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040A -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040A
KR20090089040A KR1020080014366A KR20080014366A KR20090089040A KR 20090089040 A KR20090089040 A KR 20090089040A KR 1020080014366 A KR1020080014366 A KR 1020080014366A KR 20080014366 A KR20080014366 A KR 20080014366A KR 20090089040 A KR20090089040 A KR 20090089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it
elevator
pit
mold
bottom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9138B1 (ko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2074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8904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102008001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1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입체형의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을 통한 복잡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운반이 간편하고, 제작비가 적게 소요되며, 측벽부와 형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부가 구비되어, 시공환경에 따라 형틀을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ELEVATOR PIT STRUCTUR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을 형성할 때, 복잡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공사운반이 간편하며, 제작비가 적게 소요되고, 측벽부와 형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부가 구비되어, 시공환경에 따라 형틀을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부의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 다수의 리브를 가지는 강재 구조의 피트 하부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이 구조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수직 판재 형의 리브가 다수 결합됨으로써 크기가 대형화되고, 구조물의 무게가 증대되어, 제작 및 운반이 난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난해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 기간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지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바닥면으로 유수가 침투 유입되는 경우, 이러한 유수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하거나, 균열 발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 시공 시, 유수를 배수시키는 배수 공법이 필요한 실정이나,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물은 이러한 배수 공법 없이 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리브와 같은 복잡한 구성의 강재 구조가 필요 없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닥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여, 구조물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하거나, 균열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측벽부와 형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시공환경에 따라 형틀을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입체형의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와 상기 형틀 사이에는 측벽부가 위치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에서 상기 내부공간과 마주보는 내측면과, 상기 형틀에서 상기 내부공간과 마주보지 않는 외측면이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통해, 상기 측벽부와 상기 형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의 일면이 서로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장형의 빔 형태이고, 그 단면은 삼각, 사각, 원, 'H', 'I' 'ㄷ', 'ㄴ' 또는 '
Figure 112008011810362-PAT00001
'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체결부재 또는 접착부재 또는 용접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 중 각 보강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시멘트 혼합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철판 또는 강판 또는 도금판 또는 스테인리스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형틀은 유로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보강부재 또는 상기 형틀 또는 상기 측벽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2 이상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각 바닥부의 서로 마주보는 측부는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상측으로 바닥층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층에는 하나 이상의 주입홀이 천공되고, 시멘트혼합물이 상기 주입홀을 통하여 상기 바닥층의 하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층은 시멘트혼합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층의 상면은 우레탄이 코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설치홈의 내주면 및 상기 형틀의 외측 하부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 최하층 바닥을 형성시키는 피트지지바닥부가 구비되고,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는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피트지지벽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형틀의 외측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는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교차 배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지지철근에 의하여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와 상기 형틀 사이에 위치되는 측벽부의 외측으로도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교차 배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지지철근에 의하여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외 측으로 더 용이하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바닥부의 일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집수정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집수정의 하측과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굴토면이 상호 이격 위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공간부를 채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집수정은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집수정바닥부; 및 상기 집수정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집수정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집수정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집수정바닥부 또는 상기 집수정측벽부에서 상기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일면에는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집수정바닥부 또는 상기 집수정측벽부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집수정바닥부 또는 상기 집수정측벽부는 다수 개가 결합되어 형 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측부는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바닥부의 일면에서 상방으로 집수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집수정은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가 상호 결합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을 통한 복잡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강재 리브 없이도, 입체형 바닥부를 통해 하부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량 생산, 현장 조립이 가능한 바닥부 및 측면부를 사용하도록 하여, 운반이 간편하고, 제작비가 적게 소요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지지강도를 확보하며, 콘크리트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을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으로 유입되는 유수 또는 빗물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되며, 집수정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철근에 의하여 피트지지벽체부의 하중이 피트지지바닥부로 유도되도록 하고, 바닥부의 견고한 구조로 인하여, 과도한 건물 하중이나, 지내력을 부담함 없이, 상향 수압에 대한 부력과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하중, 지내력만을 부담하게 되므로, 바닥 콘크리트층을 얇게 구성하여, 시공비 절감 및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벽부와 형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부가 구비되어, 시공환경에 따라 형틀을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평평한 바닥 면(1) 위에 버림콘크리트층(2)이 타설되고, 그 위에 판형의 바닥부(100)가 위치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바닥설치홈(10)이 형성되고, 바닥설치홈(10) 위에 버림콘크리트층(2)이 타설되며, 버림콘크리트층(2) 위에 바닥부(100)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림콘크리트층(2)의 높이는 현장 조건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고, 간혹, 버림콘크리트층(2)은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닥부(100)의 상부에는 보강부재(150) 및 바닥층(170)이 구비되며, 바닥부(100)의 상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틀(300)이 바닥부(100)의 외측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바닥부(100)가 위치된 바닥설치홈(10)의 내주면 및 형틀(300)의 외측 하부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되며, 피트지지바닥부(20)에서 형틀(300) 외측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벽체부(30)가 형성된다.
