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392A -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경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 - Google Patents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경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392A
KR20090090392A KR1020097014863A KR20097014863A KR20090090392A KR 20090090392 A KR20090090392 A KR 20090090392A KR 1020097014863 A KR1020097014863 A KR 1020097014863A KR 20097014863 A KR20097014863 A KR 20097014863A KR 20090090392 A KR20090090392 A KR 20090090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mine
substrate
coating
maleate
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876B1 (ko
Inventor
하워드 엘 센크포
토마스 알 혹스웬더
스티븐 브이 바랜시크
조나단 티 마츠
스티븐 알 자왁키
Original Assignee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9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29/2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e.g. aspart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34Polyamines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19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08G18/3821Carboxylic acids; Esters thereof with monohydrox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54Polyethers containing oxyalkylene groups having four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21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08G18/5024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containing primary and/or secondary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2Polyam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993Surface feature [e.g., rough, mirr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05Next to free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라이아민과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반응 생성물로서, 점도가 2000cPs 미만인 반응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코팅 및 이로서 코팅된 기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경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TRIAMINE/ASPARTATE CURATIVE AND COATING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라이아민과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반응 생성물로서, 점도가 2000cPs 미만인 반응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및 이로써 코팅된 기재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어 자동차, 배, 항공기, 공업, 건설, 군대, 스포츠용 용품을 비롯한 레크레이션 용품과 같은 광범위한 산업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산업에서는, 코팅되는 기재 또는 제품에 목적하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을 개발하는데 상당히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코팅은, 부식, 마모, 충격, 화학물질, 자외선, 화염, 열 및/또는 다른 환경적 노출로 인한 손상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기능적 특성 이외에, 코팅은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우레아는 일반적으로 아민과 아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된 다. 가교결합제 또는 "경화제"인 폴리아민과 같은 아민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민은 아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결합되어 우레아 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민은, 활성 불포화 기, 에폭시 기, 방향족 활성 알데하이드 기, 환형 카보네이트 기, 산, 무수물, 및 에스터 기와 반응성이고, 따라서 이들 기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차 아미노 기를 갖는 폴리아민 가교결합제는, 주변 온도 또는 저온 조건하에서(즉, 100℃ 미만) 이러한 작용기 중 일부와 상당히 반응성일 수 있다. 이러한 높은 반응성은, 고압 직동식 분사법(high pressure impingement spraying)과 같은 용도에서, 너무 짧은 가사시간(potlife) 또는 다른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한 지방족 이차 아민은 이러한 다양한 작용기와의 반응성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충분히 반응성이면서 적당한 가사시간을 제공하는 아민 경화제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추가로, 아민 경화제가 사용되는 최종 조성물에 목적하는 특성을 부여하는 아민 경화제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트라이아민과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로서, 점도가 2000cPs 미만인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트라이아민과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 및 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로부터 형성된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되, 상기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 이트 반응 생성물은 2000cPs 미만의 점도를 갖는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전기코팅(electrocoat) 층, 베이스 코팅층 및 투명 코팅층 중 하나 이상; 및 트라이아민과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 및 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로부터 형성된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되, 상기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이 2000cPs 미만의 점도를 갖는 코팅을 포함하는 다층 코팅 복합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된 기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라이아민과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로서, 점도가 2000cPs 미만인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반응 생성물은 본원에서 종종,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 또는 간단하게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또는 "반응 생성물" 또는 유사한 용어로서 지칭되고, 상기 반응 생성물은 본원에서 "경화제"로도 지칭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반응 생성물이 아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거나 아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경화하여 폴리우레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적당한 트라이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트라이아민은 전형적으로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01
상기 식에서,
각각의 n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임의의 정수이다.
다이알킬렌 트라이아민이 특히 적당하며, 구체적으로 n이 3인 다이프로필렌 트라이아민이 적당하다. 비스(헥사메틸렌)트라이아민(즉, n이 6임)도 특히 적당하다.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특정 트라이아민이 반응 생성물의 점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지환족 아민은 생성된 반응 생성물을 고도의 점성으로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지환족 트라이아민을 포함하는 지환족 아민의 사용은 특히 배제된다. 예를 들어, 점도는 브룩필드(Brookfield) 점성계를 사용하거나, 뉴튼 유체(Newtonian fluid)의 점도를 가드너 버블(Gardner Bubble) 점도로부터 센티포아즈로 환산하는 챠트를 사용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2000cPs 미만의 점도는 취급, 즉 펌핑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도포하기에 최적임을 발견하였다. 점도는, 전술한 폴리우레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 및 폴리아이오시아네이트 성분의 혼합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임의의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 푸마레이트의 예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가 알콜과 말레산 및 푸마르산의 에스터, 예를 들어, 다이 메틸, 다이에틸, 다이-n-프로필, 다이-아이소프로필, 다이-n-뷰틸, 다이-2급-뷰틸, 다이-3급-뷰틸, 다이-아이소뷰틸, 다이-페닐, 다이-t-아밀, 다이-헥실, 사이클로헥실 및 다이-2-에틸헥실 말리에이트 또는 상응하는 푸마레이트를 들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2개의 상이한 알킬기를 갖는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말리에이트와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알킬기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실기와 같은 부가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예는 말레산 무수물, 알콜과 에폭시의 반응 생성물;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과 알콜 및 에폭시의 반응 생성물; 또는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과 에폭시의 반응 생성물을 들 수 있다. 적당한 알콜은,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뷰탄올, 아이소뷰탄올, 2급-뷰탄올, 3급-뷰탄올, 다양한 이성체 펜탄올, 다양한 이성체 헥산올, 사이클로헥산올, 2-에틸헥산올 등을 들 수 있다. 적당한 에폭사이드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1,2-에폭시뷰테인, 및 글라이시딜 네오데카노에이트(이들의 예는 카르두라(CARDURA) E10P, 헥시온 스페셜티 케미칼스 인포코레이티드(Hexion Speciality Chemicals, Inc.))를 들 수 있다.
트라이아민과,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는, 목적하는 반응 생성물을 제공하는 임의의 비율로 반응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아민 대 다이알킬 말레이에트/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당량비는 실질적으로 화학량론적 값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다이알킬 말리에이트/다이알킬 푸마레이트 기의 전환을 보장하거나, 일부 미반응 아민 작용기를 남기기 위해서, 과량의 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반응 생성물은 미반등 일차 아미노 기가 실질적으로 없다.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에 잔류하는 일차 아민의 양을 최소화하면, 아이소시아네이트와 이들의 반응 속도가 느려져서, 따라서 아민 대 다이알킬 말리에이트/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비가 생성된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에서 요구되는 반응성의 수준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다른 실시양태에서, 다이알킬 말리에이트/다이알킬 푸마레이트에 대한 과량의 아민을 사용하여 후속적인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경화 속도를 바꿀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아민 대 다이알킬 말리에이트/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당량비는 3:2이고,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생성된 이차 아민은 상이한 반응성을 가질 것이다. 즉, 아스파르테이트로 공지된 이러한 이차 아민의 질소는 입체적으로 밀집된 환경이다. 추가로, 상기 구조의 에스터 부분은 전도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2가지의 특성은, 폴리우레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반응 생성물의 이차 아민과 아이소시아네이트 기의 반응 속도를 늦추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은,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기술한 방법,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는, 일차 아민이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와 함께 마이클 첨가반응(Michael addition)을 겪고 반응 온도가 제어되는 방식으로, 20 내지 75℃에서 트라이아민에 첨가될 수 있다. 그다음, 반응 혼합물을 75℃까지의 온도로 가열하여 반응을 종결할 수 있 다. 말리에이트 또는 푸마레이트 이중 결합의 반응 및 소모는 개별적인 분석 방법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적외선(IR) 분광광도계, 양자 및 탄소-13 핵자기 공명(NMR) 분광광도계를 들 수 있다. 다이알킬 말리에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적외선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반응이 종결되거나 더 이상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1645 내지 1650cm-1에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신축의 소멸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양자 NMR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6.25ppm에서의 바이닐 수소 피크의 소멸을 모니터링한다. 탄소-13 NMR을 사용하여, 165ppm에서의 카보닐 탄소 피크의 소멸을 모니터링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라이아민 대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임의의 적당한 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트라이아민과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과 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우레아를 포함하는 코팅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아이소시아네이트 기의 당량 대 아민 기의 당량의 비는 1 초과이고, 아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은 1:1의 체적 혼합비로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아이소시아네이트"라는 용어는, 하이드록실 또는 아민 작용기와 같은 반응성 기와 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비블록화 화합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아이소시아네이트는,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리 아이소시아네이트"를 지칭할 수 있다. 