 21 은, 팔라듐을 5 질량% 함유하는 은 합금을 사용하고, 또한 제 1 고굴절률층 및 제 2 고굴절률층으로서 세륨 원자의 함유량이 16.3 질량% [6.5 원자%] 인 ICO 층을 적용한 예이고, 우수한 광학 특성과 내지문부착성을 갖고 있었다.
ICO 층에 있어서의 세륨 원자의 작용과, ITO 층에 있어서의 주석 원자의 작용은 동일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상기 예 5, 및 예 12∼15 에 있어서의 주석 원자의 함유량 (원자수 기준) 과 동일한 정도로 세륨 원자가 함유된 예 21 의 ICO 층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우수한 광학 특성과 동시에 우수한 내지문부착성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 23∼27 은, 금속층의 재질로서 팔라듐을 함유하지 않는 은 합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내지문부착성이 떨어졌다.
본 발명의 반사 방지체는, 층 구성이 단순하고, 가시광 투과율이 높고, 가시광 반사율이 낮고, 내지문부착성이 우수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사 방지체로서 유용하다.
또한, 2006 년 12 월 27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6-350752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17)

  1. 기체 (基體) 와 반사 방지막을 가지며,
    상기 반사 방지막은, 상기 기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주석, 갈륨 및 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고, 굴절률이 1.8∼2.5 인 제 1 고굴절률층과,
    은 및 팔라듐을 함유하고, 상기 은의 함유량이 금속층 (100 질량%) 중 80∼97 질량% 이고, 상기 팔라듐의 함유량이 금속층 (100 질량%) 중 3∼20 질량% 인 금속층과,
    주석, 갈륨 및 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고, 굴절률이 1.8∼2.5 인 제 2 고굴절률층과,
    굴절률이 1.3∼1.6 인 저굴절률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방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두께가 5∼10㎚ 인, 반사 방지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굴절률층이 주석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고, 주석 원자의 함유량이 상기 제 1 고굴절률층 중에 7∼48 질량% 인, 반사 방지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굴절률층의 두께가 20∼40㎚ 인, 반사 방지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굴절률층이 세륨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고, 세륨 원자의 함유량이 상기 제 1 고굴절률층 중에 8∼52.1 질량% 인, 반사 방지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굴절률층의 두께가 15∼35㎚ 인, 반사 방지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굴절률층이 갈륨과 주석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고, 주석 원자의 함유량이 상기 제 1 고굴절률층 중에 63∼77 질량% 이고, 갈륨 원자의 함유량이 상기 제 1 고굴절률층 중에 1∼4 질량% 인, 반사 방지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굴절률층의 두께가 20∼40㎚ 인, 반사 방지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굴절률층이 주석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고, 주석 원자의 함유량이 상기 제 2 고굴절률층 중에 7∼48 질량% 인, 반사 방지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굴절률층의 두께가 12∼30㎚ 인, 반사 방지체.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굴절률층이 세륨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고, 세륨 원자의 함유량이 상기 제 2 고굴절률층 중에 8∼52.1 질량% 인, 반사 방지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굴절률층의 두께가 8∼25㎚ 인, 반사 방지체.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굴절률층이 갈륨과 주석과 인듐을 산화물로서 함유하고, 주석 원자의 함유량이 상기 제 2 고굴절률층 중에 63∼77 질량% 이고, 갈륨 원자의 함유량이 상기 제 2 고굴절률층 중에 1∼4 질량% 인, 반사 방지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굴절률층의 두께가 12∼30㎚ 인, 반사 방지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굴절률층과 상기 제 2 고굴절률층이 동일한 재료 조성의 층인, 반사 방지체.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률층이 실리카를 함유하는 층이고, 규소 원자의 함유량이 상기 저굴절률층 중에 30∼60 질량% 인, 반사 방지체.
  17.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시인측에 형성된,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 방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7009948A 2006-12-27 2007-12-26 반사 방지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92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50752 2006-12-27
JP2006350752 2006-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273A true KR20090092273A (ko) 2009-08-31

