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660A -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 및 트윈-스크류 압출기 - Google Patents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 및 트윈-스크류 압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660A
KR20090091660A KR1020090015082A KR20090015082A KR20090091660A KR 20090091660 A KR20090091660 A KR 20090091660A KR 1020090015082 A KR1020090015082 A KR 1020090015082A KR 20090015082 A KR20090015082 A KR 20090015082A KR 20090091660 A KR20090091660 A KR 20090091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ading
disk
segment
disc
phas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079B1 (ko
Inventor
가즈히사 후꾸따니
사야까 야마다
야스아끼 야마네
가즈오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90091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4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 B29B7/48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provided with screw parts in addition to other mixing parts, e.g. paddles, gears, discs
    • B29B7/483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provided with screw parts in addition to other mixing parts, e.g. paddles, gears, discs the other mixing parts being discs perpendicular to the screw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4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 B29B7/488Parts, e.g. casings, sealings; Accessories, e.g. flow controlling or throttling devices
    • B29B7/489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4Venting or degassing ; Removing liquids, e.g. by evaporating components
    • B29B7/845Venting, degassing or removing evaporated components in devices with rotary stirrers
    • B29B7/847Removing of gaseous components before or after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35Screws with thread pitch vary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7Screws provided with kneading disc-like elements, e.g. with oval-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는 각기 2개의 혼련 디스크를 포함하며, 재료를 하류측으로 이송하면서 혼련하기 위한 혼련 스크류(3)에 장착되는, 복수의 디스크 세트를 포함한다.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1 혼련 디스크와, 제1 혼련 디스크에 대해 예각의 위상차(δ)를 갖도록 제1 혼련 디스크의 하류에 제1 혼련 디스크와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제2 혼련 디스크를 각각 포함하는 디스크 세트가 혼련 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2개의 연속하는 디스크 세트의 제1 혼련 디스크들은 180°의 위상차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보다 높은 혼련도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1020090015082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 혼련 디스크, 혼련 스크류, 위상차, 혼련도

Description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 및 트윈-스크류 압출기{KNEADING DISC SEGMENT AND TWIN-SCREW EXTRUDER}
본 발명은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와, 이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가 각각 구비된 혼련 스크류들을 갖는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있어서는, 바렐 안으로 매트릭스로서의 고분자 수지 펠릿과 분말형 첨가제가 공급되고 상기 바렐에 삽입된 한 쌍의 혼련 스크류에 의해 혼련되면서 하류측으로 이송되고, 이에 의해 플라스틱 복합물과 같은 복합 수지 재료가 제조된다. 혼련 스크류들은 중심 스플라인 축과 복수의 세그먼트를 각각 구비하며, 복수의 세그먼트는 스플라인 축이 관통하여 연장하는 상태, 즉, 관통 삽입 상태로 고정된다. 혼련 스크류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로서 복수 종류의 세그먼트가 알려져 있다. 혼련 스크류에 있어서, 이들 세그먼트가 축방향으로 조합되어 소정의 용도와 재료에 적합한 혼련을 가능하게 한다.
위에 언급한 세그먼트들 가운데서, 혼련에 특히 적합한 세그먼트를 혼련 세그먼트라고 부른다. 혼련 세그먼트로서는 로터 세그먼트와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가 알려져 있다. 특히, 높은 혼련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가 사용된다.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는 각각이 혼련 스크류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인 대략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형 혼련 디스크들로 구성되며, 혼련 디스크들은 축방향으로 나란히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 혼련 디스크는 혼련 스크류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이에 따라 혼련 대상 재료가 혼련 디스크와 바렐의 내벽 사이로 전달되고 혼련된다.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로서는 혼련 디스크를 장착(스플라인 축에 대한 장착)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는 두 종류의 세그먼트가 알려져 있다. 하나는 복수의 혼련 디스크가 혼련 스크류의 역회전 방향으로 30°내지 60°의 소정 피치로 위상차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이송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이다. 다른 하나는 혼련 디스크들이 90°피치의 위상차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이다.