선택적인,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아이소시아네이트는 하나의 아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NCO)를 함유하는 일작용성일 수 있거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이소시아네이트는 2개 이상의 아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NCO)를 함유하는 다작용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아이소시아네이트는 여러가지이며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소시아네이트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아이소시아네이트의 비-제한적인 예는 단량체성 및/또는 중합체성 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는 단량체, 예비중합체,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블렌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는 C2-C20 선형, 분지형, 환형, 방향족, 또는 이들의 블렌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적당한 아이소시아네이트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3,3,5-트라이메틸-5-아이소시아나토-메틸-사이클로헥실 아이소시아네이트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IPDI); 수소화 물질, 예를 들어 사이클로헥실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다이사이클로헥실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H12MDI); 혼합된 아르알킬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자일릴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OCN-C(CH3)2-C6H4C(CH3)2-NCO; 폴리메틸렌 아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1,4-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5-펜타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HMDI), 1,7-헵타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2,2,4- 및 2,4,4-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10-데카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2-메틸-1,5-펜타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향족 아이소시아네이트의 비-제한적인 예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페닐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TDI), 자일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클로로페닐렌 2,4-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바이톨루엔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다이아니시딘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알킬화 벤젠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개입형 방향족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메틸렌다이페닐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3,3'-다이메틸-4,4'-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알킬화 유사체를 비롯한 4,4'-이성체(MDI), 중합체성 메틸렌다이페닐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비-제항적인 실시양태에서,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즉, 예비중합체의 제조로부터의 잔류하는 자유 단량체)의 사용은 폴리우레아 조성물의 점도를 감소시켜, 이들의 유동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미 도포된 코팅 및/또는 미코팅된 기재에 대한 폴리우레아 코팅의 개선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기재에 미리 도포되어 있는 코팅이 아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인 작용기(예를 들어,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여, 상기 코팅 위에 도포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조성물에 대한 상기 코팅의 접착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점성이 보다 낮은 폴리우레아 조성물은, 보다 높은 점도를 갖는 필적할 만한 조성물에 비해, 장기간 동안 "유동성" 상태로 잔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양태에서, 1중량% 이상, 또는 2 중량% 이상, 또는 4 중량% 이상의 아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하나 이상의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아이소시아네이트는, 올리고머성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1,6-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의 우레트다이온과 같은 이량체; 1,6-헥세인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의 바이루레트 및 아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의 아이소시아누레이트와 같은 삼량체; 및 중합체성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카보다이이미드 및 우레티디온,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개질된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도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물질은,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데스모더(DESMODUR, 등록상표; 미국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 소재의 바이엘 코포레이션(Bayer Corporation))로 시판중인 제품, 예를 들어 데스모더 N 3200, 데스모더 N 3300, 데스모더 N 3400, 데스모더 XP 2410, 및 데스모더 XP 2580을 들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아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란 폴리아민 또는 또다른 아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기, 예를 들어 폴리올과 예비-반응한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를 의미한다. 적당한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는 본원에서 전술한 것을 들 수 있다. 적당한 폴리아민은 여러가지이며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변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적당한 폴리아민의 예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차 및 이차 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것을 들 수 있다. 아민 말단화 폴리우레아도 사용될 수 있다. 아민이 2개 이상의 일차 및/또는 이차 아미노 기를 포함한다면, 삼차 아민 작용기를 포함하는 아민도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폴리올은 여러가지이며, 당업계에 공지된 광범위한 변종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적당한 폴리올의 예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터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폴리우레아 폴리올(예를 들어, 아미노-작용성 폴리우레아와 하이드록실 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마이클 반응 생성물),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우레탄 폴리올, 폴리바이닐 알콜, 펜단트 하이드록시 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 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부가 중합체, 알릴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아이소시아네이트는 아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를 포함하고, 다른 실시양태에서, 아이소시아네이트는, 아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아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전술한 하나 이상의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는, 전술한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과 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초과의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 또는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 이외에 하나 초과의 아민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조성물은, 아민,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반응 생성물인 하나 이상의 아민(예를 들어 본원에서 참조 로 인용되고 본원과 동일한 날에 출원된 것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아스파르테이트 아민 경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 및 제품"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에 기재되어 있음); 폴리아민,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모노아민의 반응 생성물인 하나 이상의 아민(예를 들어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되고 본원과 동일한 날에 출원된 것으로, "아민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성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코팅"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에 기재되어 있음); 폴리아민 및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 생성물인 하나 이상의 아민(예를 들어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되고 본원과 동일한 날에 출원된 것으로, "폴리아민/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코팅"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에 기재되어 있음); 및/또는 모노아민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 생성물인 하나 이상의 아민(예를 들어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되고 본원과 동일한 날에 출원된 것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민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에 의해 코팅된 기재"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에 기재되어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경화제 및 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코팅은,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모노아민, 폴리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비롯한 다른 아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일차 폴리아민으로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에틸렌 다이아민, 1,2-다이아미노프로페인, 1,4-다이아미노뷰테인, 1,3-다이아미노펜테인(다이테크(DYTEK) EP, 인비스타), 1,6-다이아미노헥세인, 2-메틸-1,5-펜테인 다이 아민(다이테크 A, 인비스타), 2,5-다이아미노-2,5-다이메틸헥세인, 2,2,4- 및/또는 2,4,4-트라이메틸-1,6-다이아미노 헥세인, 1,11-다이아미노운데케인, 1,12-다이아미노도데케인, 1,3- 및/또는 1,4-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민, 1-아미노-3,3,5-트라이메틸-5-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세인, 2,4- 및/또는 2,6-헥사하이드로톨루일렌 다이아민, 2,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 메테인, 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 메테인(PACM-20, 에어 프로덕츠(Air Products)), 3,3'-다이알킬-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 메테인(예를 들어, 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 메테인(다이메틸 디시칸(DIMETHYL DICYKAN) 또는 라로민(LAROMIN) C260, 바스프; 앤크아민(ANCAMINE) 2049, 에어 프로덕츠) 및 3,3'-다이에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 메테인), 2,4- 및/또는 2,6-다이아미노톨루엔 및 2,4'- 및/또는 4,4'-다이아미노다이페닐 메테인을 들 수 있다. 다른 아민으로는, 이차 지환족 다이아민, 예를 들어 제플린크(JEFFLINK) 754 (헌츠만 코포레이션, 미국 텍사스주 휴스톤 소재) 및 클리어린크(CLEARLINK) 1000 (도르프-케탈 케미칼스 엘엘씨(Dorf- Ketal Chemicals, LLC)); 아스파르트산 에스터 작용성 아민, 예를 들어 상품명 데스모펜(DESMOPHEN)으로 시판 중인 것, 예를 들어 데스모펜 NH1220, 데스모펜 NH 1420 및 데스모펜 NH 1520(바이엘 코포레이션)를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 아민 또한 적당하다. 폴리옥시알킬렌아민은, 예를 들어 프로필렌 옥사이드, 에틸렌 옥사이드, 뷰틸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래되는, 주쇄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일차 또는 이차 아미노 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아민의 예는, 상표명 제파민으로 시판 중인 것, 예를 들어,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파민 D- 230, D-400, D-2000, HK-511, ED-600, ED-900, ED-2003, T-403, T-3000, T-5000, SD-231, SD-401, SD-2001, 및 ST-404(헌츠만 코포레이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아민은 200 내지 7500의 적당한 분자량을 갖는다. 하나 초과의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이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반응 생성물 중에 트라이아민(들) 및 다이알킬 말리에이트(들)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적당한 이차 아민은 아크릴로니트릴과 일차 아민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의 반응 생성물이다. 적당한 아민으로는, 일차 아미노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기술된 임의의 폴리아민을 들 수 있다. 적당한 물질의 예는 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테인과 아크릴로니트릴의 부가물이다. 시판중인 물질의 예는 폴리클리어(POLYCLEAR) 136(한센 그룹 엘엘씨(Hansen Group LLC))의 상품명으로 시판중인, 아이소포론 다이아민과 아크릴로니트릴의 부가물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아민은, 일차 폴리아민과 모노 또는 폴리에폭사이드의 부가물이며, 이러한 물질의 예는 카르두라(CARDURA) E10P(헥시온 스페셜티 케미칼스 인포코레이티드에서 시판중임)와 아이소포론 다이아민의 부가물을 들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폴리우레아의 아민 성분, 및/또는 폴리우레아 그 자체는 실질적으로 일차 아민 작용기(미반응된 일차 아미노 기)가 없다. "실질적으로 일차 아민 작용기가 없다" 및 유사한 용어는, 이론상으로는 일차 아민 작용기가 없지만, 순수하게 우연히 생기는, 일부 일차 아민 작용기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즉, 다르게는 이차 아민이었을 작용기 및/또는 반응하지 않은 미량의 일차 아민 잔용기인 아민내의 불순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폴리우레아 및 폴리우레탄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아"란, 폴리우레아, 및 폴리우레아와 폴리우레탄의 블렌드 둘다를 포함한다.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폴리우레탄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의 부산물로서 형성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선택적인 실시양태에서, 폴리우레탄은 동일반응계에서 형성될 수 있고/있거나 반응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는 본원에서 개시된 폴리올과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NCO 작용성 예비중합체이다. 