바닥부(100)는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바닥부(100)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바닥부(100)는 필요에 따라 현장에 맞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닥부(100)는 현장 조건에 따라 철판 또는 강판 또는 도금판 또는 스테인리스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시멘트혼합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50)는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두께를 가지는 입체형으로 구성되며, 내측의 지지 구조로 인해 강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 한 보강부재(150)는 장형의 빔 형태로서, 바닥부(100)의 상부에 다수 개가 일렬로 연속 배열되고, 그 단면은 삼각 또는 사각 또는 원 또는 'H' 또는 'I' 또는 'ㄷ' 또는 '
Figure 112008011810362-PAT00002
'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150)의 단면 형상을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시공 환경에 따라 입체형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150)는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이 빈 공간에는 모르타르와 같은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거나, 또는 현장 등에서 시멘트 혼합물 자체를 보강부재(150) 형상의 형틀(300)에 채워지도록 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체형의 보강부재(150)는 무게가 가벼워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구조 강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리브와 같은 보조 지지구조물을 내측에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강부재(150)는 중량이 많이 나가지 않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제품을 현장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렇게 현장으로 운반된 보강부재(150)는 그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을 채워 넣음으로써, 선택적으로 강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보강부재(150)는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보강부재(150) 형상의 형틀(300)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시켜서, 현장에서 보강부재(150)를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보강부재(150)는 볼트부 등의 체결부재 또는 접착부재 등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고 수밀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보강부재(150) 가 상호 수밀하게 연결되면, 건물 바닥면(1)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가 보강부재(150)의 외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150) 중 각 보강부재(150) 사이사이에 위치되는 공간에는 콘크리트(160)가 타설되도록 한다. 이렇게 타설된 콘크리트(160)는 보강부재(150)와 견고하게 연결되므로, 보강부재(150) 및 콘크리트(160)에 의하여 바닥부(100)는 강한 지내력을 가지게 되어, 바닥설치홈(10)에서 올라오는 상향 부력 및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용이하게 버틸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바닥층(170)은 보강부재(15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보강부재(150) 중 각 보강부재(150) 사이사이에 위치되는 공간에 콘크리트(160)가 타설된 후, 콘크리트(160)의 상부에 시멘트혼합물이 타설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바닥층(170)에 의하여 바닥부(100)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바닥층(170)의 상면에는 방수 기능을 갖는 우레탄(미도시)이 코팅되어, 바닥판으로 유수가 유입되더라도, 바닥판의 하부로 물 등이 누수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형틀(300)은 바닥부(100)의 중앙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부(10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형틀(300)에 의하여 바닥부(1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이러한 바닥부(100) 및 형틀(3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형틀(300)의 크기, 높이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산택적으로 형성 및 구비될 수 있으며, 현장에 맞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형틀(300)은 합판 또는 유로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닥부(100)는 그 상부에 측벽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바닥부(100)는 바닥설치홈(10)을 갖는 바닥판(1) 또는, 버림콘크리트층(2) 상방에 위치되고, 바닥부(1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측벽부(200)가 세워진다. 그리고 측벽부(200)는 바닥부(1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된다. 