이송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는, 혼련 디스크들이 축방향으로 비틀림되어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혼련 대상 재료에 대한 이송 능력을 갖는다. 한편,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는 재료에 대한 이송 능력을 거의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는 재료가 혼련부에 머무르기 때문에 혼련이 만족스런 정도로 이루어지고, 이송 혼련 세그먼트와 비교하여 혼련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245534호에 개시된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는 혼련 스크류의 축방향 중간부에 배치되며 축방향으로 연속하는 5개의 혼련 디스크로 이루어진다. 5개의 혼련 디스크는, 인접하는 디스크들이 혼련 스크류의 축 중심에 대해 90°의 각도로 서로 가로지르는 방식으로 배치됨으로써, 높은 혼련 능력이 발휘될 수 있다.
최근, 혼련 대상 재료의 종류가 증가되었고, 이제 이전보다 높은 혼련 능력을 발휘할 것이 압출기에 대해 요구된다.
상기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245534호에 개시된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높은 혼련 능력을 보유하지만, 이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혼련도조차 최근 요구되는 혼련도와 비교할 때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의 혼련도보다 높은 혼련도를 제공할 수 있는 신규의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와, 이러한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트윈-스크류 압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혼련 디스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며, 재료를 하류측으로 이송하면서 혼련하기 위한 혼련 스크류에 장착되는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로서, 상기 혼련 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1 혼련 디스크와, 상기 제1 혼련 디스크에 대하여 예각의 위상차(δ)를 갖도록 상기 제1 혼련 디스크의 하류에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제2 혼련 디스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크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속하는 디스크 세트의 상기 제1 혼련 디스크는 서로 180°의 위상차를 갖는,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가 제공된다.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그 축에 직각인 단면에서 보면, 인접하는 혼련 디스크들 사이에 커다란 간극이 존재하며, 따라서 혼련 중에, 혼련 대상 재료가 연속하는 혼련 디스크에 의해 완전히 혼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류측으로 이동(배출)하기 쉽다. 그러므로, 만족스런 정도로 혼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재료의 이동 전에 혼련을 집중적으로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 후에, 인접하는 간극이 서로 좁아지도록 혼련 디스크를 배치함으로써 혼련도가 향상됨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제1 혼련 디스크들 사이의 간극을 채우도록 제1 혼련 디스크에 대해 예각의 위상차(δ)를 갖는 제2 혼련 디스크가 배치되고 복수의 이러한 디스크 세트가 상기한 바와 같이 혼련 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면, 상기 간극으로부터의 재료의 배출(drop-out)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재료를 집중적으로 혼련할 수 있고, 따라서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보다 높은 혼련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는 복수의 연속하는 디스크 세트 중의 제1 혼련 디스크가 서로 180°의 위상차를 갖는 것을, 즉, 복수의 연속하는 디스크 세트 중의 하류측 디스크 세트의 제1 혼련 디스크가 상류측 디스크 세트의 제2 혼련 디스크에 대해 (180°-δ)의 위상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혼련 디스크들이 동등한 위상차(동등한 간극)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지 않으며 재료에 대한 이송 능력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는, 재료가 혼련부에 머무르기 쉽고 집중적으로 혼련되기가 쉬워진다. 그 결과, 혼련이 만족스러운 정도로 수행되고 혼련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위상차가 30°내지 68°의 범위에 있으므로 재료가 혼련부에 머무르기 쉽고 그 배출이 확실히 방지되고, 따라서 혼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혼련 세그먼트를 각기 갖는 2개의 동방향 회전 치합형(co-rotating intermeshed type) 혼련 스크류를 구비한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는, 높은 혼련도를 얻기가 수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 의하면,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보다 높은 혼련도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의 개략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는 동방향 회전 치합형 트윈-스크류 압출기(2)(이후, 경우에 따라 간단히 압출기(2)라고 한다)의 혼련 스크류(3)에 장착된다. 트윈-스크류 압출기(2)는 중공 바렐(4;barrel)과 이 바렐(4)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혼련 스크류(3)를 포함한다. 압출기(2)에서는, 그러므로, 재료가 바렐(4)안으로 공급되고 혼련 스크류(3)가 회전되면, 바렐(4) 내에 존재하는 재료가 혼련되고 하류측으로 이송된다.