동일 반응계에서 형성된 폴리우레탄의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와 하이드록시-작용성 물질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의 비-제한적인 예는 본원에 기술된 것이다. 적당한 하이드록실-작용성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본원에서 개시한 폴리올을 들 수 있다. 동일 반응계에서 형성된 폴리우레탄의 다른 예는 하이드록실 작용성 예비중합체 및 아이소시아네이트 작용성 물질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물의 적당한 예는 본원에서 기술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은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배합되고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본원에서 기술한 임의의 코팅 조성물을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함을 포함하는 기재의 코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통상적인 분사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양태에서, 아이소시아네이트 기의 당량 대 아민 기의 당량의 비가 1 초과이면서 아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이 1:1의 체적 혼합비로 기재에 도포될 수 있도록, 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아민을 혼합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미코팅된 기재 또는 코팅된 기재에 도포하여 미코팅된 기재에는 제 1 코팅을, 또는 코팅된 기재에는 후속적인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아이소시아네이트 기의 당량 대 아민 기의 당량의 비를 결정하는 경우, 전체 반응성 아민 기, 즉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경화제로부터의 아민 기 뿐만 아니라 코팅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아민 기도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2성분 또는 "2K" 조성물일 수 있되, 여기서 아이소시아네이트-함유 성분 및 아민-함유 성분은 도포하기 전에는 분리된 상태임을 알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가열 가압된 공기 또는 열 경화가 적용되어 최종 경화를 촉진시키거나 접착과 같은 코팅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상기 조성물은 주위 조건에서 경화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양태에서, 분사형 코팅 조성물은 2-성분 혼합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아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아민 성분은 고압 직동식 혼합 장치에 첨가된다. 예를 들어, 아이소시아네이트는 "A-사이드"에 첨가되고, 아민은 "B-사이드"에 첨가된다. A- 및 B-사이드 스트림은 서로에게 충돌한 후, 곧바로 코팅되거나 미코팅된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분사된다. 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아민을 반응시켜, 코팅 조성물을 형성하고, 코팅되거나 미코팅된 기재에 도포한 후 경화시킨다. A- 및/또는 B-사이드는, 도포하기 전에, 예를 들어 140℉까지 가열할 수 있다. 가열은 이들 두가지 의 성분 사이의 우수한 점도 매칭을 촉진하여 우수한 혼합을 촉진할 수 있지만, 경화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구스머(GUSMER) 모델 GX-7 분사 건이 장착된 것으로, 구스머 VR-H-3000 프로포션널의 상표명으로 시판중인 혼합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A- 및 B-사이드 성분의 가압된 스트림이 2개의 별도의 챔버로부터 수송되고, 빠른 속도로 서로에게 충격을 주거나 충돌하여 2성분을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형성한 후, 분사 건을 사용하여 코팅되지 않거나 코팅된 기재에 도포할 수 있다. 성분 스트림에 의해 경험되는 혼합력은 단위 시간당 혼합 챔버로 도입되는 각각의 스트림의 체적과 성분 스트림이 수송되는 압력에 좌우될 수 있다. 단위 시간 당 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아민의 1:1 체적비는 이러한 힘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산업상 공지되어 있는 다른 적당한 도포 장치로는 "정류 혼합 튜브" 도포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장치에서, 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아민은 각각 개별적인 챔버에 저장된다. 압력이 적용됨에 따라, 각각의 성분이 1:1의 체적비로 혼합 튜브에 도달한다. 성분의 혼합은, 튜브내의 일그러지거나 코르크 스트류 경로에 의해 수행된다. 튜브의 배출 말단은, 반응 혼합물의 분사 도포에 유용한 미립화능(atomization capability)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유체 반응 혼합물을 비드인 기재에 도포할 수도 있다. 정류 혼합 튜브 도포기는 캠다 코포레이션(Cammda Corporation)에서 시판중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은 광범위한 기재에 도포될 수도 있 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본원에서 기술된 임의의 조성물에 의해 코팅된 기재에 관한 것이다. 적당한 기재의 비제한적인 예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금속, 천연석 및/또는 합성석, 세라믹, 유리, 벽돌, 시멘트, 콘크리트, 콘크리트 블록, 목재, 및 이들의 복합체 및 적층체; 벽판재료, 건식벽체, 시트록, 시멘트 보드, 플라스틱, 종이, PVC, 스티로폼, 플라스틱 복합체, 아크릴계 복합체, 발리스틱(ballistic) 복합체, 아스팔트, 섬유 유리, 토양, 자갈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기재"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알루미늄, 임의의 형태의 강, 예를 들어 냉연강, 전기도금 강, 고온 침지 도금 강, 티타늄 등을 비롯한 금속 및/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하는 기재이다. 플라스틱은,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TPO, SMC, TPU,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아마이드(나일론)를 들 수 있다. 기재는 프라임화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즉, 유기 또는 무기 층이 상기 기재 위에 도포되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상기 기재에 도포되어 하나 이상의 광범위한 특성, 예를 들어,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내부식성, 내마모성, 충격 손상, 내연성 및/또는 내열성, 화학물질 내성, UV광 내성, 구조적 일체성, 발리스틱 완화, 폭발 완화, 음향 완충, 장식 등을 부여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품, 예를 들어,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운송수단과 같은 기재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운송수단"이란,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용, 상업용 및 군용, 육상-, 수상- 및 항공-운송수단, 예를 들어 자동차, 트럭, 보트, 선박, 잠수함, 비행기, 헬리콥터, 험비 및 탱크를 들 수 있다. 제품은 빌딩 구조물일 수도 있다. "빌딩 구조물"이란,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거주용, 상업용 및 군용 구조물을 비롯한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로서, 예를 들어 지붕, 마루, 지지체 빔, 벽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기재"라는 용어는, 제품의 적어도 일부 표면, 즉 외면 및 내면, 제품 그 자체, 빌딩 구성요소 등을 지칭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기재는 트럭 베드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담체 필름에 도포될 수도 있다. 담체 필름은 당업계에 공지된 광범위한 이러한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적당한 담체 필름의 비제한적인 예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열가소성 물질, 열경화성 물질, 금속 호일, 셀룰로즈 종이, 합성 종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물질"이란 용어는, 가열될 때, 연화 또는 융합될 수 있고 냉각되면 다시 고화(경화)되는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적당한 열가소성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우레아, 아크릴류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열경화성 물질"이란, 가열 및/또는 경화한 후에 영구적으로 단단해지는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우레탄 중합체, 폴리에스터 중합체, 폴리아마이드 중합체, 폴리우레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아미노플라스트, 아이소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은 노출된(예를 들어, 미처리되거나 미코팅된) 기재, 예비처리된 기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코팅을 갖는 코팅된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다층 코팅 복합체의 일부로서 도포될 수 있다. 기재에 도포된 제 1 코팅은 표면 코팅 기재를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코팅 조성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착성 필름 형성 조성물, 프라이머 조성물, 착색화 또는 비-착색화 모노코팅 조성물, 착색화 또는 비-착색화 베이스 코팅 조성물, 투명한 탑코트 조성물, 산업적 코팅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예비처리된 기재, 및 코팅층, 예를 들어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기코팅, 프라이머, 베이스 코팅, 투명 코팅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층 코팅 복합체의 일부로서 도포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투명 코팅은 가교결합 및 경화 이전 또는 이후에 실레인 작용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실시양태는, 트라이아민과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과 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폴리우레아 층 이외에, 전기 코팅층, 베이스 코팅층 및 투명 코팅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코팅 복합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된 기재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다층 코팅 복합체는, 전술한 폴리우레아 층 이외에 2개 이상의 전기코팅 층, 베이스 코팅층, 및 투명 코팅층을 포함하고, 다른 실시양태에서, 다층 코팅 복합체는 전술한 폴리우레아 층 이외에 전기코팅 층, 베이스 코팅층, 및 투명 코팅층을 포함한다. 전기코팅 층은, 장식 및/또는 보호 목적을 위해 다양한 산업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전착성 필름-형성 조성물로부터 침착된 것이다. 베이스 코팅층은 임의의 착색화 또는 비-착색화 베이스 코팅 조성물로부터 침착된 것이다. 전형적으로, 착색화 베이스 코팅은 투명 코팅과 함께 사용된다. 투명 코팅층은 임의의 투명 코팅 조성물로부터 침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투명 코팅은, 가교결합 및 경화 이전 또는 이후에 실레인 작용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투명 코팅은 경화 이후에 저함량 표면 작용기, 예를 들어 카바메이트 멜라민, 하이드록실 멜라민, 2K 우레탄, 및 실레인-함유 투명 코팅을 갖는다. 임의의 개수의 부가적인 코팅 및/또는 처리층이, 전기코팅 층, 베이스 코팅층, 투명 코팅층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층과 함께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폴리우레아층은, 예를 들어, 전기코팅 층, 프라이머 층, 부가적인 전기코팅, 베이스 코팅 및/또는 투명 코팅 층 등 이전에 예비-처리층일 수 있다. 기재는 임의의 적당한 기재, 예를 들어 본원에서 기술한 임의의 것을 들 수 있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은 직물-짜임형 표면을 형성하는 이중 코팅 도포법(two-coat application)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 1 코팅은 미코팅되거나 코팅된 기재에 도포되어 부드럽고 실질적으로 점착성-부재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점착성-부재 방법"을 사용하여 층이 실질적으로 점착성이 없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점착성-부재 방법은, 하나의 코팅으로 코팅 조성물을 비-접착성 플라스틱 시트에 10 내지 15밀(254 내지 381㎛)의 두께로 분사함을 포함한다. 분사가 완료되면, 느슨하게 맞는 일회용 비닐 장갑, 예를 들어 암비덱스 일회용 비닐 장갑(AMBIDEX Disposable Vinyl Glove; 미국 조지아주 노르크로 스 소재의 마리골드 인더스트리즈(Marigold Industrial)에서 시판함)을 사용하여 조작자가 코팅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진다. 다른 손가락 끝을 사용하여 1회 초과의 횟수로 코팅을 만질 수 있다. 장갑이 더 이상 끈적거리지 않거나 층의 표면으로부터 더 이상 당겨지지 않을 때, 층은 실질적으로 점착성이 부재하다고 할 수 있다. 분사 종료 시간부터 코팅이 실질적으로 점착성이 없어질 때까지를, 점착 부재 시간으로 지칭한다.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점착 부재 시간 및 경화 시간은 다양한 조성물 성분의 함량, 예를 들어 일차 아민 대 이차 아민의 비를 균형맞춤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그다음, 이차 코팅은, 직물-짜임형 층 또는 "더스트 코팅(dust coating)"으로서 제 1 코팅 층 위에 도포할 수 있다. 제 2 코팅층은, 도포/혼합 장치와 코팅되는 기재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코팅 조성물이 코팅되는 기재에 접촉하기 전에 개별적인 액적을 형성하도록 하여 도포하기 때문에, 제 2 층의 표면에 제어된 비-균일성을 형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점착성이 없는 코팅의 제 1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층에 대해 내성을 갖는다. 즉, 실질적으로 점착성이 없는 코팅의 제 1 층은 제 2 층 또는 더스트 코팅으로서 상기 제 1 층 위에 분사된 코팅 조성물 액적의 유착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성을 가져서, 상기 액적은 이전 층에 접착하지, 유착하지 않아서 표면의 직물-짜임을 형성한다. 최종 코팅 층은 전형적으로 제 1 또는 이전의 코팅 층에 비해 보다 우수한 표면 직물-짜임을 나타낸다. 코팅 층의 전체 두께는 20 내지 1000밀, 또는 40 내지 150밀, 또는 60 내지 100밀(1524 내지 2540㎛), 또는 500 내지 750밀이다.