이렇게 위치된 측벽부(200)에 의하여 바닥부(1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측벽부(200)의 상단에 형틀(300)이 결합되며, 이때, 측벽부(200)에서 바닥부(100)의 중앙 상측과 마주보는 내측면과, 형틀(300)에서 바닥부(100)의 중앙상측과 마주보지 않는 외측면은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측벽부(200)의 외측면 및 그 상단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벽체가 형성될 때, 형틀(300)은 상기 벽체가 형성되는 틀을 제공하도록 벽체의 일면에 덧대어 지면서, 측벽부(200)의 내측면과 형틀(300)의 외측면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형틀(300)이 측벽부(200)의 상측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측벽부(200)의 상단부 및 형틀(300)의 하단부에 결합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400)는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벽부(20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결합부(402)와, 형틀(30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결합부(4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결합부(402)의 일면과 제 2 결합부(404)의 일면이 서로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나 쇄기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벽체의 양생이 완료되 면, 시공 환경에 따라 형틀(300)을 제거하기도 하고, 제거하지 않기도 한다.
이러한 바닥부(100), 측벽부(200) 및 형틀(300)에 의하여, 건물의 하중이 지지되면서, 동시에 그 상방으로 엘리베이터 이동용 개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층 즉, 시멘트 혼합물이 바닥부(100) 중앙 측 상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바닥부(100)의 상면 또는 측벽부(200)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205)이 덧붙여져서, 바닥부(100) 또는 측벽부(200)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닥부(100), 측벽부(200) 또는 형틀(300)에는 결합돌출부재(410)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돌출부재(410)는 스터드 볼트(Stud Bol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닥부(100), 측벽부(200) 또는 형틀(300)의 외측으로 피트지지바닥부(20)가 타설될 때, 피트지지바닥부(2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바닥부(100), 측벽부(200) 또는 형틀(300)이 시멘트 혼합물로 형성될 때, 그 내부로 결합돌출부재(410)가 형성되어, 상기 시멘트 혼합물이 보다 견고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종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부의 엘리베이터 하단 구조를 통 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바닥면(1)에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1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설치홈(1a)의 상부에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5) 배치되며, 바닥설치홈(1a) 및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5)의 주위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피트지지바닥부(20)는 엘리베이터가 도달할 수 있는 최하층의 바닥기초를 이루게 된다. 한편, 피트지지바닥부(20)는 현장 조건에 따라, 바닥설치홈(1a)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고,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5)의 주위로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5)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피트지지바닥부(20)에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5)의 외측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벽체부(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설치홈(1a)의 깊이(d')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5)의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에서 하방으로 전해지는 하중을 동시에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두께(d)에 상응하는 깊이 이상으로 터파기를 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바닥설치홈(1a)의 깊이(d')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두께(d)에 상응하도록 굴토하는 것은 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공사비용 및 공사기 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바닥면(1) 위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다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10)을 형성시킨 후, 상기 바닥설치홈(10)에 본 발명의 바닥부(100) 및 형틀(300)이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바닥설치홈(10) 및 형틀(300)의 외측 하부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피트지지바닥부(20)는 엘리베이터가 도달할 수 있는 최하층의 바닥기초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피트(5)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피트지지바닥부(20)에서 형틀(300)의 외측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벽체부(30)가 형성된다.
이때, 피트지지바닥부(20)의 내부에는 지지철근(420)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배치되고, 이렇게 피트지지바닥부(20)에 매설 배치되는 지지철근(420)에 의해 피트지지벽체부(3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외측으로 유도된다.