압출기(2)에 관한 이하의 설명과 관련해서, 도 1의 지면상 좌측을 상류측으 로, 그리고 그 우측을 하류측으로 가정하고, 도 1의 지면상 좌-우 방향을 축방향으로 가정하고, 이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정한다.
바렐(4)은 축방향으로 기다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중공이고 단면이 안경 형상이다. 바렐(4)은 축방향으로 상류측에 형성되는 재료 공급 포트(5)를 갖는다. 재료 공급 포트(5)는 바렐(4)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재료가 바렐(4)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바렐(4)은, 재료 공급 포트(5)로부터 공급된 재료를,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가열할 수 있도록, 전기 히터 또는 가열된 오일(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는 가열 장치를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도시된 압출기에서는, 재료와 첨가제 양방을 재료 공급 포트(5)로 공급하기 위한 호퍼(6)와, 혼련된 재료로부터 증발된 가스를 바렐(4)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8)가 구비된다.
혼련 스크류(3)에 관련해서, 바렐(4)의 안경-형상 중공 내부로 삽입되는 좌측 및 우측 혼련 스크류(3) 한 쌍이 제공된다. 조를 이루는 혼련 스크류(3, 3) 각각은 축방향으로 기다란 스플라인 축(도시하지 않음)과, 이 스플라인 축이 관통하여 연장한 상태(즉, 관통삽입 상태)로 스플라인 축 상에 고정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각 혼련 스크류(3)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로서는 여러 종류의 세그먼트가 있다. 각 혼련 스크류(3)에서, 복수 종류의 세그먼트들이 다양한 패턴으로 조합됨으로써, 소정의 축방향 범위에 걸쳐 재료 공급부(10)와 재료 혼련부(11)가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혼련 스크류(3) 각각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된 재료를 용융시키면서 하류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10),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재료를 혼련하기 위한 혼련부(11), 그리고 혼련부(11)에서 혼련된 재료를 하류측으로 압출하기 위한 압출부(12)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차례로 배치된다.
공급부(10)는 축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크류 세그먼트(13)로 이루어진다. 스크류 세그먼트(13)는 상류로부터 하류측으로 재료를 이송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꼬인 스크류 익(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공급부(10)처럼, 압출부(12)가 또한 나선형으로 꼬인 스크류 익을 갖는 복수의 스크류 세그먼트(13)를 축방향으로 구비한다. 압출부(12)의 스크류 세그먼트(13)는, 스크류 세그먼트 위치가 보다 하류일수록, 세그먼트 길이가 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재료 위치가 보다 하류일수록, 재료 이동 속도가 보다 낮고, 이 상태에서 재료가 가압될 수 있다.
혼련부(11)는 복수의 로터 세그먼트(15)와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일예로 혼련부(11)가 6개의 로터 세그먼트(15)와 1개의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로 구성된다.