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제 1 층은 전체 두께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고, 더스트 코팅은 15 내지 50밀(381 내지 127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제 1" 코팅층은 하나,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코팅 층은 그 위에 도포된 하나 이상의 후속적인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폴리우레아 층이 도포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제 4 층이 더스트 코팅일 수 있고, 이때 각각의 층은 두께가 15 내지 25밀(381 내지 635㎛)일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은 비교적 "두껍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보다 얇은 층, 예를 들어 0.1 내지 15밀 미만, 예를 들어 0.1 내지 10밀, 0.5 내지 3밀, 또는 1 내지 2밀로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층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 또는 다르게는 본원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코팅층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충분한 두께(예를 들어, 10 내지 1000밀, 예를 들어 100 내지 200밀, 또는 125밀±10밀)로 도포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층이 폭발 완화성을 제공할 수 있다. "폭발 완화"란, 예를 들어 매우 인접한 폭발 또는 파열과 같은 사건에서의 보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보호란, 예를 들어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일부, 예를 들어 빌딩 구조물, 운송수단, 비행기, 선박/보트, 선박용 콘테이너 등이 붕괴 및/또는 파괴되는 것에 대한 보호, 날라다니는 파편 및 폭발 잔해에 대한 보호 등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양태에서, 코팅층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층은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아민 성분, 및/또는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조성 물일 수 있고, 제 2 층은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아민 성분, 및/또는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문단에서 "아민 성분"은 본 발명의 코팅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아민을 의미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최외각 코팅층은 바람직한 내구성을 제공하는 코팅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내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 및/또는 이것이 도포될 기재의 용도에 좌우될 것이다. 실시양태에서,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아민 및/또는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의 조합은, 최외각 층의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내구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외각 코팅층은 SAE J1960의 방법에 따라 웨더로미터(Weatherometer)를 사용하여 시험한 결과, 1000kJ 내지 6000kJ, 또는 800시간 내지 4000시간의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제 1 층은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조성물일 수 있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아민 및/또는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잔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층은 주로, 방향성을 전혀 갖지 않거나 약간 갖는 지방족 아민 및 지방족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은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충전제, 유리섬유, 안정화제, 증점제, 접착 증진제, 촉매, 착색제,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입체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 레올로지 개질제, 유동 첨가제, 대전방지제, 및 표면 코팅의 분야에 공지된 기타 성능 또는 특성 개질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당업계에서 표준화된 물질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은, 본원에서 전체가 인용되고 있는 미국 특허출원 제 11/591,312 호에 개시된 것 중 하나 이상과 같이, 난연성 물질 및/또는 내열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충전제는 점토 및/또는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고, 점착 증진제는 아민 작용화 물질, 아미노실레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충전제 및 점착 증진제의 예는 본원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특허 공개공보 제2006/0046068호에 추가로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아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 또는 둘다와 조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코팅은 추가로 소량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코팅은 실질적으로 용매-부재형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용매-부재형"이란, 소량, 예를 들어 5% 이하, 2% 이하, 또는 1% 이하의 용매를 함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착색제"라는 용어는, 조성물에 색상 및/또는 다른 불투명도 및/또는 다른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는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착색제는, 개별적인 입자, 분산액, 용액 및/또는 소판과 같은 임의의 적당한 형태로 코팅에 부가될 수 있다. 단일 착색제 또는 2종 이상의 착색제의 혼합물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에 사용될 수 있다.
착색제의 예는, 페인트 산업에서 사용되고/되거나 드라이 칼라 제조자 협회(Dry Color Manufacturers Association; DCMA)에서 열거한 안료, 염료 및 염색제(tint) 및 특수 효과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착색제는, 예를 들어, 사용 조건하에서 불용성이지만 습윤성인 미분된 고체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착색제는 유기 또는 무기성이고, 응집성이거나 비-응집성일 수 있다. 착색제는,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익숙한, 아크릴계 그라인드 비히클(grind vehicle)과 같은 그라인드 비히클 을 사용하여 분쇄함으로써 코팅에 도입될 수 있다. 그라인드 비히클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본원에서 기술한 다른 아민 및/또는 폴리올과 조합된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안료 및/또는 안료 조성물의 예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카바졸 다이옥사진 조질의 안료, 아조, 모노아조, 다이아조, 나프톨 AS, 염 형태(레이크), 벤즈이미다졸, 금속 착물, 아이소인돌리논, 아이소인돌린 및 다환족 프탈로시아닌, 퀴나크리돈, 페릴렌, 페리논, 다이케토피롤로 피롤, 티오인디고, 안트라퀴논, 인단트론, 안트라피리미딘, 플라반트론, 피란트론, 안탄트론, 다이옥사진, 트라이아릴카보늄, 퀴노프탈론 안료, 다이케토 피롤로 피롤 레드("DPPBO 레드"),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카본 블랙, 탄소섬유, 흑연, 기타 전도성 안료 및/또는 충전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안료" 및 "착색된 충전제"라는 용어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염료의 예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용매계 안료, 예를 들어 프탈로 그린 또는 블루, 철 옥사이드, 비스무쓰 바나데이트, 안트라퀴논, 페릴렌, 알루미늄, 및 퀴나크리돈을 들 수 있다.
염색제의 예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데구사 인코포레이티드(Degussa, Inc.)에서 시판중인 아쿠아-켐 896(AQUA-CHEM 896), 및 이스트만 케미칼 인코포레이티드(Eastman Chemical, Inc.)의 지사인 애큐리트 디스퍼젼(Accurate Dispersions)에서 시판중인 채리스마 칼라런트(CHARISMA COLORANTS)와 맥시토너 인더스트리알 칼라런트(MAXITONER INDUSTRIAL COLORANTS)와 같은 수계 또는 수-혼화 성 담체에 분산된 안료를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색제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나노입자 분산액을 비롯한 분산액의 형태일 수 있다. 나노입자 분산액은, 목적하는 시각적 색상 및/또는 불투명도 및/또는 시각적 효과를 형성하는, 고도로 분산된 나노입자 착색제 및/또는 착색제 입자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나노입자 분산액은, 150nm 미만, 예를 들어 70nm 미만, 또는 30nm 미만의 입경을 갖는 안료 또는 염료와 같은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나노입자는, 스탁 유기 또는 무기 안료를, 0.5mm 미만의 입경을 갖는 분쇄 매체로 제분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나노입자 분산액 및 이들의 제조방법의 예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특허 제 6,875,800 B2호에서 기재되어 있다. 나노입자 분산액은, 또한, 결정화, 침전, 기상 응축, 및 화학적 마찰(즉, 부분적 붕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코팅내의 나노입자의 재응집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수지-코팅된 나노입자의 분산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수지-코팅된 나노입자의 분산액"이란, 나노입자 및 나노입자상의 수지 코팅을 포함하는 개별적인 "복합 마이크로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연속상을 지칭한다. 수지-코팅된 나노입자의 분산액 및 이들의 제조방법의 예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되는, 2004년 6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10/876,031 호 및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되는, 2003년 6원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482,167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코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특수 효과 조성물의 예는, 하나 이상의 외관 효과, 예를 들어 반사, 진주빛 광택, 금속성 광택, 인광, 형 광, 광색성, 감광성, 열변색성, 각도변색성(goniochromism) 및/또는 색상-변화를 제공하는, 안료 및/또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부가적인 특수 효과 조성물은, 예를 들어 불투명도 또는 직물-짜임화와 같은 다른 허용가능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특수 효과 조성물은 색상 쉬프트를 제공하여, 코팅을 상이한 각도에서 관찰하는 경우, 코팅의 색상이 변할 수 있다. 색상 효과 조성물의 예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특허 제 6,894,086 호에 기재되어 있다. 부가적인 색상 효과 조성물로는, 투명 코팅된 운모 및/또는 합성 운모, 코팅 실리카, 코팅 알루미나, 투명한 액정 안료, 액정 코팅, 및/또는 공기와 물질 표면 사이의 굴절율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물질간의 굴절율의 차이로부터 간섭이 발생하는 임의의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광원에 노출되는 경우 색상을 가역적으로 변화시키는 감광성 조성물 및/또는 광변색성 조성물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에서 사용될 수 있다. 광변색성 및/또는 감광성 조성물은, 명시된 파장의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조성물이 여기되는 경우, 분자 구조가 변하고, 개질된 구조는 조성물의 원래 색상과는 상이한 새로운 색상을 나타낸다. 방사선에 대한 노출이 제거되는 경우, 광변색성 및/또는 감광성 조성물은 휴지기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고, 이때 조성물은 조성물의 원래 색상으로 되돌아간다.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광변색성 및/또는 감광성 조성물은, 비-여기 상태에서는 무색이다가, 여기 상태에서는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수 초 내지 수 분 이내에, 예를 들어 20초 내지 60초 이내에 전체 색상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광변색성 및/또는 감광성 조성물의 예는 광변색성 염료를 들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감광성 조성물 및/또는 광변색성 조성물은, 예를 들어 공유 결합에 의해, 중합체 및/또는 중합가능한 성분의 중합체성 물질과 회합하고/하거나 부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감광성 조성물이 코팅 밖으로 이동하여 기재상에서 결정화되는 일부 코팅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 따라, 중합체 및/또는 중합체성 성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고/되거나 이들과 회합하는 감광성 조성물 및/또는 광변색성 조성물은, 최소량만 코팅 외부로 이동한다. 감광성 조성물 및/또는 광변색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의 예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하는, 2004년 7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0/892,919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착색제는 목적하는 시각적 및/또는 색상 효과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코팅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착색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65중량%, 예를 들어, 3 내지 40중량% 또는 5 내지 35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안료의 중량%는 0.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은, 기재에 도포되는 경우, 회합된 기재의 색상과 어울리는 색상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어울린다"라는 용어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색상 어울림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의 색상이 회합된 기재의 색상 또는 목적하는 색상과 실질적으로 조화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용 기 재가 운송 수단의 일부, 예를 들어 트럭 베드인 경우, 코팅의 색상이 실질적으로 회합된 운송수단의 몸체와 어울린다. 이는, 시각적으로 관찰되거나,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은 예비처리 층, 전기코팅, 프라이머, 베이스코팅 및 투명 코팅과 같은 다양한 코팅층을 갖는 기재를 포함하는 다층 코팅 복합체의 일부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베이스 코팅 및 투명 코팅은 안료를 함유할 수 있고/있거나 투명 코팅은 접착 증진제를 함유할 수 있고, 임의의 이들 코팅은 본원에서 기술한 코팅일 수 있다. 발명자들은 임의의 기작에 의해 얽매이고 싶어하지는 않지만, 투명 코팅층 또는 이들 표면에 접착 증진제를 첨가하면, 투명 코팅과 그 위에 도포되는 코팅 조성물 사이의 접착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안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및 아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다. 안료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제품 또는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코팅된 제품 또는 구조물의 색상은 회합된 기재의 색상과 어울릴 수 있다. "회합된 기재"란, 상기 제품 또는 구조물을 포함하되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코팅되지 않은 기재, 또는 상기 제품 또는 구조물에 부착되거나, 연결되거나, 밀접하게 위치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는 코팅되지 않은 기재를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 한, 값, 범위, 양 또는 백분율을 표현하는 것과 같은 모든 수치는, "약"이라는 용어가 확실히 표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약"이라는 단어가 앞에 붙어 있는 것과 같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명시된 임의의 수치 범위는 본원에서 포함하는 모든 하부-범위를 포함하고자 한다. 단수형은 복수형을 포함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원에서, 트라이아민,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 폴리우레아, 기재 등을 단수형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중합체"라는 용어는, 예비중합체, 올리고머 및 단독중합체과 공중합체 둘다를 지칭하며, "폴리"라는 접두어는 둘 이상을 지칭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MW는 평균 분자량을 지칭하고, Mw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고, Mn은 수 평균 분자량을 지칭한다.
