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903A -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903A
KR20090088903A KR20097012195A KR20097012195A KR20090088903A KR 20090088903 A KR20090088903 A KR 20090088903A KR 20097012195 A KR20097012195 A KR 20097012195A KR 20097012195 A KR20097012195 A KR 20097012195A KR 20090088903 A KR20090088903 A KR 20090088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 ash
unburned carbon
cement
gypsum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1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877B1 (ko
Inventor
도모미치 나카무라
유키노리 사카모토
츠요시 마츠라
Original Assignee
다이헤이요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이요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이요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8Devices for distributing road-metals mixed with binders, e.g. cement, bitumen, without consolidating or iron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001Flotation agents
    • B03D1/004Organic compounds
    • B03D1/006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02Froth-flot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8Clinker treatment
    • C04B7/52Grinding ; After-treatment of ground 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8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clean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2201/00Specified effects produced by the flotation agents
    • B03D2201/02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2203/00Specified materials treated by the flotation agents; specified applications
    • B03D2203/02Ores
    • B03D2203/04Non-sulfide ores
    • B03D2203/08Coal ores, fly ash or soo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10Compositions or ingredien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bsence or the very low content of a specific material
    • C04B2111/1087Carbon free or very low carbon content fly ashes; Fly ashes treated to reduce their carbon content or the effec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미연소 카본의 함유량을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게 하면서 플라이 애시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멘트 제조장치 등을 제공한다.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제거 수단에 의해 미연소 카본이 제거된 석고를 클링커와 함께 분쇄하여 시멘트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을 구비하는 시멘트 제조장치 등. 시멘트 중의 미연소 카본의 총 함유량을 저감하고, 그만큼, 플라이 애시의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제거 수단은,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함과 아울러,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고, 상기 분쇄 수단은, 미연소 카본이 제거된 플라이 애시를, 미연소 카본이 제거된 석고 및 클링커와 함께 분쇄할 수 있어, 상기 제거 수단은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해도 된다.
Figure 112009035576010-PCT00001
시멘트, 플라이 애시, 석고.

Description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SYSTEM FOR PRODUCING CEMENT AND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게 하면서, 플라이 애시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석탄연소 화력 발전소 등에서 발생한 플라이 애시는 시멘트용 혼합재, 콘크리트용 혼화재, 인공 경량골재의 원료 등에 이용되어 있다. 이때, 플라이 애시 중에 미연소 카본이 많으면 여러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미연소 카본을 제거할 필요가 있어, 많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플라이 애시를 시멘트용 혼합재로서 이용할 때는, 습식 부선법에 의한 탈탄처리 후에 습회를 시멘트 밀 전에 첨가하는 것이, 설비비용이나 운전비용을 가장 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라이 애시를 시멘트용 혼합재로서 이용할 때는, 플라이 애시에 물을 가하여 슬러리로 한 후, 기포 발생제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 기포에 플라이 애시의 미연소 카본을 부착시키고, 기포를 제거하고, 플라이 애시 중의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후, 클링커와 함께 시멘트 밀로 분쇄하고 있었 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613347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한 바와 같이, 시멘트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은, 여러 폐해의 요인이 되기 때문에, 플라이 애시를 시멘트에 혼합할 때에는, 혼합 후의 시멘트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의 양을 최대한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그 한편으로, 플라이 애시 등의 폐기물의 유효 이용은, 폐기물 처리가 곤란하게 되고 있는 지금, 중요 과제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으며,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보다 많은 플라이 애시를 이용하는 것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플라이 애시 중의 미연소 카본을 제거했다고 해도, 그 제거량에는 한계가 있어,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미연소 카본의 함유량을 허용범위 내로 포함하기 위해서는, 플라이 애시의 사용량을 제한하지 않을 수 없어, 플라이 애시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게 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게 하면서, 플라이 애시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플라이 