로터 세그먼트(15) 각각은 축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꼬인 복수의 혼련익(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을 갖는다. 상기 혼련익에 의해, 재료는 전단되면서 하류측으로 압출될 수 있다.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는 로터 세그먼트(15)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도 2는 이 실시형태의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를 구성하는 각각의 혼련 디스크(16) 내지 혼련 디스크(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a)는 관련된 혼련 스크류(3)의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본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의 전면도이고, 도 2의 (b)는 혼련 스크류(3)의 상류측에서 본 구성요소로서의 혼련 디스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의 (b)에서, [A] 내지 [E]는 혼련 디스크(16) 내지 혼련 디스크(20)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는 상류측 로터 세그먼트(15)와 하류측 스크류 세그먼트(13)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련 디스크(16) 내지 혼련 디스크(20) 각각은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대략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부재이며, 스플라인 축이 관통 삽입될 수 있는 관통 구멍(21)이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1)의 내주면상에는 복수의 치가 형성되어 있고, 이 치들이 스플라인 축과 결합함으로써, 혼련 디스크(16) 내지 혼련 디스크(20)가 스플라인 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디스크의 양 상단부에는 선단부(22)가 형성된다. 선단부(22, 22)는 바렐(4)의 내주 표면을 스쳐지나며 회전하기에 적합하고, 이에 의해 바렐(4)에 부착된 재료가 완전히 떨어져나가 혼련될 수 있다.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를 구성하는 5개의 혼련 디스크(16) 내지 혼련 디스크(20)는 스플라인 축에 대한 장착 각도에 따라서 두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하나의 유형은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1 혼련 디스크(D1)를 포함하고, 다른 유형은 제1 혼련 디스크(D1)의 하류측에 장착되는 제2 혼련 디스크(D2)를 포함하며, 제2 혼련 디스크(D2)는 제1 혼련 디스크(D1)에 관하여 혼련 스크류(3)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예각의 위상차(δ)를 갖는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혼련 디스크(16, 18 및 20)가 제1 혼련 디스크(D1)이고, 혼련 디스크(17 및 19)는 제2 혼련 디스크(D2)이다.
제1 혼련 디스크(D1)와 제2 혼련 디스크(D2)는 축방향으로 번갈아서 배치되어 하나의 디스크 세트를 구성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는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2개의 디스크 세트(25, 26)와 이들 디스크 세트의 하류에 배치된 1개의 제1 혼련 디스크(D1)에 의해 구성된다. 즉, 상류측 디스크 세트(25)는 2개의 혼련 디스크(16, 17)로 구성되고, 하류측 디스크 세트(26)는 2개의 혼련 디스크(18, 19)로 구성된다.
디스크 세트(25)에서, 제1 혼련 디스크(D1)와 제2 혼련 디스크(D2) 사이의 위상차는 혼련 스크류(3)의 역회전 방향으로 예각의 δ˚이다. 바람직하게는, 위상차(δ)는 30˚내지 68˚의 범위 내의 값이다(이 실시형태에서는 30˚). 30˚ 내지 68˚의 위상차를 갖는 제1 혼련 디스크(D1)와 제2 혼련 디스크(D2)에 의해 디스크 세트(25)가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고려한다. 디스크 세트(25)가 회전되면, 재료를 제자리에 머물도록 하면서 당해 재료를 집중적으로 혼련하는 제1 혼련 디스크(D1)와 제2 혼련 디스크(D2)의 양방에 의해 재료가 붙들린다. 따라서, 재료의 체류하에서 당해 재료를 집중적으로 혼련함으로써 높은 혼련도를 얻을 수 있다.
상류측 디스크 세트(25)에 있는 제2 혼련 디스크(D2)와 하류측 혼련 디스크 (26)에 있는 제1 혼련 디스크(D1) 사이의 위상차는 혼련 스크류(3)의 역회전 방향으로 (180-δ)˚이다(이 실시형태에서는 150˚). 즉,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디스크 세트(25, 26) 사이에서, 제1 혼련 디스크(D1)들 사이의 위상차와, 제2 혼련 디스크들 사이의 위상차는 각각 180˚이다. 따라서, 외관상으로 아무런 위상차가 없다. 디스크 세트의 회전시에, 제1 혼련 디스크(D1) 후에 제2 혼련 디스크(D2)에 의해 재료가 확고하게 붙들릴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혼련 디스크(D1)와 제2 혼련 디스크(D2) 사이의 위상차(δ)가 30˚ 내지 68˚로 작게 설정되더라도, 재료에 대한 이송 기능은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혼련부(11)에 머무르는 것이 허용되면서 만족스러운 정도로 재료가 혼련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은 혼련도를 구현할 수 있다.
