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029A - Coil unit for three-phase linear motor and linear motor - Google Patents

Coil unit for three-phase linear motor and linear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029A
KR20090091029A KR1020090013466A KR20090013466A KR20090091029A KR 20090091029 A KR20090091029 A KR 20090091029A KR 1020090013466 A KR1020090013466 A KR 1020090013466A KR 20090013466 A KR20090013466 A KR 20090013466A KR 20090091029 A KR20090091029 A KR 2009009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inear motor
coils
phase linear
co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4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타로 와다
도타로 우스이
다이스케 시노히라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0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A coil unit for a three-phase linear motor and a three-phase linear motor are provided to improve driving efficiency by increasing coil density in a thrust effective part. A coil unit(7) for a three-phase linear motor includes a first coil(4), a second coil(5), and a third coil(6). Each coil has a first straight part, a second straight part,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The first straight part and the second straight part are arranged into Y-axis direction. The first straight parts are adjacent into the Y-axis direction. The second straight part is arranged into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first straight part of the third coil.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 both ends of the first straight part and the second straight part. The first coil and the third coil have the same shape.

Description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및 3상 리니어모터{Coil unit for three-phase linear motor and linear motor}Coil unit for three-phase linear motor and linear motor

본 발명은, 3상(三相) 리니어모터의 구동부가 되는 복수의 코일을 가지는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및 3상 리니어모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unit for a three-phase linear motor having a plurality of coils serving as driving portions of a three-phase linear motor, and a three-phase linear motor.

종래, 3상 리니어모터로서, 가동자(구동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코일을 가동자의 이동방향으로 일렬로 나열하고, 지지체(케이스) 속에 수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일체로 조립하여, 코일유닛을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도 9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복수의 코일의 형상 및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同)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코일(100)은, 그 직선부(102), 즉 가동자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자계(磁界)를 받아서 추력(推力)을 발생시키는 부분이, 인접하는 코일(100)의 링 내부에 체인 형상으로 끼워맞춤되도록, 교대로 조합되어 있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s a three-phase linear motor, a plurality of coils constituting a mover (drive part)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er, housed in a support (case), fixed together, and integrally assembled to form a coil unit. It is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coil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plurality of coils 100 extend in the straight portion 102, that is,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er, and receive a magnetic field to generate thrust. The parts are alternately combined so as to fit in a chain shape inside the ring of the adjacent coil 100.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10―052022호 공보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0522

그러나, 복수의 코일을 특허문헌 1 기재와 같이 조합시킨 경우, 코일유닛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코일에 인접하는 코일은 하나뿐이므로, 이 코일의 링 내부에는, 인접하는 하나의 코일의 직선부밖에 끼워 넣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코일의 링 크기를 모두 동일하게 한 경우, 코일유닛의 양단에 위치하는 코일의 링 내부에 공극(空隙)(도면 중의 A 부분)이 생겨 버리므로, 가동자의 추력 유효부에 있어서의 코일 밀도(코일 점적율(占績率))가 작아져, 가동자의 구동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oils are combined a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since there is only one coil adjacent to the coil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coil unit, the coils of the adjacent coils Only the straight part is fitted.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ring sizes of the plurality of coils are the same, voids (part A in the drawing) are generated inside the ring of the coil located at both ends of the coil unit. Coil density (coil spot ratio) becomes small, and the drive efficiency of a mover fall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추력 유효부에 있어서의 코일 밀도(코일 점적율)를 높여서, 구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및 3상 리니어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coil unit for a three-phase linear motor and a three-phase linear motor which can improve the driv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il density (coil spot ratio) in the thrust effective portion. It aims to provid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은, 제1 방향을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하여 설치된 한 쌍의 직선부와, 상기 한 쌍의 직선부의 양단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제2 및 제3 코일을 구비하고, 제1, 제2 및 제3 코일 각각의 한 쌍의 직선부 중 한쪽 직선부가, 제2 방향으로 제1, 제2 및 제3 코일의 순서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제1, 제2 및 제3 코일 각각의 한 쌍의 직선부 중 다른 쪽 직선부가, 제3 코일의 한쪽 직선부로부터 연속하여 제2 방향으로 제1, 제2 및 제3 코일의 순서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hree-phase linear motor coi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straight lines arranged in a lengthwise direction, each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a pair of straight lines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ils,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ils each including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pair of straight portions; One straight portion of the portion i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order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il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other straight portion of the pair of straight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ils is And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order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ils in a second direction continuously from one straight portion of the third coil.