한편, 상기 바닥설치홈(10)의 깊이(d'')는 바닥면(10)의 저면에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에서 하방으로 전해지는 하중을 동시에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깊이(d) 이상으로 터파기를 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체를 사용하게 되면, 지지철근(420)에 의하여 상기 바닥설치홈(10)의 깊이(d'')를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깊이(d)보다 작게 형성시키면서도, 상기 바닥면(1)에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피트지지벽체부(3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는 지지 강도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바닥면(1) 위에 버림콘크리트층(2)이 타설되고, 그 위에 바닥부(100), 보강부재(150), 측벽부(200), 형틀(300) 및 완충스프링(430)이 위치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바닥설치홈(1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설치홈(10)에 바닥부(100)가 위치될 수 있으며, 현장 조건에 따라 버림콘크리트층(2)이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버림콘크리트층(2)이 보다 강한 강도를 지니도록 버림콘크리트층(2)의 내부에는 철근(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바닥부(100)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재질은 금속 또는 시멘트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부(100)를 다수 개 구비하고, 각각의 바닥부(100)를 서로 연결시 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바닥부(100)는 일정한 길이로 분할되고, 이렇게 분할된 바닥부(100)는 바닥면(1)의 바닥설치홈(10)에 연속적으로 위치된 후, 일 바닥부(100)의 양측단부 또는 일측단부에 각각 수직 형성되는 접합부(110)가 타 바닥부(100)의 접합부(110)와 밀착되며, 상호 밀착된 접합부(110)는 볼트 등의 결합부(400)재 또는 용접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처럼 바닥부(100)는 그 크기나 무게 등으로 인하여, 대형 바닥부(100)를 바닥설치홈(10)에 위치시키기가 어려울 경우, 바닥부(100)를 다수 개로 분할한 후, 운반,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바닥부(100)를 바닥설치홈(10)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바닥부(100)가 위치된 바닥설치홈(10)의 내주면 및 형틀(300)의 외측 하부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되는데, 이때, 피트지지바닥부(20)의 내부에는 지지철근(420)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배치되고, 이렇게 피트지지바닥부(20)에 매설 배치되는 지지철근(420)에 의해 피트지지벽체부(3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피트지지바닥부(20)의 외측으로 유도된다.
이처럼 피트지지바닥부(20)의 하중이 상기 도 2의 종래구조와 같이, 바닥설치홈(10)으로 가해지지 않게 되고, 피트하단부(100) 외측으로 유도되게 됨으로써, 상기 바닥설치홈(10)은 상기 피트하단부(100)의 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상향 부력만을 감당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바닥설치홈(10)의 깊이(d'': 도 3 도시)를 상기 도 2에 도시된 종래구조의 바닥설치홈(10)의 깊이(d')보다 작게 굴토 형성할 수 있 으며,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보강부재(150)는 상기 도1의 보강부재(150)와 같이,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의 확보를 위해 두께를 가지는 입체형으로 구성되며, 내측의 지지 구조로 인해 강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바닥부(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보강부재(150)에 의하여, 바닥부(100)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지철근(420)에 의하여 피트지지벽체부(30)의 하중이 피트지지바닥부(20)의 외측으로 유도될 때, 피트지지벽체부(30) 및 피트지지바닥부(20)의 일부 하중이 바닥설치홈(10)에 가해진다 하더라도, 견고하게 구성되어 강한 지내력을 가지는 보강부재(150)가 바닥설치홈(10)을 견고하게 유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바닥설치홈(10)의 깊이(d'')를 작게 굴토 형성하여도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보강부재(150) 주변으로는 콘크리트(160)를 타설시킬 때, 상기 도 1 에서는 콘크리트(160)를 타설시킨 후 바닥층(170)을 형성시켰으나, 경우에 따라, 미리 제작된 바닥층(170)을 보강부재(15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콘크리트(160)를 보강부재 사이사이에 타설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보강부재(150)의 상부에 위치한 바닥층(170)에 다수 개의 주입홀(미도시)을 형성시키고, 상기 주입홀에 주입관(174)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입홀 및 주입관(174)을 통하여 보강부재(150) 사이사이의 빈 공간에 콘크리트(160)를 타설, 그라우팅(Grouting)시켜서, 보강부재(150)의 강도를 보다 강하게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주입홀은 바닥층(170)을 제조할 때, 통공 형상으로 미리 형성시킬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작 업자가 드릴 등으로 바닥층(170)을 천공시켜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그라우팅 공법은 바닥층(17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시멘트 혼합물 등의 충전재를 주입하는 것으로서, 누수방지 또는 지반 보강을 목적으로 한다.