적어도 복수(2개 이상)의 디스크 세트(25)가 혼련부(11)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적어도 복수의 디스크 세트(25)를 제공함으로써, 재료를 보다 확실한 방식으로 혼련할 수 있고 따라서 높은 혼련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체류 시간을 연장하려는 경우 또는 분배 혼합 특성을 향상시키려는 경우, 이것은 위상차(δ)를 30˚이상 그리고 80˚ 미만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분산 혼합 특성을 향상시키려는 경우, 이것은 위상차(δ)를 10˚ 이상 그리고 68˚ 미만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각각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혼련도에 대한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에서의 제1 혼련 디스크(D1)와 제2 혼련 디스크(D2) 사이의 위상차(δ)의 영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된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는 20㎜의 직경을 갖는 스플라인 축을 축방향으로 구비하였고, 5개의 혼련 디스크(16 ~ 20)가 접근 길이로 5㎜ 이격하여 상류측으로부터 스플라인 축에 연속적으로 장착되었다. 5개의 혼련 디스크(16 ~ 20)는 상류측으로부터 제1 혼련 디스크(D1), 제2 혼련 디스크(D2), 제1 혼련 디스크(D1), 제2 혼련 디스크(D2) 그리고 제1 혼련 디스크(D1)의 순서로 배치된다. 각각의 디스크는 스플라인 축의 축 둘레와 혼련 스크류(3)의 역회전 방향으로 위상차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위상차는 상류측에 인접하는 혼련 디스크에 대하여 δ˚, (180-δ)˚, δ˚ 및 (180-δ)˚이다.
상술한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를 사용하여 수행된 혼련에 대한 조건은 표1과 같다.
Figure 112009011194469-PAT00001
표1에 나타낸 실험 조건에 따라서, 다음의 평가 인덱스를 산출하고, 평가를 행하였다.
상기 평가 인덱스를 산출함에 있어서, 용융 상태에 있는 재료는 비뉴튼 유체로서 취급할 수 있으므로, 여러 상태에 있어서의 재료 점도 η(mPa·sec)를 다음의 수학식 1에 나타낸 캐로우 모델(Pierre J. Carreau Daniel C.R.De Kee, Raj P. Chhabra, "고분자 시스템의 유동학(Rheology of Polymeric Systems)", 한서(Hanser) 출판, 1997, 제39페이지)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09011194469-PAT00002
η: 재료 점도(mPa·sec)
η: 무한의 전단율에서의 점도(mPa·sec)
η0: 제로 전단율에서의 점도 (mPa·sec)
λ: 시간 상수(-)
n: 거듭제곱 법칙 상수(power law constant) (-)
상기 식에서,η0는 제로 전단율에서의 점도를 나타내는데 이 실시예에서 8100 mPa·sec이고, η는 무한의 전단율에서의 점도를 나타내는데 이 실시예에서 1 mPa·sec이고, λ는 시간 상수를 나타내는데, 통상은 0.6 내지 1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λ=1이고, n은 거듭제곱 법칙 상수를 나타내는데 이 실시예에서 n=0.385이다.
혼련도는 입자 추적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입자 추적 방법에 따르면, 혼련도는 재료(수지)의 유동에서 운반되는 재료 입자가 겪는 응력(stress)과 변형 속도(strain rate)의 이력에 의해 평가된다. 혼합은 분산 혼합과 분배 혼합으로 분류된다. 이 실시예에서, 분산 혼합과 분배 혼합은 각각 에너지 및 대수 신 장의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다음의 (1) 내지 (3)에 평가 인덱스와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1) 체류 시간
1000개의 재료 입자들을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의 상류측 부분에 무작위로 배열하고나서, 모든 재료 입자에 대하여 유동 해석에 기초한 속도에서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의 통과가 끝날 때까지의 시간(체류 시간)을 계산에 의해 구하였고, 평균 체류 시간으로서 최소값을 사용하였다.
도 4에서, 위상차(δ)가 10°내지 90°의 범위에서 변동되었고 각각의 변동 케이스에 대해서 체류 시간을 구하였다.