상기한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에 있어서는, 3개의 코일(제1, 제2 및 제3 코일)에 의하여 하나의 독립된 코일유닛이 구성되어 있으며, 각 코일의 직선부가 순차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서로 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각 코일의 링 크기를 일정하게 하면서, 코일의 링 내측에 있어서의 공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의 추력 유효부에 있어서의 코일 밀도(코일 점적율)를 크게 할 수 있어, 구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three-phase linear motor coil unit, one independent coil unit is constituted by three coils (first, second and third coils), and the linear parts of each coil are sequentially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Combined.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voids inside the ring of the coil while keeping the ring size of each coil constant, so that the coil density in the thrust effective portion of the coil unit for three-phase linear motor (coil drop rate). ), The driv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은, 제2 코일의 연결부와 한 쌍의 직선부가 일평면(一平面)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및 제3 코일의 각 연결부가, 제2 코일의 연결부를 서로의 사이에 끼우도록 직선부에 대하여 굴곡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술한 각 코일의 직선부의 배치를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및 제3 코일이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 더욱 좋다. 이에 의하여, 부품의 종류를 삭감하여,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il unit for a three-phase linear motor, the connection part of a 2nd coil and a pair of linear part are arrange | positioned along one flat surface, and each connection part of a 1st and 3rd coil is a connection part of a 2nd coi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nd to the straight portion so as to sandwich the between each other. By such a structure,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linear part of each coil mentioned above can be implement | achieved suitably. In this case, the first and third coils may further have the same shape. Thereby, the kind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and reli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은, 제1 코일의 연결부와 한 쌍의 직선부가 일평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및 제3 코일의 각 연결부가, 제1 코일의 연결부를 서로의 사이에 끼우도록 직선부에 대하여 굴곡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서도, 상술한 각 코일의 직선부의 배 치를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2 및 제3 코일이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 더욱 좋다. 이에 의하여, 부품의 종류를 삭감하여,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il unit for a three-phase linear motor, the connection part of a 1st coil and a pair of linear part are arrange | positioned along one plane, and each connection part of a 2nd and 3rd coil has the connection part of a 1st coil mutually mutually. It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bent relative to the straight portion so as to fit in the. Even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rrange the above-described linear portion of each coil. In this case, the second and third coils may further have the same shape. Thereby, the kind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and reli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상 리니어모터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을 하나 또는 복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3상 리니어모터에 의하면, 추력 유효부에 있어서의 코일 밀도(코일 점적율)를 높여서, 구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ee-phas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coil units for the three-phase linear motor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such a three-phase linear motor, the coil density (coil spot ratio) in a thrust effective part can be raised, and driv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및 3상 리니어모터에 의하면, 추력 유효부에 있어서의 코일 밀도(코일 점적율)를 높여서, 구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il unit for three-phase linear motor and the three-phase linear mo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coil density (coil spot ratio) in a thrust effective part can be raised, and driv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및 3상 리니어모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three-phase linear motor coil unit and the three-phas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ption of drawing,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elemen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1 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3상 리니어모터(1)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동자(2)의 횡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상 리니어모터(1)는, 코일(4∼6)(도 2 참조)을 수용하는 가동자(2)와, 가동자(2)를 그 진행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한 자석유닛(8)을 구비하고 있어, 예컨대, XY 스테이지의 구동부 등으로서 이용된다. 여기서, 도 1에 있어서, 가동자(2)의 진행방향을 Y축 방향이라 하고, 그와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X축 방향이라 하며, X축 방향 및 Y축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방향을 Z축 방향이라 한다. Z축 방향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제1 방향에 상당하며, Y축 방향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제2 방향에 상당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ree-phase linear moto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mover 2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three-phase linear motor 1 moves while guiding the mover 2 to accommodate the coils 4 to 6 (see FIG. 2) and the mover 2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reof. The magnet unit 8 is provided, and is used as a drive part of an XY stage, for example. 1,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movable element 2 is called Y-axis direc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it is called the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Z-axis. It is called a direction. The Z-axis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direction in the claims, and the Y-axis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second direction in the claims.

가동자(2)는, 코일(4)(제1 코일), 코일(5)(제2 코일), 및 코일(6)(제3 코일)로 이루어지는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이하, 코일유닛)을 하나 또는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이 코일유닛의 전체 면을 몰드재(材)(9)에 의하여 피복하고, 그 피복의 상단부를 덮도록 홀더(10)가 장착됨으로써 구성된다. 이 가동자(2)의 횡단면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 뻗는 본체부(2a)와, 폭이 넓은 상단(上端)부(2b) 및 하단(下端)부(2c)를 가지는 대략 I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같은 단면(斷面) 형상이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자(2)는, 코일(4∼6)로의 통전(通電)에 의하여 전자력을 발생시켜, Y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한편, 코일(4∼6)로 이루어지는 코일유닛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 The mover 2 is a coil unit for a three-phase linear mo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il 4 (first coil), a coil 5 (second coil), and a coil 6 (third coil). One or more units), the entire surface of the coil unit is covered with a mold material 9, and the holder 10 is attache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coating. As shown in FIG. 2, the cross section of the movable element 2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2a extending in the Z-axis direction, a wide upper end portion 2b, and a lower end portion 2c. The branch has a substantially I-shape, and this cross-sectional shape extends in the Y-axis direction. The mover 2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by energizing the coils 4 to 6 and moves along the Y 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il unit which consists of coils 4-6 is mentioned later.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석유닛(8)은, 베이스 요크(8a)를 바닥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 요크(8b)를 양 측부로서 조합시킨 구성을 가지고 있 다. 사이드 요크(8b)의 내벽에는, Y축 방향을 따라서 N극 자석(81)과 S극 자석(82)이 교대로 병설(竝設)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agnet unit 8 has the structure which combined the base yoke 8a as the bottom part, and the pair of side yokes 8b which oppose each other as both sides. N-pole magnets 81 and S-pole magnets 82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yoke 8b along the Y-axis direction.