애시를 혼합한 시멘트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은 플라이 애시 중의 미연소 카본뿐만 아니라, 석고 중의 미연소 카본도 많이 포함하는 것으로, 클링커에 석고를 혼합하기 전에, 석고 중의 미연소 카본을 제거함으로써,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크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멘트 제조장치로서,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이 제거 수단에 의해 미연소 카본이 제거된 석고를 클링커와 함께 분쇄하여 시멘트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제거 수단에 의해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분량만큼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플라이 애시를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이용하는 경우에, 제거 수단에 의해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분량만큼 플라이 애시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멘트 중의 미연소 카본의 함유량을 허용범위에 들어가게 하면서, 플라이 애시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시멘트 제조장치에서, 상기 제거 수단이 석고 중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함과 아울러,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고, 상기 분쇄 수단은 미연소 카본이 제거된 플라이 애시를 미연소 카본이 제거된 석고 및 클링커와 함께 분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라이 애시 및 석고로부터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제거 수단을 공용하기 위하여, 설비비용 및 운전비용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시멘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거 수단을,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어, 제거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운전비용을 더욱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시멘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쇄 수단에서 생성되는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이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플라이 애시의 상기 시멘트로의 혼합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산출 수단에 의한 산출값에 기초하여 플라이 애시의 혼합량을 설정하면, 플라이 애시의 혼합 과다로,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이 허용값을 초과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이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는 한계량 부근까지 플라이 애시를 혼합할 수 있어, 소정의 시멘트 품질을 확보하면서 효율적으로 플라이 애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시멘트 제조방법으로서,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고,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석고를 클링커와 함께 분쇄하여 시멘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발명과 동일하게,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허용범위에 들어가게 하면서, 플라이 애시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시멘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함과 아울러,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고,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플라이 애시를,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석고 및 클링커와 함께 분쇄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시멘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측정하고, 이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플라이 애시의 상기 시멘트로의 혼합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허용범위에 들어가게 하면서, 플라이 애시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적용한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 플라이 애시 탱크
2 석고 탱크
3 슬러리 탱크
4 펌프
5 표면 개질기
6 펌프
7 등유 탱크
8 조정조
9 펌프
10 기포 발생제 탱크
11 펌프
12 부선기
13 펌프
14 고액 분리기
16 케이크 호퍼
18 펌프
19 필터 프레스
20 클링커 사일로
21 시멘트 밀
22 공급량 제어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적용한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하며, 이 시스템은 대별하여, 플라이 애시 탱크(1)와, 석고 탱크(2)와, 플라이 애시 및 석고에 물을 가하여 슬러리를 생성하기 위한 슬러리 탱크(3) 와, 슬러리에 포집제를 첨가한 후, 전단력을 부여하여 미연소 카본의 표면을 개질하는 표면 개질기(5)와, 슬러리에 기포 발생제를 가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조정조(8)와, 기포에 플라이 애시 및 석고 중의 미연소 카본을 부착시켜 부상시킴으로써 미연소 카본을 분리하는 부선기(12)와, 부선기(12)로부터의 테일링(tailing)을 고액 분리하는 고액 분리기(14)와, 부선기(12)로부터의 프로스(froth)를 고액 분리하여 미연소 카본을 얻기 위한 필터 프레스(19)와, 클링커를 저장하는 클링커 사일로(20)와, 클링커, 플라이 애시 및 석고를 분쇄하여 시멘트를 생성하는 시멘트 밀(21)과, 생성된 시멘트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시멘트 중의 미연소 카본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기초하여 플라이 애시 탱크(1)로부터의 플라이 애시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량 제어기(22) 등으로 구성된다.
플라이 애시 탱크(1)는 석탄연소 화력 발전소 등으로부터 폐기물로서 운반된 플라이 애시를 저장하고, 공급량 제어기(22)로부터 지시된 양의 플라이 애시를 슬러리 탱크(3)에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 석고 탱크(2)는 화력 발전소 등의 배연탈황 장치 등에서 발생한 석고를 저장하고, 공급량 제어기(22)로의 클링커 공급량에 따른 양의 석고를 슬러리 탱크(3)에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슬러리 탱크(3)는 플라이 애시, 석고 및 물로 슬러리를 생성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슬러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날개를 내부에 구비한다. 이 슬러리 탱크(3)의 전단에는, 플라이 애시 탱크(1), 석고 탱크(2) 및 물 공급 장치가 설치되고, 슬러리 탱크(3)의 후단에는, 슬러리를 표면 개질기(5)에 보내기 위한 펌프(4)가 배치된다.