실시예 A
이차 비-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 기를 갖는 아스파르테이트 개질화 아민 경화제는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02
충전물 1을, 오버헤드 교반기, 열전쌍, 응축기 및 N2 주입기가 장착된 적당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충전물은 N2 블랭킷 하에 놓았다. 22℃의 온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플라스크에 6시간 동안 충전물 2를 첨가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발열반응이 관찰되었다. 상기 충전물을 첨가하는 동안 49℃의 최대 온도가 관찰되었다. 48℃의 온도에서(충전까지 3.75시간 동안) 공기 스트림의 형태로 상기 반응기를 냉각시켰다. 49℃의 온도에서(충전까지 4.5시간 동안), 상기 반응기에 빙욕을 적용하였다. 충전을 완료한 후,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41℃였다. 외부의 열 공급원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50℃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3.6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하자, 다이에틸 말리에이트가 소비되었음을 나타냈다(1646cm-1에서의 피크의 소멸). 생성된 물질은 97.4%의 측정된 고체 함량을 갖고(110℃, 1시간), 가드너-홀트 스케일로 E의 점도(약 125cPs)를 갖고, 밀도는 8.93파운드/갤런이고, 총 아민 함량은 6.303meq/g이고, 잔류 일차 아민의 함량은 0.298meq/g이고, 이차 아민의 함량은 6.011meq/g이고, 삼차 아민의 함량은 0.044meq/g이고,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248의 Mw 및 178의 Mn을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B
이차 비-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 기를 갖는 아스파르테이트 개질화 아민 경화제는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03
충전물 1을, 오버헤드 교반기, 열전쌍, 응축기 및 N2 주입기가 장착된 적당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충전물은 N2 블랭킷 하에 놓았다. 60℃의 온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플라스크에 4.5시간 동안 충전물 2를 첨가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약한 발열반응이 관찰되었다. 상기 충전물을 첨가하는 동안 67℃의 최대 온도가 관찰되었다. 충전을 완료한 후,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61℃였다. 외부의 열 공급원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70℃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2.75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하자, 다이에틸 말리에이트가 소비되었음을 나타냈다(1646cm-1에서의 피크의 소멸). 생성된 물질은 98.3%의 측정된 고체 함량을 갖고(110℃, 1시간), 가드너-홀트 스케일로 F+의 점도(약 146cPs)를 갖고, 밀도는 8.55파운드/갤런이고, 총 아민 함량은 5.17meq/g이고, 잔류 일차 아민의 함량은 0.077meq/g이고, 이차 아민의 함량은 5.032meq/g이고, 삼차 아민의 함량은 0.066meq/g이고,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547의 Mw 및 445의 Mn을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C
아민/아크릴레이트 경화제는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04
충전물 1을, 오버헤드 교반기, 열전쌍, 응축기 및 N2 주입기가 장착된 적당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충전물은 N2 블랭킷 하에 놓았다. 24℃의 온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반응기에 45분 동안 충전물 2를 첨가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약한 발열반응이 관찰되었다. 충전을 완료한 후,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26℃였다. 외부의 열 공급원을 사용하여 반응기의 내용물을 35℃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이 시점에서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하자, 아크릴레이트가 소비되었음을 나타냈다(1621, 1635cm-1에서의 피크의 존재). 생성된 물질은 89.5%의 측정된 고체 함량을 갖고(110℃, 1시간), 가드너-홀트 스케일로 C-D의 점도를 갖고, 밀도는 7.93파운드/갤런이고, 총 아민 함량은 4.098meq/g이고,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928의 Mw 및 692의 Mn을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D
아민/에폭시 부가물은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05
충전물 1을, 오버헤드 교반기, 열전쌍, 응축기 및 N2 주입기가 장착된 적당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충전물은 N2 블랭킷 하에 놓아 두고, 반응기에 열을 적용하였다. 62℃의 온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충전물 2를, 62 내지 92℃의 온도에서 6.9시간 동안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공급하는 동안, 반응 온도의 조절이 요구될 때, 가열 맨틀을 승온시키거나 낮추고, 반응기를 (수욕 또는 공기 유동을 이용하여) 냉각시켰다. 충전을 완료한 후,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77℃였다. 반응 혼합물은, 8.6시간 동안 80℃에서 유지하고, 그다음 1.6시간 동안 85℃에서 유지되었다. 이러한 시간에서, 에폭시 당량 중량은 55556이며, 반응은 종결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성된 물질은 98.7%의 측정된 고체 함량을 갖고(110℃, 1시간), 가드너-홀트 스케일로 Z10의 점도를 갖고, 총 아민 함량은 2.969meq/g이고, 잔류 일차 아민의 함량은 0.170meq/g이고, 이차 아민의 함량은 2.504meq/g이고, 삼차 아민의 함량은 0.295meq/g이고, 하이드록시가는 160.1이고,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657의 Mw 및 562의 Mn을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E
아크릴레이트/아스파르테이트 아민 경화제는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06
충전물 1을, 오버헤드 교반기, 열전쌍, 응축기 및 N2 주입기가 장착된 적당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충전물은 N2 블랭킷 하에 놓았다. 21℃의 온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플라스크에 45분 동안 충전물 2를 첨가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발열반응이 관찰되었다. 충전을 완료한 후,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45℃였다. 외부의 열 공급원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50℃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3.25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하자, 다이뷰틸 말리에이트의 소비를 나타냈다(1646cm-1의 피크 소멸). 충전물 3을 반응기에 첨가하고, 그다음 충전물 4를 45분 동안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충전물 4의 첨가 완료시에, 반응 온도는 50℃였다. 반응 혼합물을 2.9시간 동안 상기 온도에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의 검토 결과, 미반응 아크릴레이트의 존재를 나타냈다(1621, 1635cm-1의 피크).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70℃까지 승온시키고, 4시간 동 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의 검토 결과, 아크릴레이트가 소비되었음을 나타냈다. 생성된 물질은 92.0%의 측정된 고체 함량을 갖고(110℃, 1시간), 가드너-홀트 스케일로 C의 점도를 갖고, 밀도는 8.41파운드/갤런이고, 총 아민 함량은 4.165meq/g이고, 잔류 일차 아민의 함량은 0.026meq/g이고, 이차 아민의 함량은 4.139meq/g이고, 삼차 아민의 함량은 0.000meq/g이고,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489의 Mw 및 415의 Mn을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F
아크릴레이트/아스파르테이트 아민 경화제는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07
충전물 1을, 오버헤드 교반기, 열전쌍, 응축기 및 N2 주입기가 장착된 적당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충전물은 N2 블랭킷 하에 놓았다. 21℃의 온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플라스크에 5.75 시간 동안 충전물 2를 첨가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약한 발열반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충전물 첨가 중에 35℃의 최대 온도가 관찰되었다. 충전을 완료한 후,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33℃였다. 외부의 열 공급원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35 내지 37℃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하자, 다이뷰틸 말리에이트가 소모되었음을 나타냈다(1646cm-1의 피크의 소멸). 충전물 3을 반응기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3℃까지 가열하였다. 충전물 4를 3.6시간 동안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자, 약한 발열반응이 관찰되었다. 충전물 4의 충전 과정 동안 반응 혼합물의 온도 범위는 43 내지 50℃였고, 충전물 4의 충전을 완료한 후, 온도는 45℃였다. 그다음,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50℃까지 올리고, 3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한 결과, 미반응된 아크릴레이트의 존재(1621, 1635cm-1의 피크)가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70℃까지 올리고, 10.9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한 결과, 아크릴레이트의 전술한 피크가 기준선 노이즈와 구별되지 않음을 나타냈고, 이러한 시점에서 반응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생성된 물질은 98.9%의 측정된 고체 함량을 갖고(110℃, 1시간), 가드너-홀트 스케일(Gardner-Holt scale)로 D의 점도를 갖고, 밀도는 8.17파운드/갤런이고, 총 아민 함량은 4.21meq/g이고, 잔류 일차 아민의 함량은 0.230meq/g이고, 이차 아민의 함량은 3.985meq/g이고, 삼차 아민의 함량은 0.000meq/g이고,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결과, 450의 Mw 및 406의 Mn을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G
아크릴레이트/아스파르테이트 아민 경화제는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08