Family

ID=3958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948A KR20090092273A (ko) 2006-12-27 2007-12-26 반사 방지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14163A1 (ko)
EP (1) EP2103965A4 (ko)
JP (1) JPWO2008081837A1 (ko)
KR (1) KR20090092273A (ko)
TW (1) TW200839283A (ko)
WO (1) WO20080818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8003A (zh) * 2020-03-26 2021-09-2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黑色膜层组件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6148B2 (ja) * 2009-08-26 2012-1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耐指紋性フィルム
SG174652A1 (en) 2010-03-31 2011-10-28 Heraeus Gmbh W C Composition of sputtering target, sputtering targ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613472B2 (ja) * 2010-06-17 2014-10-2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DE102011076756A1 (de) * 2011-05-31 2012-12-06 Schott Ag Substratelement für die Beschichtung mit einer Easy-to-clean Beschichtung
DE102011076754A1 (de) * 2011-05-31 2012-12-06 Schott Ag Substratelement für die Beschichtung mit einer Easy-to-clean Beschichtung
KR101337305B1 (ko) * 2011-12-13 2013-12-0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KR101951223B1 (ko) * 2012-10-26 2019-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1504871A (zh) * 2013-07-17 2015-02-01 Wintek Corp 觸控面板與觸控顯示面板
CN103499852B (zh) * 2013-10-10 2016-01-13 中国科学院上海技术物理研究所 可见光通信用蓝光滤膜
JP6344095B2 (ja) * 2014-07-07 2018-06-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透明導電体及びタッチパネル
DE102014013528B4 (de) 2014-09-12 2022-06-23 Schott Ag Beschichtetes Glas-oder Glaskeramiksubstrat mit beständigen multifunktionellen Oberflächeneigenschaft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CN105703839B (zh) * 2016-01-08 2018-01-12 清华大学 一种可见光通信系统
US10859899B2 (en) * 2017-08-03 2020-12-08 Seiko Epson Corporation Wavelength conversion element, method for producing wavelength conversion element, light source device, and projector
US11171313B2 (en) * 2018-09-24 2021-11-09 Apple Inc. Incoherent thin film encapsulation for display
AR125541A1 (es) 2021-03-19 2023-07-26 Nippon Sheet Glass Co Ltd Miembro de cubierta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45201A1 (en) 1983-11-10 1985-06-19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Antireflection optical coating with antistatic properties
DE4130930A1 (de) * 1991-09-13 1993-03-25 Flachglas Ag Vorsatzaggregat fuer bildschirme oder dergleichen
JP3190240B2 (ja) 1994-12-13 2001-07-23 旭硝子株式会社 光吸収性反射防止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0294980A (ja) * 1999-04-06 2000-10-20 Nippon Sheet Glass Co Ltd 透光性電磁波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65191B2 (en) * 2000-02-01 2005-11-15 Mitsui Chemicals, Inc. Display filte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ame
JP4560889B2 (ja) 2000-05-12 2010-10-13 旭硝子株式会社 反射防止体
US20030043464A1 (en) * 2001-08-30 2003-03-06 Dannenberg Rand David Optical coatings and associated methods
JP4242664B2 (ja) * 2003-02-26 2009-03-25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
JP4609053B2 (ja) * 2004-11-30 2011-01-12 凸版印刷株式会社 導電性積層体、光学機能性フィルタおよび光学表示装置
JP2006350752A (ja) 2005-06-17 2006-12-28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8003A (zh) * 2020-03-26 2021-09-2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黑色膜层组件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CN113448003B (zh) * 2020-03-26 2022-07-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黑色膜层组件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081837A1 (ja) 2010-04-30
EP2103965A1 (en) 2009-09-23
TW200839283A (en) 2008-10-01
EP2103965A4 (en) 2011-05-25
WO2008081837A1 (ja) 2008-07-10
US20100014163A1 (en)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2273A (ko) 반사 방지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1310345B (zh) 透明导电性膜及触摸面板
CN103460303B (zh) 导电结构、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EP2347895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laminate, and protective plate for plasma display
EP3356306B1 (en) Near infrared reflective coated articles
KR20070111488A (ko) 도전성 적층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자파 차폐 필름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보호판
KR20070115702A (ko) 도전성 적층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자파 차폐 필름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보호판
EP4186690A1 (en) Anti-reflective film-attached transparent substr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8538451A (ja) 細い導電線を有する光学コーティング
KR20100057032A (ko) 도전성 적층체
US20220128738A1 (en) Dielectric multilayer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optical member using same
JPWO2011001983A1 (ja) 導電性積層体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
JP4967273B2 (ja) 導電性反射防止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21602A (ko) 컬링 방지 lcd 백라이트용 반사 시트
JP2008159534A (ja) 導電性フリット材、透明面状ヒーター及び電磁波シールド体
JP2001324601A (ja) 反射防止体
JP6611192B2 (ja) 低反射コーティング付きガラス板及びそれを用いた合わせガラス
US7655280B2 (en) Extreme low resistivity light attenuation anti-reflection co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289901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Lee et al. Deposition of a conductive near-infrared cutoff filter by radio-frequency magnetron sputtering
DE102006030094A1 (de) Hochreflektierendes Schicht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chichtsystems
JP6799850B2 (ja) 光学シート
JP2005266665A (ja) 反射防止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90092808A1 (en) Extreme low resistivity light attenuation anti-reflection co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865344A1 (en) High reflection mirro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