측벽부(200)는 바닥부(1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세워진다. 그리고 측벽부(200)는 바닥부(100)의 외곽에서 수직 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된다. 이렇게 위치된 측벽부(200)에 의하여 바닥부(1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형틀(300)은 바닥부(100)의 중앙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부(100)의 외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형틀(300)에 의하여 바닥부(100)의 상측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상기 형틀(300)은 측벽부(2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 1 결합부(402) 및 제 2 결합부(404)에 의하여 측벽부(200)와 분리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리결합형인 경우,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공 환경에 따라 제거하기도 하고, 제거하지 않기도 한다.
완충스프링(430)은 엘리베이터 피트 상부에서 상하운동하는 엘리베이터가 사고나 점검 등으로 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하면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부(100)로 낙하될 때, 충격 강도를 최대한 완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인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부(100)의 상면에 다수 개가 위치된다.
도 5는 종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축물(B)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바닥면(1) 위에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5)이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다시 피트지지바닥부(20)이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5)이 배치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1a)을 형성시키며, 바닥설치홈의 상부에 버림콘크리트층(2)이 타설되고, 그 위에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5)이 구비되며, 경우에 따라 버림콘크리트층(2)은 생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설치홈(1a)의 깊이(d''')는 타설되는 피트지지바닥부(20)의 두께(d)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종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5)이 견고한 구조 강도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설치홈(1a)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5) 하부로 유입되는 습기나 빗물 등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집수정(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바닥설치홈(10)의 하단에서 상기 집수정 크기의 집수정홈(미도시)을 타설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을 사용하게 되면, 바닥설치홈(10: 도 6 도시)의 깊이를 피트지지바닥부(20)의 두께(d)보다 작게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집수정홈과 상기 집수정을 상호 이격 위치시킬 수 있어서, 상기 집수정홈을 상기 집수정의 크기에 맞도록 정밀하게 공사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건축물(B)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바닥 면(1) 위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바닥부(100) 및 형틀(300)이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다시 피트지지바닥부(20)이 타설되어 층을 이루게 된다. 이때, 바닥면(1)에는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10)을 형성시킨 후, 상기 바닥설치홈(10)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설치홈(10)의 깊이(d''')는 타설되는 피트지지바닥부(20)의 두께(d)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도,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피트가 견고한 구조 강도로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본 발명의 하단 구조물을 사용하게 되면, 이 바닥설치홈(10)의 깊이(d''')를 피트지지바닥부(20)의 두께(d)보다 작게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집수정홈의 크기를 상기 집수정의 크기에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의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집수정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상기 도 4에서 집수정(500)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피트는 일반적으로 건물 지하층에 위치하게 되는바, 유수 또는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쉬우며,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물이 유입되곤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유입된 물 등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집수정(50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수정(500)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되는 세척 수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집수정(500)은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부에 위치되며, 지하수 또는 빗물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처럼 집수정(500)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위치되면, 엘리베이터 피트의 강성이 저하될 수도 있으므로, 종래에는 집수정(500)이 엘리베이터 피트의 외부에 위치되었으나, 본 발명의 도 7에서는 강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보강부재(150)가 바닥부(100)의 상부에 위치됨으로써, 바닥설치홈(10)에서 올라오는 상향 부력을 견딜 수 있고, 피트지지벽체부(3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집수정(500)이 위치된다 하더라도, 집수정(500)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강성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집수정(500)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위치되면, 집수정(500)을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외부 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집수정(500)이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에 위치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바닥면(1)의 바닥설치홈(10)에는 집수정(500)이 삽입되기 위한 집수정홈(12)이 형성된다. 집수정홈(12)의 크기는 집수정(50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집수정(500)과 집수정홈(12)의 저면이 서로 이격 위치되면서 공간부(505)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505)는 바닥설치홈(10)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피트지지바닥부(20)가 형성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공간부(505)를 채우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집수정(500)을 설치한 후, 별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공간부(505)를 채울 수도 있다.