충전물 1을, 오버헤드 교반기, 열전쌍, 응축기 및 N2 주입기가 장착된 적당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충전물은 N2 블랭킷 하에 놓았다. 23℃의 온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플라스크에 20분 동안 충전물 2를 첨가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약한 발열반응이 관찰되어, 빙욕을 적용시킴으로써, 이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충전물의 첨가 중에 33℃의 최대 온도가 관찰되었다. 충전을 완료한 후,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28℃였다. 외부의 열 공급원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35 내지 38℃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2.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하자, 다이에틸 말리에이트의 존재를 나타냈다(1646cm-1의 피크). 온도를 50 내지 51℃까지 승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7.6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한 결과, 다이에틸 말리에이트가 소비되었음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41℃까지 맞춘 후, 상기 반응기에 충전물 3을 첨가하였다. 충전물 4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25분 동안 첨가하고, 충전물 4의 첨가를 완료 한 후, 온도는 39℃였다. 그다음,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50℃까지 올리고, 3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한 결과, 미반응된 아크릴레이트의 존재(1621, 1635cm-1의 피크)를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70℃까지 올리고, 7.5시간 동안 유지하고, 그다음 80℃까지 올리고, 3.75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한 결과, 아크릴레이트의 전술한 피크가 존재하지 않았고, 이 시점에서 반응이 종결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생성된 물질은 95.5%의 측정된 고체 함량을 갖고(110℃, 1시간), 가드너-홀트 스케일로 B의 점도를 갖고, 밀도는 8.34파운드/갤런이고, 총 아민 함량은 5.096meq/g이고, 잔류 일차 아민의 함량은 0.003meq/g이고, 이차 아민의 함량은 5.093meq/g이고, 삼차 아민의 함량은 0.000meq/g이고,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356의 Mw 및 321의 Mn을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H
부분적 아스파르테이트 작용화 아민은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09
충전물 1을, 오버헤드 교반기, 열전쌍, 응축기 및 N2 주입기가 장착된 적당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충전물은 N2 블랭킷 하에 놓았다. 22℃의 온도에서 시 작하여, 상기 플라스크에 2.7시간 동안 충전물 2를 첨가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약한 발열반응이 관찰되어, 빙욕을 적용시킴으로써 이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충전물의 첨가 중에 32℃의 최대 온도가 관찰되었다. 충전을 완료한 후,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31℃였다. 외부의 열 공급원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35℃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3.8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하자, 다이뷰틸 말리에이트의 존재를 나타냈다(1646cm-1의 피크). 그다음,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4.9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시점에서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의 검토 결과, 다이뷰틸 말리에이트가 소비되었음을 나타냈다. 생성된 물질은 89.0%의 측정된 고체 함량을 갖고(110℃, 1시간), 가드너-홀트 스케일로 D의 점도를 갖고, 밀도는 8.18파운드/갤런이고, 총 아민 함량은 4.926meq/g이고, 일차 아민의 함량은 2.541meq/g이고, 이차 아민의 함량은 2.385meq/g이고, 삼차 아민의 함량은 0.000meq/g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I
아크릴레이트 말단화 아민 부가물은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10
충전물 1을, 오버헤드 교반기, 열전쌍, 응축기 및 공기 주입기가 장착된 적당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충전물을 공기 블랭킷 하에 놓고, 37℃까지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충전물 2를 40분 동안 첨가하였다. 충전물 2의 첨가를 완료한 직후, 샘플을 취해서, 표면 반사 적외선 분광법(attenuated total reflectance; ATR)에 의해 검토하였다. 추가로 1.5시간 이후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점차적으로 77℃까지 승온하였다. 이 시점에서, ATR 적외선 분광광도법을 위해 반응 혼합물을 다시 샘플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1시간 동안 74 내지 77℃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ATR 적외선 분광광도법을 위해 주기적으로 샘플링하였다. 1621 및 1635cm-1의 피크에서 임의의 추가의 변화도 없을 때, 반응이 종결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생성된 물질은 87.6%의 측정된 고체 함량을 갖고(110℃, 1시간), 가드너-홀트 스케일로 Z1의 점도를 갖고, 총 아민 함량은 2.882meq/g이고, 일차 아민의 함량은 0.007meq/g이고, 이차 아민의 함량은 2.875meq/g이고, 삼차 아민의 함량은 0.000meq/g이고,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2070의 Mw 및 891의 Mn을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J
올리고머성 아스파르테이트/아크릴레이트 아민 경화제는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11
충전물 1을, 오버헤드 교반기, 열전쌍, 응축기 및 공기 주입기가 장착된 적 당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충전물은 공기 블랭킷 하에 놓고, 40℃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충전물 2를 40 내지 41℃에서 75분 동안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75℃까지 승온시키고, 6.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하자, 미반응 아크릴레이트의 존재를 나타냈다(1621cm-1, 1635 cm-1 피크).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85℃까지 승온시키고 4.8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의 검토 결과, 여전히 아크릴레이트의 존재를 나타냈다. 추가로 5.6g의 충전물 1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로 4.8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이 시점에서,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은 아크릴레이트가 소비되었음을 나타냈다. 생성된 물질은 99.9%의 측정된 고체 함량을 갖고(110℃, 1시간), 밀도는 8.52파운드/갤론이고, 가드너-홀트 스케일로 Z6의 점도를 갖고, 총 아민 함량은 3.967meq/g이고, 일차 아민의 함량은 0.021meq/g이고, 이차 아민의 함량은 3.855meq/g이고, 삼차 아민의 함량은 0.091meq/g이고,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2424의 Mw 및 825의 Mn을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K
아크릴레이트 개질화 아민 경화제는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12
충전물 1을, 오버헤드 교반기, 열전쌍, 응축기 및 공기 주입기가 장착된 적당한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충전물은 공기 블랭킷 하에 놓았다. 22℃의 온도에서 시작하여, 충전물 2를 상기 플라스크에 18분 동안 첨가하였다. 어떠한 발열 반응도 관찰되지 않았다. 반응 온도를 70℃까지 승온시키고, 2.9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검토하자, 미반응 아크릴레이트의 존재를 나타냈다(1621cm-1, 1635 cm-1 피크).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90℃까지 승온시키고 8.8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이 시점에서, 혼합물의 적외선 스펙트럼은 아크릴레이트가 소비되었음을 나타냈다. 생성된 물질은 95.4%의 측정된 고체 함량을 갖고(110℃, 1시간), 가드너-홀트 스케일로 G-의 점도를 갖고, 총 아민 함량은 0.884meq/g이고, 일차 아민의 함량은 0.155meq/g이고, 이차 아민의 함량은 0.702meq/g이고, 삼차 아민의 함량은 0.022meq/g이고,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질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2180의 Mw, 769의 Mn 및 2993의 Mz를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1
아이소시아네이트 작용성 "A" 사이드 배합물은 하기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13
테라테인 650, 네오펜틸 글라이콜, 1,2-뷰테인다이올, 및 촉매량의 다이뷰틸주석 다이라우레이트(3종의 글라이콜 0.013중량%)을, 질소 하에서 적당한 반응기에 충전하였다. 36 내지 37℃의 온도에서 105분 동안 반응기에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였다. 50분 동안, 혼합물의 온도를 52℃까지 승온하였다. 60분 경과후에, 온도를 125℃인 최대치까지 승온하였다. 추가로 60분 후에, 생성된 당량 중량의 예비중합체는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생성된 예비중합체를 71℃까지 냉각시키고, 87.9%의 데스모더 N3400에 붓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데스모더 N3400를 첨가하여, 264.9의 당량 중량의 최종 아이소시아네이트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2 및 3
안료 분쇄물은 하기 표 1의 배합에 따라 제조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14
각각의 실시예에서, 성분을 혼합하고, 85% 충전량의 1.0mm 밀 메이트 플러스 TZP 분쇄 매체(Mill Mates Plus TZP grind medium; 지르코아 인코포레이티드(Zircoa, Inc.))를 갖는 프리미어 밀 HM 1.5 VSD 시리즈 슈퍼밀(Mill HM 1.5 VSD Series SuperMill; SPX 코포레이션(SPX Corporation))을 채우고, 2400rpm의 제분 속도로 분쇄하였다. 분쇄 게이지의 분말도까지 도달한 후, 입경이 7.5헤드만으로 측정되는 경우, 분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 4 및 5
베이스 믹스는 하기 표 2의 배합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15
실시예 6 내지 8
하기 "B 사이드" 배합물은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16
표 3의 B 사이드 배합물 및 실시예 1의 A 사이드 배합물을 개별적인 통에 담고 분사하기 전에 1 내지 3시간 동안 오븐에서 140℉까지 가열하였다.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은, 캠다 코포레이션(Cammda Corporation)에서 시판중인 정류 혼합 튜브 도포기에서 A-사이드 성분 대 각각의 B-사이드 성분을 1:1의 체적비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코팅 조성물을, 전착 프라이머 및 에폭시 산 투명 코팅(PPG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PPG Industries, Inc.)에서 시판중인 NDCT 5002A)으로 코팅된 냉연 강 패널에 도포하였다. 코팅에 대한 점착 부재 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갑 낀 손으로 패널을 주기적으로 만짐으로써 측정하고, 코팅이 장갑에 더 이상 붙지 않을 때 점착성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경도값은, 정류 혼합 튜브 및 모델 415-0011-00 50mL 1:1 수동식 디스펜서(캠다 코포레이션(Cammda Corporation))가 장착된 이중 원통형 주사기에 A 및 B 사이드 성분을 채우고, 주형에 사용하여 1:1비의 성분을 주사함으로써, 직경이 약 5cm이고 두께가 0.25cm인 퍽(puck)을 형성하였다. 주변 온도에서 퍽을 코팅한 폴리우레탄의 경도는, 도포 후 1일 경과후에, 모델 212 펜실 스타일 디지털 듀로미터(Model 212 Pencil Style Digital Durometer, 퍼시픽 트랜스듀서 코포레이션(Pacific Transducer Corp.))에 의해 쇼어 D 스케일(Shore D scale)로서 측정하였다. 그다음, 냉각을 피하기 위해 퍽을 1일 동안 140℉의 오븐에 두고, 코팅의 쇼어 D 경도를 오븐에서 퍽으로 측정하였다. 퍽을 오븐에서 상온으로 옮긴 후, 1일 후에 상온에서 경도를 다시 측정하였다.