도 4로부터, 30°내지 70°의 위상차(δ)에서의 체류 시간이 위상차(δ)가 90°인 중립(neutral)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보다 길고, 재료가 혼련부(11)에 머무르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내지 20°의 위상차(δ) 또는 80°의 위상차(δ)에서의 체류 시간은 90°의 위상차(δ)를 갖는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와 동일하거나 보다 짧다는 것과, 혼련부(11)로부터 하류측으로 단시간에 재료가 유동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와의 비교를 명확히 하기 위해, δ=90˚에서의 체류 시간을 사용하여 각기 정규화된 값(normalized value)들(나누어진 값들)을 표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11194469-PAT00003
표2에서, 체류 시간이 1.0 보다 길면, 재료가 혼련부에 머물기가 보다 용이하며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보다 혼련도가 높다고 간주된다. 한편, 체류 시간이 1.0 보다 짧은 경우에는, 재료가 하류로 유동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보다 혼련도가 낮다고 간주된다.
따라서, 표2의 결과의 관점에서, 30°내지 70°의 위상차(δ)를 갖는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를 사용함으로써 혼련도 평가 인덱스의 하나로서의 체류 시간을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보다 길게 할 수 있으며 혼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2) 대수 신장(logarithmic elongation)
문헌[J.M. Ottino, "혼합의 운동학 : 스트레칭, 카오스, 그리고 운반(The Kinematics of Mixing : Stretching, Chaos, and Transport)",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1989]에 기재된 정의를 참조하여, 1000개의 가상 라인 요소들을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의 상류측 부분에 무작위로 배열한 후, 모든 라인 요소(재료 입자)에 대해 유동 해석에 기초한 속도에서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의 통과를 완료할 때까지의 신장율을 계산하였으며 평균 대수 신장율로서 대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도 5에서, 위상차(δ)는 10°내지 90°의 범위에서 변동하였고, 각각의 변동 경우에 대해 대수 신장을 구하였다.
도 5로부터, 30°내지 80°의 위상차(δ)에서는, 대수 신장이 종래의 위상차(δ)가 90°인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보다 크며, 재료가 혼련 중에 크게 신장(변위)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0°내지 20°의 위상차(δ)에서는, 대수 신장이 종래의 위상차(δ)가 90°인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보다 작으며, 재료가 혼련 중에 그만큼 신장(변위)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와의 비교를 명확히 하기 위해, δ=90˚에서의 대수 신장을 사용하여 정규화된 값들(나누어진 값들)을 표2에 나타낸다.
표2에서, 대수 신장이 1.0보다 크면,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사용할 때보다 재료 변형량(변위량)이 크고 혼련도가 높다고 본다. 한편, 대수 신장이 1.0보다 작으면,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사용할 때보다 재료 변형량(변위량)이 작고 혼련도가 낮다고 본다.
따라서, 표2의 결과의 관점에서, 30°내지 80°의 위상차(δ)를 갖는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사용할 때보다혼련 중에 재료가 크게 변위되며 혼련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3) 에너지
1000개의 재료 입자를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의 상류측 부분에 무작위로 배열하고 유동 해석에 기초한 속도에서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의 통과가 끝날 때까지 모든 재료 입자에 대하여 변형 속도와 응력의 프로덕트의 시간 적분값을 계산하여 구하고, 에너지로서 사용하였다.
도 6에서, 위상차(δ)는 10°내지 90°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였으며 각각의 변동 경우에 대해 에너지를 구하였다.
도 6으로부터, 10°내지 68°의 위상차(δ)에서는, 에너지가 종래의 위상차(δ)가 90°인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보다 크며, 혼련 중에 큰 에너지가 재료에 가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80°의 위상차(δ)에서는, 대수 신장이 종래의 위상차(δ)가 90°인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에서보다 작으며, 혼련 중에 그만큼 큰 에너지가 재료에 가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와의 비교를 명확히 하기 위해, δ=90˚에서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정규화된 값들(나누어진 값들)을 표2에 나타낸다.