이들 자석(81, 82)은, 가동자(2)의 본체부(2a)의 양 측면(2d)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을 두고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요크(8a)는, 가동자(2)의 하단부(2c)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을 두고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자(2)는, 자석(81, 82) 사이에 있어서 통전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시켜, 자석유닛(8)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se magnets 81 and 82 are disposed to face the two side surfaces 2d of the main body portion 2a of the mover 2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Moreover, the base yoke 8a is arrange | positioned facing the lower end part 2c of the mover 2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n, the movable element 2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by energizing between the magnets 81 and 82 to move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gnet unit 8.

여기서, 코일(4∼6)로 이루어지는 코일유닛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코일(4∼6)로 이루어지는 코일유닛(7)을 X축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도 3⒝는, 도 3⒜에 나타낸 코일유닛(7)의 Ⅲb―Ⅲb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3⒞는, 도 3⒜에 나타낸 코일유닛(7)의 Ⅲc―Ⅲ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코일유닛(7)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코일유닛(7)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4⒜에 나타낸 분해 사시도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가동자(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코일유닛(7)을 하나 또는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가동자(2)가 코일유닛(7)을 복수 구비하는 경우에는, 이 복수의 코일유닛(7)이 Y축 방향으로 병설된다. Here, the structure of the coil unit which consists of coils 4-6 is demonstrated in detail. FIG. 3: is a front view which looked at the coil unit 7 which consists of coils 4-6 from the X-axis direction, and FIG. 3: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IIIb-IIIb line of the coil unit 7 shown in FIG. 3: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IIIc-IIIc line of the coil unit 7 shown in FIG.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unit 7,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unit 7, and FIG. 4B is a top view corresponding to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 The movable element 2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coil units 7 as shown to FIG. 3 and FIG. 4, and when the movable element 2 is equipped with two or more coil units 7, these multiple The coil unit 7 is provided in the Y axis direction.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일유닛(7)은,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코일(4, 5, 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일(4∼6)은, 도전선(導電線)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권회(卷回)됨으로써 구성되며, 각 코일(4∼6)의 링 크기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코일(4∼6)은, 3상 리니어모터(1)에 있어서의 U상, Ⅴ상, 및 W상에 각 각 대응하고 있다. The coil unit 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three coils 4, 5, 6 as described above. The coils 4 to 6 are formed by winding a conductive wire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ring sizes of the coils 4 to 6 are substantially the same. Here, the coils 4 to 6 correspond to the U phase, the V phase, and the W phase in the three-phase linear motor 1, respectively.

코일(4)은, 한 쌍의 직선부(4a, 4b)와, 이 한 쌍의 직선부(4a, 4b)의 양단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4c, 4d)를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5)은 한 쌍의 직선부(5a, 5b)와 한 쌍의 연결부(5c, 5d)를 포함하고 있으며, 코일(6)은 한 쌍의 직선부(6a, 6b)와 한 쌍의 연결부(6c, 6d)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il 4 includes a pair of straight portions 4a and 4b and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4c and 4d that connect both ends of the pair of straight portions 4a and 4b. Similarly, the coil 5 includes a pair of straight portions 5a and 5b and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5c and 5d, and the coil 6 is paired with a pair of straight portions 6a and 6b. The connecting portions 6c and 6d are included.

각 직선부(4a, 4b, 5a, 5b, 6a, 6b)는, 도 1에 나타낸 Z축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Y축 방향으로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4∼6)에 있어서의 한쪽 직선부(4a, 5a, 6a)가, Y축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코일(4∼6)에 있어서의 다른 쪽 직선부(4b, 5b, 6b)가, Y축 방향에 있어서 직선부(6a)로부터 연속하여 이 순서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직선부(4a, 4b, 5a, 5b, 6a, 6b)는, X축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서로 동일하고, 그들의 중심선이 서로 평행하며, 또한 Y축 방향을 따른 가공(架空)의 직선과 모든 중심선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직선부(4a, 4b, 5a, 5b, 6a, 6b)에 있어서의 한쪽 측면은 YZ 평면을 따른 하나의 평면에 포함되고, 다른 쪽 측면은 YZ 평면을 따른 다른 하나의 평면에 포함되는 것이 된다. Each linear part 4a, 4b, 5a, 5b, 6a, 6b is provided in the Z-axis direction shown in FIG.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Y-axis direct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B, 3B, and 4B, one straight portion 4a, 5a, 6a in the coils 4 to 6 are mutually in this order in the Y-axis direction. The other straight portions 4b, 5b and 6b in the coils 4 to 6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is order consecutively from the straight portions 6a in the Y-axis direction. . Here, each of the straight portions 4a, 4b, 5a, 5b, 6a, and 6b has the same thickness in the X-axis direction, their center lin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processing along the Y-axis direction. The straight line and all the centerlines are arranged to intersect. Therefore, one side in each straight portion 4a, 4b, 5a, 5b, 6a, 6b is included in one plane along the YZ plane, and the other side is included in the other plane along the YZ plane. It becomes.