아이소시아네이트 대 아민의 당량비는, 실시예 6의 B 사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배합물에 대해서는 1.034로, 실시예 7의 B 사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배합물에 대해서는 1.296로, 실시예 8의 B 사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배합물에 대해서는 1.077로 계산되었다.
폴리우레아 코팅에 대해 하기 특성이 표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측정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17
실시예 9 내지 11
안료 분쇄물을 하기 표 5의 배합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18
각각의 실시예에서, 성분을 혼합하고, 188mL의 지르코녹스(Zirconox) 1.0mm의 비드(지오티 세라믹 인더스트리즈 피브이티. 리미티드(Jyoti Ceramic Industries Pvt. Ltd.))를 갖는 모델 M250 비드 제분기(에이저 머시너리 인코포레이티드(Eiger Machinery Inc.))에 채우고, 3500rpm의 제분 속도로 분쇄하였다. 분쇄 게이지의 분말도에 대해 측정시, 입경이 7.5헤그만(Hegman)으로 측정되는 경우, 분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 12 내지 15
하기 "B 사이드" 배합물은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19
전술한 표 6의 B 사이드 배합물 및 실시예 1의 A 사이드 배합물을 개별적인 통에 담고 분사하기 전에 4 내지 6시간 동안 오븐에서 140℉까지 가열하였다.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은, 캠다 코포레이션(Cammda Corporation)에서 시판중인 정류 혼합 튜브 도포기에서 A-사이드 성분 대 각각의 B-사이드 성분을 1:1의 체적비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코팅 조성물을 전착 프라이머 및 에폭시 산 투명 코팅(ACT 래보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ACT Laboratories, Inc.)에서 시판중인 APR 26241)으로 코팅된 냉연 강 패널에 도포하였다. 코팅에 대한 점착 부재 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갑 낀 손으로 패널을 주기적으로 만짐으로써 측정하고, 코팅이 장갑에 더 이상 붙지 않을 때 점착성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경도값은, 정류 혼합 튜브 및 "공기압 도포기"(PC 콕스 리미티드(PC Cox Limited))가 장착된 이중 원통형 주사기에 A 및 B 사이드 성분을 채우고, 주형에 사용하여 1:1비의 성분을 주사함으로써, 직경이 약 6cm이고 두께가 0.2cm인 원형 퍽(puck)를 형성하였다. 주변 온도에서 퍽을 코팅한 폴리우레탄의 경도는, 도포후 1일 경과후에, 모델 212 펜실 스타일 디지털 듀로미터(퍼시픽 트랜스듀서 코포레이션)에 의해 쇼어 D 스케일로서 측정하였다. 그다음, 냉각을 피하기 위해 퍽을 1일 동안 140℉의 "고온 방"에 두고, 코팅의 쇼어 D 경도를 상기 고온 방에서 퍽으로 측정하였다. 퍽을 고온 방에서 상온으로 옮긴 후, 1일 후에 상온에서 경도를 다시 측정하였다.
아이소시아네이트 대 아민의 당량비는, 실시예 12의 B 사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배합물에 대해서는 1.059로, 실시예 13의 B 사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배합물에 대해서는 1.072로, 실시예 14의 B 사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배합물에 대해서는 1.092로, 실시예 15의 B 사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배합물에 대해서는 1.082로 계산되었다.
폴리우레아 코팅에 대해 하기 특성이 측정되었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20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양태가 설명을 목적으로 전술되었지만,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청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한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의 세부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Claims (28)

  1. 트라이아민과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의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로서, 상기 반응 생성물이 2000cPs 미만의 점도를 갖는, 반응 생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아민이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반응 생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43259905-PCT00021
    상기 식에서,
    각각의 n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임의의 정수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아민이 다이프로필렌 트라이아민을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아민이 비스(헥사메틸렌)트라이아민을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알킬 말리에이트가 다이에틸 말리에이트를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알킬 말리에이트가 다이뷰틸 말리에이트를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생성물이 지환족 아민을 배제하는, 반응 생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아민의 당량:말리에이트/푸마레이트의 당량의 비가 3:2인, 반응 생성물.
  9. 제 1 항에 따른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 및 아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아민 기의 당량에 대한 아이소시아네이트 기의 당량의 비가 1 초과이고, 상기 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상기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반응 생성물이 1:1의 체적 혼합비로 기재에 도포될 수 있는, 코팅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아민이 하기 화학식 1를 갖는, 코팅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43259905-PCT00022
    상기 식에서,
    각각의 n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임의의 정수이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아민이 다이프로필렌 트라이아민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아민이 비스(헥사메틸렌)트라이아민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알킬 말리에이트가 다이에틸 말리에이트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알킬 말리에이트가 다이뷰틸 말리에이트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16. 제 9 항에 있어서,
    i) 하기 화학식 2의 다이아민,
    ii) 하기 화학식 3의 다이아민,
    iii) 일차 및/또는 이차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폴리옥시알킬렌트라이아민 및/또는 폴리옥시알킬렌다이아민,
    iv) 아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인 임의의 다른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아스파르트산 에스터 작용성 다이아민, 및/또는
    v) 폴리아민과 에폭시의 반응 생성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아민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Figure 112009043259905-PCT00023
    상기 식에서, R1-R4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 알킬이다;
    Figure 112009043259905-PCT00024
    상기 식에서, R5-R8은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 알킬이다.
  17. 제 9 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된 기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운송 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기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트럭 베드를 포함하는, 기재.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빌딩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기재.
  21. 제 19 항에 있어서,
    트럭 베드가, 폴리우레아 도포 전에, 경화 후 저함량 표면 작용기를 갖는 투명 코팅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어 있는, 기재.
  22. 전기코팅(electrocoat) 층, 베이스 코팅층 및 투명 코팅층 중 하나 이상, 및 제9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층 코팅 복합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된 기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금속성인, 기재.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아민이 다이프로필렌 트라이아민 및/또는 비스(헥사메틸렌) 트라이아민이고, 상기 다이알킬 말리에이트가 다이에틸 말리에이트 및/또는 다이뷰틸 말리에이트를 포함하는, 기재.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운송 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기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트럭 베드를 포함하는, 기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코팅된 트럭 베드의 색상이 회합된 운송수단 몸체와 실질적으로 어울리는, 기재.
  2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아 코팅이 기재에 직물-짜임형(textured) 표면을 부여하는, 기재.