표2에서, 에너지가 1.0보다 크면,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사용할 때보다 많은 에너지가 재료에 가해졌고 혼련도가 높아졌다고 본다. 한편, 에너지가 1.0보다 작으면, 종래의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사용할 때보다 재료에 가해진 에너지가 작고 혼련도가 낮다고 본다.
따라서, 표2의 결과의 관점에서, 68°이하의 위상차(δ)를 갖는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를 사용함으로써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사용할 때보다 혼련 중에 큰 에너지가 재료에 부여되고 혼련도가 높아질 수 있다고 본다.
위상차의 범위와 관련해서는, 체류 시간, 재료 신장 및 가해진 에너지 모두에 대해서 30°내지 68°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위상차 범위는 방금 언급한 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세가지 항목 중 요구되는 하나만을 고려하여 위상차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체류 시간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용도의 경우에는, 30°내지 70°의 범위에서 위상차를 결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본질을 변질시키지 않는 범주내에서 필요한 경우 구성 부재에 대해 그 형상, 구조 및 재료 품질, 조합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는 완전 치합형 트윈-스크류 압출기(2)에 관련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1)는 단일 혹은 3중 이상의 스크류 압출기(2)에도 적용가능하고, 또는 완전 치합형이 아닌 트윈-스크류 압출기(2), 또는 연속 혼련기에 적용가능하다.
디스크 세트를 연속적으로 장착함에 있어서, 이송 기능을 갖지 않는 스페이서 또는 세그먼트가 인접하는 디스크 세트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갖는 압출기의 전면도이다.
도 2의 (a)는 상기 혼련 세그먼트의 확대 전면도이고, 도 2의 (b)는 상기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혼련 디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30°의 위상차를 갖는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60°의 위상차를 갖는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의 (c)는 중립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위상차(δ)에 대한 체류 시간의 변동을 설명한다.
도 5는 위상차(δ)에 대한 대수 신장의 변동을 설명한다.
도 6은 위상차(δ)에 대한 에너지의 변동을 설명한다.

Claims (3)

  1. 재료를 하류측으로 이송하면서 혼련하기 위한 혼련 스크류에 장착되며, 복수의 혼련 디스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이며,
    상기 혼련 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1 혼련 디스크와, 상기 제1 혼련 디스크에 대해 예각의 위상차(δ)를 갖도록 상기 제1 혼련 디스크의 하류에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제2 혼련 디스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크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속하는 디스크 세트의 상기 제1 혼련 디스크는 서로 180°의 위상차를 갖는,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δ)는 30°내지 68°의 범위 내에 있는,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
  3. 제1항에 기재된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를 각기 갖는 2개의 동방향 회전 치합형 혼련 스크류를 포함하는, 트윈-스크류 압출기.
KR1020090015082A 2008-02-25 2009-02-24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 및 트윈-스크류 압출기 KR101086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42896A JP5137613B2 (ja) 2008-02-25 2008-02-25 ニーディングディスクセグメント及び2軸押出機
JPJP-P-2008-042896 2008-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660A true KR20090091660A (ko) 2009-08-28
KR101086079B1 KR101086079B1 (ko) 2011-11-25

Family

ID=4066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082A KR101086079B1 (ko) 2008-02-25 2009-02-24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 및 트윈-스크류 압출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32957B2 (ko)
EP (1) EP2093037B1 (ko)
JP (1) JP5137613B2 (ko)
KR (1) KR101086079B1 (ko)
CN (1) CN101518926B (ko)
AT (1) ATE518633T1 (ko)