이처럼 집수정(500)의 하부에 공간부(505)를 형성시키게 되면, 집수정홈(12) 을 형성시킬 때, 집수정홈(12)을 집수정(500)의 크기에 맞도록 시간과 전문 장비를 가지고 정밀하게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의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도 7에서 집수정(500)은 집수정홈(12)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나, 이는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집수정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집수정(미도시)은 바닥부(100)의 상면에 위치되는 다수 개의 보강부재(150)가 상호 결합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보강부재(150)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60)는 선택적으로 타설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집수정이 바닥부(100)의 상부에 위치되면, 집수정홈(12)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의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공사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도 7의 집수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수정(500)은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유입되는 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집수정바닥부(510) 및 집수정측벽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집수정바닥부(510)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바닥면(1)의 바닥설치홈(10)에 형성되는 집수정홈(12)의 바닥에 위치된다.
집수정측벽부(520)는 집수정바닥부(510)의 중앙 상측으로 물 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집수정바닥부(510)의 외측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바닥부(510) 또는 상기 집수정측벽부(520)에서 상기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일면에는 물 등에 의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테인리스 판(515, 525)이 덧대어진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바닥부(510) 또는 상기 집수정측벽부(520)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져서 집수정바닥부(510) 또는 집수정측벽부(520)의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집수정바닥부(510) 또는 집수정측벽부(520)는 현장에 따라 하나로 형성되거나 또는, 현장에서 요구하는 크기에 따라, 다수 개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서로 마주보는 측부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은 리브와 같은 복잡한 보강 구성 없이도, 지지 강도, 구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바닥부 및 보강부재가 구비되며, 측벽부와 형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는 제작, 조립, 설치, 운반이 용이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를 절감시키고, 공기를 앞당기는 효과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조물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설치된 또 다른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집수정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집수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바닥설치홈 12: 집수정홈
20: 피트지지바닥부 30: 피트지지벽체부
100: 바닥부 110: 접합부
150: 보강부재 160: 콘크리트
170: 바닥층 174: 주입관
200: 측벽부 205: 스테인리스 판
300: 형틀 400: 결합부
402: 제 1 결합부 404: 제 2 결합부
410: 결합돌출부재 420: 지지철근
430: 완충스프링 500: 집수정
505: 공간부 510: 집수정바닥부
515: 스테인리스 판 520: 집수정측벽부
525: 스테인리스 판

Claims (29)

  1.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바닥부;
    내부 강도 및 지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입체형의 보강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형틀 사이에는 측벽부가 위치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 각각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에서 상기 내부공간과 마주보는 내측면과, 상기 형틀에서 상기 내부공간과 마주보지 않는 외측면이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통해, 상기 측벽부와 상기 형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부는 :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형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의 일면이 서로 포개어지거나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장형의 빔 형태이고, 그 단면은 삼각, 사각, 원, 'H', 'I' 'ㄷ', 'ㄴ' 또는 '
    Figure 112008011810362-PAT00003
    '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체결부재 또는 접착부재 또는 용접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8.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 중 각 보강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시멘트 혼합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철판 또는 강판 또는 도금판 또는 스테인리스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은 유로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보강부재 또는 상기 형틀 또는 상기 측벽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2 이상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각 바닥부의 서로 마주보는 측부는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상측으로 바닥층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층에는 하나 이상의 주입홀이 천공되고, 시멘트혼합물이 상기 주입홀을 통하여 상기 바닥층의 하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 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층은 시멘트혼합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층의 상면은 우레탄이 코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는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설치홈의 내주면 및 상기 형틀의 외측 하부로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물 최하층 바닥을 형성시키는 피트지지바닥부가 구비되고,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는 엘리베이터 이동 공간의 외측둘레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피트지지벽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의 외측 및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에는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교차 배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지지철근에 의하여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형틀 사이에 위치되는 측벽부의 외측으로도 지지철근이 종,횡으로 교차 배치되어,