표면 개질기(5)는 슬러리 및 포집제에 전단력을 부여하여 미연소 카본의 표면을 개질하거나, 슬러리에 포함되는 입자를 초미세로 분쇄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 표면 개질기(5)의 전단에는, 포집제로서의 등유를 저장하는 등유 탱크(7)와, 등유를 표면 개질기(5)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6)가 설치된다.
조정조(8)는 표면 개질기(5)로부터의 슬러리 및 포집제에, 기포 발생제 탱크(10)로부터 펌프(9)를 통하여 공급된 기포 발생제를 첨가하고 이것들을 혼합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교반날개를 구비한다. 조정조(8)의 후단에는, 슬러리를 부선기(12)에 보내기 위한 펌프(11)가 배치된다.
부선기(12)는 플라이 애시 및 석고 중의 미연소 카본을 기포에 부착시켜 부상시키고, 플라이 애시 및 석고로부터 미연소 카본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부선기(12)의 상방에는,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가 설치되고, 부선기(12)의 후단에는, 테일링을 고액 분리기(14)에 보내기 위한 펌프(13)가 배치된다.
고액 분리기(14)는 부선기(12)로부터 배출된 플라이 애시 및 석고를 포함하는 테일링을 고액 분리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테일링을 케이크와 물로 분리한다. 분리된 케이크, 즉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플라이 애시 및 석고(제품)는 케이크 호퍼(16)에 공급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한편, 분리된 물은 슬러리 탱크(3)로 되돌려진다.
필터 프레스(19)는 부선기(12)로부터의 미연소 카본을 포함하는 프로스를 고액 분리하기 위해 구비되고, 분리된 케이크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은 연료로서 이 용할 수 있다. 또, 필터 프레스(19)로부터 배출된 물은 펌프(18)를 통하여 슬러리 탱크(3) 등에서 재이용할 수도 있다.
시멘트 밀(21)은 케이크 호퍼(16)로부터 공급되는 케이크를, 클링커 사일로(20)로부터 공급되는 클링커와 함께 분쇄하여 시멘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다음에, 상기 시스템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슬러리 탱크(3)에, 플라이 애시 탱크(1)로부터 플라이 애시를, 석고 탱크(2)로부터 석고를 공급하고, 그것들을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슬러리 중의 플라이 애시 농도를 3∼25질량%의 범위로, 석고의 농도를 6∼50질량%의 범위로 각각 조정한다.
다음에, 슬러리 탱크(3) 내의 플라이 애시 및 석고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펌프(4)를 통하여 표면 개질기(5)에 공급한다. 한편, 표면 개질기(5)에는, 등유 탱크(7)로부터 펌프(6)를 통하여 포집제로서의 등유를 공급한다. 등유 이외에도, 경유, 중유 등, 일반적인 포집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포집제의 첨가량은 플라이 애시 중의 미연소 카본량 및 석고 중의 미연소 카본량의 총합의 5∼100질량%의 범위로 조정한다.
다음에, 표면 개질기(5)에 있어서, 슬러리 및 포집제에 전단력을 부여하거나, 슬러리에 포함되는 입자를 초미세로 분쇄한다. 전단력의 부여 등이 행해진 슬러리 및 포집제는 표면 개질기(5)의 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조정조(8)에 공급된다. 그것과 함께, 펌프(9)를 통하여 기포 발생제를 조정조(8)에 공급하고, 조정조(8)에서, 슬러리 및 포집제와 기포 발생제를 혼합한다.