KR1020097014863A 2006-12-18 2007-12-11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경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 KR101120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11,986 US7968212B2 (en) 2006-12-18 2006-12-18 Triamine/aspartate curative and coatings comprising the same
US11/611,986 2006-12-18
PCT/US2007/087067 WO2008076707A2 (en) 2006-12-18 2007-12-11 Triamine/aspartate curative and coating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392A true KR20090090392A (ko) 2009-08-25
KR101120876B1 KR101120876B1 (ko) 2012-02-27

Family

ID=3936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863A KR101120876B1 (ko) 2006-12-18 2007-12-11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경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968212B2 (ko)
EP (1) EP2125701A2 (ko)
JP (1) JP2010513554A (ko)
KR (1) KR101120876B1 (ko)
CN (1) CN101583592A (ko)
AR (1) AR064412A1 (ko)
CA (1) CA2673071C (ko)
RU (1) RU2452726C2 (ko)
WO (1) WO200807670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8204B2 (en) 2008-03-05 2012-05-15 Bayer Materialscience Llc Acrylate-modified aspartates and gel coat compositions made therefrom
US9222015B2 (en) * 2009-11-24 2015-12-29 Swift River Properties, Llc Thermochromic coa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DE102010031682A1 (de) * 2010-07-20 2012-01-26 Bayer Materialscience Ag Bindemittelkombinationen für konstruktive Trinkwasserrohrbeschichtungen
PL2673311T3 (pl) * 2011-02-09 2015-02-27 Bayer Materialscience Ag Kleje tkankowe na bazie trójfunkcjonalnych asparginianów
ES2527998T3 (es) * 2011-02-09 2015-02-03 Medical Adhesive Revolution Gmbh Adhesivo para tejidos basado en aspartatos modificados con nitrógeno
WO2012143358A1 (de) * 2011-04-19 2012-10-26 Bayer Materialscience Ag Gewebekleber mit beschleunigter aushärtung
DK2699615T3 (en) * 2011-04-19 2015-09-21 Medical Adhesive Revolution Gmbh Medical adhesive to stop bleeding
US8911832B2 (en) * 2011-12-02 2014-12-16 Ppg Industries Ohio, Inc. Method of mitigating ice build-up on a substrate
PL2794710T3 (pl) * 2011-12-20 2019-02-28 Adhesys Medical Gmbh Prepolimer izocyjanianofunkcyjny do biodegradowalnego kleju tkankowego
ES2576702T3 (es) * 2012-01-09 2016-07-08 Adhesys Medical Gmbh Agentes de curado (a base de aspartato) modificados por ésteres de beta-aminoácido y su uso en adhesivos de tejido de poliurea
US10703933B2 (en) 2012-06-26 2020-07-07 The Sherwin-Williams Company Coreactants for polyurea coatings
WO2014209267A1 (en) * 2013-06-24 2014-12-31 Valspar Sourcing, Inc. Coreactants for polyurea coatings
CN103102786A (zh) * 2012-11-13 2013-05-15 益阳祥瑞科技有限公司 一种脂肪族聚脲涂料
KR20160132844A (ko) * 2014-03-14 2016-11-21 아크조노벨코팅스인터내셔널비.브이. 코팅 조성물
WO2018044883A1 (en) 2016-08-29 2018-03-08 Invista North America S.A R.L. Multifunctional polyamine-based compounds
EP3434714A1 (en) * 2017-07-25 2019-01-30 Henkel AG & Co. KGaA Water-soluble polyamide polymer and use thereof as functional additive
EP3456755A1 (de) * 2017-09-19 2019-03-20 Covestro Deutschland AG Polyasparaginsäureester-zusammensetzungen enthaltend polyasparaginsäureester mit primären aminogruppen und geringe mengen an fumarsäuredialkylester
EP3489316A1 (de) * 2017-11-22 2019-05-29 Covestro Deutschland AG Neue systeme für die grundierung und das kleben von bodenbelägen
WO2019211127A1 (en) * 2018-04-30 2019-11-07 Evonik Degussa Gmbh Polyurea compositions from polyaspartic esters and secondary heterocyclic amines derived aspartic esters
CN109467571B (zh) * 2018-09-29 2023-12-19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硅氧烷改性天门冬氨酸酯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1138615B (zh) * 2018-11-02 2022-04-19 万华化学(北京)有限公司 一种聚氨酯黏合剂用二胺扩链剂及其制备方法,聚氨酯黏合剂及其制备方法
CN111138616B (zh) * 2018-11-02 2022-03-08 万华化学(北京)有限公司 一种胺扩链剂及其制备方法,及聚氨酯泡沫
CN109627178A (zh) * 2018-12-17 2019-04-16 上海华谊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固化剂的制备方法
CN109988493A (zh) * 2019-04-10 2019-07-09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耐候性修补涂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0229305A (zh) * 2019-06-27 2019-09-13 青岛爱尔家佳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防爆聚脲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409560B (zh) * 2019-08-21 2022-09-20 万华化学(北京)有限公司 一种高回弹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
US11827788B2 (en) 2019-10-07 2023-11-28 Covestro Llc Faster cure polyaspartic resins for faster physical property development in coatings
CN111454413B (zh) * 2020-04-09 2022-02-18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官能度聚天门冬氨酸酯混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1303368B (zh) * 2020-04-22 2021-09-17 深圳飞扬骏研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水性聚天门冬氨酸酯树脂及其制备方法
CN111848921B (zh) * 2020-07-23 2022-05-27 深圳飞扬兴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涂料的水性聚氨酯树脂及其制备方法
CN111892692B (zh) * 2020-08-11 2023-01-06 深圳飞扬骏研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天冬聚脲预聚体及其制备方法、及水性涂料
CN113603717A (zh) * 2021-09-07 2021-11-05 衡阳拓创聚合新材料有限公司 一种硅改性天冬聚脲树脂的制备方法及其天冬聚脲树脂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1089A (en) 1980-09-08 1981-07-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urethane compositions and process
DE3509822A1 (de) * 1985-03-19 1986-09-25 Bayer Ag, 5090 Leverkusen Aminobernsteinsaeurederivate und ihre verwendung als emulgatoren fuer polymerdispersionen
US5236741A (en) * 1989-06-23 1993-08-17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urethane coatings
ES2062188T3 (es) * 1989-06-23 1994-12-16 Bayer Ag Procedimiento para la elaboracion de revestimientos.
RU2072905C1 (ru) * 1991-09-06 1997-02-10 Мицуи Тоацу Кемикалз, Инк.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для защиты и придания антикоррозионных свойств изделиям из железа и стальным трубам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альной трубы с покрытием
ES2148877T3 (es) 1996-07-02 2000-10-16 Bayer Ag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mono- y poliesteres del acido aspartico.
US5736604A (en) * 1996-12-17 1998-04-07 Bayer Corporation Aqueous, two-component polyurea coating compositions
US6013755A (en) 1997-03-11 2000-01-11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an aliphatic polyurea spray elastomer system
US6399736B1 (en) 1997-03-11 2002-06-04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spray elastomer systems
EP1038897A3 (en) * 1999-03-23 2001-10-0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olyaspartic esters containing additional isocyanate-reactive functionality for spray polyurea coatings
US6482333B1 (en) * 1999-12-30 2002-11-19 Bayer Corporation Polyurea coatings from dimethyl-substituted polyaspartic ester mixtures
US6677427B1 (en) * 2000-06-13 2004-01-13 Hercules Incorporated Enzyme-catalyzed polyamides and compositions and processe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DE10050137A1 (de) 2000-10-11 2002-04-18 Bayer Ag Stabilisierte Mono- und Polyasparaginsäureester
DE10051394A1 (de) * 2000-10-17 2002-04-18 Bayer Ag Neue Lackbindemittel mit Harnstoff- und/oder Hydantoinstrukturen,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10051392A1 (de) 2000-10-17 2002-04-18 Bayer Ag Elektroisolierlackbindemittel mit Harnstoff- und/oder Hydantoinstruktur
US6495658B2 (en) * 2001-02-06 2002-12-17 Folia, Inc. Comonomer compositions for production of imide-containing polyamino acids
US7001948B2 (en) 2001-05-16 2006-02-21 American Polymer Corporation Polyurea coating compositions
US6613389B2 (en) 2001-12-26 2003-09-0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ating process and composition for same
US6747117B2 (en) 2002-06-14 2004-06-08 Crompton Corporation Polyurethane/urea composition for coating cylindrical parts
US6790925B2 (en) 2002-12-05 2004-09-14 Bayer Polymers Llc In-situ preparation of polyaspartic ester mixtures
US20050059790A1 (en) 2003-09-16 2005-03-17 Roesler Richard R. Process for preparing aspartates
US6984715B2 (en) 2003-10-03 2006-01-10 Bayer Materialscience Llc Process for preparing aspartates
US7276572B2 (en) 2003-10-03 2007-10-02 Bayer Materialscience Llc Process for preparing aspartates
BRPI0515236A (pt) * 2004-09-02 2008-07-15 Ppg Ind Ohio Inc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de poliuréia, revestimento compósito multi-componente, artigo revestido, método para formar um revestimento de poliuréia sobre um substrato e método para formar um artigo revestido
US7427647B2 (en) * 2005-01-13 2008-09-23 E.I. Du Pont De Nemours & Company Durable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aspartic amine compounds with improved potlife
US7972701B2 (en) 2005-08-25 2011-07-05 Ppg Industries Ohio, Inc. Substrates coated with a polyurea comprising a (meth)acrylated amine reaction product
US7968198B2 (en) 2005-08-25 2011-06-28 Ppg Industries Ohio, Inc. Polyurea coating comprising a polyamine/mono(meth)acrylate reaction product
US7968197B2 (en) 2005-08-25 2011-06-28 Ppg Industries Ohio, Inc. Polyurea coating comprising an amine/(meth)acrylate oligomeric reaction product
US20080146381A1 (en) 2006-12-18 2008-06-19 Kondos Constantine A Golf balls comprising (meth)acrylated amine curatives
US7960495B2 (en) 2006-12-18 2011-06-14 Ppg Industries Ohio, Inc. (Meth)acrylate/aspartate amine curatives and coatings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83592A (zh) 2009-11-18
RU2452726C2 (ru) 2012-06-10
WO2008076707A2 (en) 2008-06-26
US20110195225A1 (en) 2011-08-11
US7968212B2 (en) 2011-06-28
CA2673071A1 (en) 2008-06-26
AR064412A1 (es) 2009-04-01
KR101120876B1 (ko) 2012-02-27
US20080145696A1 (en) 2008-06-19
WO2008076707A3 (en) 2008-08-14
JP2010513554A (ja) 2010-04-30
CA2673071C (en) 2011-11-29
RU2009127824A (ru) 2011-01-27
EP2125701A2 (en) 2009-12-02
US8137813B2 (en)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876B1 (ko) 트라이아민/아스파르테이트 경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
KR101120276B1 (ko) (메트)아크릴레이트/아스파르테이트 아민 경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과 제품
US7968198B2 (en) Polyurea coating comprising a polyamine/mono(meth)acrylate reaction product
US7968197B2 (en) Polyurea coating comprising an amine/(meth)acrylate oligomeric reaction product
US7972701B2 (en) Substrates coated with a polyurea comprising a (meth)acrylated amine reaction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