ES (1) ES2368942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433B1 (ko) * 2011-02-02 2014-02-10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혼련 세그먼트 및 혼련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68912T1 (de) * 2005-04-18 2010-06-15 Gea Pharma Systems Nv Vorrichtung zur durchgehenden granulierung und verfahren zur durchgehenden granulierung von pulvermaterial
JP4445478B2 (ja) * 2006-03-10 2010-04-07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プラスチック原料の可塑化混練押出機
TWM358055U (en) * 2008-12-10 2009-06-01 Shuo-Jie Zhang Reversing twin screw extruder
TWI490108B (zh) 2013-12-20 2015-07-01 Ind Tech Res Inst 複合材料及其製造方法
JP6198666B2 (ja) * 2014-04-22 2017-09-20 宏平 澤 混練装置
CN103978661B (zh) * 2014-04-30 2017-03-22 张家港江南粉末涂料有限公司 利用双螺杆挤出机生产平面、桔纹、砂纹粉末涂料的方法
CN106553325B (zh) * 2016-12-08 2018-12-11 北京工商大学 一种剪切混炼区捏合块可以自动改变的双螺杆挤出机
US11571832B2 (en) * 2017-10-05 2023-02-07 Corning Incorporated Kneading elements for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 honeycomb bod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87021A (en) 1949-09-23 1953-02-04 Bayer Ag Mixing and kneading machine
FR2635044B1 (fr) 1988-08-05 1994-09-16 Togum Sa Groupe de micro-extrusion notamment pour produits pulverulents
JPH09164579A (ja) * 1995-12-15 1997-06-24 Sekisui Chem Co Ltd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10180840A (ja) * 1996-12-24 1998-07-07 Asahi Chem Ind Co Ltd 高生産押出機及びそれを用いた押出方法
US6170975B1 (en) 1999-02-08 2001-01-09 Krupp Werner & Pfleiderer Multi-shaft extruder kneading discs, kneading disc blocks and extruder
JP3798595B2 (ja) 2000-01-25 2006-07-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混練用ロータ、スクリューセット及び2軸押出機
EP1316399B1 (en) 2001-11-29 2010-10-0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Kneading apparatus
JP3905397B2 (ja) 2002-02-21 2007-04-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ゴムあるいはゴム系組成物の混練装置
JP3706087B2 (ja) * 2002-06-14 2005-10-12 株式会社日本製鋼所 二軸押出機のスクリュ構造
JP4445478B2 (ja) * 2006-03-10 2010-04-07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プラスチック原料の可塑化混練押出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433B1 (ko) * 2011-02-02 2014-02-10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혼련 세그먼트 및 혼련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13683A1 (en) 2009-08-27
CN101518926A (zh) 2009-09-02
ES2368942T3 (es) 2011-11-23
EP2093037A2 (en) 2009-08-26
CN101518926B (zh) 2012-09-05
US8132957B2 (en) 2012-03-13
JP5137613B2 (ja) 2013-02-06
EP2093037A3 (en) 2009-09-02
JP2009196303A (ja) 2009-09-03
EP2093037B1 (en) 2011-08-03
ATE518633T1 (de) 2011-08-15
KR101086079B1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079B1 (ko) 혼련 디스크 세그먼트 및 트윈-스크류 압출기
EP1156918B1 (en) Screw extruder with improved dispersive mixing elements
US5932159A (en) Screw extruder with improved dispersive mixing
JP7397451B2 (ja) 導電性複合材料の製造方法
EP2747980B1 (en) An extruder mixing element
US7188992B2 (en) Kneading element and related articles
DE10103094B4 (de) Zwillingsschneckenextruder
KR20070092625A (ko) 플라스틱원료의 가소화 혼련압출기
JP4907366B2 (ja) 押出機用スクリュ、これに用いられる軸受セグメント、および押出機用スクリュを備える2軸押出機
KR102139497B1 (ko) 스크루식 압출기
JP5361704B2 (ja) 混練用セグメント及び混練設備
CN202071310U (zh) 螺杆三角形排列的差速锥形三螺杆挤出机
JPH1158369A (ja) 二軸連続混練機
CN102275285A (zh) 螺杆三角形排列的差速锥形三螺杆挤出机
EP2374600B1 (en) Kneading disk with tapered crest surface
Stevens et al. Twin-screw extruders
CN102275286A (zh) 螺杆一字型排列的差速锥形三螺杆挤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