다음에 슬러리 및 포집제를 부선기(12)에 공급함과 아울러, 공기를 부선기(12)에 공급하고, 부선기(12)에서, 기포를 발생시키고, 그 기포에 포집제에 흡착한 미연소 카본을 부착시킴과 아울러, 미연소 카본이 부착되어 부상한 기포를 제거한다.
다음에, 부선기(12)로부터 배출된 미연소 카본을 포함하는 프로스를 필터 프레스(19)에 의해 고액 분리하고, 미연소 카본을 회수한다. 필터 프레스(19)에서 탈수된 수분은, 펌프(18)를 통해 슬러리 탱크(3)에 공급하여 새롭게 첨가하거나, 부선기(12)에서, 기포에 미연소 카본을 부착시킬 때의 기포 제거에 재사용할 수 있다.
한편, 부선기(12)로부터의 플라이 애시 및 석고를 포함하는 테일링을 고액 분리기(14)에서 고액 분리한다. 케이크의 수분이 많은 경우에는, 필터 프레스(19)로부터 배출된 미연소 카본을 열풍로 등에서 연소하여 얻어진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미연소 카본의 함유량을 1질량% 이하로 한 플라이 애시와, 0.5질량% 이하로 한 석고를 케이크 호퍼(16)에 공급한다.
다음에, 클링커 사일로(20)로부터 클링커를 시멘트 밀(21)에 공급함과 아울러, 케이크 호퍼(16)로부터 케이크를 시멘트 밀(21)에 공급하고, 시멘트 밀(21)에서, 클링커와 함께,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플라이 애시 및 석고를 분쇄하여 시멘트를 생성한다.
다음에, 공급량 제어기(22)에 있어서, 시멘트 밀(21)에서 생성된 시멘트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기초하여 혼합가능한 플라이 애시의 첨가량을 산출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미연소 카본의 함유량의 허용값 또는 허용값 이하의 목표값과 측정값의 차를 산출하고, 그 차로부터 추가 가능한 플라이 애시의 첨가량을 역산한다. 그 후, 산출한 플라이 애시의 첨가량과, 현시점에서 공급하고 있는 플라이 애시의 첨가량을 가산하고, 그 값을 슬러리 탱크(3)로의 플라이 애시의 공급량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후에 플라이 애시를 시멘트 밀(21)에 공급하기 위하여, 플라이 애시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은 1질량% 정도인 것으로 하여 플라이 애시의 추가량을 산출한다.
다음에, 공급량 제어기(22)로부터 플라이 애시 탱크(1)를 향하여, 슬러리 탱크(3)로의 플라이 애시의 공급량을 지시하고, 플라이 애시 탱크(1)로부터의 플라이 애시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또한, 석고에 대해서는, 그 첨가량은 콘크리트의 응결 시간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원하는 시멘트의 성질에 따라 소정의 양으로 결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 및,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의 쌍방을 제거한 후에, 그것들을 클링커와 함께 분쇄하여 시멘트를 생성하기 때문에, 플라이 애시 중의 미연소 카본만을 제거한 경우에 비해, 시멘트 중의 미연소 카본의 총 함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그 만큼, 플라이 애시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미연소 카본의 제거장치를 플라이 애시와 석고에서 공용하기 때문에, 설비투자 비용을 억제할 수 있어, 처리비용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플라이 애시 중의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석고 중의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기 때문에, 제거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처리비용을 더욱 저하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멘트 밀(21)에서 생성된 시멘트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기초하여 플라이 애시의 공급량을 결정하기 때문에, 플라이 애시의 공급 과다로,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이 허용값을 초과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이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는 한계량 부근까지 플라이 애시를 공급할 수 있어, 소정의 시멘트 품질을 확보하면서 효율적으로 플라이 애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라이 애시 및 석고 중의 미연소 카본을 동시에 제거한 후,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플라이 애시 및 석고를 시멘트 밀(21)에 공급하고 있지만, 플라이 애시 중의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처리와, 석고 중의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처리는, 각각의 공정에서 행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습식 분리법을 사용하여, 플라이 애시 중의 미연소 카본 및 석고 중의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고 있지만, 플라이 애시와 미연소 카본, 석고와 미연소 카본을, 각각 정전 분리에 의해 분리하는 건식 분리법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공급량 제어기(22)를 설치하고, 플라이 애시 탱크(1)로부터의 플라이 애시의 공급량을 자동제어하고 있는데, 오퍼레이터가 시멘트 밀(21)로부터 배출되는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기초하여 플라이 애시의 공급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공급량에 기초하여 플라이 애시 탱크(1)로부터의 플라이 애시의 공급량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8)

  1.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제거 수단과,
    이 제거 수단에 의해 미연소 카본이 제거된 석고를 클링커와 함께 분쇄하여 시멘트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수단은,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함과 아울러,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고, 상기 분쇄 수단은 미연소 카본이 제거된 플라이 애시를, 미연소 카본이 제거된 석고 및 클링커와 함께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수단은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수단에서 생성되는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이 측정수단에 의한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플라이 애시의 상기 시멘트로의 혼합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장치.