코일(4)의 연결부(4c)는, 이 코일(4)의 직선부(4a, 4b)의 상단끼리를 연결하고 있으며, 코일(4)의 연결부(4d)는, 이 코일(4)의 직선부(4a, 4b)의 하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4c, 4d)는, 직선부(4a, 4b)에 대하여 X축 방향의 한쪽 방향으로 굴곡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5)의 연결부(5c)는, 이 코일(5)의 직선 부(5a, 5b)의 상단끼리를 연결하고 있으며, 코일(5)의 연결부(5d)는, 이 코일(5)의 직선부(5a, 5b)의 하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5c, 5d)는, 연결부(4c, 4d)와 같이 굴곡되어 있지 않고, 직선부(5a, 5b)와 동일 평면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코일(5)은 편평(扁平)한 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코일(6)의 연결부(6c)는, 이 코일(6)의 직선부(6a, 6b)의 상단끼리를 연결하고 있으며, 코일(6)의 연결부(6d)는, 이 코일(6)의 직선부(6a, 6b)의 하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6c, 6d)는, 직선부(6a, 6b)에 대하여 X축 방향의 다른 쪽 방향(즉, 연결부(4c, 4d)와는 반대방향)으로 굴곡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형상을 가지는 코일(4, 6)이 코일(5)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조합됨으로써, 코일(4, 6)의 각 연결부(4c, 6c)가, 코일(5)의 연결부(5c)를 서로의 사이에 끼워 넣게 되고, 또한, 각 연결부(4d, 6d)가, 연결부(5d)를 서로의 사이에 끼워 넣게 된다. 여기서, 코일(4) 및 코일(6)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부품의 종류를 삭감하여,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4c of the coil 4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linear part 4a, 4b of this coil 4, and the connection part 4d of the coil 4 is the straight line of this coil 4 Lower ends of the portions 4a and 4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ortions 4c and 4d are bent in one dir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portions 4a and 4b. Moreover, the connection part 5c of the coil 5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linear part 5a, 5b of this coil 5, and the connection part 5d of the coil 5 is this coil 5 Lower ends of the straight portions 5a and 5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parts 5c and 5d are not bent like the connection parts 4c and 4d, but are provided along the same plane as the straight parts 5a and 5b. Thereby, the coil 5 has shown the flat ring shape. The connection part 6c of the coil 6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linear part 6a, 6b of this coil 6, and the connection part 6d of the coil 6 is the straight line of this coil 6 Lower ends of the sections 6a and 6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parts 6c and 6d are bend | folded with respect to the linear part 6a, 6b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X-axis direction (namely,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nection parts 4c and 4d). The coils 4 and 6 having these shap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from both sides of the coil 5,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s 4c and 6c of the coils 4 and 6 connect the connecting portions 5c of the coil 5 to each other. The fitting portions 4d and 6d are sandwich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5d and 6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il 4 and the coil 6 have the same shape mutually. Thereby, the kind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and reli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일유닛(7)에 있어서는, 3개의 코일(4∼6)에 의하여 하나의 독립된 코일유닛(7)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코일(4∼6)의 직선부(4a, 5a, 6a, 4b, 5b, 6b)가 순서대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서로 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각 코일(4∼6)의 링 크기를 일정하게 하면서, 코일(4∼6)의 링 내측에 있어서의 공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코일유닛(7)의 추력 유효부(즉, 코일유닛(7)에 있어서 자석(81, 82)과 대향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코일 밀도(코일 점적율)를 크게 할 수 있어, 구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 다. In the coil unit 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independent coil unit 7 is configured by three coils 4 to 6, and as shown in Figs. The linear portions 4a, 5a, 6a, 4b, 5b, and 6b of ˜6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as to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order. Thereby, while making the ring size of each coil 4-6 constant,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space | gap in the ring inside of the coils 4-6 can be prevented, and the thrust effective part of this coil unit 7 ( That is, the coil density (coil spot ratio) in the coil unit 7 facing the magnets 81 and 82 can be increased, and driv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제2 실시예) (2nd Examp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3상 리니어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3상 리니어모터의 구성 중, 코일유닛을 제외하는 부분의 구성에 관하여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Next, a three-phas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ion excluding the coil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three-phase linear mo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3상 리니어모터가 구비하는 코일유닛(17)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코일유닛(17)을 X축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5⒜에 나타낸 코일유닛(17)의 Ⅴb―Ⅴb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5 ⒜에 나타낸 코일유닛(17)의 Ⅴc―Ⅴ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6⒜는 코일유닛(17)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코일유닛(17)의 사시도이며, 도 6⒞는 도 6⒜에 나타낸 분해 사시도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il unit 17 included in the three-phas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5: is a front view which looked at the coil unit 17 from the X-axis direction, FIG. 5: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Vb-Vb line of the coil unit 17 shown in FIG. 5, and FIG.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Vc-Vc line of the coil unit 17 shown to 5 Hz. 6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unit 17,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unit 17, and FIG. 6B is a top view corresponding to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일유닛(17)은, 3개의 코일 즉 코일(14)(제1 코일), 코일(15)(제2 코일), 및 코일(16)(제3 코일)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일(14∼16)은, 도전선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권회됨으로써 구성되며, 각 코일(14∼16)의 링 크기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코일(14∼16)은, 3상 리니어모터(1)에 있어서의 U상, Ⅴ상, 및 W상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The coil unit 1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three coils, namely, a coil 14 (first coil), a coil 15 (second coil), and a coil 16 (third coil). have. The coils 14 to 16 are formed by winding a conductive wire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ring sizes of the coils 14 to 16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 coils 14 to 16 correspond to the U phase, V phase, and W phase in the three-phase linear motor 1, respectively.