    상기 피트지지벽체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되는 하중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지지철근에 의하여 상기 피트지지바닥부의 외측으로 더 용이하게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바닥부의 일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집수정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하측과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굴토면이 상호 이격 위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공간부를 채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에 위치되는 집수정바닥부; 및
    상기 집수정바닥부의 중앙 상측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집수정바닥부의 외측을 따라 상방으로 결합되는 집수정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바닥부 또는 상기 집수정측벽부에서 상기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일면에는 스테인리스 판이 덧대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바닥부 또는 상기 집수정측벽부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바닥부 또는 상기 집수정측벽부는 다수 개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측부는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유입되는 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바닥부의 일면에서 상방으로 집수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다수 개의 상기 보강부재가 상호 결합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20080014366A 2008-02-18 2008-02-18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097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366A KR100979138B1 (ko) 2008-02-18 2008-02-18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366A KR100979138B1 (ko) 2008-02-18 2008-02-18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040A true KR20090089040A (ko) 2009-08-21
KR100979138B1 KR100979138B1 (ko) 2010-08-31

Family

ID=4120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366A KR100979138B1 (ko) 2008-02-18 2008-02-18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32B1 (ko) * 2011-07-21 2013-10-07 주식회사 디엠 저면 이격형 엘리베이터 피트
CN114394503A (zh) * 2022-01-24 2022-04-26 苏州默顿快速电梯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装配式电梯底坑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154A (ko) 2015-04-07 2016-10-17 엄재현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20170006294A (ko) 2016-08-22 2017-01-17 엄재현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KR102562464B1 (ko) 2022-09-23 2023-08-02 주식회사 제이테크이엔씨 물량절감 및 공기단축이 가능한 고내식성의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7429A (en) 1979-11-30 1981-06-25 Sekisui Koji Kk Basement
JPS58185828A (ja) 1982-04-23 1983-10-29 Hitachi Ltd サンプピツト底の構造
JPS6145025A (ja) 1985-07-10 1986-03-04 Hitachi Ltd サンプピツトの据付方法
KR100734047B1 (ko) 2006-07-25 2007-07-06 박옥교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설치 공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32B1 (ko) * 2011-07-21 2013-10-07 주식회사 디엠 저면 이격형 엘리베이터 피트
CN114394503A (zh) * 2022-01-24 2022-04-26 苏州默顿快速电梯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装配式电梯底坑结构
CN114394503B (zh) * 2022-01-24 2024-01-09 苏州默顿快速电梯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装配式电梯底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138B1 (ko) 201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44142A (zh) 一种群桩改柱扩建地下室及其施工工法
KR100979138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20060092552A (ko) 현장타설파일을 이용한 무지보 하향골조 시공방법
KR20140055639A (ko) 흙막이 겸용 건축빔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빔 구조체
KR101203318B1 (ko) 하중 지지방식 엘리베이터 피트
KR100973235B1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KR101066198B1 (ko) 슬러리 월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 시공 방법
KR100973236B1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631447B1 (ko)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CN210127485U (zh) 一种混凝土吸力式沉箱基础与薄壁墩柱连接结构
KR101761779B1 (ko) 기초 매입형 강재 집수정을 시공하는 방법
KR100489336B1 (ko)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20160120154A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808833B1 (ko)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32040Y1 (ko) 집수정 구조체
CN114293564A (zh) 一种建筑工程基坑边坡桩基现场施工方法
JP4798203B2 (ja) 既設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2010209547A (ja) 壁杭及び壁杭の造成工法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0766850B1 (ko)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KR20090061776A (ko)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물
JP4475116B2 (ja) 立坑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962727B1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2509305B1 (ko) 기초 일체형 프리캐스트 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KR20130015032A (ko) 강관파일의 부력방지장치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602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01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6020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602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02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60226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