  5.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고,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석고를 클링커와 함께 분쇄하여 시멘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함과 아울러,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고,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플라이 애시를 미연소 카본을 제거한 석고 및 클링커와 함께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플라이 애시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석고에 포함되는 미연소 카본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의 미연소 카본 함유량을 측정하고, 이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플라이 애시의 상기 시멘트로의 혼합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제조방법.
KR1020097012195A 2006-12-05 2007-11-30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41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27810 2006-12-05
JP2006327810 2006-12-05
PCT/JP2007/073140 WO2008069115A1 (ja) 2006-12-05 2007-11-30 セメント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903A true KR20090088903A (ko) 2009-08-20
KR101441877B1 KR101441877B1 (ko) 2014-09-19

Family

ID=3949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195A KR101441877B1 (ko) 2006-12-05 2007-11-30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00011995A1 (ko)
EP (1) EP2103576A4 (ko)
JP (1) JP5270370B2 (ko)
KR (1) KR101441877B1 (ko)
CN (2) CN103951295A (ko)
TW (1) TWI488829B (ko)
WO (1) WO20080691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936A (ko) * 2016-11-29 2018-06-07 엠씨씨 캐피탈 엔지니어링 앤드 리서치 인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고로 플라이 애시 이송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44278A4 (en) * 2005-10-31 2013-12-25 Taiheiyo Cement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NG MOISTURE AS WELL TO CEMENT
JP4802305B2 (ja) * 2009-07-17 2011-10-26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浮遊分離装置及び方法並びにその利用製品の製造方法
US9067824B1 (en) * 2010-02-17 2015-06-30 Roman Cement, Llc Modification of pozzolanic chemistry through blending
DE102010051497B4 (de) * 2010-11-11 2014-05-15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WO2013059339A1 (en) 2011-10-20 2013-04-25 Roman Cement, Llc Particle packed cement-scm blends
US9272953B2 (en) 2010-11-30 2016-03-01 Roman Cement, Llc High early strength cement-SCM blends
KR101702191B1 (ko) * 2011-02-10 2017-02-03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비수계 전해액 용액 및 그것을 적용한 비수계 전해액 이차 전지
CN106132896B (zh) * 2013-09-25 2018-05-18 太平洋水泥株式会社 抽出冷却装置、氯旁通系统、水泥窑抽出气体的处理方法以及水泥烧成装置
KR20170031693A (ko) * 2014-07-15 2017-03-21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해액 및 그것을 이용한 축전 디바이스
US11168029B2 (en) 2017-01-10 2021-11-09 Roman Cement, Llc Use of mineral fines to reduce clinker content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US10737980B2 (en) 2017-01-10 2020-08-11 Roman Cement, Llc Use of mineral fines to reduce clinker content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US10131575B2 (en) 2017-01-10 2018-11-20 Roman Cement, Llc Use of quarry fines and/or limestone powder to reduce clinker content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US10730805B2 (en) 2017-01-10 2020-08-04 Roman Cement, Llc Use of quarry fines and/or limestone powder to reduce clinker content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KR102441204B1 (ko) * 2017-03-30 2022-09-08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개질 플라이 애시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519A (ja) * 1997-06-05 1998-12-22 Techno Frontier:Kk 飛灰石膏製造プロセスにおけるフリーカーボンの除去方法