코일(14)은, 한 쌍의 직선부(14a, 14b)와, 이 한 쌍의 직선부(14a, 14b)의 양단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14c, 14d)를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15)은 한 쌍의 직선부(15a, 15b)와 한 쌍의 연결부(15c, 15d)를 포함하고 있으 며, 코일(16)은 한 쌍의 직선부(16a, 16b)와 한 쌍의 연결부(16c, 16d)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il 14 includes a pair of straight portions 14a and 14b and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14c and 14d that connect both ends of the pair of straight portions 14a and 14b. Similarly, the coil 15 includes a pair of straight portions 15a and 15b and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15c and 15d, and the coil 16 includes a pair of straight portions 16a and 16b.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16c and 16d are included.

각 직선부(14a, 14b, 15a, 15b, 16a, 16b)는, Z축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Y축 방향으로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 ⒜,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14∼16)에 있어서의 한쪽 직선부(14a, 15a, 16a)가, Y축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고, 코일(14∼16)에 있어서의 다른 쪽 직선부(14b, 15b, 16b)가, Y축 방향에 있어서 직선부(16a)로부터 연속하여 이 순서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직선부(14a, 14b, 15a, 15b, 16a, 16b)의 외관 및 이들의 일체적 형상에 대하여서는, 제1 실시예의 각 직선부(4a, 4b, 5a, 5b, 6a, 6b)와 마찬가지이다. Each of the straight portions 14a, 14b, 15a, 15b, 16a, and 16b is provided with the Z axis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Y axis direct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5B, 5B, and 6B, one straight portion 14a, 15a, 16a in the coils 14 to 16 is mutually in this order in the Y-axis direction. The other straight portions 14b, 15b, and 16b in the coils 14 to 16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is order successively from the straight portions 16a in the Y-axis direction. . Here, with respect to the appearance of the straight portions 14a, 14b, 15a, 15b, 16a, and 16b and their integral shapes, each of the straight portions 4a, 4b, 5a, 5b, 6a, and 6b of the first embodiment is described. Same as

코일(14)의 연결부(14c)는, 이 코일(14)의 직선부(14a, 14b)의 상단끼리를 연결하고 있으며, 코일(14)의 연결부(14d)는, 이 코일(14)의 직선부(14a, 14b)의 하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14c, 14d)는, 후술하는 연결부(15c, 15d, 16c, 16d)와 같이 굴곡되어 있지 않고, 직선부(14a, 14b)와 동일 평면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코일(14)은 편평한 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코일(15)의 연결부(15c)는, 이 코일(15)의 직선부(15a, 15b)의 상단끼리를 연결하고 있으며, 코일(15)의 연결부(15d)는, 이 코일(15)의 직선부(15a, 15b)의 하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15c, 15d)는, 직선부(15a, 15b)에 대하여 X축 방향의 한쪽 방향으로 굴곡하여 설치되어 있다. 코일(16)의 연결부(16c)는, 이 코일(16)의 직선부(16a, 16b)의 상단끼리를 연결하고 있으며, 코일(16)의 연결부(16d)는, 이 코 일(16)의 직선부(16a, 16b)의 하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16c, 16d)는, 직선부(16a, 16b)에 대하여 X축 방향의 다른 쪽 방향(즉, 연결부(15c, 15d)와는 반대방향)으로 굴곡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형상을 가지는 코일(15, 16)이 코일(14)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조합됨으로써, 코일(15, 16)의 각 연결부(15c, 16c)가, 코일(14)의 연결부(14c)를 서로의 사이에 끼우게 되며, 또한, 각 연결부(15d, 16d)가, 연결부(14d)를 서로의 사이에 끼우게 된다. 여기서, 코일(15) 및 코일(16)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부품의 종류를 삭감하여,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14c of the coil 14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straight portions 14a and 14b of the coil 14, and the connecting portion 14d of the coil 14 is a straight line of the coil 14. Lower ends of the portions 14a and 14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ortions 14c and 14d are not bent like the connecting portions 15c, 15d, 16c, and 16d described later, and are provided along the same plane as the straight portions 14a and 14b. As a result, the coil 14 exhibited a flat ring shape. Moreover, the connection part 15c of the coil 15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linear part 15a, 15b of this coil 15, and the connection part 15d of the coil 15 is this coil 15 Lower ends of the straight portions 15a and 15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ortions 15c and 15d are bent in one dir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portions 15a and 15b. The connection part 16c of the coil 16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linear part 16a, 16b of this coil 16, and the connection part 16d of the coil 16 of the coil 16 Lower ends of the straight portions 16a and 16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ortions 16c and 16d are bent to the straight portions 16a and 16b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necting portions 15c and 15d). The coils 15 and 16 having these shap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from both sides of the coil 14,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s 15c and 16c of the coils 15 and 16 connect the connecting portions 14c of the coil 14 to each other. It is sandwiched between, and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15d and 16d sandwiches the connecting portion 14d between each other.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il 15 and the coil 16 have the same shape mutually. Thereby, the kind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and reli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일유닛(17)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3개의 코일(14∼16)에 의하여 하나의 독립된 코일유닛(17)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코일(14∼16)의 직선부(14a, 15a, 16a, 14b, 15b, 16b)가 순서대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서로 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각 코일(14∼16)의 링 크기를 일정하게 하면서, 코일(14∼16)의 링 내측에 있어서의 공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코일유닛(17)의 추력 유효부에 있어서의 코일 밀도(코일 점적율)를 크게 할 수 있어, 구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coil unit 1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independent coil unit 17 is constituted by three coils 14 to 16,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FIGS. 5 and 6. As shown in Fig. 1, the straight portions 14a, 15a, 16a, 14b, 15b, and 16b of the coils 14 to 16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as to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order. Thereby, while making the ring size of each coil 14-16 constant,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space | gap in the ring inside of the coils 14-16 can be prevented, and the thrust effective part of this coil unit 17 is prevented. Coil density (coil spot ratio) in a process can be made large, and driv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제3 실시예) (Third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3상 리니어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는, 본 실시예에 관한 3상 리니어모터(1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는, 3상 리니어모터(11)가 구비하는 가동자(12)의 측면도이다. 다만, 본 실시예의 3상 리니어모터(11)의 구성 중, 가동자(12)를 제외하는 부분의 구성에 관하여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 7⒜에 있어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Next, a three-phas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three-phase linear motor 11 which concerns on a present Example. 7 is a side view of the mover 12 with which the three-phase linear motor 11 is equipped. Howev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three-phase linear motor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ion excluding the mover 1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the illustration is omitted in FIG. .

본 실시예의 가동자(12)는, Y축 방향으로 복수 연결되어 연결형 가동자(13)를 구성하고 있다. 각 가동자(12)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낸 코일유닛(7), 및 제2 실시예에 나타낸 코일유닛(17) 중 어느 한쪽을 1 유닛만 포함하고 있으며(도 7⒝ 참조), 이 코일유닛(7(또는 17))의 전체 면을 몰드재(19)에 의하여 피복하고, 그 피복의 상단부를 덮도록 홀더(20)가 장착됨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가동자(12)의 횡단면 형상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내는 가동자(2)의 횡단면 형상과 마찬가지이다. 복수의 가동자(12)로 이루어지는 연결형 가동자(13)는, 코일유닛(7(17))으로의 통전에 의하여 전자력을 발생시켜, Y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여기서, 필요한 추력에 의하여 연결형 가동자(13)의 수를 바꾸어도 좋고, 하나이더라도 좋다. The mover 12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in multiple numbers in the Y-axis direction, and comprises the connected type mover 13. Each mover 12 includes only one unit of either the coil unit 7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or the coil unit 17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see Fig. 7). The whole surface of the coil unit 7 (or 17) is covered with the mold material 19, and the holder 20 is attach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ating | cover may be attached. Here, the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movable element 12 is the same as the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movable element 2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nection type movable element 13 which consists of the some movable element 12 generate | occur | produces an electromagnetic force by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coil unit 7 (17), and moves along a Y-axis direction. Here, the number of the connected movable elements 13 may be changed or may be one by the required thrust.

(제4 실시예) (Example 4)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3상 리니어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는, 본 실시예에 관한 3상 리니어모터(2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는, 3상 리니어모터(21)가 구비하는 가동자(22)의 측면도이다. 다만, 본 실시예의 3상 리니어모터(21)의 구성 중, 가동자(22)를 제외하는 부분의 구성에 관하여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 8⒜에 있어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Next, a three-phas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three-phase linear motor 21 which concerns on a present Example. 8 is a side view of the movable body 22 which the three-phase linear motor 21 is equipped with. Howev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three-phase linear motor 2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ion excluding the mover 2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the illustration is omitted in FIG. .

본 실시예의 가동자(22)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낸 코일유닛(7), 및 제2 실시예에 나타낸 코일유닛(17) 중 어느 한쪽을 복수 포함하고 있다(도 8⒝ 참조). 복수의 코일유닛(7(17))은 Y축 방향으로 간극 없이 병설되어 있으며, 이 복수의 코일유닛(7(또는 17))의 전체 면을 몰드재(29)에 의하여 피복하고, 그 피복의 상단부를 덮도록 홀더(30)가 장착됨으로써 가동자(22)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자(22)의 횡단면 형상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내는 가동자(2)의 횡단면 형상과 마찬가지이다. The mover 22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the coil units 7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and one of the coil units 17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see Fig. 8B). The plurality of coil units 7 (17)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out a gap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oil units 7 (or 17) is covered by the mold material 29, and the The mover 22 is comprised by attaching the holder 30 so that an upper end may be covered. Here, the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movable body 22 is the same as the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movable body 2 shown in 1st Example.