EP0937491A3 (en) * 1998-02-23 1999-10-1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Flue gas treating process and apparatus
CN1630559A (zh) * 1999-12-28 2005-06-22 匹兹堡矿物及环境技术公司 减少燃烧灰碳含量的方法和装置以及相关产品
JP4567164B2 (ja) * 2000-09-01 2010-10-20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石膏廃材からセメント組成物用無水石膏類を製造する方法
JP2005104792A (ja) * 2003-10-01 2005-04-21 Tokuyama Corp 石炭灰を使用したセメントの製造方法
JP3613347B1 (ja) * 2003-10-09 2005-01-26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フライアッシュ中の未燃カーボンの除去方法
KR20060123031A (ko) * 2004-03-17 2006-12-01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시멘트 혼화재, 시멘트 조성물,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936A (ko) * 2016-11-29 2018-06-07 엠씨씨 캐피탈 엔지니어링 앤드 리서치 인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고로 플라이 애시 이송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069115A1 (ja) 2010-03-18
US8636841B2 (en) 2014-01-28
TW200838831A (en) 2008-10-01
US20120167806A1 (en) 2012-07-05
EP2103576A1 (en) 2009-09-23
CN101578243A (zh) 2009-11-11
WO2008069115A1 (ja) 2008-06-12
US20100011995A1 (en) 2010-01-21
TWI488829B (zh) 2015-06-21
JP5270370B2 (ja) 2013-08-21
EP2103576A4 (en) 2010-10-13
CN103951295A (zh) 2014-07-30
KR101441877B1 (ko) 201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8903A (ko) 시멘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8051985B2 (en) Method of removing unburned carbon from coal ash
JP2007054773A (ja) 石炭灰中の未燃カーボン除去方法
JP2007222800A (ja) フライアッシュ中の未燃カーボン除去装置及び除去方法
KR101269456B1 (ko) 플라이 애시 중의 미연 카번 제거방법
JP2008169359A (ja) 固体燃料
WO2010004942A1 (ja) フライアッシュ中の未燃カーボンの分離方式
KR101292162B1 (ko) 습회의 시멘트 첨가 장치 및 첨가 방법
KR100743646B1 (ko) 석탄과 오일을 혼합한 혼합 액상연료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혼합 액상연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혼합 액상연료
JP2009091189A (ja) 石膏ボード及びフライアッシュ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4751139B2 (ja) フライアッシュ中の未燃カーボン除去装置
JP6061289B2 (ja) 建設材料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H0412911B2 (ko)
JP5301189B2 (ja) フライアッシュの湿式脱炭における薬剤管理方法
JP6389974B1 (ja) フライアッシュ処理設備及びフライアッシュ処理方法
JP2017042709A (ja) 流動床式ボイラー灰の処理方法
JP4179948B2 (ja) ミルパイライト有効利用方法および装置
KR100881627B1 (ko) 석탄 혼합 액상연료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석탄 혼합액상연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석탄 혼합액상연료
JPH0315957B2 (ko)
JP2016093784A (ja) 埋め戻し材の製造方法、埋め戻し材および埋め戻し材製造システム
FI128128B (fi) Menetelmä kivihiilivoimalaitosten tuhkien ja/tai muissa polttolaitoksissa tuotettujen hiilipitoisten tuhkien jalostamiseksi erottamalla hiilipitoinen tuote jatkokäsittelyä varten
RU2026741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угля к гидро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ю
RU2130339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угля
JP2022045008A (ja) セメント又はセメント硬化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システム
JPH0892576A (ja) Cwp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