그리고, Y축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자(22)의 양단 각각에 가동자(12)가 연결됨으로써, 연결형 가동자(23)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형 가동자(23)는, 코일유닛(7(17))으로의 통전에 의하여 전자력을 발생시켜, Y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And the movable type | mold mover 23 is comprised by connecting the movable part 12 to each both ends of the movable part 22 in a Y-axis direction. Such a connection type movable member 23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by energizing the coil unit 7 (17) and moves along the Y axis direction.

본 발명에 관한 3상 리니어모터의 가동자는 제3 실시예 혹은 제4 실시예와 같은 형태이더라도 좋으며, 상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효과를 적절히 발휘할 수 있다. The mover of the three-phas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same form as in the third or fourth embodiment, and can appropriately exert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및 3상 리니어모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코일(코일(5))을 편평한 형상으로 하여 이 제2 코일을 제1 코일(코일(4)) 및 제3 코일(코일(6))에 의하여 사이에 끼운 형태를 예시하고,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코일(코일(14))을 편평한 형상으로 하여 이 제1 코일을 제2 코일(코일(15)) 및 제3 코일(코일(16))에 의하여 사이에 끼운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 명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3 코일 중 어느 쪽이 편평 형상을 가져도 좋으며, 혹은, 제1 내지 제3 코일의 연결부가 모두 굴곡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코일 측을 가동자로서 설명하였지만, 자석 측을 가동자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The three-phase linear motor coil unit and the three-phas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coil (coil 5) is made into a flat shape and the second coil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coil (coil 4) and the third coil (coil 6).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coil (coil 14) is a flat shape, and the first coil is formed by a second coil (coil 15) and a third coil (coil 16). Although the form sandwiched between was illustrated, in this invention, any one of the 1st-3rd coil may have a flat shape, or all the connection parts of a 1st-3rd coil may be bent. Moreover, although the said Example demonstrated the coil side as a mover,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when the magnet side is a mov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3상 리니어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ree-phas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가동자의 횡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는 코일유닛을 X축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 ⒝는 ⒜에 나타낸 코일유닛의 Ⅲb―Ⅲb선을 따른 단면도, ⒞는 ⒜에 나타낸 코일유닛의 Ⅲc―Ⅲ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3 is a front view of the coil unit viewed from the X-axis direction, 단면도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b-IIIb of the coil unit shown in ⒜, ⒞ is IIIc of the coil unit shown in ⒜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Ⅲc line.

도 4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는 코일유닛의 분해 사시도, ⒝는 코일유닛의 사시도, ⒞는 ⒜에 나타낸 분해 사시도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unit, ⒜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unit, and ⒞ is a top view corresponding to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n in ⒜.

도 5는,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는 코일유닛을 X축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 ⒝는 ⒜에 나타낸 코일유닛의 Ⅴb―Ⅴb선을 따른 단면도, ⒞는 ⒜에 나타낸 코일유닛의 Ⅴc―Ⅴ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Fig. 5 relates to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V is a front view of the coil unit viewed from the X-axis direction, V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Vb-Vb line of the coil unit shown in V, and V is the Vc of the coil unit shown in V;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VC line.

도 6은,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는 코일유닛의 분해 사시도, ⒝는 코일유닛의 사시도, ⒞는 ⒜에 나타낸 분해 사시도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6 is a top view corresponding to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unit, wherein 사시도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unit, and 분해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

도 7⒜는 제3 실시예에 관한 3상 리니어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는 3상 리니어모터가 구비하는 가동자의 측면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ree-phas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mover provided by the three-phase linear motor.

도 8⒜는 제4 실시예에 관한 3상 리니어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는 3상 리니어모터가 구비하는 가동자의 측면도이다. Fig. 8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ree-phas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Fig. 8B is a side view of the mover included in the three-phase linear motor.

도 9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복수의 코일의 형상 및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coil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FIG.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ign *

1 : 3상 리니어모터1: 3-phase linear motor

2 : 가동자2: mover

2a : 본체부2a: main body

2b : 상단부2b: upper part

2c : 하단부2c: lower part

2d : 양 측면2d: both sides

4∼6, 14∼16 : 코일4 to 6 and 14 to 16 coils

4a∼6a, 4b∼6b, 14a∼16a, 14b∼16b : 직선부4a-6a, 4b-6b, 14a-16a, 14b-16b: straight portion

4c∼6c, 4d∼6d, 14c∼16c, 14d∼16d : 연결부4c-6c, 4d-6d, 14c-16c, 14d-16d: connection portion

7 :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7: Coil unit (for 3-phase linear motor)

8 : 자석유닛8: magnet unit

8a : 베이스 요크8a: base yoke

8b : 사이드 요크8b: side yoke

9 : 몰드재9: mold material

10 : 홀더10: holder

81, 82 : 자석81, 82: Magnet

Claims (8)

제1 방향을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하여 설치된 한 쌍의 직선부와, 상기 한 쌍의 직선부의 양단(兩端)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제2 및 제3 코일을 구비하고, A pair of straight portion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with a first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connecting both ends of the pair of straight portions; A first coil, a second coil, and a third coil, each of which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상기 제1, 제2 및 제3 코일 각각의 상기 한 쌍의 직선부 중 한쪽 직선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제2 및 제3 코일의 순서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코일 각각의 상기 한 쌍의 직선부 중 다른 쪽 직선부가, 상기 제3 코일의 상기 한쪽 직선부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제2 및 제3 코일의 순서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三相)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One straight portion of the pair of straight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ils i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order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il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other straight portion of the pair of straight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ils is formed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ils in the second direction continuously from the one straight portion of the third coil. A coil unit for a three-phase linear motor,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sequen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 코일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직선부가 일평면(一平面)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coil and the pair of straight portions are arranged along one plane, 상기 제1 및 제3 코일의 각 연결부가, 상기 제2 코일의 상기 연결부를 서로의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직선부에 대하여 굴곡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Coil units for three-phase linear motors,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third coils are bent relative to the straight portions so as to sandwich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second coil between each other.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제1 및 제3 코일이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The coil unit for a three-phase linear mo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the third coil have the same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코일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직선부가 일평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il and the pair of straight portions are disposed along one plane,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의 각 연결부가, 상기 제1 코일의 상기 연결부를 서로의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직선부에 대하여 굴곡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Coil units for three-phase linear motors,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coils are bent to the straight portions so as to sandwich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coil between each other.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제2 및 제3 코일이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The coil unit for a three-phase linear mo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nd third coils have the same shap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을 하나 또는 복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리니어모터. The three-phase linear motor provided with the coil unit for three phase linear motors of any one of Claims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을 하나 또는 복수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나열함으로써 가동자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 The coil unit for three-phase linear motors is formed as a mover by arranging one or more coil units for the three-phase linear motors in the second dir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3상 리니어모터용 코일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나열하여 가동자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리니어모터.The three-phase linear motor coil unit is formed as a mover by arranging one or more in the second direction.
KR1020090013466A 2008-02-21 2009-02-18 Coil unit for three-phase linear motor and linear motor KR2009009102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0535 2008-02-21
JP2008040535A JP2009201264A (en) 2008-02-21 2008-02-21 Three-phase linear motor and coil unit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029A true KR20090091029A (en) 2009-08-26

Family

ID=4114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466A KR20090091029A (en) 2008-02-21 2009-02-18 Coil unit for three-phase linear motor and linear mo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201264A (en)
KR (1) KR20090091029A (en)
TW (1) TW20094190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195A (en) * 2020-07-13 2022-01-20 토요 오토메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Ironless linear mo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9665B1 (en) * 2010-01-18 2011-04-27 株式会社新川 Two-way moving table
JP5508362B2 (en) * 2011-08-24 2014-05-28 東芝機械株式会社 Linear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il for linear motor
CN103560643B (en) * 2013-10-24 2016-01-13 清华大学 A kind of printed circuit board (PCB) winding linear motor
TWI514725B (en) 2013-12-19 2015-12-21 Delta Electronics Inc Linear motor and motor set using same
US10778049B2 (en) * 2016-06-07 2020-09-15 Sapphire Motors Stator assembly with stack of coated conductors
CN111541331B (en) * 2020-05-26 2022-04-12 深圳大学 Magnetic suspension motor and stator structur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895B2 (en) * 1989-04-28 1995-05-17 トヨタ車体株式会社 Brushless DC linear motor
JPH07177722A (en) * 1993-12-22 1995-07-14 Hitachi Metals Ltd Linear motor
JP2001037200A (en) * 1999-07-19 2001-02-09 Canon Inc Linear motor, stage apparatus, aligner and manufacture of device
JP2002281728A (en) * 2001-03-22 2002-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near actuator
JP2004357353A (en) * 2003-05-27 2004-12-16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Linear electromagnetic actuator
JP4543375B2 (en) * 2003-07-22 2010-09-15 日立金属株式会社 Moving coil linear mo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36875B2 (en) * 2006-10-05 2013-02-06 日立金属株式会社 Energization control circuit for linear mo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195A (en) * 2020-07-13 2022-01-20 토요 오토메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Ironless linear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41900A (en) 2009-10-01
JP2009201264A (en) 2009-09-03
TWI370608B (en) 201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1029A (en) Coil unit for three-phase linear motor and linear motor
JP6584619B2 (en) Linear motor
KR101111018B1 (en) Linear motor
EP1178589B1 (en) Linear mo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7242117B2 (en) Linear motor
EP2712070B1 (en) Linear vernier motor
JP4492118B2 (en) Linear motor and suction force cancellation type linear motor
JP3360606B2 (en) Linear motor
JP2010141978A (en) Thrust generation mechanism
CN105075081B (en) Linear electric motors
EP3326276B1 (en) Transverse flux linear motor
JP5488831B2 (en) Linear motor and stage device
JP2013034385A (en) Thrust generation mechanism
CN100527573C (en) Linear motor and X-Y stage
JP4846350B2 (en) Linear motor
JP6056571B2 (en) Linear motor
JP4819746B2 (en) Linear motor
JP6765864B2 (en) Linear motor and linear slider
WO2016051855A1 (en) Linear motor
WO2024100907A1 (en) Linear motor
JP6058114B2 (en) Linear motor
JP2001095226A (en) Coreless linear motor
JP5067438B2 (en) Linear motor and table feeder using the same
JP6197346B2 (en) Linear motor
JP2018137873A (en) Linear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